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964B1 -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 Google Patents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964B1
KR102159964B1 KR1020200026612A KR20200026612A KR102159964B1 KR 102159964 B1 KR102159964 B1 KR 102159964B1 KR 1020200026612 A KR1020200026612 A KR 1020200026612A KR 20200026612 A KR20200026612 A KR 20200026612A KR 102159964 B1 KR102159964 B1 KR 10215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oupled
pair
a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고광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리곤도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리곤도라 filed Critical (주)아이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26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넓이로 구비되는 대차본체와; 상기 대차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본체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주행부와; 상기 대차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와; 상기 대차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케이지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결합암과;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지결합암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지와 상기 대차본체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와; 상기 대차본체의 테두리영역에 외측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에 작업자가 탑승했을 때 상기 대차본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MOBILE WORKING CART FOR CONSTRUCTION OUTER WALL}
본 발명은 자주식 작업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건물외벽 공사시에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각 층을 용이하게 이동하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는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에 관한 것이다.
건물 또는 공사 중인 건물의 외벽 작업은 곤돌라에 작업자를 탑승시켜 이동하거나, 작업자가 와이어로프에 매달려 작업하는 방법이 있다.
곤돌라를 이용해 외벽 작업을 하는 경우, 건물의 옥상층까지 시공 공정이 완료되어야만 옥상에 곤돌라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물의 전체 공정에 제한을 받게 되는 제약이 있다. 또한, 곤돌라를 옥상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옥상의 바닥면이나 발코니 턱에 곤돌라 설치용 앵커를 설치해야 하므로 건물의 누수 및 훼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외벽공사 작업완료 후에 옥상의 방수작업 및 원상복구 작업을 해야 하므로 상당한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에 작업자가 매달려 작업하는 방법은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어 안전사고가 빈번한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2469호 "건축물 외벽 공사용 승강기"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2524호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스로 조향방향을 조절하며 주행하여 작업위치로 스스로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는 자주식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가 가능하여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용이하게 작업을 희망하는 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위치로 정밀하게 작업자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자주식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지의 수평방향 폭을 가변할 수 있어 수평방향 작업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자주식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자주식 작업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주식 작업대차는,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넓이로 구비되는 대차본체와; 상기 대차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본체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주행부와; 상기 대차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와; 상기 대차본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케이지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결합암과;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와 상기 케이지결합암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지와 상기 대차본체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와; 상기 대차본체의 테두리영역에 외측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에 작업자가 탑승했을 때 상기 대차본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향주행부는, 상기 대차본체의 전방 중심영역에 함께 구비된 한 쌍의 전방바퀴와; 상기 대차본체의 후방 양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와; 상기 전방바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방바퀴구동모터와; 상기 전방바퀴구동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방바퀴구동부와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전방바퀴조향부와;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의 회전축이 수용되며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전방바퀴구동모터가 구비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바퀴조향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상면 외주연에 형성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에 기어결합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을 정역회전시키는 조향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는,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와 결합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양측에 상기 대차본체의 길이방향을 향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지결합암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측면암결합관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암결합관의 상하좌우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케이지결합암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네 개의 암가이드롤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는, 상기 대차본체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대차본체와 상기 승강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승강로드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도르레와; 일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를 경유하여 타단은 상기 수평바에 고정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높이변화의 2배만큼 상기 케이지가 이동되도록 상기 케이지를 지지하는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는, 상기 케이지결합암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케이지와; 상기 내부케이지의 외부에 상기 내부케이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케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는 대차본체가 스스로 주행 및 조향이 가능하여 희망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차본체에 구비된 아웃트리거를 접을 수 있어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최소크기로 변환이 가능하여 외벽작업을 희망하는 건물 층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차본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제작되므로, 작업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바퀴구동부에 기어박스와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하여 축방향 하중을 분산하여 저비용으로 안정적인 바퀴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아웃트리거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시 대차본체의 전복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와 케이지높이조절부에 의해 외벽에 대한 케이지의 수평방향 거리와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위치로 작업자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외부케이지가 내부케이지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좌우로 작업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케이지 조립전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케이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케이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조향주행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케이지높이조절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의 케이지의 사용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를 이용해 건물외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1)의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자주식 작업대차(1)를 이용해 케이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1)는 스스로 주행 및 조향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대차본체(100)와, 대차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가 탑승되는 케이지(200)를 포함한다.
