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092B1 -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092B1
KR101919092B1 KR1020180025346A KR20180025346A KR101919092B1 KR 101919092 B1 KR101919092 B1 KR 101919092B1 KR 1020180025346 A KR1020180025346 A KR 1020180025346A KR 20180025346 A KR20180025346 A KR 20180025346A KR 101919092 B1 KR101919092 B1 KR 10191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sliding door
unit
rail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필
Original Assignee
김동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필 filed Critical 김동필
Priority to KR102018002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정레일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를 통해 천정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천정레일과,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연동을 위해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연동유닛 및 천정레일 상에 슬라이딩 도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레일연동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 도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행거장치는 레일연동유닛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SLIDING DOOR SYSTEM AND HANGER DEVICE FOR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정레일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를 통해 천정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다수의 도어를 설치할 때, 3개의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다른 도어들도 목적하는 방향으로 연동하여 개폐되게끔 하는 연동형 3중 슬라이딩 도어는 기존의 2도어 시스템에 비하여 출입구를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슬라이딩 도어는 바닥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서는 바닥레일의 필요에 따라 바닥레일을 시공하기 위한 추가 공정이 필요하고, 설치된 바닥레일에는 이물질이 축적되어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1181호(발명의 명칭 :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2017. 08. 25.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정레일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를 통해 천정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천정레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연동을 위해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연동유닛; 및 상기 천정레일 상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연동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행거장치는, 상기 레일연동유닛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연동유닛에는, 상기 행거장치가 통과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행거장치가 결합되는 승강블럭부;가 포함되고, 상기 행거장치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되면,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승강블럭부가 상승하여 상기 행거장치는 상기 천정레일에서 이격되고, 상기 행거장치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강되면,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승강블럭부가 하강하여 상기 행거장치는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도어연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연동유닛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연동유닛이 끼움 결합되는 연동가이드;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는 천정레일 상에 슬라이딩 도어를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이고,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이동유닛; 상기 구름이동유닛에 결합되는 행거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행거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에서 하강하여 상기 연결블럭에 걸림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구름이동유닛과 결합되는 행거결합부; 상기 행거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지지행거부; 및 상기 연결블럭에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행거부에서 연장되는 행거걸림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지지행거부에 구비되는 상승제한돌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럭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행거부가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행거경로부; 및 상기 행거경로부 상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에 의해 상기 행거걸림부가 걸림 지지되는 행거안착홈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블럭에는, 상기 행거경로부와 연통되고, 상기 행거걸림부가 통과되는 행거탈착홀부;가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행거걸림부에는, 상기 지지행거부에서 상기 행거걸림부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행거부의 단면적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걸림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안착홈부에는, 상기 걸림경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행거경로부에서 상기 행거안착홈부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행거부의 단면적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안착경사부;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름이동유닛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평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유닛에는, 상기 수평조절부에서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 따르면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정레일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가 상호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를 통해 천정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장치의 왕복 이동을 통해 행거장치로부터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행거장치와 레일연동유닛으로 분산시켜 슬라이딩 도어가 천정레일을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장치가 레일연동유닛에서 왕복 이동될 때, 행거장치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행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행거장치에 탈부착될 때, 천정레일에서 구름이동유닛의 왕복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행거장치에 의해 천정레일 또는 레일연동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레일이 없더라도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호 인접한 슬라이딩 도어 사이의 상호 연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가 행거장치에 결합된 후에는 행거장치로부터 슬라이딩 도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블럭에서 행거유닛의 왕복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슬라이딩 도어가 천정레일에 안정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유닛과 연결블럭을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연결블럭의 왕복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행거유닛에 의해 레일연동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이용함으로써, 연결블럭에서 행거유닛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에 의해 행거유닛과 연결블럭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서 행거장치의 하강 상태(a)와 행거장치의 상승 상태(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서 연결블럭을 도시한 단면도(a)와 저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서 연결블럭에 행거유닛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서 연결블럭에 행거유닛이 걸림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슬라이딩 도어(10)와, 천정레일(20)과, 레일연동유닛(30)과, 행거장치(50)를 포함하고, 도어연동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0)는 복수 개가 상호 중첩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딩 도어(10)에는 행거장치(50)의 연결블럭(80)이 결합되는 블럭결합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블럭결합부(11)는 연결블럭(80)이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도어(10)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0)에는 도어연동유닛(4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연동가이드(12)가 구비될 수 있다. 연동가이드(12)는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도어연동유닛(4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연동가이드(12)에는 도어연동유닛(40)이 끼움 결합된다. 연동가이드(12)는 슬라이딩 도어(10)에 함몰 형성되어 돌기 형상인 도어연동유닛(40)의 가이드결합부(43)가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연동가이드(12)는 슬라이딩 도어(10)에 돌출 형성되어 홈 형상인 도어연동유닛(40)의 가이드결합부(43)에 끼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10)에는 도어연동유닛(40)이 결합되는 유닛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유닛결합부에는 도어연동유닛(40)의 일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천정레일(20)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천정레일(20)에는 레일연동유닛(30)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행거장치(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 하게 결합된다.
