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652B1 -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 Google Patents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652B1
KR102569652B1 KR1020220177856A KR20220177856A KR102569652B1 KR 102569652 B1 KR102569652 B1 KR 102569652B1 KR 1020220177856 A KR1020220177856 A KR 1020220177856A KR 20220177856 A KR20220177856 A KR 20220177856A KR 102569652 B1 KR102569652 B1 KR 10256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dle door
sliding support
support member
length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
Original Assignee
허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 filed Critical 허남
Priority to KR102022017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46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continuous, e.g. closed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한 쌍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3연동 중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상하 프레임을 갖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는 상하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 문틀에서 타측 문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로 이루어지되,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가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되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는 연동 중문에 배치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3 Interlocking Safety Door Assembly}
본 발명은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삼연동 안전 중문 중 양측 어느 중문을 이용하여 개방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삼연동 안전 중문은 일반적으로 3개의 중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3개의 중문의 크기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삼연동 안전 중문에는 3개의 중문 중 양측에 설치되어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손잡이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열고 닫도록 한다.
그러나 기존의 삼연동 안전 중문은 3개의 중문의 크기가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개방을 하는 경우 3개의 중문 중 양측에 설치되어 개방 및 폐쇄를 위한 손잡이를 잡고 있으면 사용자의 손이 중간의 중문에 끼이게 될 수도 있다. 삼연동 안전 중문은 사용자가 개방하는 힘을 이용하여 손잡이를 잡고 개방방향으로 힘을 쓴 후 손잡이에서 손을 띠어도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무심코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 손에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안전한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삼연동 중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상하 프레임을 갖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는 상기 상하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 문틀에서 타측 문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가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되는 상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는 연동 중문에 배치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삼연동 중문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가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되어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중문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므로 중문의 개방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는 상기 연동 중문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가 상기 안전 손잡이와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중문 사이에 끼일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증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전 손잡이가 형성된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상기 안전손잡이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안전멈춤부를 포함하면 중문의 이상 작동으로 사용자의 손이 끼일 수 있는 경우에도 안전멈춤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안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안전 손잡이가 형성된 일측과 타측에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면 중문을 세게 개방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크게 나지 않으며 중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개방 및 폐쇄방향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슬라이딩속도 감소부를 포함하면 중문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삼연동 중문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가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되어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중문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므로 중문의 개방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중문 사이에 끼일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증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중문의 이상 작동으로 사용자의 손이 끼일 수 있는 경우에도 안전멈춤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안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문을 세게 개방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크게 나지 않으며 중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중문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2는 안전멈춤부에 의한 삼연동 중문의 동작도이다.
도 3은 충격완화부에 의한 충격완화 동작도이다.
도 4는 슬라이딩속도 감속부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의 동작 예시도이고, 도 2는 안전멈춤부(40)에 의한 삼연동 중문(10, 20, 30)의 동작도이며, 도 3은 충격완화부(500)에 의한 충격완화 동작도이고, 도 4는 슬라이딩속도 감속부(60)의 예시도이다.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는 제1중문(10), 제2중문(20), 제3중문(30), 상하프레임(100),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 안전 손잡이(300), 안전멈춤부(400), 충격완화부(500) 및 슬라이딩속도감속부(600)를 포함한다.
상하프레임(100)은 한 쌍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3연동 중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다.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는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를 포함한다.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는 상하 프레임(10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 문틀에서 타측 문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길이가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된다.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길이는 연동 중문(10, 20, 30)이 개방된 상태에서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가 안전 손잡이(300)와 소정 간격 이상 이격되도록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안전 손잡이(300)는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는 연동 중문(10, 30)에 배치될 수 있다.
안전멈춤부(400)는 안전 손잡이(300)가 형성된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의 안전 손잡이(300)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충격완화부(500)는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안전 손잡이(300)가 형성된 일측과 타측에 배치된다.