자주식 작업대차(1)는 작업 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가 분리되며, 각각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가능한 크기로 구비된다.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는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외벽 작업을 희망하는 건물의 해당층수로 이동되고, 대차본체(100)가 건물외벽으로 스스로 주행하여 이동한 후 케이지(200)와 결합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20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며 케이지(200)에 탑승된 작업자를 건물외벽의 작업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건물의 시공공정에 따라 시공이 완료된 건물 층수로 이동하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케이지(200)에 탑승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차본체(100)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구비되어 베이스(110)가 주행 및 조향되게 하는 조향주행부(120)와, 대차본체(100)의 테두리영역에 절첩되게 구비되어 작업자의 작업시 대차본체(100)가 전복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130)와, 케이지(200)와 결합되는 케이지결합암(140)과, 케이지(200)와 대차본체(100) 사이의 수평거리를 조절하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와, 케이지(200)의 수직높이를 조절하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를 포함한다.
대차본체(100)는 각 구성들을 안전하게 지지한다. 도 4는 대차본체(100)와 조향주행부(12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본체(100)는 좌우 한 쌍의 제1프레임(111)과, 좌우 한 쌍의 제2프레임(113)과, 좌우 한 쌍의 제3프레임(115)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의 일측 단부에는 제1접합판(111a)이 구비되고, 한 쌍의 제2프레임(113)의 양측 단부에는 제2접합판(113a)이 구비되고, 한 쌍의 제3프레임(115)의 일측 단부에는 제3접합판(115a)이 구비된다. 각 접합판들은 서로 맞대게 배치되고,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조립된다.
한 쌍의 제1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제1베이스판넬(112)이 구비되고, 제1베이스판넬(112)에는 조향주행부(120)가 결합된다. 한 쌍의 제2프레임(113)의 상면에는 제2베이스판넬(미도시)이 구비된다. 제2베이스판넬(미도시)의 상면에는 조향주행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114a)와, 케이지높이조절부(160)의 유압실린더(165)로 작동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유압구동부(114b)가 구비된다. 제3프레임(115)에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가 결합된다.
대차본체(100)는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되지 않고, 목적별로 세 개의 프레임으로 구분되어 각각 제조된 후 조립된다. 이에 의해 제작이 용이하고, 현장에서의 가공성과 생산성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발전기(114a)가 구비되어 스스로 전기를 생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상용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곳에서는 상용전원에 전원공급라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조향주행부(120)는 대차본체(100)의 제1베이스판넬(112)에 결합되어 대차본체(100)가 작업자의 희망하는 경로로 스스로 이동될 수 있게 구동력 및 조향력을 제공한다. 조향주행부(120)는 도 4의 (b)는 전방바퀴구동부(122)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주행부(120)는 대차본체(100)의 전방 가운데 영역 하부에 함께 구비된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와, 전방바퀴(121,121a)가 회전되며 주행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공급하는 전방바퀴구동부(122)와,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와 전방바퀴구동부(122)를 서로 결합시키는 기어박스(123)와, 기어박스(123)의 상판(123a)에 접하게 구비되어 기어박스(123)를 회전시켜 전방바퀴(121,121a)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전방바퀴조향부(125)와, 대차본체(100)의 후방 양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1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향주행부(120)는 대차본체(100)의 전방 가운데에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가 함께 모여있고, 후방 양측에 한 쌍의 후방바퀴(127)가 이격되게 모여있다. 즉, 삼륜 형태로 바퀴가 배치되고,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가 전방바퀴구동부(122)에 의해 주행되고 전방바퀴조향부(125)에 의해 조향방향이 조절된다.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의 주행시에 한 쌍의 후방바퀴(127)는 아이들회전되며 이동되게 된다.
전방바퀴구동부(122)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바퀴구동모터(122a)와, 전방바퀴구동모터(122a)의 하부에 구비되는 감속기(122b)와, 감속기(122b)의 양측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회전축(122c)과, 한 쌍의 회전축(122c)에 결합되는 베어링(122d)과, 베어링(122d)과 회전축(122c)을 감싸도록 구비된 베어링하우징(122e)을 포함한다.
여기서, 감속기(122b)는 기어박스(123) 내부에 수용되고, 감속기(122b)의 상부에 전방바퀴구동모터(122a)가 구비된다. 기어박스(123)의 양측으로 회전축(122c)이 돌출되고, 돌출된 회전축(122c)에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가 결합된다.
이 때, 축하중이 베어링(122d)과 회전축(122c) 및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베어링(122d)과 기어박스(123) 사이에 베어링하우징(122e)이 결합된다. 베어링하우징(122e)은 기어박스(123)와 함께 축방향 하중을 분산시켜 고가의 드라이빙 모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가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23)의 상판(123a)은 원판 형태로 구비되며, 상판(123a)의 외주연에는 라체트 형식의 링기어(125a)가 구비된다.
전방바퀴조향부(125)는 상판(123a)의 외주연에 구비된 링기어(125a)와, 링기어(125a)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125c)과, 피니언(125c)을 구동시키는 조향모터(125b)를 포함한다.
