KR102427598B1 -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 Google Patents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598B1
KR102427598B1 KR1020190051279A KR20190051279A KR102427598B1 KR 102427598 B1 KR102427598 B1 KR 102427598B1 KR 1020190051279 A KR1020190051279 A KR 1020190051279A KR 20190051279 A KR20190051279 A KR 20190051279A KR 102427598 B1 KR102427598 B1 KR 10242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anger
groove
door
hang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340A (ko
Inventor
정문경
Original Assignee
정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경 filed Critical 정문경
Priority to KR102019005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59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56Bottom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70Retrofitting of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2Partitio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행거형 도어에 장착하여 행거 도어를 안내하는 분할 가이드를 여러 개로 구성고, 각 분할 가이드가 중력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이드 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쌓이더라도 분할 가이드가 차례로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하여 먼지 유무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분할 가이드의 양쪽 모서리 부분을 모 따기 하여 구성하므로, 분할 가이드가 이물을 타고 넘을 때 쉽고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타고 넘을 수 있다. 또한, 분할 가이드를 장착하는 가이드 브래킷을 행거 도어 하부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새로 시공한 행거 도어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하여 사용하는 행거 도어에도 가이드 브래킷만 장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이물 때문에 행거 도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LOWER STRUCTURE HANGER-TYPE DOORS}
본 발명은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에 장착한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하는 분할 가이드를 여러 개로 구성하므로, 가이드 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끼더라도 행거 도어를 여닫을 때 이들 분할 가이드가 이물을 타고 넘으면서 편안하고 안전하게 행거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행거 도어는 천장에 장착한 레일에 매달아서 움직이게 한 도어로, 보통 칸막이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행거 도어는 상부가 레일을 따라 안내를 받게 하고, 하부는 아래와 같이 바닥에 설치한 가이들 따라 움직이게 장착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689952호
하부 고정형 행거도어에 관한 것으로, 중간판에 의해 분할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롤러를 수용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단에 상기 상부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1 롤러가 형성되고, 하단에 레일이 형성된 제1 하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프레임에 제1 고정체가 연결되는 제1도어와, 상단에 상기 상부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롤러가 형성되고, 하단에 레일이 형성된 제2 하부 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부 프레임에 제2 고정체가 상기 제1 고정체에 결합하여 이동하도록 연결되는 제2 도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행거도어의 하부를 고정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이격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919092호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장레일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호 연동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를 통해 천장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천장 레일과,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연동을 위해 천장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레일연동유닛 및 천장 레일 상에 슬라이딩 도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레일연동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 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도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행거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행거장치는 레일연동유닛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932657호
행거도어의 레일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레일프레임과 천장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보다 용이하게 가린 상태로 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수평조절이 용이하고, 특히, 기존의 천장형 슬라이딩 행거도어의 설치시 천장철거 및 천장 보강을 통한 공정에 대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전산 볼트 체결을 통해 공정시간이 2/3 빠르며, 마감에 대한 세밀함과 설치 및 후추 A/S에 대한 안전성이 95% 이상 우수하고, 나아가, 기존에 천장형 슬라이딩 행거도어 설치시 천장 수평에 어쩔 수 없이 밀착시공하였으나, 가설 천장 틀과 관계없이 상부 천장 면에 직접 고정함으로, 정확한 수평 및 수직을 구현할 수 있어 천장 면의 노후됨과 중력으로 인한 처짐에 관계없이 처음 시공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가설 천장틀 면과의 사이 간격을 고정 브래킷을 통해 자연스럽게 감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기존 행거 도어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행거 도어를 여닫을 때 안정적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레일에 매달아 놓은 행거 도어 아래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이 행거 도어 하부에 구성한 가이드가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안내를 받을 수 있게 장착한다.
(2) 이에, 행거 도어에 장착한 가이드를 끼우는 가이드 홈이 외부에 노출하게 되고, 오랫동안 사용하면 이 가이드 홈에 먼지나 이물 등이 쌓여 가이드 안내를 방해한다.
(3) 특히, 점성이 있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는 이물은 행거 도어를 닫을 때 가이드가 더는 움직이지 않게 하여 행거 도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4)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가이드 홈에 모 헤어 등을 장착하여 가이드 홈 안으로 이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5) 모 헤어가 이물이 가이드 홈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주나, 이러한 모 헤어도 이물을 완전히 걸러주지 못하므로 시간이 이물의 가이드 홈으로 들어가서 쌓이는 시간을 연장할 뿐 오랜 시간이 지나면 행거 도어를 여닫을 수 없게 된다.