천정레일(20)은 레일프레임(21)과, 지지레일(22)과, 연동레일(23)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프레임(21)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각각의 슬라이딩 도어(10)에 대응하는 찬넬 형상을 나타내며, 행거장치(50)의 구름이동유닛(6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레일프레임(21)의 공간에서는 행거장치(50)의 구름이동유닛(60)이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될 수 있다.
지지레일(22)은 행거장치(5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지지레일(22)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지지레일(22)은 레일프레임(21)의 공간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지지레일(22)에는 구름이동유닛(60)의 구름바퀴(62)가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구름바퀴(62)가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연동레일(23)은 레일연동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연동레일(23)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연동레일(23)은 레일프레임(21)의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지지레일(22)에 돌출 형성된다. 그러면, 연동레일(23)에는 레일연동유닛(30)의 레일결합부(324)가 지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레일결합부(324)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레일연동유닛(30)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상호 연동을 위해 천정레일(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일연동유닛(30)에는 행거장치(50)가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레일연동유닛(30)에는 관통홀부와, 승강블럭부(322)가 포함될 수 있다. 관통홀부는 행거장치(50)의 행거유닛(70)이 통과하도록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홀부는 후술하는 베이스관통부(311)와, 지지관통부(321)로 구분할 수 있다. 승강블럭부(322)는 관통홀부에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블럭부(322)에는 행거장치(50)의 행거유닛(70)이 결합된다.
그러면, 행거장치(50)가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되면, 관통홀부에서 승강블럭부(322)가 상승하여 행거장치(50)의 구름이동유닛(60)은 천정레일(20)의 지지레일(22)에서 이격된다. 이때, 도어연동유닛(40)은 연동가이드(12)와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므로, 행거장치(50)로부터 슬라이딩 도어(1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행거장치(50)가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강되면, 관통홀부에서 승강블럭부(322)가 하강하여 행거장치(50)의 구름이동유닛(60)은 천정레일(20)의 지지레일(2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어연동유닛(40)은 연동가이드(12)와 끼움 결합되고, 슬라이딩 도어(1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행거장치(50)에 결합되므로, 행거장치(50)에 슬라이딩 도어(1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구름이동유닛(60)은 지지레일(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도어연동유닛(40)은 연동가이드(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므로, 슬라이딩 도어(10)는 천정레일(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레일연동유닛(30)은 베이스슬라이더(31)와, 지지슬라이더(32)와, 연동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연동유닛(30)은 천정레일(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행거장치(5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 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레일연동유닛(30)은 천정레일(2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행거장치(50)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0)에 연결된다. 상기 천정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름이동유닛(60)이 구비되고, 상기 구름이동유닛(60)에 연결된 상기 레일연동유닛(30)이 구름이동유닛(60)과 함께 상기 천정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행거장치(50)에 연결된 상기 슬라이딩 도어(10)는 상기 레일연동유닛(30)과 함께 상기 천정레일(2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슬라이더(31)는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베이스슬라이더(31)에는 행거장치(50)의 행거유닛(70)이 통과하도록 베이스관통부(31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지지슬라이더(32)는 베이스슬라이더(31)에 결합된다. 지지슬라이더(32)는 천정레일(20)의 연동레일(2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슬라이더(32)에는 베이스관통부(311)와 연통되는 지지관통부(3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지지슬라이더(32)에는 지지관통부(321)에 끼움 결합되는 승강블럭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승강블럭부(322)는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지지관통부(321)에서 왕복 이동이 가능하다. 승강블럭부(322)에는 행거장치(50)의 행거유닛(70)이 결합된다.
