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869B1 -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869B1
KR101032869B1 KR1020080086149A KR20080086149A KR101032869B1 KR 101032869 B1 KR101032869 B1 KR 101032869B1 KR 1020080086149 A KR1020080086149 A KR 1020080086149A KR 20080086149 A KR20080086149 A KR 20080086149A KR 101032869 B1 KR101032869 B1 KR 10103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locking portion
contac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294A (ko
Inventor
최경돈
Original Assignee
최경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돈 filed Critical 최경돈
Priority to KR1020080086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86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가이드 슈의 패킷형상을 개량하여 패킷이 요홈의 측벽과 접촉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보다 개구부의 폭이 작은 요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개구부의 측벽에 접촉되는 측면패킷과 상기 측면패킷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개구부 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하부와 상기 바닥면 사이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광폭패킷과 상기 측면패킷과 상기 광폭패킷을 지지하며 상부가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트로 이루어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방지, 가이드 슈, 걸림부재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elevator do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가 개폐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힘에 밀려 승강로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도어에는 하부에 가이드 슈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슈가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폐되기 때문에 도어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도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힘이 작용하게 되면 가이드 레일의 요홈의 측벽에 가이드 슈가 지지되기 때문에 수직한 힘에 저항을 하여 안정적으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한다.
그러나, 가이드 슈의 합성수지재료 형성되는 패킷이 마모되거나, 패킷이 요홈내에 얕게 설치되는 경우에 수직한 힘이 작용하게 되면 도어 하부가 가이드 레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의 요홈의 바닥면 보다 상부 개구부를 작게 형성하고, 가이드 슈의 패킷이 바닥면과 개구부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여 가이드 슈의 패킷이 요홈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강구되었으나, 수직한 힘이 도어에 가해지지 않는 경우 패킷의 측면이 직접 요홈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이동시 유동이 발생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개발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매우 높다할 수 있어 보편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가이드 슈의 패킷형상을 개량하여 패킷이 요홈의 측벽과 접촉되도록 하여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과제를 위한 해결수단은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개구폭이 바닥면보다 작은 협폭 개구부와 상기 협폭 개구부보다 개구폭이 큰 광폭 개구부가 형성된 요홈을 갖는 가이드 레일; 측면패킷과, 상기 측면패킷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협폭 개구부보다 폭이 넓고 상기 광폭 개구부보다 좁게 형성되는 광폭패킷과, 상기 측면패킷과 상기 광폭패킷을 지지하며 상부가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트를 포함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폭패킷을 상기 광폭 개구부로 삽입시킨 후 상기 협폭 개구부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도어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개폐하는 두 개의 도어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에 연설되며 제1 결합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걸림부재;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연설되며, 상기 도어들이 폐쇄될 때 상기 제1 걸림부의 측면과 대향되게 겹쳐지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거나, 전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해결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도어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간단한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걸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가이드 레일(7)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홈(9)이 형성되며, 요홈(9)의 바닥면(11)에 대향되는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요홈(9)을 형성하는 측벽들의 상부에는 요홈(9)의 폭 중앙을 향하여 돌출된 측면 돌출부(13)들이 형성되고, 측면 돌출부(13) 들 사이의 상부면에는 개구폭이 요홈(9)의 바닥면(1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좁은 협곡 개구부와 협곡 개구부보다 폭이 넓은 광폭 개구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광폭 개구부는 가이드 레일(7)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폭 개구부는 측면 