슬라이딩속도 감속부(600)는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개방 및 폐쇄방향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의 동작 예시도이다.
도 1 (a) 삼연동 중문(10, 20, 3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측에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220, 2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1 (b) 삼연동 중문(10, 20, 30)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상측에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220, 230)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삼연동 중문(10, 20, 30)이 개방되면서도 제1중문(10)의 안전 손잡이(300)가 제1중문(20)에 겹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위험이 배제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안전멈춤부(400)에 의한 삼연동 중문(10, 20, 30)의 동작도이다.
도 2 (a) 삼연동 중문(10, 20, 3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2 (b) 삼연동 중문(10, 20, 30)이 개방되면서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의 고정 설치된 안전멈춤부(400)가 제2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의 좌측 말단에 의해 걸리면서 멈추며, 제3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고정 설치된 안전멈춤부(400)에 제2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의 우측 말단에 의해 걸리면서 멈추었다.
도 3은 충격완화부(500)에 의한 충격완화 동작도이다.
도 3 (a) 삼연동 중문(10, 20, 30)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와 제3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좌우측 말단영역에 충격완화부(5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충격완화부(500)는 그 형상이 둥그런 형상, 직방형 형상 등 여러 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b) 삼연동 중문(10, 20, 30)이 개방되면서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의 고정 설치된 충격완화부(500)가 우측의 측면프레임(2)에 부딪히면서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소음 및 충격이 완화된다.
도 4는 슬라이딩속도 감속부(600)의 예시도이다.
슬라이딩속도 감속부(600)는 삼연동 중문(10, 20, 30)이 개방되면서 상호 마찰이 증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개방 및 폐쇄방향의 속도가 감소되어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이 측면프레임(2)에 부딪혀 큰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이 측면프레임(2)에 계속하여 부딪혀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중문 도어는 2개의 문으로 미서기 방식으로 아파트 현관과 거실 사이에 배치된다. 최근에는 연동 중문으로 2개의 문으로 구성되는 미서기문 보다 개구부의 개폐 범위가 넓고 보다 아름다운 디자인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기서, 연동 도어는 문틀 또는 창틀의 중간과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다단 미닫이문이 서로 연동되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연동장치가 구비되어, 전후방 상부에는 각각 레일과 결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본체가 구성되고 본체에 형성된 결합홈의 양측으로 각각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전후방 상부에는 결합턱과 회전 가능한 롤러를 이용하여 중문의 연동 슬라이딩이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의 모든 연동장치에는 중문을 고정하기 위해 홀 가공이 필요하며, 홀 가공이 조금이라도 틀어졌을 경우 사용하던 자재를 재사용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홀 가공에 따르는 숙련된 작업자가 시공에 필요하고, 현장 조립 설치에 시간이 많이 걸려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여기에, 연동 도어는 서로가 연접되게 배치되는 구성 상의 특징으로 어린이나, 노약자가 슬라이딩 개방 시 중문 과 중문 사이의 틈새에 손끼임 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이를 해소할 새로운 구성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양한 규격을 갖는 중문 프레임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현장 설치 생상성을 높이고, 연동 도어 사용자의 손 끼임 사고를 방지하도록 상하 프레임,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안전 파지재가 포함되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를 제공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는 먼저, 도 5 및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을 갖는 중문 프레임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현장 설치 생상성을 높이고, 연동 도어 사용자의 손 끼임 사고를 방지하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는 먼저, 한 쌍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3연동 중 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3연동 중문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3연동 중문의 상하 방향에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가 내입되도록 좌우에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면 서로 마주보도록 측면가이더(110)가 구비되며 측면가이더(110)의 사이의 저면에는 길이가이더(120)가 폭 길이를 3 등분 분할하도록 상하 