조향모터(125b)는 리모컨과 같은 입력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정역회전된다. 조향모터(125b)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125c)이 회전되면, 피니언(125c)에 외접되게 맞물린 링기어(125a)가 회전되며 기어박스(123) 전체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기어박스(123)에 결합된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와 전방바퀴구동부(122)가 함께 회전되며, 전방바퀴(121,121a)의 조향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아웃트리거(130)는 대차본체(100)의 테두리영역에 절첩가능하게 구비된다. 아웃트리거(130)는 대차본체(100)가 이동해야할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본체(100)에 접혀지고, 외벽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케이지(200)에 탑승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본체(100)로부터 펼쳐져 대차본체(100)의 전복을 방지한다.
아웃트리거(130)는 대차본체(100)의 네 모서리 영역에 네 개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각 아웃트리거(130)는 일정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트리거암(131)과, 트리거암(131)을 대차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암브래킷(132)과, 암브래킷(132)과 트리거암(131)을 결합시키는 회동축(133)과, 트리거암(131)의 단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지지레그(135)를 포함한다.
암브래킷(132)은 대차본체(100)의 프레임(111,115)들에 고정결합되고, 회동축(133)이 트리거암(131)을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지지한다. 이에 의해 트리거암(131)이 회동축(13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트리거암(131)은 회동축(133)을 중심으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해 대차본체(100)에 대해 펼지거나 접혀진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트리거암(131)의 단부를 손으로 잡고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암(131)을 펼칠 수 있다.
지지레그(135)는 트리거암(131)의 단부에 구비되며, 각 층의 바닥에 접촉되어 대차본체(100)가 전복되지 않도록 수직방향 하중을 작용하게 된다. 지지레그(135)는 트리거암(131)의 단부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케이지결합암(140)은 케이지(2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결합암(140)은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의 측면암결합관(153)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로 이동되며 선단에 케이지(200)가 결합된다.
케이지결합암(140)은 연결바(145)를 매개로 하여 케이지(200)와 결합된다. 케이지결합암(140)의 선단에는 연결바체결공(143)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이동제한턱(141)이 형성된다. 연결바(145)의 하단에는 하부결합공(145a)이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부결합공(145b)이 형성된다. 연결바(145)의 상단은 케이지결합암(140)의 선단 내부로 삽입되고, 볼트가 연결바체결공(143)과 상부결합공(145b)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연결바(145)의 하단은 케이지(200)의 결합고리(212)에 끼워지고, 볼트에 의해 하부결합공(145a)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결합암(140)에 케이지(200)가 결합된다.
케이지결합암(140)은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의 측면암결합관(153)에 전후로 이동된다. 이 때, 케이지결합암(140)이 측면암결합관(15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후단에 이동제한턱(141)이 측면암결합관(153) 보다 크게 형성된다.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는 케이지결합암(140)을 전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케이지(200)와 대차본체(10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고, 케이지(200)가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케이지높이조절부(160)에 결합된다.
도 5의 (a)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151)와, 수평바(151)의 양측에 케이지결합암(140)의 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내부에 케이지결합암(140)이 끼워지는 측면암결합관(153)과, 측면암결합관(153)에 끼워진 케이지결합암(140)의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핑수단(155)을 포함한다.
수평바(151)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의 승강프레임(163)에 결합되어 승강프레임(163)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승강프레임(163)의 높이변화가 케이지결합암(140)과 이에 결합된 케이지(200)에 전달되게 한다.
수평바(151)에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결합프레임(151a)이 돌출되게 구비되고, 가이드롤러결합프레임(151a)에는 가이드롤러(152)가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롤러결합프레임(151a)과 가이드롤러(152) 사이에는 가이드롤러(15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152a)이 구비된다.
가이드롤러(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163)의 내측에 끼워져 승강프레임(163)을 따라 회전하며 수평바(151)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한 쌍의 가이드롤러결합프레임(151a) 사이에는 하부로프결합부재(151b)가 구비된다. 하부로프결합부재(151b)에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의 로프(167)의 하단이 결합되어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를 상하로 견인하여 높이가 조절되게 한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측면암결합관(153)은 케이지결합암(14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부에 케이지결합암(140)이 전후 이동가능하게 수용된다. 이 때, 측면암결합관(153)의 전단 및 후단에는 케이지결합암(14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암가이드롤러(153a,153b,153c,153d)가 구비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암결합관(153)의 상하좌우에 각각 상부암가이드롤러(153a), 하부암가이드롤러(153d), 좌측암가이드롤러(153b) 및 우측암가이드롤러(153c)가 구비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케이지결합암(140)의 네 면을 접촉하며 전후 이동을 안내하고, 케이지결합암(140)이 편심되지 않고 직선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클램핑수단(155)은 측면암결합관(153)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된 케이지결합암(140)의 위치를 고정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W1,W2) 공사를 할 때, 작업종류와 외벽(W1,W2)의 두께에 따라 케이지(200)에 탑승한 작업자와 외벽(W1,W2)까지의 거리를 조절해야한다.