돌출부(13)의 돌출길이가 협폭 개구부 보다 작거나 측면 돌출부(13)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개구부의 폭이 협폭 개구부의 폭보다 크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설치된 도어(미도시)의 하부에는 걸림부재가 설치되되 걸림부재는 상부가 도어에 결착되는 브라켓트(1)와, 브라켓트(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패킷(3)과 측면 패킷(3)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되 측면 패킷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 광폭 패킷(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폭 패킷(5)의 두께는 가이드 레일(7)의 광폭 개구부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광폭 패킷(5)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의 길이인 가로 길이는 광폭 개구부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걸림부재의 광폭 패킷(5)이 요홈(9) 내로 삽입된다. 따라서 걸림부재를 설치할 때는 광폭 개구부를 이용하여 광폭 패킷(5)을 요홈(9) 내로 삽입시키고, 협곡 개구부가 형성된 위치로 밀어 이동시킨 후 걸림부재를 도어의 하부에 나사 등으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설치된 걸림부재의 측면 패킷(3)은 개구부에 삽입되어 요홈(9)의 측면 돌출부(13)들과 접촉되게 되어 도어의 이동시 유동을 방지하고, 광폭 패킷(5)은 측면 돌출부(13)와 바닥면 사이에서 유동되게 되나 도어에 수직한 힘이 작용하게 되어도 광폭 패킷(5)이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로부터 걸림부재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도어와 결합된 나사를 풀고, 걸림부재를 광폭 개구부의 위치까지 밀어 이동시킨 후 위로 들어서 빼냄으로써 분리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걸림부재와 잠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가이드 레일(21)의 요홈(23)에는 요홈(23)의 상부 폭이 하부 폭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잠금부재(25)가 설치된다. 잠금부재(25)는 요홈(23)의 측벽에 대접되는 측벽(29)과 측벽(29)의 하단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31)와 상단부에 수직 절곡되어 돌출되는 상부 돌출부(27)로 이루어진다. 이때 잠금부재(25)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위의 상부 돌출부(27)는 다른 부분보다 작게 돌출됨으로써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요홈 상부에 광폭 개구부를 형성한다. 걸림부재는 상부가 도어(미도시)에 결합되고, 하부가 잠금부재(25)를 향하여 절곡되어 돌출된 돌출부(17)를 갖는 브라켓트(15)와 브라켓트(15)의 돌출부(17)의 상부에 형성되는 패킷(19)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패킷(19)의 양면은 요홈의 일측벽과 상부 돌출부(27)의 선단부에 접촉되면서 도어가 이동되기 때문에 도어의 유동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돌출부(17)는 상부 돌출부(27)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도어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상부 돌출부(27)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도어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어에 걸림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광폭 개구부를 이용하여 돌출부(17)를 요홈 내부에 삽입 시킨 후 요홈을 따라서 이동시켜 도어의 하부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나사 결합시킨다. 걸림부재를 해제시킬 때에는 반대로 걸림부재의 나 사를 해제시킨 후 걸림부재를 광폭 개구부가 형성된 부분까지 이동시켜 광폭 개구부 밖으로 걸림부재를 올려서 해제시킨다.
제2실시예에서 잠금부재는 별도부재로 설치되지 않고 가이드 레일의 성형시 가이드 레일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사용된 걸림부재(57), (59), (61), (63)는 도 1에 사용된 걸림부재와 동일하고, 가이드 레일(53)에 형성된 요홈(55)의 형상은 도 1과 동일하지만 광폭 개구부가 존재하지 않고 일정 개구폭을 갖는다.
또한, 도어(33), (43)의 서로 접촉되지 않는 양쪽의 측단부의 하부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33), (43)들이 폐쇄시에 서로 접촉되는 측단부를 접촉단부, 접촉되지 않는 반대편의 측단부를 외측단부로 정의한다. 도어(33)의 접촉단부는 도어패널로 부터 절곡된 접촉부(39)와, 접촉부(39)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41)이 형성되어 ㄷ 자 형상을 이루며, 외측단부도 접촉부(39)와 대향되는 절곡부(35)와 절곡부(35)로부터 재절곡된 절곡부(37)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도어(43)의 접촉단부에도 접촉부(45)와 절곡부(47)로 이루어지며, 외측단부도 절곡부(49), (51)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측단부의 하부, 즉 절곡부(35), (37), (49), (51)의 하단부에는 걸림부재를 밀어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모따기 되어 있다.
걸림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측단부의 하부가 모따기 되어 있기 때문에 요홈내로 걸림부재의 패킷을 밀어 넣어 이동시킨 후 원하는 도어의 위치에 놓고 나사결합시킨다. 걸림부재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나사를 풀고, 요홈을 따라 걸림부재를 가이드 레일의 단부로 이동시켜 밖으로 빼내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어(66), 84)의 외측단부와 접촉단부의 정의는 도 5의 설명에서와 같다.
도 6에서 걸림부재(75), (89)를 나타내기 위하여 걸림부재(75), (89)가 설치된 부위의 가이드 레일(99)은 일부 절개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어(66)의 접촉단부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도어패널(67)로부터 절곡된 접촉부(69), 접촉부(69)로부터 재절곡된 절곡부(71)로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도어(84)의 접촉단부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도어패널(103)로부터 절곡된 접촉부(83), 접촉부(83)로부터 재절곡된 절곡부(85)로 이루어진다.