프레임(1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하 프레임(100)의 외부를 케이싱하는 함체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 도 7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프레임(100)의 상면 및 하면에서 측면가이더(110)를 통해 내입되어 길이가이더(120)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 문틀에서 타측 문틀 방향으로 순차적으 로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로 구비되되,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길이가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및 제2 중문 슬 라이딩 지지재(220)의 길이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끼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5 및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에 지지되는 연동 중문에 배치되는 안전 손잡이(300)가 구비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는 측면가이더(110)에 내입되는 폭 길이를 갖는 중문 슬라이딩 가이더(201)와 길이가이더(120)에 치합되도록 중앙이 돌출되는 중문 슬라이딩 돌출 (202)이 형성되고 중문 슬라이딩 가이더(201)와 중문 슬라이딩 돌출(202)의 대향면에는 중문이 내입 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중문고정부(20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은 L1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은 L1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되,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은 L1 길이 보다 크게 L3의 길이를 갖되, L1과 L3의 차이 길이는 L1 길이보다 짧도록 구비되고 차이 길이는 세번째 중문에 안전 파지재(300)이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는 중문고정부(203)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배치 가능하도록 길이고정부(204)가 더 구비되되, 길이고정부(204)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에 결합이 되도록 전후방에 결합고정구(204a)가 전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며, 결합 고정구(204a) 사이에는 중문과 결합되는 중문결합통공(204b)이 구비되며, 중문결합통공(204b)에 삽입되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에 중문을 고정하여 중문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중문고정부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문고정부재(240)는 중문결합통공(204b)에 삽입되는 헤드재(241)와 헤드재(241)를 외경을 통해 삽입하도록 구비되는 높이조정바(242)와 높이조정바(242)를 수용하는 중문고정케이싱(243)과 중문고정케이싱(243)의 내부에서 높이조정바(242)의 높낮이를 텐션 지지하도록 텐션재가 구비되며, 헤드재(241)가 중문통공턱(204c)에 중간이 걸릴 수 있도록 중문고정케이싱(243) 방향의 종단에 헤드돌출날개(241a)가 헤드재(241)의 중심 위치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구비되어 현장 조립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와 상하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의 양단에 한쌍의 회전풀러(250)가 배치되며, 도 23 및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풀러(250) 사이에는 변위벨트(260)가 구비되되 회전풀러(250)의 표면에는 풀러기어(251)가 구비되고 변위벨트(260)의 일면에는 벨트기어면(261)이 구비되며 풀러기어(251)의 표면 또는 벨 트기어면(261)의 표면에는 어느 한 곳에 불규칙한 마찰미세돌기(261a)가 적어도 구비되며, 도 19 내지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에는 중문 밀폐 능력을 향상하도록 슬라이딩밀폐모(270)가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양측에 서로 대향 배치되되, 슬라이딩밀폐모 (270)는 상부의 단면 양측이 중문 방향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낮아지도록 밀폐경사모(271)로 구비되어 밀폐력을 증진하고 외부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를 이용하면, 다양한 규격을 갖는 중문 프레임의 길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현장 설치 생산성을 높이고, 연동 도어 사용자의 손 끼임 사고를 원천 방지하며, 한 쌍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3연동 중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 진행 방향을 갖으며, 3연동 중문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3연동 중문의 상하 방향에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가 내입되도록 좌우에서 한 쌍이 1 조를 이루면 서로 마주보도록 측면가이더(110)가 구비되며 측면가이더(110)의 사이의 저면에는 길이가이더 (120)가 폭 길이를 3 등분 분할하도록 구비되는 상하 프레임(100)으로 기존 문틀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시간이 절약되며, 상하 프레임(100)의 상면 및 하면에서 측면가이더(110)를 통해 내입되어 길이가이더(120)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 문틀에서 타측 문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 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제 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 및 제 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로 구비되되, 제 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30)의 길이가 제 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 및 제 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의 