(6) 모 헤어 제작 과정, 가이드 홈에 모 헤어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구조 변경, 모 헤어 장착 과정 등 종래 과정에서 별도의 추가 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그만큼 더 제조비용이 늘어난다.
(7) 또한, 모 헤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화하거나 파손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일부가 파손되면 전체를 교환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늘어난다.
한국등록특허 제1689952호 (등록일 : 2016.12.20) 한국등록특허 제1919092호 (등록일 : 2018.11.09) 한국등록특허 제1932657호 (등록일 : 2018.12.1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행거형 도어 하부에 장착하여 바닥에 설치한 가이드 홈에 끼워져서 행거 도어를 안내하는 분할 가이드를 여러 개로 구성고, 각 분할 가이드가 중력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가이드 홈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쌓이더라도 분할 가이드가 차례로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하여 먼지 유무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분할 가이드의 양쪽 모서리 부분을 모 따기 하여 구성하므로, 분할 가이드가 이물을 타고 넘을 때 쉽고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타고 넘을 수 있게 한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 가이드를 장착하는 가이드 브래킷을 행거 도어 하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새로 제작하는 행거 도어뿐만 아니라 이미 설치하여 사용하는 행거 도어에도 이 가이드 브래킷만 장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이물 때문에 행거 도어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는, 행거 도어(D) 하부에 장착하여 바닥에 설치한 가이드 홈(G)을 따라서 정해진 경로로 여닫을 수 있게 안내하는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에서; 행거 도어(D)에는 가이드 홈(G)과 마주하는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요 홈(11)이 형성되되, 상기 요 홈(11)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한쪽이 요 홈(11) 밖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홈(G)에 끼워지고, 다른 한쪽이 요 홈(11) 밖으로 돌출하지 않고 요 홈(11)을 따라 움직이면서 중력을 받아 상하로 승강하도록 여러 개의 분할 가이드(20)가 구비되고; 상기 요 홈(11)은, 행거형 창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안내 브래킷(10)에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요 홈(11)의 입구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게 턱(12)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분할 가이드(20)는 폭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하고 가로 부분의 양단이 상기 턱(12)에 걸려 요 홈(11)에서 이탈하지 않고 그 안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 홈(G)에 끼워지는 가장자리의 양쪽 끝이 라운드 지게 모 따기(21)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여러 개로 분할한 분할 가이드가 중력 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가이드 홈에 쌓인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행거 도어를 여닫을 때 이물이 있더라도 이와 상관없이 행거 도어를 여닫을 수 있다.
(2) 이처럼 이물이 있더라도 행거 도어를 여닫을 수 있으므로, 이물 처리에 관한 구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3) 이러한 분할 가이드는 행거 도어 하부에 장착할 수 있는 가이드 브래킷에 삽입하여 행거 도어에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새로 제작하는 행거 도어뿐만 아니라 이미 시공하여 사용 중인 행거 도어에도 가이드 브래킷만 장착하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이물에 상관없이 행거 도어를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4) 행거 도어의 사용 중에 분할 가이드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분할 가이드만 교환하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5) 행거 도어의 폭 길이에 알맞은 개수만큼 분할 가이드를 삽입하여 안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원하는 폭을 가진 행거 도어를 제작할 수 있어 확장성을 높일 수 있다.
(6) 중력을 이용하여 분할 가이드가 상하로 움직이면서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분할 가이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등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도 간단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제작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를 행거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에 1]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를 행거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를 행거 도어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분할 가이드의 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로 이물을 타고 넘는 과정을 차례로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분할 가이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와 같이, 바닥에 설치한 가이드 홈(G)에 삽입하여 슬라이딩 안내하도록 행거 도어(D) 하부에 여러 개의 분할 가이드(20)를 구성함으로써, 이 가이드 홈(G)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쌓이더라도 분할 가이드(20)가 차례로 이물을 타고 넘으면서 행거 도어를 슬라이딩하게 하여 여닫을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분할 가이드(20)는 중력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이물에 걸리면 위로 올라가면서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구성하여 별도의 작동 구성이나 액추에이터가 없더라도 분할 가이드(20)가 쉽게 먼지와 같은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 가이드(20)는 이물과 접하는 가장자리를 모 따기(21) 하여 구성하므로, 이 부분이 먼지와 같은 이물과 접했을 때 쉽게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분할 가이드(11)를 설치하는 요 홈(11)을 별도의 안내 브래킷(10)에 형성하고, 이 안내 브래킷(10)을 행거 도어(D) 하부에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새로 시공하는 행거 도어나 이미 시공한 행거 도어에도 쉽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되더라도 쉽게 교환하여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D"는 상부를 천장이나 벽에 장착한 레일을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 행거 도어를, "G"는 이 행거 도어 하부의 바닥에 장착하고, 이 행거 도어 하부가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각각 나타낸다.