이를 위해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가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와의 수평거리(W)를 조절한다. 작업자는 클램핑수단(155)을 풀고, 케이지결합암(140)을 측면암결합관(153)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케이지(200)가 희망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수평거리를 조절한다.
수평거리의 조절이 완료되면, 클램핑수단(155)을 조여 측면암결합관(153)에 케이지결합암(14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케이지높이조절부(160)는 케이지(20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여, 케이지(200)에 탑승한 작업자가 희망하는 건물외벽의 작업위치로 정확하게 위치하게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4층(F4)에서 외벽공사 작업을 할 때, 외벽(W1)의 높이에 따라 케이지(200)의 높이가 조절되어야 한다.
케이지높이조절부(160)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이에 결합된 케이지결합암(140)과 케이지(200)의 높이가 함께 조절되게 한다.
도 2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에 결합된 케이지(200)가 제일 낮은 위치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제일 높은 위치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의 (a)는 케이지(200)가 제일 높은 위치로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제일 낮은 위치로 조절된 측면도이고, 도 6의 (c)는 제일 높은 위치로 조절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높이조절부(160)는 대차본체(100)에 고정결합된 수직프레임(161)과, 수직프레임(161)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된 수평프레임(162)과, 수직프레임(161)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승강프레임(163)과, 승강프레임(163)의 높이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165)와, 승강프레임(163)의 높이변화의 2배만큼 케이지(200)의 높이가 변화되도록 지지하는 로프(167)를 포함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161)은 대차본체(100)의 제3프레임(115)의 상면 양측에 수직하게 고정결합된다. 수평프레임(162)은 수직프레임(161)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어 수직프레임(161)을 지지한다. 수직프레임(161)의 강도 보강을 위해 수직프레임(161)의 후방에는 보강프레임(164)이 사선방향으로 구비된다.
수직프레임(161)의 내측에는 승강프레임(163)의 양측에 형성된 승강롤러(163a)의 이동을 안내하는 롤러이동레일(161a)이 형성된다. 수평프레임(162)에는 로프(167)의 상단이 고정결합되는 상부로프결합부재(162a)가 구비된다.
승강프레임(163)은 한 쌍의 수직프레임(161) 내측에 맞닿게 배치되어 수직프레임(161)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승강프레임(163)의 양측에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승강롤러(163a)가 구비되어 승강프레임(16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유압실린더(165)는 승강프레임(163)이 상하로 이동되게 한다. 유압실린더(165)는 유압구동부(114b)로부터 작동유체를 유출입받아 승강로드(165a)의 높이를 조절한다. 승강로드(165a)의 상단은 승강프레임(163)의 상단에 고정된다. 승강로드(165a)의 높이가 조절되면, 승강로드(165a)에 고정된 승강프레임(163)도 함께 상하 이동된다.
승강로드(165a)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도르레프레임(165b)이 고정결합되고, 도르레프레임(165b)의 양단에는 한 쌍의 도르레(166)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르레(166)에는 한 쌍의 로프(167)가 결합된다.
로프(167)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수평프레임(162)의 상부로프결합부재(162a)에 결합되고, 도르레(166)를 경유한 후 타단은 수평바(151)의 하부로프결합부재(151b)에 고정된다. 도르레(166)가 도르레프레임(165b)에 의해 승강로드(165a)의 상하이동에 연동하여 함께 이동되고, 이에 의해 로프(167)가 도르레(16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로프(167)는 고정된 상부로프결합부재(162a)와 이동가능한 하부로프결합부재(151b)에 결합되어 서로 도르레(166)를 중심으로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승강로드(165a)가 최대상승될 때, 로프(167)가 뒷쪽으로 이동되며 수평바(151)를 상부로 견인하게 되므로 승강로드(165a)의 최대 상승높이(h1)에 비해 두 배의 높이(h2) 만큼 수평바(151)가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압실린더(165)와 로프(167)의 동작에 의해 케이지(200)의 높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케이지(200)는 대차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작업자를 탑승시켜 안전하게 외벽작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도 7은 케이지(200)의 작업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케이지(200)는 내부케이지(210)와 외부케이지(220)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지(210)와 외부케이지(220)가 중첩되게 결합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지(220)가 내부케이지(210)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좌우 폭을 확장할 수 있다.
