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529B1 -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529B1
KR102424529B1 KR1020220034675A KR20220034675A KR102424529B1 KR 102424529 B1 KR102424529 B1 KR 102424529B1 KR 1020220034675 A KR1020220034675 A KR 1020220034675A KR 20220034675 A KR20220034675 A KR 20220034675A KR 102424529 B1 KR102424529 B1 KR 102424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elevator
bracket
locking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식
김동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1020220034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다른 층에 위치하여 승강도어가 맞물려 닫혀 있을 때, 외부 즉, 승강도어의 전방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닫힌 상태의 승강도어와 승강통로에 설치된 문틀프레임 및 하부레일과의 하부와 측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통로 쪽으로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강도어의 개방 및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Elevator door breakout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다른 층에 위치하여 승강도어가 맞물려 닫혀 있을 때, 외부 즉, 승강도어의 전방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닫힌 상태의 승강도어와 승강통로에 설치된 문틀프레임 및 하부레일과의 하부와 측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통로 쪽으로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강도어의 개방 및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개폐문과는 별도로 벽체의 승강통로를 개폐하는 승강도어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탑승시에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개폐문과 함께 개폐되어 지고, 미관 및 안전을 고려하여 평상시에는 승강도어가 닫혀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승강도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개폐장치(10)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장치(10)에 의해 좌우로 개폐됨과 동시에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 실(sill, 20)(본 발명에서는 '하부레일(100)'에 해당됨.)을 통해 안전하게 유도되어 개폐된다.
이때, 종래의 승강도어는 상기 가이드 실(20)의 가이드 레일 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슈(미도시)를 하부에 형성하여 승강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 충격 즉, 전방에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도어가 가이드 실(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승강도어에 강한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승강도어가 휘어지면서가이드 슈가 가이드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하고 이로 인해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통로 쪽으로 밀려 이탈되며 개방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391호에는 승강장문과, 상기 승강장문을 안내하는 상부문틀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장문의 상부 측면에는 선단에 단턱부를 갖는 제11걸림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11걸림브라켓과 걸리도록 "┌"자 형태로 절곡되어 선단에 수직단부가 형성된 제10브라켓이 상기 상부문틀에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장문이 닫히면 상기 제11걸림브라켓의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가 상기 제10브라켓의 수직단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제11걸림브라켓과 제10브라켓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걸림브라켓과 상기 걸림브라켓에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는 다양한 종류의 브라켓을 개시하고 있으나, 승강장문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걸림브라켓과 브라켓이 걸리는 돌출부위가 휘어져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1391호(2013.02.01.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외부 충격에 의해 승강도어의 가이드 슈가 가이드 레일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고, 측면에 부가적으로 설치되는 걸림브라켓과 상기 걸림브라켓에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는 브라켓 등의 구성은 강한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휘어져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승강도어에 외부 충격 발생시 하부레일의 하부 후방에 형성된 제1걸림홈에 내입되는 하부브라켓을 상기 승강도어의 후방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승강도어에 휨이 발생하여도 상기 하부브라켓이 상기 제1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승강도어의 걸림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강한 내구성을 갖고 걸림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측방에 추가 설치함으로써, 상기 승강도어에 외부 충격 발생시 보다 견고하게 상기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통로 쪽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통로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폐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승강도어가 좌우로 개폐되는 승강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제1걸림홈이 형성되는 하부레일;과 상기 승강도어의 후면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 말단에 제1걸림돌기가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1걸림홈에 상기 제1걸림돌기가 내입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문틀프레임;과 상기 문틀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방향으로 제2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승강도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방향으로 제3걸림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가 상기 제2걸림돌기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레일은 상기 제1걸림홈의 후방 말단이 상기 승강도어의 후방 