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5903B1 - 창문 이탈방지구 - Google Patents

창문 이탈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5903B1
KR101525903B1 KR1020130124527A KR20130124527A KR101525903B1 KR 101525903 B1 KR101525903 B1 KR 101525903B1 KR 1020130124527 A KR1020130124527 A KR 1020130124527A KR 20130124527 A KR20130124527 A KR 20130124527A KR 101525903 B1 KR101525903 B1 KR 10152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present
chamb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172A (ko
Inventor
이선중
Original Assignee
안산건업 주식회사
이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산건업 주식회사, 이선중 filed Critical 안산건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4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9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deform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간편한 구조와 이로 인한 손쉬운 작업으로 창문의 상부 프레임 내부에 고정시켜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는, 창문의 수직 프레임의 내부를 형성시키는 보강심과, 상기 보강심에 의해서 일정 공간이 형성되는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 내부로 삽입되고, 창틀의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창문의 이탈방지구로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창틀의 레일이 삽입되고, 레일이 삽입되는 양 측면으로 모헤어가 설치되는 레일안내부, 보강심의 외벽에 위치하는 삽탈버튼, 레일안내부의 전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체결구가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보강심의 수직 전면과 밀착되어 체결되는 전방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 이탈방지구{.}
본 발명은 창문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간편한 구조와 이로 인한 손쉬운 작업으로 창문의 상부 프레임 내부에 고정시켜 창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 이탈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창문의 이탈로 인한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창문의 크기나 형태 등을 규정하는 안전조건이 있기는 하나, 매년 발생하고 있는 태풍 등과 같은 기후조건에 따라 창문의 이탈 및 추락사고를 예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로 인해 추락사고 방지를 위해 창문이나 발코니 문이 어느 정도 이상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잠금장치가 시중에 적지 않게 판매되고 있기는 하나, 이런 제품에 대한 검증이 부족한 편이다.
또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창문이나 발코니 문이 어느 정도 이상은 열리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지나갈 수 없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발, 시중에 판매되기는 하지만 이런 잠금장치들이 사용자들에 의해 풀리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파손되거나 내구성이 부족한 제품들이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보고되고 있다.
특히, 창문과 창틀을 시공한 후 사용 또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결합이 느슨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그 결합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여 창문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창문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595호 "이탈방치장치를 갖는 유리창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 등록특허는 창문 프레임의 상부에 레일과 연동되는 이탈방지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 수직절편을 이용하여 본체를 상승시켜 창틀의 레일 상에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특허는 수직절편의 구조로 인해 본체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창문과 창틀의 특성상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접히는 부위가 반복적인 사용으로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수직절편은 합성수지 등으로 가공해야 하므로 어린아이들의 장난으로 인해 간단히 해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본 출원인은 위와 같은 선 등록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931호 "창문 탈선 방지장치"를 발명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기 등록특허는 일체로 구성되지 않고, 분리결합시켜야 하는 점, 내부에 탄성수단이 비 또는 습기 등으로 인해 녹이 슬거나, 이물질이 껴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8595호 "이탈방치장치를 갖는 유리창 조립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931호 "창문 탈선 방지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선 등록특허 또는 본 출원인의 기 등록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구를 간단히 상승시켜 창문틀의 가이드레일에 밀착시킨 후 견고히 고정하는 창문 이탈방지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는,
창문의 수직 프레임의 내부를 형성시키는 보강심과, 상기 보강심에 의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 내부로 삽입되고, 창틀의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창문의 이탈방지구로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창틀의 레일이 삽입되고, 레일이 삽입되는 양 측면으로 모헤어가 설치되는 레일안내부,
보강심의 외벽에 위치하는 삽탈버튼,
레일안내부의 전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체결구가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보강심의 수직 전면과 밀착되어 체결되는 전방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방가이더의 보강면과 삽탈버튼 사이의 공간으로는 수직 프레임의 측벽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가이더의 안내측면과 삽탈버튼은 동일 면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수직프레임의 보강심 수직 전면으로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수직 후면으로는 관통공이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에 의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삽탈버튼, 전방가이더의 구성 및 작동으로 인해 이탈방지구를 일정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벌어지는 창문과 창틀의 간격을 보강할 수 있어 상기 간격에 의해서 창문이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가 