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741Y1 - 상승시스템 - Google Patents

상승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741Y1
KR200445741Y1 KR2020070014890U KR20070014890U KR200445741Y1 KR 200445741 Y1 KR200445741 Y1 KR 200445741Y1 KR 2020070014890 U KR2020070014890 U KR 2020070014890U KR 20070014890 U KR20070014890 U KR 20070014890U KR 200445741 Y1 KR200445741 Y1 KR 200445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upport member
shoe
hinge shaf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8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439U (ko
Inventor
이정환
손명원
Original Assignee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48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74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7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승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건물벽에 부착된 슈와, 상기 슈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마련된 레일과, 상기 슈에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힌지축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실린더가 축소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재는 걸림돌기에 충돌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시스템을 제공한다.
슈, 걸림돌기, 상승시스템, 레일, 실린더

Description

상승시스템{Climbing System}
본 고안은 실린더의 상단에 위치된 지지부재에 특징이 있는 상승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상승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린더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상승시스템은 건물벽(10)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슈(20)와, 상기 슈(20)에 연결된 레일(30)과, 상기 레일(30)을 상승시키는 실린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돌기(32)가 마련된 상기 레일(30)에는 갱폼(40)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갱폼(40)은 레일(30)과 같이 상승된 후에 건물벽(10) 방향으로 이동되어 건물벽(10)이 타설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50)는 상기 슈(20)와 힌지축(52)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단에는 지지부재(60)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 상승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타설된 건물벽(10) 상방에 계속해서 건물벽(10)을 타설하기 위해서는 상기 갱폼(40)이 장착된 레일(30)을 상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3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걸림돌기(32)에 실린더(50)의 지지부재(60)를 걸고 상기 실린더(50)를 신장시킨다.
그러면 상기 실린더(50)는 하부에 위치된 슈(20)를 기준으로 상방으로 신장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60)가 걸림돌기(32)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레일(30)은 슈(20)와 연결부(22)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레일(30)은 실린더(5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 후에 슈(20)에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50)를 본래의 크기로 축소 한 후, 다시 지지부재(60)를 인접한 걸림돌기(32)에 걸고 실린더(50)를 신장시키는 과정을 필요한 만큼 반복하여 상기 레일(30)을 필요한 만큼 상승시키게 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실린더(50)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60)는 하방에 위치된 레일(30)의 걸림돌기(32)와 충돌하게 되고, 이때 지지부재(60)가 상기 걸림돌기(32)를 지나 하방으로 이동되기 위해서 지지부재(60)와 일체로 되어 있는 상기 실린더(50)가 힌지축(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실린더(50)가 힌지축(5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실린더(50)는 인접한 건물벽(10)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실린더가 축소되면서 지지부재가 레일의 걸림돌기와 충돌시에 실린더는 회동되지 않고, 지지부재만 회동되는 상승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건물벽에 부착된 슈와, 상기 슈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마련된 레일과, 상기 슈에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힌지축으로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실린더가 축소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재는 걸림돌기에 충돌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는 수평스톱퍼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힌지축에 인접하여 회전제한홈이 마련되고, 지지부재에는 상기 회전제한홈에 위치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는 수직스톱퍼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평스톱퍼와 지지부재 사이에는 탄성체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제한홈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수평면에서 예각의 범위 내에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에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수직스톱퍼는 전자석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레일의 걸림돌기와 실린더의 지지부재가 충돌시에 실린더가 회동되지 않고 지지부재만 회동되므로 실린더가 건물벽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평스톱퍼는 지지부재가 수평 이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스톱퍼는 지지부재가 수평스톱퍼로부터 소정 범위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체는 지지부재가 수평스톱퍼의 상단 위치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상승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린더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실린더 상단이 변화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건물벽(100)에 부착된 슈(200)와, 상기 슈(20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320)가 마련된 레일(300)과, 상기 슈(200)에 결합된 실린더(500)와,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 힌지축(630)으로 연결된 지지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는 수평스톱퍼(610)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스톱퍼(610)와 이격되어 수직스톱퍼(620)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부재(600)에는 돌출부(640)가 마련된다.