가. 안내 브래킷
안내 브래킷(10)은, [도 1] 내지 [도 3]·[도 5]와 같이, 후술할 분할 가이드(20)를 장착하고, 이 분할 가이드(20)가 가이드 홈(G)에 끼워져서 행거 도어(D)의 슬라이딩 안내를 할 수 있게 하는 브래킷이다.
특히, 상기 안내 브래킷(10)은, [도 1] 내지 [도 3]·[도 5]와 같이, 바닥에 설치한 가이드 홈(G)과 마주하는 면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요 홈(11)을 형성한다. 이때, 요 홈(11)은 후술할 분할 가이드(20)가 끼워져서 중력 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한 홈이다.
이때, 상기 요 홈(11)은, [도 1] 내지 [도 3]·[도 5]와 같이, 분할 가이드(20)가 끼워져서 일부는 밖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홈(G)에 끼워지고 일부는 요 홈(11) 밖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요 홈(11)의 가장자리에 턱(12)을 서로 마주하여 돌출하게 형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안내 브래킷(10)은, [도 1] 내지 [도 3]·[도 5]와 같이, 행거 도어(D) 하부에 상기 요 홈(11)이 가이드 홈(G)과 마주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브래킷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행거 도어(D)를 제작할 때 이 안내 브래킷(10)도 행거 도어(D)와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 브래킷(10)은 행거용 창호에 장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 브래킷(10)은 행거 도어(D)에 억지 끼움이나 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내 브래킷(10)이 파손되었을 때 쉽게 교환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이미 설치한 행거 도어(D) 하부에 본 발명에 따른 안내 브래킷(10)을 장착하여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나. 분할 가이드
분할 가이드(2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상술한 요 홈(11)에 장착하여 중력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분할 가이드(2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한쪽은 가이드 홈(G)에 끼워져서 행거 도어(D)를 슬라이딩시킬 때 안내하게 하고, 다른 한쪽은 상기 요 홈(11)에 수납하여 빠지지 않고 중력 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할 가이드(2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폭 단면을 "T"자 형태가 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가로변의 양단은 상술한 턱(12)에 걸려 분할 가이드(20)가 요 홈(11) 밖으로 이탈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세로 변은 두 개의 턱(12) 사이를 통해 요 홈(11) 밖으로 돌출한 다음 가이드 홈(G)에 끼워져서 행거 도어(D)를 슬라이딩 안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분할 가이드(20)는, [도 1]과 같이, 요 홈(11) 안에 장착한 부분이 중력을 받은 상태에서는 "T"자 형상의 가로 부분이 턱(12)에 걸려 슬라이딩 안내를 하게 하고, [도 5]와 같이 가이드 홈(G)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있어서 이물에 분할 가이드(20)가 걸리면 이 분할 가이드(20)가 강제로 요 홈(11) 안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요 홈(11)에 끼운 분할 가이드(20)의 끝이 항상 요 홈(11) 밖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홈(G)에 끼워져서 행거 도어(D)의 슬라이딩 안내를 하게 하고, 이 가이드 홈(G)에 이물 등이 있으면 각 분할 가이드(20)가 이물을 타고 넘으면서 행거 도어(D)의 슬라이딩 안내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도 6]과 같이 분할 가이드(20)의 형상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분할 가이드(20)의 형상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6]과 같이, 분할 가이드(20)를 형성할 때 가이드 홈(G)에 끼워지는 하부 구간의 가장자리 양단에 각각 모 따기(21) 처리한 것이다. 이는, 행거 도어(D)를 슬라이딩시킬 때 가이드 홈(G) 안에 먼지와 같은 이물이 있어 분할 가이드(20)가 이물을 타고 넘을 때 가장자리 부분이 모 따기(21) 처리해 놓음에 따라 쉽게 분할 가이드(20)가 이물을 타고 넘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모 따기 한 부분이 먼저 이물 등에 밀착하면서 쉽게 이물 위로 올라가서 이물을 타고 넘어가게 된다.