창문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프레임에 이탈방지구가 설치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5의 (a), (b), (c), (d)는 수직 프레임에 이탈방지구를 상승시켜 창틀의 레일에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가 창문에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100)는 창문(200)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창문(200)은 수직 프레임(210)과 수평 프레임(220)이 조립 및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통상의 창문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직 프레임(210)은 보강심(110)이 그 내부에서 사방의 벽면을 형성시키며, 이 보강심(110)은 수직 프레임(210)의 강도,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강심(110)에 의해서 내부를 형성하게 되는 체임버(120)는 단열, 방음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 체임버(120)의 내부로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구(100)가 작동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특히, 보강심(110)은 사방의 벽면 중 수직 전면(112)으로는 고정공(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후면(116)으로는 관통공(118)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고정공(114)과 관통공(118)의 역할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구(100)는 수직 프레임(210)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상부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창틀(200)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직 프레임(210)의 형상 또는 보강심(110) 및 체임버(120)의 형상, 이탈방지구(100)의 사각 모양, 체임버(120) 내부에 삽입되는 형상, 레일안내부(130)의 형상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되고, 전방 및 후방으로 관통된 형상 등은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기본적이고, 통상적인 이탈방지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레일안내부(130)의 특징, 여기에 일체로 구성되는 삽탈버튼(140), 전방가이더(150)의 전체적인 유기적인 구성 및 작동을 그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구의 측면도와 평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일안내부(130)는 이탈방지구(100)의 상부를 이루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미도시된 창틀의 레일이 이동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의 양 측벽(132)으로는 모헤어(1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모헤어(134)는 바람막이, 방음, 단열, 외부의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레일안내부(130)의 측면으로는 삽탈버튼(140)이 하향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탈버튼(140)은 보강심(110)의 외벽 즉, 수직 프레임(210)의 외측에 위치된다.
전방가이더(150)는 레일안내부(130)의 전면방향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로는 장공(152)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가이더(150)는 보강면(154)이 전방가이더(15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전방가이더(150)의 휨을 방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삽탈버튼(140)과 전방가이더(150)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가이더(150)는 보강심(110)의 일면을 이루는 수직 전면(112)과 밀착되면서 안내되어 체임버(120) 내부로 삽입되고, 레일안내부(130)의 안내측면(136)은 상기 보강심(110)의 내측면에 안내되어 이탈방지구(100)가 체임버(120)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레일안내부(130)의 안내측면(136)과 삽탈버튼(140)은 동일 측면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방가이더(150)은 보강면(154)과 삽탈버튼(140)은 서로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탈방지구(100)를 체임버(120) 내부로 삽입하는 경우 삽탈버튼(140)과 전방가이더(150)의 이격된 공간으로는 수직프레임(210)의 측벽(212) 즉, 보강심(110)의 측부 내, 외벽이 삽입된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프레임에 이탈방지구가 설치된 정면도와 측면도로서, 이탈방지구(100)가 체임버(12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전방가이더(150)의 장공(152)과 보강심(110)의 수직 전면(112)에 형성된 고정공(114)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전방가이더(150)의 장공(152)과 고정공(114)은 체결구(300)에 의해서 체결되며, 이 체결구(300)는 보강심(110)의 수직 후면(116)의 관통공(118)을 통해 삽입한 후 고정공(114)과 관통공(118)을 체결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이탈방지구는 다음과 같은 작동하여 창문(200)을 창틀에 고정시켜 그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먼저, 도 5의 (a), (b), (c), (d)는 수직 프레임에 이탈방지구를 상승시켜 창틀의 레일에 고정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구(100)는 체결구(300)에 의해서 수직 프레임(2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는 이탈방지구(100)가 상승하기 전의 상태이다.
창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리자는 창문의 수직 프레임(210), 구체적으로는 보강심(110)의 수직 후면(116)에 형성된 관통공(118)을 통해 기구(400)를 삽입하여 체결구(300)를 해제시킨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400)를 통해 체결구(300)를 전방가이더(150)와 보강심(110)의 수직 전면(112)으로부터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체결구(300)에 의해서 해제되는 정도는 이탈방지구(100)가 상측을 움직이는 정도이면 족하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300)를 해제하여 이탈방지구(100)를 상측으로 상승시켜 의도하는 높이로 이탈방지구(100)를 위치시키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삽탈버튼(140)을 손으로 밀어 이탈방지구(100)를 상승시킬 수 있고, 보강심(110)의 외벽은 삽탈버튼(140)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도하는 높이로 상승된 이탈방지구(100)는 다시 체결구(300)를 기구(400)를 통해 체결하여 이탈방지구(100)와 보강심(110)의 수직 전면(112)를 서로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이탈방지구(100)를 의도하는 높이로 상승 및 하강시켜 창문이 창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간편하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0: 이탈방지구 110: 보강심
112: 수직전면 114: 고정공
116: 수직후면 118: 관통공
130:레일안내부 200: 창문
210: 수직 프레임 220: 수평 프레임
300: 체결구 400: 기구