말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후방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걸림돌기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3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제3리브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걸림돌기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2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제1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승강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1관통홀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제2걸림돌기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3걸림돌기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4걸림돌기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5걸림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5걸림돌기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5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제5리브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4걸림돌기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4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는 상기 승강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2관통홀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도어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 사이의 거리 "L2"는 상기 제5걸림돌기와 제4걸림돌기 사이의 거리 "L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하부레일의 하부 후방에 형성된 제1걸림홈에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내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하부브라켓을 승강도어의 후방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승강도어에 외부 충격 발생시 상기 승강도어에 휨이 발생하여도 상기 하부브라켓이 상기 하부레일의 제1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승강하는 통로(이하, '케이지 통로'라 한다.)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의 측방에 설치된 제1브라켓과, 승강도어의 측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브라켓에 걸림상태가 되는 제2브라켓을 통해 승강도어에 외부 충격 발생시 상기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통로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복수 개의 리브를 형성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승강도어에 발생된 외부 충격을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걸림상태를 형성하는 걸림돌기를 각각 한 쌍이 형성되도록 하여 승강도어에 외부 충격 발생시 한 쌍의 걸림돌기가 순차적으로 걸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통로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틀프레임의 측방에 잠금뭉치를 설치하고, 승강도어의 측방에 상기 잠금뭉치와 대응되는 잠금걸쇠를 설치하여 승강도어에 강한 충격이 발생되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걸림상태가 해제될 경우 승강도어가 문틀프레임과 잠금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잠금뭉치와 잠금걸쇠를 통해 잠금상태가되어 승강도어가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통로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상태로 인한 승강도어의 개폐가 평상시와 같이 이루어지지 않아 승강도어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이루어진 후 보다 안전하게 승강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
도 6은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a)와 다른 각도의 분해 사시도(b) 및 또 다른 각도의 분해 사시도(c).
도 8은 도 4의 "B-B" 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첫번째 작동상태(a)와 두번째 작동상태(b)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도 3의 "C"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를 나타낸 다른 각도(저면)의 사시도(a) 및 잠금장치의 잠긴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b).
도 12는 도 4의 "D-D" 선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E-E" 선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 11의 "F-F" 선 단면도.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30)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케이지가 다른 층에 위치하여 승강도어(30)가 맞물려 닫혀 있을 때, 외부 즉, 승강도어(30)의 전방에서 강한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특히, 충격 후 지속적인 가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닫힌 상태의 승강도어(30)와 승강통로에 설치된 문틀프레임(300) 및 하부레일(100)과의 하부와 측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승강도어(3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통로(이하,'케이지 통로'라고도 한다.) 쪽으로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승강도어(30)의 개방 및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통로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폐장치(10)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장치(10)에 의해 승강도어(30)가 좌우로 개폐되는 승강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제1걸림홈(110)이 형성되는 하부레일(100);과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면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 말단에 제1걸림돌기(210)가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걸림홈(110)에 상기 제1걸림돌기(210)가 내입되는 하부브라켓(200);과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문틀프레임(300);과 상기 문틀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방향으로 제2걸림돌기(410)가 돌출형성되는 제1브라켓(400); 및 상기 승강도어(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방향으로 제3걸림돌기(51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부레일(100)은 상기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이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방 말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200)은 후방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걸림돌기(51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3리브(5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상기 복수 개의 제3리브(512)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홀(4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4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2걸림돌기(410)와 대응되는 제1관통홀(5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관통홀(53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브라켓(400)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걸림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3걸림돌기(5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4걸림돌기(42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5걸림돌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5걸림돌기(52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5리브(5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상기 