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530B1 -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 Google Patents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530B1
KR100942530B1 KR1020070135456A KR20070135456A KR100942530B1 KR 100942530 B1 KR100942530 B1 KR 100942530B1 KR 1020070135456 A KR1020070135456 A KR 1020070135456A KR 20070135456 A KR20070135456 A KR 20070135456A KR 100942530 B1 KR100942530 B1 KR 10094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door
elevator landing
support plate
delete delete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7706A (ko
Inventor
최경돈
Original Assignee
최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돈 filed Critical 최경돈
Priority to KR102007013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530B1/ko
Priority to US12/528,099 priority patent/US20100031579A1/en
Priority to PCT/KR2008/001186 priority patent/WO2008108556A1/en
Priority to EP08723224A priority patent/EP2132077A4/en
Priority to JP2009551954A priority patent/JP2010520132A/ja
Publication of KR20090067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7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6Door or gate locking devices controlled or primarily controlled by condition of cage, e.g. movement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는 원활하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이루면서도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힘에 대하여 밀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실(sill)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축; 상기 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삽입되는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탈방지장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가이드 레일, 잠금장치

Description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preventing device for a breakaway, sliding door therewith and guide rail installed wih a lock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탈방지장치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본 발명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된 걸림고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걸림고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이탈방지장치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잠금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잠금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이탈방지장치의 걸림판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잠금장치와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6의 이탈방지장치의 걸림판이 삽입된 상태의 잠금장치와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힘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가해질 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이동경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케이지 및 엘리베이터 승강장에는 안전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설치되지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수직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사람이 케이지 승강로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실(sill)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일부 삽입되는 통상적인 가이드 슈를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부에 설치하지만 가이드 슈의 요홈내에 삽입되는 길이가 작아 작은 힘에도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삽입길이가 큰 경우에는 요홈과 가이드 슈 사이에 큰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 슬라이딩 개폐에 많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활하게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개폐를 이루면서도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힘에 대하여 밀리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은 실(sill)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축; 상기 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삽입되는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형상은 일방향으로 직경이 큰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의 관통공 하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횡단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될 때, 상기 축의 직하부와 대응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요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과 평행한 간격을 유지하는 측부를 갖는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을 횡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판 또는 상기 제2지지판의 하부에는 가이드 슈의 패킷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킷 설치부에는 가이드 슈의 패킷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직선 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측 하단부에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축; 상기 축이 관통되며 일방향으로 직경이 큰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되며 하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단면보다 하향 돌출되는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실(sill)을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장치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상하 이동되며, 하부에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실(sill)을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장치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요홈에 설치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시에 상기 걸림판이 내부로 삽입되는 관체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실(sill)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요홈내에 설치되며,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과 요홈의 바닥면이 상하 유동가능하도록 볼트로 체결되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단면보다 돌출되는 판상부재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장치와 결합되는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이동하는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폐쇄시에 상기 판상부재가 삽입되는 절개홈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탈방지장치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부에는 도어 실(sill)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3)이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3)에는 가이드 레일(3)의 길이방향으로 요홈(31)이 형성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측부에는 이탈방지장치(2)가 설치된다.
이탈방지장치(2)는 평행으로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판(21), (24)과 두 개의 지지판(21), (24)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두 개의 지지판(21), (24)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는 삽입판들(22), (23), 삽입판들(22), (23)이 이격된 공간에 지지판(21), (24)들 사이를 횡단하도록 설치되는 축(25)과, 축(25)이 관통하는 일자형의 장공(26)이 형성되어 축(25)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하거나 회전하는 이탈방지판(27)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탈방지판(27)은 원판 또는 타원형판으로 이루어지며 장공(26)은 이탈방지판(27)의 중심을 통과하며 형성된다.
이탈방지장치의 지지판(21)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측부에 접촉되도록 나사결합 또는 용접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탈방지판(27)의 장공(26)의 일단부에 인접된 외주면은 상향되게 놓이게 되고, 장공(26)의 타단부에 인접된 외주면은 하향되게 놓이게 되며, 하향된 외주면은 요홈(31)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힘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에 작용하게 되면 이탈방지판(27)은 요홈(31)을 형성하는 측벽과 접촉하게 되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가 정상적인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이동 중 요홈(31)의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축적된 부분에 이탈방지판(27)의 하부로 향한 외주면이 접촉되게 되면 이탈방지판(27)은 축(25)을 중심으로 상향 이동되거나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는 마찰 없이 원활하게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선 단면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제2 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는 양측 단부의 하부에 가이드 슈 설치판(42), (43), (44), (45)가 하향 돌출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측부에 접촉되어 설치되는 지지판(41)과 지지판(41) 보다 길이가 짧고,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설치되는 지지판(46)과, 지지판(41)과 지지판(46) 사이에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되는 삽입판들(47), (48), (49)과, 지지판(41), (46) 사이의 삽입판들이 설치되지 않은 공간부분에 횡단하여 설치되는 축(50), (51)과, 축(50), (51)이 통과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축을 중심으로 상, 하 이동되거나 회전가능하며 지지판(41), (46)에 설치되고, 일부가 지지판(41), (46)의 하단부로부터 하향돌출되어 가이드 레일(3)의 요홈 내부에 삽입되는 이탈방지판(52), (53)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슈의 합성수지로 이루져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에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슈의 패킷(미도시)은 패킷 설치판(42), (43)과 패킷 설치판(44), (45)에 설치된다.
