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0075A -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0075A
KR20170090075A KR1020160010480A KR20160010480A KR20170090075A KR 20170090075 A KR20170090075 A KR 20170090075A KR 1020160010480 A KR1020160010480 A KR 1020160010480A KR 20160010480 A KR20160010480 A KR 20160010480A KR 20170090075 A KR20170090075 A KR 2017009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rame
coupled
inclination angle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592B1 (ko
Inventor
조동주
양동욱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테크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테크, 재단법인 자동차융합기술원 filed Critical (주)씨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60010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4Devices for picking apples or like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는 차체(110); 상기 차체(1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궤도(120); 상기 차체(110) 상에 듀얼 링키지 타입으로 회전 구동하는 인출식 로딩 모듈(130);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의 전방 상에 결합되는 경사각 조절 모듈(140);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모듈(150); 및 상기 승강 모듈(150)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대(16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 및 승강 모듈(150)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16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160)의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High-place working apparatus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수평 경사각을 조절하고, 붐형 리프트와 시저스 리프트의 형상을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넓은 플랫폼을 형성하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의 경우에 과수원 작업용 리프트의 개발이 활성화되지 않아 수작업에 의존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과수 작업의 특성상 사람의 키를 넘어서는 작업이 대부분인 관계로 작업의 생산성이 매우 낮게 된다. 이에 따라 고소 작업용 장치를 도입하여 운용하게 된다.
고소 작업용 장치는 그 종류에 따라 견인식 리프트, 붐식 리프트 및 수직형 리프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견인식 리프트는 과수 작업용 리프트 종류 중 가장 원시적인 기술의 리프트로써 해당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렉터 등 별도 동력원을 가진 운반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견인식 리프트의 경우는 트렉터에 의한 견인이 기본이므로 주간 간격이 넓은 과수원에서 사용 가능하며 회전 반경이 매우 크게 된다. 또한, 작업 인원을 제외하고 트렉터를 운전하는 운전원이 별도로 필요하여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자주식 작업차량이 아님에 따라 다양한 작업을 하거나 경사지 작업을 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붐식 리프트는 1인승으로서 소형 차체를 기본으로 하고 있고 소규모 농가에 적합한 형태지만 과수 농업의 특성상 일시에 대량의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어 최근에는 보급 대수가 미미한 수준이다. 붐식 리프트는 수직형 리프트에 비해 저렴한 편이나 단일 작업만 하는 장비로써 가격 대비해서 매우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붐식 리프트는 선진국에 비하여 고장력강의 사용이 제한적이어서 붐 및 하부 구조물의 강성이 매우 떨어져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상부의 작업대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좋지 않은 구조이다. 또한, 1인승으로서 작업 중 많은 이동이 필요한 구조이고, 단일 형상의 붐을 적용함으로써 붐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되고 단일 용도의 작업기로써 비용 대비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수직형 리프트는 다인승으로 대규모 작업을 위한 장비로 개발되어 보급되어 왔으나 최근 고장률 급증에 따른 고객 불만과 안전사고 건수가 급증하고 있어 보완이 시급하다. 단일 용도의 제품임을 감안하면 자체 중량이 높아 기동성이 떨어지고, 무게중심이 높은 구조로 인하여 매우 불안정한 구조일 수 있다.
수직형 리프트는 붐형 리프트에 비하여 대량의 작업이 가능할 수 있으나 단일 목적용 장비임에 따라 경제성이 떨어지고, 시저스 방식의 수직형 리프트의 경우 무게 중심을 낮추기 어려워 운행시에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상존한다.
또한, 상부 구조물 중 시저 리프트 부분의 중량이 과도하여 불안한 구조이고, 하나의 장비를 가지고 단일 작업만 가능하여 비용 대비 효율이 크지 않다. 더불어, 지면과의 경사각 발생시에 전복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고, 장비 자체의 사이즈를 줄이기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수목 간의 거리가 좁은 과수원의 경우에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과수원용 리프트들은 붐형 및 시저 리프트형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과수원용 리프트는 종류별로 그 한계가 있는 것과 동시에 작업 간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고소 작업용 장비를 개시한 종래의 문헌으로는 등록특허 제10-1248639호 및 제10-1200204호 등을 들 수 있는데, 상기 문헌들은 농업용 또는 과수 작업용 고소 작업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리프트의 상승 구조를 Z자형 및 다단형으로 제공함으로써 고소 작업의 안정성을 기하게 한다는 내용을 기술한다.
(특허문헌 1) KR 10-1248639 B
(특허문헌 2) KR 10-1200204 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경사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수평 경사각을 조절하고, 붐형 리프트와 시저스 리프트의 형상을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넓은 플랫폼을 형성하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는 차체(110); 상기 차체(1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궤도(120); 상기 차체(110) 상에 듀얼 링키지 타입으로 회전 구동하는 인출식 로딩 모듈(130);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의 전방 상에 결합되는 경사각 조절 모듈(140);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모듈(150); 및 상기 승강 모듈(150)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대(16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 및 승강 모듈(150)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16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160)의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은, 상기 차체(110)의 측면 상에 그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메인 로딩 프레임(131), 상기 메인 로딩 프레임(131) 내부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로딩 프레임(132), 상기 서브 로딩 프레임(132)의 전단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 프레임(133), 상기 한쌍의 결합 프레임(133)을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봉(134) 및 상기 결합 프레임(133)의 외측 끝단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136)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은,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 상기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의 후면 중앙에 결합되는 로테이터(142), 상기 로테이터(142)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는 한쌍이 상기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의 후면 양측으로부터 상기 승강 모듈(15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구동한다.