복수 개의 제5리브(522)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홀(4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4걸림돌기(420)와 대응되는 제2관통홀(5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2관통홀(54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 사이의 거리 "L2"는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 사이의 거리 "L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3 내지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승강도어의 구조와 같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통로에 설치되고,상부에 구비된 개폐장치(10)에 의해 승강도어(30)가 좌우로 개폐되며,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하부레일(100)에 의해 상기 승강도어(30)가 좌우방향으로 유도되어 보다 안전하게 개폐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통로는 엘리베이터의 케이지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통로를 의미하고, 이하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탑승자를 태우고 승강하는 통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 통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승강도어의 구조와 같이,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문틀프레임(3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문틀프레임(300)은 측면에 콘크리트가 형성되어 승강통로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문틀프레임(3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문틀프레임(300)의 후방 측면이 노출되며, 노출된 문틀프레임(300)의 후방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1브라켓(40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하부레일(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승강도어(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제1걸림홈(110)이 형성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0)에 의해 승강도어(30)가 좌우로 개폐될 때, 상기 승강도어(30)가 좌우로 안전하게 유도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도어(30)가 좌우로 안전하게 유도되어 개폐되는 것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승강도어(30)의 하부브라켓(200)이 상기 하부레일(100)의 제1걸림홈(110)에 내입되어 상기 제1걸림홈(110)을 따라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림홈(110)은 하부레일(10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되겠지만 상기 하부브라켓(200)의 하부 말단이 절곡되어 개방된 하부로 내입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종래의 승강도어의 구조와 같이, 하부레일(100)의 상부면에 레일홈(미표시)이 형성되고, 승강도어(30)의 하부에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가능한 가이드 슈(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승강도어(30)의 폐쇄시 가이드 슈에 의한 이탈방지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하부브라켓(200)에 의한 걸림상태가 형성되어 보다 견고한 이탈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하부브라켓(200)은,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면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 말단에 제1걸림돌기(210)가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걸림홈(110)에 상기 제1걸림돌기(210)가 내입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도어(30)가 좌우방향으로 안전하게 유도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브라켓(200)은 상기 승강도어(3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즉, 상기 승강도어(30)의 전방에서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돌기(210)가 상기 제1걸림홈(110)에 걸려 상기 승강도어(30)가 엘리베이터 케이지 통로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하부브라켓(200)의 제1걸림돌기(210)는, 하부레일(100)이 승강도어(30)가 개방된 범위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항상 상기 제1걸림홈(110)에 내입되어 있는 상태임은 자명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하부브라켓(200)은 제1걸림돌기(210)가 상기 제1걸림홈(110)에 승강도어(30)의 개폐시 항상 내입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승강도어(30)가 개방되기 위해 이동되거나 폐쇄되기 위해 이동되는 중에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걸림돌기(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 즉,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과 "L1"만큼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승강도어(30)에 작은 외부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제1걸림돌기(210)가 상기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에 밀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부브라켓(20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1걸림돌기(210)는 "L1"의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외부 충격이 승강도어(30)에 발생한 경우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에 밀접되어 걸려 상기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부브라켓(200)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장시간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부브라켓(200)은 중단부에 후방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경사부(220)는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제1걸림돌기(210)가 "L1"의 거리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절곡된 부분이 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러한 상기 경사부(220)는 외부 충격이 사라진 후 승강도어(30)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는 경우 하부브라켓(200)의 내측면 하부가 하부레일(100)의 후면에 밀접되면서 다시 절곡되어 복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하부레일(100)은 상기 제1걸림돌기(210)와 상기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이 "L1"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이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방 말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1브라켓(400)은,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방향으로 제2걸림돌기(410)가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브라켓(500)의 