Claims (4)

  1. 창문의 수직 프레임의 내부를 형성시키는 보강심과, 상기 보강심에 의해서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체임버와, 상기 체임버 내부로 삽입되고, 창틀의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창문의 이탈방지구로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창틀의 레일이 삽입되고, 레일이 삽입되는 양 측면으로 모헤어가 설치되는 레일안내부,
    보강심의 외벽에 위치하는 삽탈버튼,
    레일안내부의 전면에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체결구가 통과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보강심의 수직 전면과 밀착되어 체결되는 전방가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가이더의 보강면과 삽탈버튼 사이의 공간으로는 수직 프레임의 측벽이 위치하며, 상기 전방가이더의 안내측면과 삽탈버튼은 동일 면상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보강심 수직 전면으로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수직 후면으로는 관통공이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이탈방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30124527A 2013-10-18 2013-10-18 창문 이탈방지구 KR10152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27A KR101525903B1 (ko) 2013-10-18 2013-10-18 창문 이탈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527A KR101525903B1 (ko) 2013-10-18 2013-10-18 창문 이탈방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72A KR20150045172A (ko) 2015-04-28
KR101525903B1 true KR101525903B1 (ko) 2015-06-10

Family

ID=53037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527A KR101525903B1 (ko) 2013-10-18 2013-10-18 창문 이탈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28988A (zh) * 2019-07-31 2019-12-03 天津实德新型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推拉门窗的防脱装置
CN111001100B (zh) * 2019-10-31 2021-05-25 郭锦坤 智能逃生窗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36A (ja) * 2003-02-26 2004-09-16 Tostem Corp 建具
JP2007255079A (ja) * 2006-03-23 2007-10-04 Ykk Ap株式会社 建具
KR101068595B1 (ko) * 2010-10-19 2011-09-30 김형만 창문 이탈방지장치를 갖는 유리창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136A (ja) * 2003-02-26 2004-09-16 Tostem Corp 建具
JP2007255079A (ja) * 2006-03-23 2007-10-04 Ykk Ap株式会社 建具
KR101068595B1 (ko) * 2010-10-19 2011-09-30 김형만 창문 이탈방지장치를 갖는 유리창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172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795Y1 (ko) 삽입홀에 돌기가 형성된 창문용스토퍼
JP551884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KR101548669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525903B1 (ko) 창문 이탈방지구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JP2008105800A (ja) エレベータのガラス扉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KR200272005Y1 (ko) 창호 조립체
KR101091703B1 (ko) 단열 및 방음 기능을 지닌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호
KR20180002386U (ko) 방충망 고정장치
JP5542875B2 (ja) エレベータ
KR101347795B1 (ko) 창짝 흔들림 방지장치
KR200464624Y1 (ko) 창문용 추락방지 장치
KR20180117395A (ko) 슬라이딩 창호의 필링피스 설치구조
KR102127069B1 (ko) 원터치 설치형 창문 스토퍼
KR101063121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도어 보호대
KR200453542Y1 (ko) 실내용 연동식 목문의 수동개폐구조
KR101199509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CN210918604U (zh) 施工电梯楼层防护门门锁
KR20130000290U (ko) 슬라이딩 창호용 완충 스토퍼
KR101995627B1 (ko) 창호 또는 방충망의 이탈 방지용 브래킷
KR100784910B1 (ko) 안전플레이트가 구비된 창틀 어셈블리
KR101165677B1 (ko) 창호용 안전봉
KR101507928B1 (ko) 탈선 방지용 케스터 모듈
KR101562619B1 (ko) 창짝 프레임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미닫이 창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