길이 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로 사용자의 손끼임 사고를 원천 예방하고,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는 측면가이더(110)에 내입되는 폭 길이를 갖는 중문 슬라이딩 가이더(201)와 길이가이더(120)에 치합되도록 중앙이 돌출되는 중문 슬라이딩 돌출(202)이 형성되고 중문 슬라이딩 가이 더(201)와 중문 슬라이딩 돌출(202)의 대향면에는 중문이 내입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중문고정부(203)가 구비되어 중문 사이즈 규격에 유연하게 대응하며, 제 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10)는 L1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고 제 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20)는 L1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되, 제 3 중문 슬라 이딩 지지재(230)는 L1 길이 보다 크게 L3의 길이를 갖되, L1과 L3의 차이 길이는 L1 길이보다 짧도록 구비되고 차이 길이는 세번째 중문에 안전 손잡이(300)가 결합되어 손 끼임을 방지하고,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200)는 중문고정부(203)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배치 가능하도록 길이고정부(204)가 더 구비되고 길이고정부(204)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에 결합이 되도록 전후방에 결합고정구(204a)가 전후방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며, 결합고정구(204a) 사이에는 중문과 결합되는 중문결합통공(204b)이 구비되며 중문결합통공(204b)에 삽입되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에 중문을 고정하여 중문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중문고정부재(240)가 구비되어 결합이 견고하고 슬라이딩 시 소음 발생을 억제하며, 중문고정부재(240)는 중문결합통공(204b)에 삽입되는 헤드재(241)와 헤드재(241)를 외경을 통해 삽입하도록 구비되는 높이조정바(242)와 높이조정바(242)를 수용하는 중문고정 케이싱(243)과 중문고정케이싱(243)의 내부에서 높이조정바(242)의 높낮이를 텐션 지지하도록 텐션재가 구비되며, 헤드재(241)가 중문통공턱(204c)에 중간이 걸릴 수 있도록 중문고정케이싱(243) 방향의 종단에 헤드돌출날개(241a)가 헤드재(241)의 중심 위치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구비되어 현장 조립 시간을 줄이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와 상하 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의 양단에 한 쌍의 회전풀러(250)가 배치되며 회전풀러(250) 사이에는 변위벨트(260)가 구비되되 회전풀러(250)의 표면에는 풀러기어(251)가 구비되고 변위벨트(260)의 일면에는 벨트기어면(261)이 구비되며 풀러기어(251)의 표면 또는 벨트기어면(261)의 표면 에는 어느 한 곳에 불규칙한 마찰미세돌기 (261a)가 적어도 구비되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에는 중문 밀폐 능력을 향상하도록 슬라이딩밀폐모(270)가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200)의 길이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양측에 서로 대향 배치되되, 슬라 이딩밀폐모(270)는 상부의 단면 양측이 중문 방향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점차 낮아지도록 밀폐경사모 (271)로 구비되어 밀폐력을 증진하고 외부 소음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1)로 인하여, 삼연동 중문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가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되어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중문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하므로 중문의 개방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문을 개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 중문 사이에 끼일 수 없으므로 안전성이 증가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중문의 이상 작동으로 사용자의 손이 끼일 수 있는 경우에도 안전멈춤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안전할 수 있다. 또한, 중문을 세게 개방하는 경우에도 소음이 크게 나지 않으며 중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중문의 개방 및 폐쇄에 의한 소음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1: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2: 측면프레임
10: 제1중문 20: 제2중문
30: 제3중문
100: 상하 프레임 110: 측면가이더
120: 길이가이더
200: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201: 중문 슬라이딩 가이더
202: 중문 슬라이딩 돌출 203: 중문고정부
204: 길이고정부 204a: 결합고정구
204b: 중문결합통공 204c: 중문통공턱
210: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220: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230: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240: 중문고정부재 241: 헤드재
241a: 헤드돌출날개 242: 높이조정바
243: 중문고정케이싱 250: 회전풀러
251: 풀러기어 260: 변위벨트
261: 벨트기어면 261a: 마찰미세돌기
270: 슬라이딩밀폐모 271: 밀폐경사모
300: 안전 손잡이 400: 안전멈춤부
500: 충격완화부 600: 슬라이딩속도 감속부

Claims (5)