지지슬라이더(32)에는 지지관통부(321)에 돌출 형성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지지부(323)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323)는 승강블럭부(322)의 승강 이동에 따라 승강블럭부(322)에 의해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승강블럭부(322)가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지지관통부(321)에서 상승했을 때, 탄성지지부(323)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럭부(322)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슬라이더(32)에는 연동레일(23)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결합부(324)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결합부(324)는 지지슬라이더(32)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레일결합부(324)는 홈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지지관통부(321)의 직경은 베이스관통부(3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승강블럭부(322)가 하강할 때, 지지관통부(321)에서 승강블럭부(3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행거장치(50)는 천정레일(20) 상에 슬라이딩 도어(10)를 결합시킨다. 행거장치(50)는 레일연동유닛(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천정레일(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행거장치(50)에는 슬라이딩 도어(10)가 결합된다. 행거장치(50)는 연결블럭(80)을 매개로 슬라이딩 도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행거장치(50)는 레일연동유닛(30)의 세부 구성을 통해 레일연동유닛(30)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행거장치(50)는 구름이동유닛(60)과, 행거유닛(70)과, 연결블럭(8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름이동유닛(60)은 천정레일(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름이동유닛(60)은 천정레일(20)의 레일프레임(21)에 형성된 공간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이 가능하고, 지지레일(22)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구름이동유닛(60)에는 행거유닛(70)과의 결합을 위한 수평조절부(611)가 관통 또는 함몰된 상태로 구비된다.
구름이동유닛(60)은 구름바디(61)와, 구름바디(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바퀴(6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바디(61)에는 행거유닛(70)의 결합을 위한 수평조절부(611)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된다. 수평조절부(611)의 내면에는 행거유닛(70)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름바퀴(62)는 천정레일(20)의 지지레일(22)에 지지되고, 슬라이딩 도어(1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구름바디(61)에서 회전되면서 지지레일(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행거유닛(70)의 승강 이동에 대응하여 행거유닛(70)이 상승되면, 구름바퀴(62)는 지지레일(22)에서 이격되고, 행거유닛(70)이 하강되면, 구름바퀴(62)는 지지레일(22)에 안착 지지된다.
행거유닛(70)은 구름이동유닛(60)에 결합된다. 행거유닛(70)은 슬라이딩 도어(10)의 하중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10)의 높이 방향에서 하강하여 연결블럭(80)에 걸림 지지된다. 그러면, 행거유닛(70)과 연결블럭(8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행거유닛(7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행거유닛(70)의 일측 외주면에는 수평조절부(611)에서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행거유닛(70)의 타측 단부에는 연결블럭(80)과의 걸림 지지를 위한 행거걸림부(73)가 구비된다.
행거유닛(70)은 구름이동유닛(60)과 결합되는 행거결합부(71)와, 행거결합부(71)에서 연장되는 지지행거부(72)와, 연결블럭(80)에 걸림 지지되도록 지지행거부(72)에서 연장되는 행거걸림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유닛(70)은 지지행거부(72)에 구비되는 상승제한돌부(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거결합부(71)는 수평조절부(611)에 결합된다. 수평조절부(611)에서의 나사 결합을 위해 행거결합부(7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수평조절부(611)에서 행거결합부(71)의 나사 결합을 조절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10)의 수평도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행거부(72)는 레일연동유닛(30)에서의 높이 방향 왕복 이동을 위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지지행거부(72)는 레일연동유닛(30)과의 결합을 위해 승강블럭부(322)에 결합 고정된다.