또한, 지지판(41)은 지지판(46)보다 길이가 크고, 지지판(41)의 길이의 중심은 지지판(46)의 길이의 중심과 일치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판(41), (46) 사이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판(52), (53)은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판(27)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지지판(41)과 지지판(46) 사이에 축(50), (51)을 중심으로 상하 이동되거나 회전하는 이탈방지판(52), (53)을 두 개 설치함으로써 제1 실시예보다 이탈방지능력을 보강할 수 있으며, 지지판(41) 양단부 하부에 가이드 슈를 설치함 으로써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3실시예에서 사용된 걸림고리의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6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측부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가 폐쇄될 때 이탈방지장치(60)의 걸림고리(70)의 걸림홈(71)에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을 통과하는 볼트(32)가 삽입되게 됨으로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탈방지장치(60)는 간격을 갖고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측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지지판(61), (62)과 이격되게 지지판(61), (62)들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삽입판(63), (64), 삽입판(63), (64)이 삽입되지 않은 지지판(61), (64) 사이의 공간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볼트로 이루어진 축(65)과, 축(65)이 관통하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장공(72)을 갖으며, 장공 하부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개구된 " ㄷ "자 형상의 걸림홈(71)이 형성된 걸림고리(70)로 이루어진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가 폐쇄될 때 이탈방지장치(60)의 걸림고리(70)의 걸림홈(7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에는 볼트(3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폐쇄시 이탈방지장치(60)의 걸림고리(70)가 가이드 레일(3)의 볼트(32)에 체결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개방과 폐쇄동작시에 작동중에는 걸림고리(70)의 장공(72)을 관통하는 축(65)을 중심으로 상, 하 동작 및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요홈(31) 내부에 이물질이 축적된 경우에도 걸림고리(70)와 가이드 레일(3)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원활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4실시예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걸림고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3에서 승강장의 출입구는 두 개의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 (1')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 (1')의 하단 측부에는 동일한 구조의 이탈방지장치(80), (90)이 각각 설치되지만 이탈방지장치(80)의 걸림고리(81)에 형성된 걸림홈(82)의 개구방향과 이탈방지장치(90)의 걸림고리(91)에 형성된 걸림홈(92)의 개구방향이 상호 반대로 되어 있다. 즉 걸림고리에 형성된 걸림홈의 개구방향은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 (1')의 폐쇄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 (1')가 폐쇄될 때 이탈방지장치(80), (90)의 걸림고리(81), (91)가 도달하는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의 바닥면에는 관통공(83), (93)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82), (92)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볼트(84), (94)가 각각 설치된다.
이탈방지장치(8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단 측부에 설치되며 양단의 하부에 가이드 슈의 패킷(85), (86)이 설치되는 지지판(87)과, 지지판(87)과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측부와 측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판(87)에 결합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 외측판(88)과 외측판(88)의 측부로부터 지지판(87)에 체결되는 볼트로 이루어진 축(89)과 상부에 축(89)이 관통하는 장공(100)이 형성되고, 하부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폐쇄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된 걸림홈(82)이 형성된 걸림고리(81)로 이루어진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 폐쇄되기 위하여 이동중에는 걸림고리(81)의 하단부는 요홈(31)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있기 때문에 장공(100) 하단 쪽에 인접된 부위에 축(89)이 위치하게 되지만 폐쇄된 상태에서 걸림고리(81)의 하단부는 요홈(31)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공(83)을 통과하여 바닥면의 하부로 돌출되게 되어 축(89)은 장공(10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축(89)이 장공(100)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폐쇄동작이 일어나게 되고, 폐쇄시에 걸림고리(81)의 하단부가 관통공(83)의 통과하여 하향돌출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능력을 배가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장치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이탈방지장치와 결합되는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잠금장치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잠금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7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6의 이탈방지장치의 걸림판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잠금장치와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16의 이탈방지장치의 걸림판이 삽입된 상태의 잠금장치와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이탈방지장치(110)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하단 측부에 결합되는 결합부(111)와 결합부(111)로부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1)의 폐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폐쇄시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에 설치된 잠금장치(120)에 삽입되는 걸림판(112)을 구비한다.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에 설치되는 잠금장치(120)는 고정용 볼트(121), (122)에 의하여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관체(123)로 이루어진다.