제3걸림돌기(510)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전방에 위치되어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상기 제2걸림돌기(410)에 걸려 걸림상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내구성 즉, 제3걸림돌기(51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방에 복수 개의 제2리브(414)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브라켓(400)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후방에 위치되고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걸림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브라켓(500)의 제5걸림돌기(520)가 전방에 위치되어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제5걸림돌기(520)가 걸려 걸림상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앞서 설명된 제2걸림돌기(410)와 마찬가지로 내구성 즉, 제5걸림돌기(520)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후방에 복수 개의 제4리브(424)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1브라켓(400)은 제2걸림돌기(410)와 제4걸림돌기(420)를 통해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브라켓(500)의 제3걸림돌기(510)와 제5걸림돌기(520)가 각각 걸리도록 함으로써,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제2브라켓(500)은,
상기 승강도어(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방향으로 제3걸림돌기(51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전방에 위치되는 것으로,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걸림돌기(410)에 걸려 걸림상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제3걸림돌기(510)는 승강도어(30)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전방에 위치되어 "L2"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제2브라켓(500)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걸림돌기(410)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3걸림돌기(510)는 제2걸림돌기(410)에 걸린 후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후방에 복수 개의 제3리브(51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3걸림돌기(510)의 후방에 복수 개의 제3리브(51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3리브(512)에 의해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밀접되지 않아안정적으로 걸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제1브라켓(400)의 제2걸림돌기(410)는 상기 복수 개의 제3리브(512)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홀(4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리브(414)는 상기 제2리브홀(412)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2걸림돌기(4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홀(5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관통홀(53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걸림돌기(410)가 상기 제1관통홀(53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제3걸림돌기(510)가 제2걸림돌기(410)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2걸림돌기(410)에 의해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2걸림돌기(410)가 상기 제1관통홀(530)의 후면에 밀접되어 제2브라켓(5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브라켓(500)은 제3걸림돌기(5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5걸림돌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5걸림돌기(520)는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앞서 설명된 제1브라켓(400)의 제4걸림돌기(420)의 전방에 위치되어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상기 제2브라켓(500)과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4걸림돌기(420)에 걸려 걸림상태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 9의 a)와 같이, 상기 제5걸림돌기(520)는 승강도어(30)가 폐쇄 상태일 때, 상기 제4걸림돌기(420)의 전방에 위치되어 "L3"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림에 따라 제2브라켓(500)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4걸림돌기(420)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5걸림돌기(520)는 제4걸림돌기(420)에 걸린 후 후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앞서 설명된 제3걸림돌기(510)와 마찬가지로 후방에 복수 개의 제5리브(522)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5걸림돌기(520)의 후방에 복수 개의 제5리브(522)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제5리브(522)에 의해 상기 제5걸림돌기(520)가 밀접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걸리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된 제2걸림돌기(410)와 마찬가지로, 제1브라켓(400)의 제4걸림돌기(420)는 상기 복수 개의 제5리브(522)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홀(4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4걸림돌기(42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4리브(424)는 상기 제4리브홀(422)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4걸림돌기(420)와 대응되는 제2관통홀(5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앞서 설명된 제2걸림돌기(41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관통홀(54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걸림돌기(410)가 상기 제1관통홀(53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4걸림돌기(420)가 상기 제2관통홀(54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제5걸림돌기(520)가 제4걸림돌기(420)에 걸리는 경우 상기 제4걸림돌기(420)에 의해 상기 제5걸림돌기(520)가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4걸림돌기(420)가 상기 제2관통홀(540)의 후면에 밀접되어 제2브라켓(5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4걸림돌기(4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관통홀(530)과 제2관통홀(540)에는 제2걸림돌기(410)와 제4걸림돌기(420)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이 형성됨은 자명할 것이다.