행거걸림부(73)에는 지지행거부(72)에서 행거걸림부(73)의 단부로 갈수록 지지행거부(72)의 단면적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걸림경사부(731)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행거걸림부는 원뿔대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승제한돌부(74)는 슬라이딩 도어(10)의 들어올림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슬라이딩 도어(10)를 들어올릴 때, 관통홀부 도는 지지관통부(321)에서 승강블럭부(32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10)를 들어올릴 때, 연결블럭(80)에 구비되는 행거안착홈부(82)에서 행거걸림부(73)의 이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승제한돌부(74)에는 수평조절부(611)와 행거결합부(71)의 나사 결합을 위한 공구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행거장치(50)에 슬라이딩 도어(10)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평조절부(611)와 행거결합부(71) 사이의 나사 결합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블럭(80)은 슬라이딩 도어(10)의 블럭결합부(11)에 결합된다. 연결블럭(80)은 행거유닛(7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블럭(80)에는 행거경로부(81), 행거안착홈부(82), 행거탈착홀부(83), 및 통과제한캡부(84)가 포함될 수 있다.
행거경로부(81)는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지지행거부(72)가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행거안착홈부(82)는 행거경로부(81) 상에 구비된다. 행거안착홈부(82)에는 슬라이딩 도어(10)의 하중에 의해 행거걸림부(73)가 걸림 지지된다.
이에 따라 행거안착홈부(82)에는 행거걸림부(73)에 구비된 걸림경사부(731)에 대응하여 행거경로부(81)에서 행거안착홈부(82)의 단부로 갈수록 지지행거부(72)의 단면적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안착경사부(821)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행거부(72)의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행거안착홈부(82)의 입구에는 지지행거부(72)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부(82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지지행거부(72)가 행거경로부(8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행거부(72)와 행거걸림부(73)가 이탈방지턱부(822)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행거장치(70)가 행거탈착홀부(83)로 삽입 하강하여, 상기 연결블럭(80)이 행거걸림부(73)에 대해 상승된다.
하지만, 지지행거부(72)가 행거경로부(81)에 삽입되고, 상기 행거장치(70)는 행거안착홈부(82)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후, 행거안착홈부(82)를 향해 상승한 것으로, 도 6에서 상기 연결블럭(80)의 관점에서는 행거안착홈부(82)가 행거걸림부(73)를 향해 하강한 것으로 도시된다.
행거탈착홀부(83)는 행거안착홈부(82)와 이격 배치되고, 행거경로부(81)와 연통된다. 행거탈착홀부(83)는 행거걸림부(73)가 통과되도록 연결블럭(8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통과제한캡부(84)는 행거탈착홀부(83)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싼다. 통과제한캡부(84)는 행거걸림부(73)의 통과 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801은 연결블럭(80)을 슬라이딩 도어(10)에 결합하기 위한 도어결합부이다. 도어결합부(801)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도록 연결블럭(80)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도어연동유닛(40)은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10) 중 다른 하나에는 연동가이드(12)가 구비된다. 그러면, 도어연동유닛(40)은 연동가이드(12)와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응하여 연동가이드(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도어연동유닛(40)은 고정브라켓(41)과, 지지브라켓(42)과, 가이드결합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41)은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고정브라켓(41)은 슬라이딩 도어(10)에 구비된 유닛결합부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41)은 유닛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브라켓고정부(411)와, 브라켓고정부(411)에서 연장되는 브라켓연결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고정부(411)와 브라켓연결부(412) 사이에는 유닛결합부의 입구턱이 삽입 지지되는 고정홈부(413)가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10)와 고정브라켓(41)의 결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고정브라켓(41)을 유닛결합부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지지브라켓(42)은 고정브라켓(41)에서 연장된다. 지지브라켓(42)은 브라켓연결부(412)에서 연장되도록 한다. 일예로, 지지브라켓(42)은 슬라이딩 도어(10)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고정브라켓(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결합부(43)는 지지브라켓(42)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10)에 구비되는 연동가이드(12)와 끼움 결합된다. 