또한, 접촉부(69), (83)의 하부에는 반대편 도어에 설치되는 걸림부재의 걸림부가 삽입되는 삽입 절개부(73), (87)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75)는 상부가 도어(66)에 결합되는 결합부(76)와, 결합부(76)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킷(77)과 결합부(76)로부터 도어(66)의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되 승강로 쪽으로 휘어지는 경사를 갖도록 절곡되는 절곡부(79), 상기 절곡부(79)로부터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되 삽입 절개부(73)을 통과하여 도어(66), (84)의 폐쇄시에 반대편 도어(84)의 삽입 절개부(87)에 삽입되는 걸림부(81)로 이루어진다.
걸림부재(89)는 상부가 도어(84)에 결합되는 결합부(91)와, 결합부(91)의 하부에 설치되는 패킷(93)과 결합부(91)로부터 도어(84)의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며 승강장 쪽으로 휘어지는 경사를 갖는 절곡부(95), 상기 절곡부(95)로부터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되 삽입 절개부(87)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도어(66), (84)의 폐쇄시에 도어(66)의 삽입절개부(73)를 통과하는 걸림부(97)로 이루어진다.
두 도어(66), (84)가 폐쇄될 때, 도 7에서와 같이, 선C에서 접촉단부의 접촉부(69), (83)들이 서로 접촉되게 되고, 걸림부(81), (97)는 가이드 레일(99)의 요홈(101) 내부에서 측면이 서로 대향되어 상호 겹쳐져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도 걸림부들은 서로 측면들이 접촉되어 지지되며, 요홈의 측벽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유동되지 않을뿐더러 밀려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81), (97)는 일정 깊이만 요홈(101)에 삽입되게 설치하여 걸림부가 삽입홈(73), (87)에 일부 지지되도록 하고, 일부가 요홈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도록 하고 있으나, 걸림부(81), (97)가 삽입홈에만 삽입되도록 하거나, 요홈에만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어(106)는 도어패널(105)과 접촉부(107), 절곡부(109)를 구비하며, 도어(118)는 도어패널(119)와 접촉부(117)와 접촉부(117)로부터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다. 도 8에서 접촉부(117)에 절곡되는 절곡부는 접촉부(117)를 나타내기 위하여 미도시되어 있다.
도어(106)의 접촉부(107)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일부가 삽입되고, 일부가 요홈 외부로 나오는 관체(111)가 설치된다. 관체(111)는 관(115)과 관(115)을 접촉부(107)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13)로 이루어진다. 도어(118)의 접촉부(117)의 하단부에는 삽입홈(123)이 형성되고, 도어패널(119)의 하단부에는 삽입홈(123)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걸림부(97)를 구비한 걸림부재(98)가 설치된다.
두 도어(106), (118)이 폐쇄되어 두 접촉부(107), (117)가 접촉되게 되면,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일부 삽입되는 관체(111)의 관(115)의 개구부에 걸림부(97)가 삽입되게 되어 두 도어가 수직한 힘에도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어(125)는 도어패널(131), 내측단부를 형성하는 접촉부(127), 절곡부(129)를 구비하며, 도어(145)는 도어패널(143)와 내측단부를 형성하는 접촉부(147)와 접촉부(147)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진다. 도 9에서 접촉부(147)의 하부접촉부(147)의 하부 구조를 도시하기 위하여 접촉부(147)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는 절단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어(125)의 접촉부(127)에는 일부 가이드 레일의 요홈에 삽입되는 관체(139)가 설치된다. 관체(139)는 접촉부(127)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관(133)과 관(133)을 접촉부(127)에 결합시키는 결합부(135)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어(145)의 접촉부(147)의 하단부에는 관(133)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패널(143)의 하부 측면에는 걸림부재(141)가 설치된다. 걸림부재(141)는 도어(145)에 결합되는 결합부(157)와 결합부(157)에서 하향설치되는 패킷(155)과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53)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림부(153)의 선단부는 접촉부(147)까지 돌출되지 않도록 제작된다.