내부케이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결합암(140)에 고정결합되고, 외부케이지(220)는 내부케이지(210)에 대해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작업자의 활동범위를 확장시킨다.
내부케이지(21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개방형성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케이지(220)의 결합방향에 따라 좌우 양측 중 어느 한 쪽에 난간(211,224)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내부케이지(210)의 양측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내부난간고정브라켓(213)이 구비된다. 내부난간고정브라켓(213)에는 우측난간(211) 또는 좌측난간(224)이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내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내부난간고정브라켓(213)은 내부에 우측난간(211) 또는 좌측난간(224)이 끼워진 후, 볼트에 의해 체결된다.
내부케이지(210)의 상부에는 한 쌍의 외부케이지안내바(2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외부케이지안내바(214)의 상단에는 복수개의 결합고리(212)가 돌출형성된다. 결합고리(2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45)가 끼워진다. 결합고리(212)는 연결바(145)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연결바(145)는 결합고리(212) 사이에 끼워진 후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외부케이지안내바(214)의 상부 측면에는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와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와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는 외부케이지(220)가 내부케이지(210)를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안내한다.
도 7의 (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와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는 외부케이지(220)의 상부이동바(221)의 높이에 대응되게 이격되어 상부이동바(221)의 상하와 접촉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부이동바(221)가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와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와 접촉된 상태로 전후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의 제1가이드롤러축(215a)과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의 제2가이드롤러축(216a)은 각각 내측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와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가 상부이동바(221)와의 접촉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케이지(200)에 탑승한 상태로 작업할 때, 케이지(200)가 출렁거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내부케이지(210)의 하부 양측에는 스토퍼브라켓(217a,217b)이 구비된다. 스토퍼브라켓(217a,217b)은 외부케이지(220)가 이동할 때, 외부케이지(220)의 스토퍼핀(225a,225b)과 접촉되어 외부케이지(220)의 최대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케이지(220)는 내부케이지(210)의 외부에 구비되어 내부케이지(210)를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 작업자의 수평방향 이동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외부케이지(22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지(210)의 왼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지(210)의 오른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어 작업자의 이동폭이 내부케이지(210)에 비해 세배만큼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부케이지(220)는 양측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외부케이지(220)의 양측에도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외부난간고정브라켓(223)이 구비된다. 외부난간고정브라켓(223)에는 좌측난간(224) 또는 우측난간(211)이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우측난간(211)과 좌측난간(224)에는 각각 내부난간고정브라켓(213)과 외부난간고정브라켓(223)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결합공(211a,224a), 외측결합공(211b,224b)가 각각 구비된다. 우측난간(211)과 좌측난간(224)이 내부난간고정브라켓(213)에 결합될 때는 내측결합공에 볼트가 체결되고, 우측난간(211)과 좌측난간(224)이 외부난간고정브라켓(223)에 결합될 때는 외측결합공에 볼트가 체결된다.
외부케이지(220)의 상부에는 상부이동바(221)가 외부케이지안내바(214)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도 8의 (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지(210)와 외부케이지(22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이격간격 사이에 상부이동바(221)가 배치된다. 이 때, 상부이동바(2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215)와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216)가 배치되어 상부이동바(221)의 직선 이동을 안내한다.
외부케이지(22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스토퍼핀(225a,225b)이 각각 구비된다. 한 쌍의 스토퍼핀(225a,225b)은 외부케이지(220)의 이동방향에 따라 대응되는 스토퍼브라켓(217a,217b)에 접촉되어 외부케이지(220)의 최대 이동위치를 제한한다.
케이지(20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케이지(210)와 외부케이지(220)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다. 이 때,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외부케이지(220)의 폭은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폭으로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 작업을 위해 케이지(200)가 대차본체(100)에 결합될 때는 작업자의 작업편의를 위해 외부케이지(220)를 내부케이지(21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시켜 작업공간을 확장시킨다.
이 때,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지(220)을 내부케이지(210)의 왼편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케이지(210)의 오른쪽에 위치한 내부난간고정브라켓(213)에 우측난간(211)을 결합시키고, 내부케이지(210)의 왼쪽을 개방한다.