가이드결합부(43)는 지지브라켓(42)에서 돌출 형성되어 홈 형상의 연장가이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결합부(43)가 지지브라켓(42)에 함몰 형성되는 경우, 연동가이드(12)는 돌기 형상으로 가이드결합부(4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에 따르면 바닥레일을 생략한 상태에서도 천정레일(20)에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10)가 상호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행거장치(50)를 통해 천정레일(20) 상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장치(50)의 왕복 이동을 통해 행거장치(50)로부터 슬라이딩 도어(1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천정레일(20)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하중을 행거장치(50)와 레일연동유닛(30)으로 분산시켜 슬라이딩 도어(10)가 천정레일(20)을 따라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장치(50)가 레일연동유닛(30)에서 왕복 이동될 때, 행거장치(50)의 왕복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행거장치(50)에서 슬라이딩 도어(10)의 탈부착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10)가 행거장치(50)에 탈부착될 때, 천정레일(20)에서 구름이동유닛(60)의 왕복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행거장치(50)에 의해 천정레일(20) 또는 레일연동유닛(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레일이 없더라도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에 대하여 슬라이딩 도어(10)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상호 인접한 슬라이딩 도어(10) 사이의 상호 연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유닛과 연결블럭(80) 사이의 결합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10)가 행거장치(50)에 결합된 후에는 행거장치(50)로부터 슬라이딩 도어(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도어(10)의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블럭(80)에서 행거유닛(70)의 왕복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슬라이딩 도어(10)가 천정레일(20)에 안정되게 정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행거유닛(70)과 연결블럭(80)을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연결블럭(80)의 왕복 이동 및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행거유닛(70)에 의해 레일연동유닛(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10)의 하중을 이용함으로써, 연결블럭(80)에서 행거유닛(7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 도어(10)의 하중에 의해 행거유닛(70)과 연결블럭(8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10)의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슬라이딩 도어 11: 블럭결합부 12: 연동가이드
20: 천정레일 21: 레일프레임 22: 지지레일
23: 연동레일 30: 레일연동유닛 31: 베이스슬라이더
311: 베이스관통부 32: 지지슬라이더 321: 지지관통부
322: 승강블럭부 323: 탄성지지부 324: 레일결합부
40: 도어연동유닛 41: 고정브라켓 411: 브라켓고정부
412: 브라켓연결부 413: 고정홈부 42: 지지브라켓
43: 가이드결합부 50: 행거장치 60: 구름이동유닛
61: 구름바디 611: 수평조절부 62: 구름바퀴
70: 행거유닛 71: 행거결합부 72: 지지행거부
73: 행거걸림부 731: 걸림경사부 74: 상승제한돌부
80: 연결블럭 801: 도어결합부 81: 행거경로부
81: 행거경로부 82: 행거안착홈부 821: 안착경사부
822: 이탈방지턱부 83: 행거탈착홀부 84: 통과제한캡부

Claims (10)

  1. 복수의 슬라이딩 도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천정레일;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상호 연동을 위해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연동유닛; 및
    상기 천정레일 상에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레일연동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행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연동유닛은 상기 천정레일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행거장치를 매개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행거장치에 연결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상기 레일연동유닛과 함께 상기 천정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며,
    상기 행거장치는, 상기 레일연동유닛에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레일연동유닛에는,
    상기 행거장치가 통과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및
    상기 관통홀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행거장치가 결합되는 승강블럭부;가 포함되고,
    상기 행거장치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승되면,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승강블럭부가 상승하여 상기 행거장치는 상기 천정레일에서 이격되고,
    상기 행거장치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강되면, 상기 관통홀부에서 상기 승강블럭부가 하강하여 상기 행거장치는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도어연동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호 인접한 두 슬라이딩 도어 중 다른 하나에는,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연동유닛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연동유닛이 끼움 결합되는 연동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4. 천정레일 상에 슬라이딩 도어를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이고,
    상기 천정레일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이동유닛;
    상기 구름이동유닛에 결합되는 행거유닛; 및
    상기 슬라이딩 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행거유닛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연결블럭이 하강함으로써 상기 연결블럭에 걸림 지지되고,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구름이동유닛과 결합되는 행거결합부, 상기 행거결합부에서 연장되는 지지행거부, 및