삭제
도어들이 폐쇄되게 되면 관(133)의 선단은 삽입홈(151)을 통과하게 되어 도어(145)의 접촉부(147)을 넘게 되고, 걸림부(153)는 관(133)이 형성하는 관입구(137)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폐쇄시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게 되는 경우에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걸림부재(161), (167)은 각각 도어의 내측단부에 인접된 하부에 설치된다. 걸림부재(161)는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163)와 결합부(163)의 하부에 설치되되 가이드 레일(159)의 외측벽을 따라서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65)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165)와 결합부(163)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는 결합부(163)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재(167)는 도어에 결합되는 결합부(169)와 결합부(169)의 하부에 설치되되 가이드 레일(159)의 외측벽을 따라서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71)가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171)와 결합부(169)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절곡부는 가이드 레일의 외측벽에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두 도어가 폐쇄되면 걸림부(165)의 내측에 걸림부(171)가 삽입되게 되고, 두 도어에 수직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두 도어는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걸림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걸림부재와 잠금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개폐하는 두 개의 도어가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중 하나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에 연설되며 제1 결합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상기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1 걸림부재;
    상기 도어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에 연설되며, 상기 도어들이 폐쇄될 때 상기 제1 걸림부의 측면과 대향되게 겹쳐지는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거나, 전부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도어의 이탈방지장치.
  5. 삭제
  6. 청구항 4에서, 상기 도어들에서 폐쇄시에 접촉되는 면을 내측단부의 절곡부로 정의할 때, 상기 내측단부의 절곡부의 하단부에는 도어들의 폐쇄시에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7.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개폐하는 제1 도어와 제2 도어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장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도어와 접촉되는 상기 제2 도어의 접촉부 하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도어의 하부로 연장 돌출되는 제1 걸림부를 구비한 제1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어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장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도어와 접촉되는 제1 도어의 접촉부 하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도어의 하부로 연장 돌출되는 제2 걸림부를 구비한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승강장 폐쇄시에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 실(sill)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 내에서 측면이 대향되도록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제1 걸림부는 상기 제1 도어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에 상기 제1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걸림부는 상기 제2 도어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에 상기 제2 도어의 폐쇄방향으로 돌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제1 걸림부와 상기 제1 결합부 사이와, 상기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는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2 도어의 접촉부의 하부에는 절개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도어들의 폐쇄시에 상기 제1 걸림부가 삽입되며, 상기 제1 도어의 접촉부의 하부에는 절개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도어들의 폐쇄시에 상기 제2 걸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80086149A 2008-09-02 2008-09-02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3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49A KR101032869B1 (ko) 2008-09-02 2008-09-02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49A KR101032869B1 (ko) 2008-09-02 2008-09-02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469A Division KR20110027746A (ko) 2011-03-02 2011-03-02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94A KR20100027294A (ko) 2010-03-11
KR101032869B1 true KR101032869B1 (ko) 2011-05-06

Family

ID=4217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149A KR101032869B1 (ko) 2008-09-02 2008-09-02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4B1 (ko) * 2022-06-24 2023-01-06 주식회사 신금성엘리베이터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994B1 (ko) * 2013-04-22 2014-10-28 (주)브이티코리아 이탈방지판이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722331B1 (ko) 2015-10-16 2017-03-31 이미숙 엘리베이터 도어 이탈 방지 구조
JP6969702B1 (ja) * 2020-05-27 202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ドア外れ防止装置
US11459211B2 (en) * 2020-06-25 2022-10-04 Otis Elevator Company Narrow groove elevator doorsi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71A (ja) * 1992-07-17 1994-02-0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JPH1111839A (ja) * 1997-06-30 1999-01-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乗場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571A (ja) * 1992-07-17 1994-02-0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JPH1111839A (ja) * 1997-06-30 1999-01-1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乗場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614B1 (ko) * 2022-06-24 2023-01-06 주식회사 신금성엘리베이터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294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869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62083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도어 이탈 및 이물질 끼임방지구조
JP551884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KR101231280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95692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30003972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1021962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5572500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の移動規制具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JP3908215B2 (ja) スライド式ドアの上方移動制限構造
KR10094667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110027746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0926956B1 (ko) 엘리베이터의 외부도어 이탈방지구조
KR1018235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80082879A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가이드장치
KR20100124470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JP4862329B2 (ja) エレベータの敷居閉塞体装置
KR100942530B1 (ko) 이탈방지장치,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및 잠금장치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KR102424529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0954122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KR20100021083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