따라서, 지지부재(600)가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수평스톱퍼(610)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에 상기 수직스톱퍼(620)는 상기 돌출부(640)가 수직스톱퍼(620) 이상 이동되는 것을 저지하여 지지부재(600)가 수평스톱퍼(610)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600)를 수평상태에서 소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게 하기 위해서 다른 여러 형태의 형상이 아래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수평스톱퍼(610)와 지지부재(600) 사이에는 탄성체(660)가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재(600)가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회동된 후에도 상기 탄성체(6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상기 힌지축(630)에 인접하여 회전제한홈(675)이 마련되고, 지지부재(600)에는 상기 회전제한홈(675)에 위치되는 돌출부(640)가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스톱퍼(620)는 전자석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같이, 상기 레일(30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600)를 걸림돌기(320) 하단에 위치시킨 후에 실린더(500)를 신장시키면, 상기 지지부재(600)는 돌출부(640)가 수평스톱퍼(6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320)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레일(300)은 슈(200)와 연결부(220)에 의해서 연결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500)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320)를 밀어서 레일(300)을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기 지지부재(600)는 실린더(500)가 축소됨에 따라 원위치로 이동되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재(600)는 지지부재(600)의 하방에 위치된 걸림돌기(320)에 충돌되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걸림돌기(320)에 충돌된 지지부재(600)는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수직스톱퍼(620)에 의해 돌출부(640)가 정지될 때까지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600)가 걸림돌기(320)에 충돌되는 경우에도 상기 실린더(500)는 회동됨이 없이 축소되고 지지부재(600)만 회동된다.
또한, 걸림돌기(320)를 지나친 지지부재(600)는 수직스톱퍼(620)에 의해 회동이 정지된 위치에서 지지부재(600)의 무게중심이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하여 우측으로 회동되어 수평스톱퍼(610)에 의해 멈추게 된다.
따라서, 수직스톱퍼(620)는 상기 지지부재(600)가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600)의 하방에 위치된 레일(300) 부분에는 복수의 걸림돌기(320)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재(600)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와 같은 회동을 여러 번 거치게 된다.
상기 수직스톱퍼(620)에 전자석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실린더(500)를 하방으로 축소할 경우에 전자석을 작동시켜 지지부재(600)가 회동되어 수직스톱퍼(620)에 부착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게 됨으로 지지부재(600)와 걸림돌기(320) 사이의 충돌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조용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이 조성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직스톱퍼(620)는 도 5의 (a)와 같이 상기 탄성체(660)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탄성체(660)는 지지부재(60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돌기(320)와 충돌하여 상방으로 회동될 때 탄성범위 내에서 신장되고, 지지부재(600)가 걸림돌기(320)를 지나치면 복원력이 발생되어 지지부재(600)를 수평스톱퍼(610)까지 회동시킨다.
그리고 도 5의 (b)와 같이 회전제한홈(675) 내에서 돌출부(640)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600)의 회전이 상기 회전제한홈(675)의 범위에서 이동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상승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실린더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인 상승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실린더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실린더 상단이 변화될 수 있는 형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건물벽 200: 슈
300: 레일 320: 걸림돌기
500: 실린더 600: 지지부재
630: 힌지축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건물벽(100)에 부착된 슈(200)와;
    상기 슈(20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320)가 마련된 레일(300)과;
    상기 슈(200)에 결합된 실린더(500)와;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 힌지축(630)으로 연결된 지지부재(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힌지축(630)에 인접하여 회전제한홈(675)이 마련되고, 지지부재(600)에는 상기 회전제한홈(675)에 위치되는 돌출부(640)가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500)가 축소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재(600)는 걸림돌기(320)에 충돌시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시스템.
  4. 삭제
  5. 건물벽(100)에 부착된 슈(200)와;
    상기 슈(20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320)가 마련된 레일(300)과;
    상기 슈(200)에 결합된 실린더(500)와;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 힌지축(630)으로 연결된 지지부재(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는 수평스톱퍼(610)가 마련되고, 상기 수평스톱퍼(610)와 지지부재(600) 사이에는 탄성체(660)가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500)가 축소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재(600)는 걸림돌기(320)에 충돌시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시스템.
  6. 건물벽(100)에 부착된 슈(200)와;
    상기 슈(200)와 연결되고 복수개의 걸림돌기(320)가 마련된 레일(300)과;
    상기 슈(200)에 결합된 실린더(500)와;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 힌지축(630)으로 연결된 지지부재(60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지되,
    상기 실린더(500)의 상단에는 수직스톱퍼(620)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600)에는 돌출부(640)가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500)가 축소됨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상기 지지부재(600)는 걸림돌기(320)에 충돌시 힌지축(63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스톱퍼(620)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시스템.
KR2020070014890U 2007-09-06 2007-09-06 상승시스템 KR200445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890U KR200445741Y1 (ko) 2007-09-06 2007-09-06 상승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890U KR200445741Y1 (ko) 2007-09-06 2007-09-06 상승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439U KR20090002439U (ko) 2009-03-11
KR200445741Y1 true KR200445741Y1 (ko) 2009-08-28