    상기 연결블럭에 걸림 지지되도록 상기 지지행거부에서 연장되는 행거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블럭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행거부가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행거경로부, 및 상기 행거경로부 상에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에 의해 상기 행거걸림부가 걸림 지지되는 행거안착홈부가 포함되고,
    상기 행거걸림부에는, 상기 지지행거부에서 상기 행거걸림부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행거부의 단면적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걸림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안착홈부에는, 상기 걸림경사부에 대응하여 상기 행거경로부에서 상기 행거안착홈부의 단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행거부의 단면적보다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안착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유닛은, 상기 지지행거부에 구비되는 상승제한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럭에는, 상기 행거경로부와 연통되고, 상기 행거걸림부가 통과되는 행거탈착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이동유닛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평조절부;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유닛에는, 상기 수평조절부에서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KR1020180025346A 2018-03-02 2018-03-02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KR10191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46A KR101919092B1 (ko) 2018-03-02 2018-03-02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346A KR101919092B1 (ko) 2018-03-02 2018-03-02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092B1 true KR101919092B1 (ko) 2018-11-15

Family

ID=6436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346A KR101919092B1 (ko) 2018-03-02 2018-03-02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40A (ko) 2019-05-02 2020-11-11 정문경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493Y1 (ko) * 2005-05-31 2005-08-17 (주)성광프로젝트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101011267B1 (ko) 2008-09-11 2011-01-26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101671893B1 (ko) 2015-06-02 2016-11-03 안중식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JP2017214760A (ja) *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八木 吊下型建具および連動引き戸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493Y1 (ko) * 2005-05-31 2005-08-17 (주)성광프로젝트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KR101011267B1 (ko) 2008-09-11 2011-01-26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101671893B1 (ko) 2015-06-02 2016-11-03 안중식 2중 슬라이드 도어의 상부롤러 연동장치
JP2017214760A (ja) * 2016-05-31 2017-12-07 株式会社八木 吊下型建具および連動引き戸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340A (ko) 2019-05-02 2020-11-11 정문경 행거 도어의 하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71954B (zh) 电梯出入口装置
US9821989B2 (en) Adjustable overhead assembly for vehicle lift
KR101919092B1 (ko)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과 슬라이딩 도어용 행거장치
US2936849A (en) Ladder levelers
US20150068135A1 (en) Ceiling-mounted baffle system
CN102112795A (zh) 面板显示器悬挂系统和设有面板显示器悬挂系统的面板显示器
KR200437337Y1 (ko) 벽면부착식 조립선반
US10584489B2 (en) Ceiling system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with the same
CN112173922A (zh) 带有工作平台稳定的电梯轿厢
US10815729B2 (en) Ladder landing support apparatus
EP1594788B1 (en) Height adjustment clip for an elevator door
US6857508B2 (en) Elevator hoist machine installation apparatus
KR101219629B1 (ko)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US20210298511A1 (en) Cupped hook bracket curtain rod assembly
KR20080004017U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창문 스테이
KR101958891B1 (ko) 길이조절이 자유로운 슬라이딩 창호용 레일스토퍼
CN217714404U (zh) 升降组件及智能终端
JPWO2006048928A1 (ja) エレベータの出入口装置
CN116472391A (zh) 家具和用于将滑动门安装在家具主体上的方法
JP2015093767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及び戸開走行防止装置の据え付け方法
EP2626325A1 (en) Elevator car compartment and elevator car
CN112584725B (zh) 设置有用于抽屉的高度调节的设备的抽屉的拉出引导件
CN207943728U (zh) 一种复式楼电梯楼板补偿装置
CN212427735U (zh) 一种吊顶及安装结构
KR101932657B1 (ko) 행거도어의 레일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