10 : 안내 브래킷
11 : 요 홈
12 : 턱
20 : 분할 가이드
21 : 모 따기
D : 행거 도어
G : 가이드 홈

Claims (4)

  1. 행거 도어(D) 하부에 장착하여 바닥에 설치한 가이드 홈(G)을 따라서 정해진 경로로 여닫을 수 있게 안내하는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에서,
    행거 도어(D)에는 가이드 홈(G)과 마주하는 면에 전체 길이에 걸쳐 요 홈(11)이 형성되되, 상기 요 홈(11)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한쪽이 요 홈(11) 밖으로 돌출하여 가이드 홈(G)에 끼워지고, 다른 한쪽이 요 홈(11) 밖으로 돌출하지 않고 요 홈(11)을 따라 움직이면서 중력을 받아 상하로 승강하도록 여러 개의 분할 가이드(20)가 구비되고,
    상기 요 홈(11)은, 행거형 창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안내 브래킷(10)에 삽입하여 설치하되, 상기 요 홈(11)의 입구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게 턱(12)을 돌출 형성하며,
    상기 분할 가이드(20)는 폭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하고 가로 부분의 양단이 상기 턱(12)에 걸려 요 홈(11)에서 이탈하지 않고 그 안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구성하되, 상기 가이드 홈(G)에 끼워지는 가장자리의 양쪽 끝이 라운드 지게 모 따기(21)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51279A 2019-05-02 2019-05-02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KR10242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79A KR102427598B1 (ko) 2019-05-02 2019-05-02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279A KR102427598B1 (ko) 2019-05-02 2019-05-02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40A KR20200127340A (ko) 2020-11-11
KR102427598B1 true KR102427598B1 (ko) 2022-07-29

Family

ID=7345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279A KR102427598B1 (ko) 2019-05-02 2019-05-02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5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17B1 (ko) * 2006-10-16 2007-08-01 동해기전산업(주) 미닫이 도어용 하부가이드레일 지지구조
JP2016121507A (ja) *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Lixil 建具のスライダーとスライダー機構
KR101799784B1 (ko) * 2016-12-16 2017-11-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조절 호차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952B1 (ko) 2015-02-25 2016-12-26 남승원 하부 고정형 행거도어
KR101919092B1 (ko) 2018-03-02 2018-11-15 김동필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KR101932657B1 (ko) 2018-04-10 2018-12-26 주식회사 이디에스 행거도어의 레일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17B1 (ko) * 2006-10-16 2007-08-01 동해기전산업(주) 미닫이 도어용 하부가이드레일 지지구조
JP2016121507A (ja) * 2014-12-25 2016-07-07 株式会社Lixil 建具のスライダーとスライダー機構
KR101799784B1 (ko) * 2016-12-16 2017-11-2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높이조절 호차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40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4744B2 (en) Foldable screen device
CA1073747A (en) Shielding for damp rooms
EP3396101B1 (en) Fly screen with lateral winding for doors or windows
US20160273254A1 (en) Sliding door
JP6679225B2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102427598B1 (ko)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730161B1 (ko) 방충망 일체형 조립식 난간 구조를 가진 창호
KR101198027B1 (ko) 미닫이 천정판 구조
KR101774542B1 (ko)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102161295B1 (ko) 스크린 방화셔터용 가이드레일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20170116350A (ko)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창호
ITBO20080366A1 (it) Dispositivo anti sollevamento per infissi scorrevoli.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CN104891315B (zh) 电梯门开闭装置
KR101244871B1 (ko) 연동 미닫이문
KR101932657B1 (ko) 행거도어의 레일결합구조
KR101830910B1 (ko) 방충망 이탈 방지장치
CN111065597B (zh) 电梯的门装置
KR102354163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KR20210007222A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탈방지 가이드 피스
KR102614371B1 (ko) 창호용 가이드 홈 마감 장치
KR20130136665A (ko) 폴딩도어용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