  1. 한 쌍이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3연동 중문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이 진행 방향을 갖는 상하 프레임을 갖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일측 문틀에서 타측 문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가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길이보다 소정 길이 이상 더 길게 형성되는 상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는 연동 중문에 배치되는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는 중문고정부의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가변적으로 배치 가능하도록 길이고정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길이고정부는 상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에 결합이 되도록 전후방에 결합고정구가 전 후방에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 고정구의 사이에는 중문과 결합되는 중문결합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중문결합통공에 삽입되어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에 중문을 고정하여 중문이 상기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를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중문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중문고정부재는 상기 중문결합통공에 삽입되는 헤드재와 상기 헤드재를 외경을 통해 삽입하도록 구비되는 높이조정바와 상기 높이조정바를 수용하는 중문고정케이싱과 상기 중문고정케이싱의 내부에서 상기 높이조정바의 높낮이를 텐션 지지하도록 텐션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와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안전 손잡이가 형성된 일측과 타측에 배치되는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상기 제2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 및 상기 제3 중문 슬라이딩 지지재의 개방 및 폐쇄방향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슬라이딩속도 감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KR1020220177856A 2022-12-19 2022-12-19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KR10256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56A KR102569652B1 (ko) 2022-12-19 2022-12-19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56A KR102569652B1 (ko) 2022-12-19 2022-12-19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652B1 true KR102569652B1 (ko) 2023-08-23

Family

ID=8784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56A KR102569652B1 (ko) 2022-12-19 2022-12-19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6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321A (ja) * 1996-08-26 1998-03-03 Okamura Corp 複連式吊り戸
JP2014152522A (ja)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Corp 引戸装置
KR102292095B1 (ko) * 2021-03-16 2021-08-19 허남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KR102301965B1 (ko) * 2021-02-26 2021-09-13 허남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KR102473813B1 (ko) * 2022-01-07 2022-12-02 허춘 2연동 안전 중문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321A (ja) * 1996-08-26 1998-03-03 Okamura Corp 複連式吊り戸
JP2014152522A (ja)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Corp 引戸装置
KR102301965B1 (ko) * 2021-02-26 2021-09-13 허남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KR102292095B1 (ko) * 2021-03-16 2021-08-19 허남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KR102473813B1 (ko) * 2022-01-07 2022-12-02 허춘 2연동 안전 중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095B1 (ko)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KR102301965B1 (ko) 다중 연동 중문 레일 구조체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2042312B1 (ko) 창짝의 개폐가 용이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2569652B1 (ko) 삼연동 안전 중문 조립체
KR20180116596A (ko) 복합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1774542B1 (ko) 건축물 출입구용 미닫이형 도어 유니트
KR101262765B1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JP3195087U (ja) 連動型引き戸
JP6103493B2 (ja) 引戸装置
KR102040123B1 (ko) 도어 안전장치
KR20220132331A (ko) 끼임방지도어
KR200490603Y1 (ko) 슬라이딩 액세스 도어
KR102083057B1 (ko) 도르래를 이용한 미서기 창호용 자동닫힘장치
KR102083058B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호용 안전감속장치
JP3577537B2 (ja) 吊戸におけるスライド式吊りレール構造
KR20210054702A (ko) 도어용 슬라이딩식 손 끼임 방지장치
EP0729539B1 (de) Tor mit einem vertikal bewegbaren, an seilen gehaltenem torblatt
KR100632994B1 (ko)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문조립체
KR102389658B1 (ko) 손끼임 방지구조를 갖는 도어 구조체
CN213898690U (zh) 一种地下室滑轨式人防门
KR102600550B1 (ko) 욕실수납장용 슬라이딩장치
KR102019868B1 (ko) 포켓 연동도어
KR20180079062A (ko) 충격을 방지하는 반자동 현수식 교실출입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