상기 승강 모듈(150)은, 한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51),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52), 상기 가이드 레일(1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153), 상기 승강 프레임(153)과 수평 프레임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프레임(153)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이송용 실린더(154),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상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작업대 고정 플랜지(155)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는 상기 승강 프레임(153)과 상기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 사이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져 유압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 각도를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는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다양한 과수작업에 여러명이 좌우로 탑승하여 작업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기존에 국내 농업분야의 경우에는 하나의 장비로 단일 역할을 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리프트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
기존의 경사각 조절방식은 작업대의 하부 또는 상부 작업대의 전방향에 설치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매우 불안한 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사각 조절방식은 궤도 구동부를 제외한 전체 구조물에 의한 각도교정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경사각 조절모듈을 작업대의 후방 하부에 위치하게 하여 로딩 모듈과의 착탈 및 경사각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좌우 1쌍의 실린더를 사용하여 소형화하면서도 안전성을 갖게 한다.
즉, 작업대 자체의 측면 경사각 교정 기능을 부여하여 작업대 자체의 측면경사각 교정 가능 각도를 좌우 각 20도로 설정함으로써 국내 최대 사양으로서의 효과를 낸다. 또한, 장비 전체를 교정하는 경우에는 무게 중심이 높아져 안정도가 떨어질 수 있으나, 작업대 자체 만을 수평각을 유지하는 구조로써 매우 안정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대 자체의 상하조절기능을 부여하여 짧은 거리의 상하이송은 장비 전체가 움직이지 않아도 됨에 따라 매우 효과적이고 빠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작업대의 좌우 인출을 통해 작업 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유압실린더 또는 복잡한 체인 시스템 등을 탈피하고 12V DC 전원 모터 방식의 일체형 렉 앤 피니언 방식을 적용하여 구동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중량을 줄여 무게 중심을 낮추어 안정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의 일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의 다른 방향에서의 사시도,
도 3은 작업대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작업대 상에 승강 모듈 및 경사각 조절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승강 모듈 및 경사각 조절 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경사각 조절 모듈 상에서 승강 모듈이 하강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인출식 로딩 모듈을 통해 작업대 위치의 변동 과정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인출식 로딩 모듈을 보이는 도면, 및
도 9는 작업대에 내장된 확장부가 좌우로 슬라이딩 구동하는 형태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를 설명한다.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는 차체(110), 차체(1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궤도(120), 차체(110) 상에 듀얼 링키지 타입으로 회전 구동하는 인출식 로딩 모듈(130), 인출식 로딩 모듈(130)의 전방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사각 조절 모듈(140), 경사각 조절 모듈(140)에 고정되는 승강 모듈(150) 및 승강 모듈(150)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대(160)를 포함한다.
인출식 로딩 모듈(130)은 차체(110)의 측면 상에 그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메인 로딩 프레임(131), 메인 로딩 프레임(131) 내부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로딩 프레임(132), 서브 로딩 프레임(132)의 전단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 프레임(133), 한쌍의 결합 프레임(133)을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봉(134), 한쌍의 메인 로딩 프레임(131)의 전단에 결합되는 동시에 한쌍의 메인 로딩 프레임(131) 간을 연결하는 구조의 프레임 연결 플레이트(135) 및 결합 프레임(133)의 외측 끝단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브라켓(136)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160)를 연결하여 상승하게 하는 인출식 로딩 모듈(130)은 메인 로딩 프레임(131)과 서브 로딩 프레임(132)을 포함하는 다단식 로더를 좌우에 설치하는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측면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소형 장비의 작업 높이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160) 자체의 상하조절기능을 부여하여 짧은 거리의 상하이송은 장비 전체가 움직이지 않아도 됨에 따라 매우 효과적이고 빠른 작업이 가능하다.
종래의 붐대 방식의 고소 작업차는 중앙에 배치되는 1단식 붐을 적용하는 반면에, 본 발명은 좌우에 2세트의 다단식 붐을 적용하여 좌우 무게 배분이 뛰어난 성능을 지니도록 한다. 다단식 붐을 구성하는 로딩 프레임의 재질은 AT60/AT80 고장력 강재일 수 있다. 인출식 로딩 모듈(130)은 Multi-torch 자동 용접 방식에 의한 붐 용접 제작방식을 제조할 수 있다.
인출식 로딩 모듈(130)의 인출은 내부의 유압실린더가 좌우 각 1세트씩 배치되는 직접 인출방식일 수 있다.