이때,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가 구부러져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돌기(410)가 제5걸림돌기(520)의 전방과 밀접되어 상기 제5걸림돌기(520)가 전방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의 걸림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 사이의 거리 "L2"는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 사이의 거리 "L3"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리 "L2"가 거리 "L3"보다 작게 형성되는 이유는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제3걸림돌기(510)가 제2걸림돌기(410)에 먼저 밀접되어 지지됨으로써, 승강도어(3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폐쇄된 승강도어(30)에 강한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러짐에 따라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제5걸림돌기(520)가 제4걸림돌기(420)에 다음으로 밀접되어 지지됨으로써, 승강도어(3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2단계로 방지하는 이유는 폐쇄된 승강도어(30)에 발생된 외부 충격에 의해 승강도어(30)가 한번에 밀려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가 구부러져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승강도어(3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이 매우 저하된 승강도어(30)의 유지보수가 필수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부가하여, 앞서 설명된 하부브라켓(200)의 제1걸림돌기(210)와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 사이의 거리 "L1"은 상기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 사이의 거리 "L2"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거리 "L1"과 거리 "L2"가 동일한 거리로 형성됨에 따라 승강도어(30)의 유지보수가 필요하기 전에 제1걸림돌기(210)와 하부레일(100)의 제1걸림홈(110) 및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가 함께 승강도어(30)의 이탈을 견고하게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제1브라켓(400)과 제2브라켓(500)은 각각 문틀프레임(300)과 승강도어(30)의 중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잠금뭉치(700)와 잠금걸쇠(600)로 이루어진 잠금부를 통해 최종으로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되, 상기 제1브라켓(400)과 제2브라켓(500)으로 승강도어(30)가 가장 많이 휘어지는 중단부가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발명의 제1브라켓(400)과 제2브라켓(500)이 각각 문틀프레임(300)과 승강도어(30)의 중단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가 구부러져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다시 원상태로 펼쳐지는 승강도어(30)의 상하부를 상기 잠금부를 통해 고정시켜 마지막으로 상기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브라켓(400)의 제2걸림돌기(410)와 제4걸림돌기(420)는 중단부에 형성되는 중단내입홈(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중단내입홈에 의해 상기 제1관통홀(530)과 제2관통홀(540)이 상기 제2걸림돌기(410)와 제4걸림돌기(420)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가 구부러져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마지막으로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문틀프레임(300)의 일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되는 잠금뭉치(700);와, 상기 승강도어(30)의 일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잠금뭉치(700)의 전방에 말단이 위치되는 잠금걸쇠(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걸쇠(600)는 승강도어(30)가 폐쇄된 후 후방으로 밀려 상기 제5걸림돌기(520)가 제4걸림돌기(420)에 걸린 후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더 밀릴 때, 즉,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상기 잠금뭉치(700)에 말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어 잠금걸쇠(600)의 말단이 잠금뭉치(700)에 결합되는 경우는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즉, 상기 잠금걸쇠(600)는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승강도어(30)가 후방으로 밀릴 때, 말단이 상기 잠금뭉치(70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잠금걸쇠(600)의 말단과 상기 잠금뭉치(700)의 결합구조를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잠금걸쇠(60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일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되고, 말단에 상기 잠금뭉치(700)와 체결가능한 체결블럭(61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잠금뭉치(700)에는 상기 체결블럭(610)의 후방이 내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홈(7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걸쇠(600)는 후방이 승강도어(30)의 일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과 타측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되는 제3브라켓(620);과, 상기 제3브라켓(620)의 말단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잠금뭉치(700)의 전방에 위치되는 체결바(630); 및 상기 체결바(630)의 말단에 결합되고, 후방으로 체결부(612)가 돌출형성되는 체결블럭(6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걸쇠(600)는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체결블럭(610)이 상기 잠금뭉치(700)의 전방 즉, 상기 체결홈(71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상기 체결블럭(610)의 체결부(612)가 상기 잠금뭉치(700)의 체결홈(710)에 내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뭉치(700)의 체결홈(710)은 상기 체결블럭(610)과 체결부(612)가 내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상기 체결블럭(610)의 전면이 일치되도록 상기 체결블럭(610)과 체결부(612)가 내입되는 깊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바(630)가 상기 체결블럭(610)의 외측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홈(710)에는 상기 체결바(630)의 길이방향 일부가 함께 내입될 수 있는 내입홈(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체결블럭(610)은 체결바(6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어 상기 체결홈(710)에 내입되어 결합된 후 상기 체결홈(71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아 승강도어(3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블럭(610)은 후방에 돌출형성된 체결부(612)에 비해 직경 또는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블럭(610)과 체결부(6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체결홈(710)은 상기와 같이 체결부(612)에 비해 직경 또는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체결블럭(610)에 의해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블럭(610)의 하부가 상기 단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체결블럭(610)이 내입되는 깊이를 한정하여 상기 체결블럭(610)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뭉치(700)는 상기 체결홈(710)의 내면에 구비되는 제1자석(7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블럭(610)의 체결부(612)는 후방에 내입되어 구비되는 제2자석(614)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블럭(610)이 상기 제1자석(712)과 제2자석(614)을 통해 쉽게 결합됨은 물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잠금걸쇠(600)는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체결블럭(610)과 체결부(612)가 잠금뭉치(700)의 체결홈(710)에 내입될 때, 상기 제1자석(712)과 제2자석(614)에 의해 상기 체결블럭(610) 전체가 체결홈(710)에 보다 효과적으로 내입되어 결합되는 효과가 실현된다. 