그리고, 외부케이지(220)는 오른쪽을 개방하고, 왼쪽의 외부난간고정브라켓(223)에 좌측난간(224)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외부케이지(220)를 왼쪽으로 가압하여 외부케이지(220)를 내부케이지(210)의 왼쪽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외부케이지(220)를 최대한 이동시키면,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토퍼브라켓(217a,217b)에 제2스토퍼핀(225a,225b)이 맞닿으며 더 이상 외부케이지(220)의 이동이 제한된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지(220)를 내부케이지(210)의 오른편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좌측난간(224)과 우측난간(211)의 위치를 앞서와 반대로 결합시킨다. 즉, 내부케이지(210)의 좌측에 좌측난간(224)을 결합시키고, 외부케이지(220)의 우측에 우측난간(211)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외부케이지(220)를 내부케이지(210)의 우측으로 밀면, 제2스토퍼브라켓(217b)에 제1스토퍼핀(225a)가 맞닿으며 외부케이지(2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1)를 이용한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 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는 각각 최소 부피로 접혀진 상태로 보관 및 이동된다. 즉, 대차본체(100)는 아웃트리거(130)를 접고, 승강프레임(163)을 하강시킨 상태로 이동되고, 케이지(200)는 외부케이지(220)와 내부케이지(210)가 서로 중첩되게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외벽공사를 진행할 건물의 층으로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를 각각 이동시킨다. 대차본체(100)는 작업자가 리모컨 등을 이용해 전방바퀴구동모터(122a)와 조향모터(125b)를 구동하여 대차본체(100)를 스스로 이동시켜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탑승시키고, 해당 층수의 외벽까지 대차본체(100)를 이동시킨다.
외부케이지(220)의 하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스위블 가능한 이동바퀴가 구비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서로 중첩된 상태의 외부케이지(220)를 밀어 케이지(200)를 용이하게 해당 층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외벽 작업이 진행될 층수에서 작업자는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를 서로 결합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45)를 이용해 케이지결합암(140)과 내부케이지(210)를 서로 결합시킨다.
그리고, 복수개의 아웃트리거(130)를 수동으로 가압하여 대차본체(100)로부터 펼치고 지면에 지지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케이지(200)에 탑승했을 때, 외벽(W1)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케이지(200)의 수평방향 위치를 조절한다. 작업자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의 클램핑수단(155)을 풀고, 케이지결합암(140)을 전후로 이동시켜 적절한 수평거리에 케이지(200)가 위치되게 한다. 그리고, 클램핑수단(155)을 고정하여 케이지결합암(140)의 위치를 고정한다.
수평방향 위치가 조절되면, 케이지(200)의 수직방향 높이를 조절한다. 작업자는 유압구동부(114b)를 구동시켜 유압실린더(165)의 승강로드(165a)의 높이를 조절하고, 케이지(2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작업할 외벽(W1)에 팔이 용이하게 닿게 위치된다.
이 때, 작업할 외벽의 폭을 고려하여 외부케이지(220)를 내부케이지(210)의 오른쪽 도는 왼쪽으로 밀어 작업공간을 추가로 확보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할 층의 외벽 작업이 완료되면, 앞서의 역순으로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의 상태를 분리하고, 다음 작업할 층으로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대차본체(100)와 케이지(200)를 다시 이동시킨 후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케이지(200)의 둘레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 재료는 벤즈트리아졸 15중량%,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25중량%, 하프늄 20중량%, 유화몰리브덴(MoS2) 10중량%, 산화티타늄(TiO2) 15중량%,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 15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형성할 수 있다.
벤즈트리아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페놀 노블락형 글리시딜에테르는 부식 방지 및 변색 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유화몰리브덴은 코팅피막의 표면에 습동성과 윤활성 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티타늅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 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케이지결합암(140)의 둘레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과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케이지결합암(140)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메르캅토벤조씨아졸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케이지결합암(140)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케이지결합암(140)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지결합암(140)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메르캅토벤조씨아졸 0.1 몰 및 아미도알킬 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압실린더(165) 내부의 피스톤에는 고무재의 피스톤링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피스통링의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레소르시놀 수지 5중량%, 헥사메톡시메틸 델라민 4중량%, 카아본블랙 21중량%, 산화방지제 6중량%, 촉진제인 유황 4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21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21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21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6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6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6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6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4중량%를 혼합한다. 4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4 중량%를 첨가한다. 4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4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피스통링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피스톤링의 수명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주식 작업대차는 대차본체가 스스로 주행 및 조향이 가능하여 희망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차본체에 구비된 아웃트리거를 접을 수 있어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최소크기로 변환이 가능하여 외벽작업을 희망하는 건물 층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차본체는 