관체(123)의 잠금장치(120)의 걸림판(11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면은 하면보다 길이가 길고, 하면 단부로부터 상면 단부 사이에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관체 (123)의 하면은 걸림판(112)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는 가이드 레일(3)의 요홈(31)의 바닥면에 접촉되고, 걸림판(112)이 삽입될 때는 걸림판(112)에 의하여 관체(123)가 상향이동 된다. 또한, 관체(123)의 상면 중심에는 관체(123)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체(123)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된 큰 장공(124), (125)이 형성되어지고, 장공(124), (125)을 통하여 고정용 볼트(121), (122)가 삽입되어 요홈(31)의 바닥면과 결합된다. 이때, 고정용 볼트(121), (122)의 두부(126)는 관체(123)의 하면으로 상향 돌출되어 이격되도록 고정용 볼트(121), (122)를 따라서 상, 하향 이동되도록 하고, 두부(126)에 의하여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목적과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동시에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한다.

Claims (1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직선 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측 하단부에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축;
    상기 축이 관통되며 일방향으로 직경이 큰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상하 유동되며 하단부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하단면보다 하향 돌출되는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는 상기 판상부재의 관통공 하부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일측 하단부에 설치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과 평행한 간격을 유지하는 측부를 갖는 제2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을 횡단하며 상기 판상부재는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 또는 상기 제2지지판에는 가이드 슈의 패킷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킷 설치부에는 가이드 슈의 패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70135456A 2007-03-03 2007-12-21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10094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456A KR100942530B1 (ko) 2007-12-21 2007-12-21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US12/528,099 US20100031579A1 (en) 2007-03-03 2008-02-29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PCT/KR2008/001186 WO2008108556A1 (en) 2007-03-03 2008-02-29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therewith
EP08723224A EP2132077A4 (en) 2007-03-03 2008-02-29 PROTECTIVE DEVICE FOR PUSHING A SLIDING DOOR, LATCHING DEVICE AND CORRESPONDING SCREEN HOLDER SYSTEM
JP2009551954A JP2010520132A (ja) 2007-03-03 2008-02-29 スライドドアの押圧保護装置、ロック装置及びスクリーンドア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5456A KR100942530B1 (ko) 2007-12-21 2007-12-21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706A KR20090067706A (ko) 2009-06-25
KR100942530B1 true KR100942530B1 (ko) 2010-02-16

Family

ID=4099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5456A KR100942530B1 (ko) 2007-03-03 2007-12-21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404345B1 (ko) 2022-01-28 2022-06-07 경일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을 청소하는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410A (ja) * 1998-05-29 1999-12-07 Chikura Kogyo Kk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6410A (ja) * 1998-05-29 1999-12-07 Chikura Kogyo Kk 自動ドアのこじ開け防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00B1 (ko) 2020-01-31 2020-12-07 (주)금호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2404345B1 (ko) 2022-01-28 2022-06-07 경일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슬라이딩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을 청소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7706A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1107B1 (ko) 스크린 도어 밀림 방지장치, 밀림 방지장치와 결합되는가이드 레일 및 밀림 방지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KR10093127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용 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도어 실 및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승강장 도어
JP2010520132A (ja) スライドドアの押圧保護装置、ロック装置及びスクリーンドアシステム
KR100942530B1 (ko)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JP2017001853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10091550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2196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32869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656844B1 (ko) 승강장 스크린 도어의 가이드 장치
KR20090008555A (ko) 이물질 배출장치 및 이물질 배출장치가 설치된 스크린 도어
JP6614994B2 (ja) ストッパー機能付きドアシュー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021961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2013001482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敷居溝閉塞装置
JP6889868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5697166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ドア装置
KR100896418B1 (ko) 잠금장치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10075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100954122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JP2009155792A (ja) 走行ガイ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引き戸
KR20090110708A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094667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50117928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JP7108261B2 (ja) 温室用の自閉スライド式ドアのストッパー機構
KR20080104843A (ko) 스크린 도어 밀림방지 장치, 스크린 도어 실을 형성하는가이드 레일 및 스크린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