상기 체결블럭(610) 전체는 상기 체결블럭(610)과 체결부(612) 모두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자석(712)과 제2자석(614)은 상기 체결블럭(610) 전체가 체결홈(710)에 내입된 후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체결홈(710)은 상기 체결블럭(610)과 체결부(612)가 내입될 수 있는 깊이보다 후방으로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체결홈(710)의 후방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누름판(720)이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클램프(750)의 작동바(752)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도 14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뭉치(700)는 상기 체결홈(710)의 후방에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누름판(720);과, 상부 후방과 하부 후방에 상기 체결홈(710)까지 관통형성되는 측부홀(730);과,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기 측부홀(730)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는 힌지부(740);와, 상기 힌지부(740)에 후방이 힌지결합되되, 전방이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고, 후방 내측면(도면 15를 기준으로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해당됨.)에 돌출되어 상기 측부홀(730)을 관통한 후 상기 누름판(720)의 하부면에 말단이 밀접되는 작동바(752)를 구비하며, 전방에 내측방향으로 헤드(754)가 돌출형성되는 클램프(75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잠금걸쇠(600)의 말단 즉, 체결블럭(610) 전체가 체결홈(710)에 내입되어 결합된 후 상기 헤드(754)에 의해 상기 체결블럭(610)의 전면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750)는 전후방으로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750)의 작동바(752)는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클램프(750)는 전방이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힌지결합되므로 체결블럭(610) 전체가 체결홈(710)에 내입되지 않은 경우 상기 클램프(750)의 전방이 외측방향(도면 15를 기준으로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에 해당됨.)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측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돌출형성된 작동바(752)에 의해 누름판(720)이 전방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상기 헤드(754)가 체결홈(710)의 전방을 개방한다.
아울러, 상기 클램프(750)는 상기 체결블럭(610) 전체가 체결홈(710)에 내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상기 누름판(720)이 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작동바(752)를 후방으로 가압하므로 전방이 내측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헤드(754)가 체결홈(710)의 전방의 일부를 폐쇄함에 따라 상기 체결블럭(610)의 상부를 고정시킨다.
이때, 앞서 설명된 제1자석(712)과 제2자석(614)은 사이에 상기 누름판(720)이 구성되어 있어도 자력이 발생됨은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잠금걸쇠(600)와 잠금뭉치(700)는 폐쇄된 승강도어(30)에 외부 충격이 발생되는 경우 체결블럭(610) 전체가 체결홈(710)에 내입되어 결합되되, 제1자석(712)과 제2자석(614)에 의해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됨은 물론 견고한 결합력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750)의 헤드(754)에 의해 상기 체결블럭(610)의 상부가 고정됨에 따라 승강도어(30)가 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는 하부레일(100)의 하부 후방에 형성된 제1걸림홈(110)에 하부브라켓(200)의 말단에 형성된 제1걸림돌기(210)가 내입되어 승강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2브라켓(500)의 제3걸림돌기(510)가 제1브라켓(400)의 제2걸림돌기(410)에 걸려 승강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 뿐만 아니라 더욱 큰 외부 충격이 폐쇄된 승강도어(30)에 발생되어 상기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제2브라켓(500)의 제5걸림돌기(520)가 제1브라켓(400)의 제4걸림돌기(420)에 걸려 다시 한번 승강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하며, 더욱 큰 외부 충격이 폐쇄된 승강도어(30)에 발생되어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잠금걸쇠(600)와 잠금뭉치(700)가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승강도어(30)의 이탈을 방지하여 승강도어(30)의 개방 및 이로 인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개폐장치 20 : 가이드 실
30 : 승강도어
100 : 하부레일
110 : 제1걸림홈
200 : 하부브라켓
210 : 제1걸림돌기 220 : 경사부
300 : 문틀프레임
400 : 제1브라켓
410 : 제2걸림돌기 412 : 제2리브홀
414 : 제2리브 420 : 제4걸림돌기
422 : 제4리브홀 424 : 제4리브
500 : 제2브라켓
510 : 제3걸림돌기 512 : 제3리브
520 : 제5걸림돌기 522 : 제5리브
530 : 제1관통홀 540 : 제2관통홀
600 : 잠금걸쇠
610 : 체결블럭 612 : 체결부
614 : 제2자석 620 : 제3브라켓
630 : 체결바
700 : 잠금뭉치
710 : 체결홈 712 : 제1자석
720 : 누름판 730 : 측부홀
740 : 힌지부 750 : 클램프
752 : 작동바 754 : 헤드

Claims (10)

  1.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통로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폐장치(10)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장치(10)에 의해 승강도어(30)가 좌우로 개폐되는 승강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제1걸림홈(110)이 형성되는 하부레일(100);과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면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 말단에 제1걸림돌기(210)가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걸림홈(110)에 상기 제1걸림돌기(210)가 내입되는 하부브라켓(200);과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문틀프레임(300);과
    상기 문틀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방향으로 제2걸림돌기(410)가 돌출형성되는 제1브라켓(400); 및
    상기 승강도어(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방향으로 제3걸림돌기(51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걸림돌기(51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3리브(5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상기 복수 개의 제3리브(512)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홀(4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100)은