복수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제작되므로, 작업편의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방바퀴구동부에 기어박스와 베어링하우징을 구비하여 축방향 하중을 분산하여 저비용으로 안정적인 바퀴 구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아웃트리거가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시 대차본체의 전복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그리고,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와 케이지높이조절부에 의해 외벽에 대한 케이지의 수평방향 거리와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위치로 작업자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외부케이지가 내부케이지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좌우로 작업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자주식 작업대차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자주식 작업대차 100 : 대차본체
110 : 베이스 111 : 제1프레임
111a : 제1접합판 112 : 제1베이스판넬
113 : 제2프레임 113a : 제2접합판
114a : 발전기 114b : 유압구동부
115 : 제3프레임 115a : 제3접합판
116 : 제3베이스판넬 120 : 조향주행부
121,121a : 전방바퀴 122 : 전방바퀴구동부
122a : 전방바퀴구동모터 122b : 감속기
122c : 회전축 122d : 베어링
122e : 베어링하우징 123 : 기어박스
123a : 상판 125 : 전방바퀴조향부
125a : 링기어 125b : 조향모터
125c : 피니언기어 127 : 후방바퀴
127a : 후방바퀴축 130 : 아웃트리거
131 : 트리거암 132 : 암브래킷
133 : 회동축 135 : 지지레그
140 : 케이지결합암 141 : 이동제한턱
143 : 연결바체결공 145 : 연결바
145a : 하부결합공 145b : 상부결합공
150 :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 151 : 수평바
151a : 가이드롤러결합프레임 151b : 하부로프결합부재
152 : 가이드롤러 152a : 지지판
153 : 측면암결합관 153a : 상부암가이드롤러
153b : 좌측암가이드롤러 153c : 우측암가이드롤러
153d : 하부암가이드롤러 155 : 클램핑수단
160 : 케이지높이조절부 161 : 수직프레임
161a : 롤러이동레일 162 : 수평프레임
162a : 상부로프결합부재 163 : 승강프레임
163a : 승강롤러 164 : 보강프레임
165 : 유압실린더 165a : 승강로드
165b : 도르레프레임 166 : 도르레
167 : 로프 200 : 케이지
210 : 내부케이지 211 : 우측난간
211a : 내측결합공 211b : 외측결합공
212 : 결합고리 213 : 내부난간고정브라켓
214 : 외부케이지안내바 215 : 상부케이지가이드롤러
215a : 제1가이드롤러축 216 : 하부케이지가이드롤러
216a : 제2가이드롤러축 217a,b : 스토퍼브라켓
220 : 외부케이지 221 : 상부이동바
223 : 외부난간고정브라켓 224 : 좌측난간
225a,b : 스토퍼핀

Claims (5)

  1.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넓이로 구비되는 대차본체(100)와;
    상기 대차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본체(100)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주행부(120)와;
    상기 대차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200)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0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상기 케이지(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결합암(140)과;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상기 케이지결합암(14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지(200)와 상기 대차본체(100)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테두리영역에 외측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00)에 작업자가 탑승했을 때 상기 대차본체(1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1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는,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결합되는 수평바(151)와;
    상기 수평바(151)의 양측에 상기 대차본체(100)의 길이방향을 향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케이지결합암(14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측면암결합관(153)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면암결합관(153)의 상하좌우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케이지결합암(1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네 개의 암가이드롤러(153a,153b,153c,153d)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주행부(120)는,
    상기 대차본체(100)의 전방측 중심영역에 함께 구비된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후방측 양측에 이격되게 구비되며 아이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127)와;
    상기 전방바퀴(121,121a)의 상부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로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방바퀴구동모터(122a)와, 전방바퀴구동모터(122a) 및 전방바퀴(121,121a) 사이에 연결되어서 전방바퀴구동모터(122a)의 회전동력을 전방바퀴(121,121a)에 전달하는 감속기(122b)를 포함하는 전방바퀴구동부(122)와;
    전방바퀴구동부(122) 및 전방바퀴(121,121a)에 연결되어서 전방바퀴구동부(122) 및 전방바퀴(121,121a)의 주행방향을 조절하는 전방바퀴조향부(125)와;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의 회전축(122c)이 수용되며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전방바퀴(121,121a)가 결합되며, 상면에 상기 전방바퀴구동모터(122a)가 구비되는 기어박스(123)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바퀴조향부(125)는,
    상기 기어박스(123)의 상면 외주연에 형성된 링기어(125a)와;
    상기 링기어(125a)에 기어결합하는 피니언(125c)과;
    상기 피니언(125c)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125c)을 정역회전시키는 조향모터(12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3. 삭제
  4.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넓이로 구비되는 대차본체(100)와;
    상기 대차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본체(100)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주행부(120)와;
    상기 대차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200)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0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상기 케이지(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결합암(140)과;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상기 케이지결합암(14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지(200)와 상기 대차본체(100)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테두리영역에 외측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00)에 작업자가 탑승했을 때 상기 대차본체(1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1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160)는,