Family

ID=4128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890U KR200445741Y1 (ko) 2007-09-06 2007-09-06 상승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7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07A (ko) * 2019-01-14 2020-07-22 (주)대우건설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614B1 (ko) * 2010-07-26 2013-01-17 서갑수 건축용 갱폼의 레일장치
CN111926712B (zh) * 2020-08-12 2021-09-17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倾角主塔智能施工方法
CN114109010B (zh) * 2021-11-25 2022-11-15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基于钢管脚手架用液压可调节升降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7265A1 (de) 1993-01-27 1994-08-04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EP1698746A1 (en) 2003-11-27 2006-09-06 ULMA C y E, S. COOP. Rigging system for formwork, scaffolding or moving loads in general
KR100704720B1 (ko) * 2006-05-19 2007-04-23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KR100774883B1 (ko) * 2007-08-07 2007-11-09 (주) 콘스텍 반자동 상승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7265A1 (de) 1993-01-27 1994-08-04 Peri Gmbh Klett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lettergerüst
EP1698746A1 (en) 2003-11-27 2006-09-06 ULMA C y E, S. COOP. Rigging system for formwork, scaffolding or moving loads in general
KR100704720B1 (ko) * 2006-05-19 2007-04-23 금강공업 주식회사 가설대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설대 승강방법
KR100774883B1 (ko) * 2007-08-07 2007-11-09 (주) 콘스텍 반자동 상승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07A (ko) * 2019-01-14 2020-07-22 (주)대우건설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KR102238437B1 (ko) 2019-01-14 2021-04-09 (주)대우건설 공동 주택 갱폼 인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439U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741Y1 (ko) 상승시스템
CN205603141U (zh) 升降台
KR101553966B1 (ko) 외벽설치 타워크레인 등반장치
ES2523199T3 (es) Tope retráctil para mantener un espacio libre superior encima de una cabina de ascensor
KR101326794B1 (ko) 고소작업대용 대차
JP4712313B2 (ja) バッファおよびバッファを備えたエレベータ設備
JP2006298611A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KR101873395B1 (ko) 낙하물 방지 구조를 갖는 건축용 승강케이지
US20160130115A1 (en) Retractable overhead access platform for machine room less elevator systems
GB2427433A (en) Climbing guardrail protection system for scaffolding towers
GB2533142A (en) Hook arrangement
WO2002060802A2 (en) Moveable toe guard assembly for elevators
KR102058942B1 (ko) 작업자 추락 방지용 안전도어
JP2002302370A (ja) エレベータの保護板装置
JP6291288B2 (ja) 擁壁の構造
CN205591530U (zh) 防坠导向支座
KR101262317B1 (ko) 시스템 동바리 이동장치
KR200477401Y1 (ko) 선박의 외적침입 방지설비
JP4406273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保護装置
JP3780493B2 (ja) 免震床への渡り床
CN106869478B (zh) 一种可调定位及防坠一体式装置
KR102486863B1 (ko) 건축용 슬라이딩슈
KR101574466B1 (ko)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KR20160111679A (ko) 부력을 이용한 안전 자동 난간
JP4249006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搭載用移動作業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