    상기 제1걸림홈(110)의 후방 말단이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방 말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부브라켓(200)은
    후방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리브(4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2걸림돌기(410)와 대응되는 제1관통홀(5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걸림돌기(41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관통홀(53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6.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통로에 설치되고, 상부에 개폐장치(10)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장치(10)에 의해 승강도어(30)가 좌우로 개폐되는 승강도어의 이탈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하부 후방에 제1걸림홈(110)이 형성되는 하부레일(100);과
    상기 승강도어(30)의 후면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 말단에 제1걸림돌기(210)가 상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1걸림홈(110)에 상기 제1걸림돌기(210)가 내입되는 하부브라켓(200);과
    상기 승강통로에 설치되되, 상기 승강도어(3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문틀프레임(300);과
    상기 문틀프레임(3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외측방향으로 제2걸림돌기(410)가 돌출형성되는 제1브라켓(400); 및
    상기 승강도어(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고, 내측방향으로 제3걸림돌기(51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2브라켓(5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400)은
    상기 제2걸림돌기(4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제4걸림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3걸림돌기(5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4걸림돌기(42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5걸림돌기(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걸림돌기(52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5리브(5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상기 복수 개의 제5리브(522)와 대응되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홀(4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후방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리브(4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500)은
    상기 제4걸림돌기(420)와 대응되는 제2관통홀(5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걸림돌기(420)는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2관통홀(540)을 관통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도어(30)의 폐쇄시,
    상기 제3걸림돌기(510)와 제2걸림돌기(410) 사이의 거리 "L2"는
    상기 제5걸림돌기(520)와 제4걸림돌기(420) 사이의 거리 "L3"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KR1020220034675A 2022-03-21 2022-03-21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KR102424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675A KR102424529B1 (ko) 2022-03-21 2022-03-21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675A KR102424529B1 (ko) 2022-03-21 2022-03-21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529B1 true KR102424529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675A KR102424529B1 (ko) 2022-03-21 2022-03-21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5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15B1 (ko) * 2007-01-25 2007-07-24 (주)두성엔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KR20110005391A (ko) * 2009-07-10 2011-01-18 (주)주성산전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1231391B1 (ko) 2008-04-18 2013-02-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315B1 (ko) * 2007-01-25 2007-07-24 (주)두성엔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KR101231391B1 (ko) 2008-04-18 2013-02-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20110005391A (ko) * 2009-07-10 2011-01-18 (주)주성산전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391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KR1003055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반 개폐 장치
KR100956924B1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JP4644721B2 (ja) エレベーター出入口装置
KR102424529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도어 이탈방지 구조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6306125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70940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731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용 이탈방지장치, 잠금부재가 설치된 가이드 레일 및 걸림부재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KR10099501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잠금장치 및 스크린 도어장치
JP605871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90110445A (ko)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 이탈 방지 구조
JP2009127365A (ja) 引戸
JP6026626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81391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문 이탈방지장치
CN114531871B (zh) 电梯设备
KR102390651B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이탈방지장치
KR100754284B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측 출입문 이탈 방지장치
KR100946678B1 (ko) 스크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2019119592A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ー
KR20100021295A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 방지 장치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20100076203A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개폐도어 이탈방지용 슬라이더
JPH0632571A (ja) エレベーターの敷居装置
KR20110005391A (ko) 이탈방지구가 마련된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