    상기 대차본체(100)의 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16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61)의 후방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62)과;
    상기 수직프레임(161)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프레임(163)과;
    상기 대차본체(100)와 상기 승강프레임(16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163)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유압실린더(165)와;
    상기 유압실린더(165)의 승강로드(165a)에 고정결합되는 한 쌍의 도르레(166)와;
    일단은 상기 수평프레임(162)에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166)를 경유하여 타단은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에 고정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65)의 높이변화의 2배만큼 상기 케이지(200)가 이동되도록 하는 로프(1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5. 공사용 리프트 및 엘리베이터에 적재될 수 있는 넓이로 구비되는 대차본체(100)와;
    상기 대차본체(100)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본체(100)가 스스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력을 제공하는 조향주행부(120)와;
    상기 대차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케이지(200)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00)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상기 케이지(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지결합암(140)과;
    상기 케이지높이조절부(160)와 상기 케이지결합암(14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케이지(200)와 상기 대차본체(100)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을 조절하는 케이지수평거리조절부(150)와;
    상기 대차본체(100)의 테두리영역에 외측을 향해 절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지(200)에 작업자가 탑승했을 때 상기 대차본체(1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아웃트리거(13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200)는,
    상기 케이지결합암(14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내부케이지(210)와;
    상기 내부케이지(210)의 외부에 상기 내부케이지(210)를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케이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KR1020200026612A 2020-03-03 2020-03-03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KR10215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12A KR102159964B1 (ko) 2020-03-03 2020-03-03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612A KR102159964B1 (ko) 2020-03-03 2020-03-03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964B1 true KR102159964B1 (ko) 2020-09-28

Family

ID=7280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12A KR102159964B1 (ko) 2020-03-03 2020-03-03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6203A (zh) * 2022-08-19 2022-09-30 中交四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应用于房屋建造的搭载架及使用方法
KR20230060164A (ko) * 2021-10-27 2023-05-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용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69U (ko) 1994-06-27 1996-01-22 전자레인지의 무조정 래치
KR19980028167U (ko) * 1996-11-21 1998-08-05 강경호 지게차량의 조향장치
KR20110002524A (ko) 2009-07-02 2011-01-10 이병영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JP2017008573A (ja) * 2015-06-22 2017-01-12 植田基工株式会社 基礎杭の造成方法
KR20170090075A (ko) * 2016-01-28 2017-08-07 (주)씨앤씨테크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69U (ko) 1994-06-27 1996-01-22 전자레인지의 무조정 래치
KR19980028167U (ko) * 1996-11-21 1998-08-05 강경호 지게차량의 조향장치
KR20110002524A (ko) 2009-07-02 2011-01-10 이병영 외벽마감공사용 작업대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JP2017008573A (ja) * 2015-06-22 2017-01-12 植田基工株式会社 基礎杭の造成方法
KR20170090075A (ko) * 2016-01-28 2017-08-07 (주)씨앤씨테크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0164A (ko) * 2021-10-27 2023-05-04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용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방법
KR102586567B1 (ko) 2021-10-27 2023-10-1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탐색기용 체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결 방법
CN115126203A (zh) * 2022-08-19 2022-09-30 中交四公局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应用于房屋建造的搭载架及使用方法
CN115126203B (zh) * 2022-08-19 2023-12-05 中交建筑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应用于房屋建造的搭载架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964B1 (ko)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US9255416B1 (en) Construction hoist system
CN105000482B (zh) 带行走机构的塔吊
US10106995B2 (en) Deck for use in construction
US10934727B2 (en) Deck hoist and basket for use in construction
CN202672753U (zh) 一种幕墙组装、翻转、起吊设备
WO2017020538A1 (zh) 塔吊
CN105016223A (zh) 用于塔吊的横梁支撑系统
CN204980946U (zh) 带行走机构的塔吊
CN107882581B (zh) 一种自动平台式防水板铺设台车
CN102070097A (zh) 一种自由移动门座塔式起重机
CN209306480U (zh) 全自动伸缩式上料平台
CN108560510B (zh) 一种水电站中表流道可移动检修平台
CN201864496U (zh) 一种自由移动门座塔式起重机
CN204823919U (zh) 塔吊
CN110512869A (zh) 新型多功能切墙钻孔开槽及材料提升一体机
CN204848050U (zh) 用于塔吊的横梁支撑系统
CN103264978B (zh) 吊式作业车
CN204938802U (zh) 用于塔吊的轨道支撑系统
CN110671136A (zh) 一种方便作业的轨行式防水板台车
CN214939299U (zh) 移动式悬挂作业平台
CN209654054U (zh) 一种铁路隧道二衬施工用作业机
CN206110628U (zh) 一种移动式升降机
JPH0319567Y2 (ko)
CN110761813A (zh) 一种能自动上料的防水板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