경사각 조절 모듈(140)은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의 후면 중앙에 결합되는 로테이터(142), 로테이터(142)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을 포함한다.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는 한쌍이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의 후면 양측으로부터 승강 모듈(15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승강 모듈(150)의 승강 프레임(153)과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 사이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조절 실린더(143)에 가해지는 유압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서 로테이터(142)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게 한다.
본 발명은 경사각 조절 모듈(140)을 통해 작업대(160)의 자체의 측면 경사각 교정기능을 부여하게 한다. 작업대(160) 자체의 측면경사각 교정 가능 각도는 좌우 각각 20도로써 국내 최대 사양일 수 있다.
한편, 종래의 경우에는 장비 전체가 교정되는 경우에 무게 중심이 높아져 안정도가 떨어지나, 본 발명을 이용한 사양의 경우에는 작업대(160) 자체만을 수평각을 유지하게 하는 구조로써 매우 안정적이다.
승강 모듈(150)은 외부의 틀을 구성하는 이격 형성되는 한쌍의 수직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51),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52), 가이드 레일(1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153), 승강 프레임(153)과 수평 프레임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프레임(153)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이송용 실린더(154), 베이스 프레임(151)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상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작업대 고정 플랜지(15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승강 모듈(150)을 통해 작업대(160) 자체의 상하 수직 이송기능을 부여한다. 작업대(160) 자체의 수직 이송거리는 0.5m 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고소 작업차의 경우 붐 전체 또는 리프트 전체가 상승하는 구조로써 단거리 상하 조절시에 매우 불안정해지고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게 한다.
작업대(16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메인 골조(161), 메인 골조(161)의 하부에 연결 배치되는 메인 작업 베이스(162), 메인 골조(161)를 상하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지지하는 메인 수직 연결바(163), 메인 골조(161)에서 좌우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하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서브 골조(165), 서브 골조(165)의 하부에 연결 배치되는 서브 작업 베이스(166) 및 서브 골조(165)를 상하간으로 연결함으로써 지지하는 서브 수직 연결바(167)를 포함한다. 즉, 서브 골조(165), 서브 작업 베이스(166) 및 서브 수직 연결바(167)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은 작업대(160)의 확장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메인 작업 베이스(162)와 서브 작업 베이스(166) 간에 일체형 랙 앤 피니언 구조를 통해서 구동 방식을 기존의 유압 방식이 아닌 전동식 모터 방식으로 구성한다. 즉, 기존 제품의 작업대의 경우에는 작업대의 발판을 확장하는 구조를 구성하는 경우에, 좌우 인출방식을 제조사 별로 다양한 기술을 채용함으로 사용 시에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해 왔고, 구체적으로는 이물질로 인한 실린더 및 와이어 구동부의 고장, 구조의 복잡성 및 상부 중량 증가 등은 장비 전체의 구조에 있어 매우 큰 문제점이 되었던바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한다.
기존 작업대의 경우에는 좌우 인출을 위하여 유압 실린더 또는 복잡한 체인 시스템 등을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12V DC 전원을 사용한 모터 방식의 일체형 렉 앤 피니언 방식을 적용하여 구동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중량을 줄여 무게 중심을 낮추게 한다.
한편, 기존 작업대 확장식 리프트의 경우에는 작업대 확장부의 인출 및 인입에 의하여 사람 또는 물건의 끼임으로 인하여 안전 사고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었던바, 끼임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메인 작업 베이스(162)와 서브 작업 베이스(166)가 겹쳐지는 부분인 인출부 상에 리미트 스위치를 설치하고 이물질이 감지되는 경우 즉시 멈추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는 경사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 수평 경사각을 조절함으로써 작업대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확장 가능한 작업대 형상을 통해 대량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이를 통해 하나의 주요한 역할을 하는 리프트로서의 기능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차체
120 : 궤도
130 : 인출식 로딩 모듈
140 : 경사각 조절 모듈
150 : 승강 모듈
160 : 작업대

Claims (4)

  1. 차체(110);
    상기 차체(110)의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궤도(120);
    상기 차체(110) 상에 듀얼 링키지 타입으로 회전 구동하는 인출식 로딩 모듈(130);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의 전방 상에 결합되는 경사각 조절 모듈(140);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모듈(150); 및
    상기 승강 모듈(150) 상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업대(16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 및 승강 모듈(150)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16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대(160)의 수평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식 로딩 모듈(130)은,
    상기 차체(110)의 측면 상에 그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메인 로딩 프레임(131), 상기 메인 로딩 프레임(131) 내부로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쌍의 서브 로딩 프레임(132), 상기 서브 로딩 프레임(132)의 전단에 결합되는 한쌍의 결합 프레임(133), 상기 한쌍의 결합 프레임(133)을 상호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봉(134) 및 상기 결합 프레임(133)의 외측 끝단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136)을 포함하는,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 조절 모듈(140)은,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 상기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의 후면 중앙에 결합되는 로테이터(142), 상기 로테이터(142)의 양측에 배치되는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을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는 한쌍이 상기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의 후면 양측으로부터 상기 승강 모듈(150)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구동하는,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모듈(150)은,
    한쌍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51), 상기 수직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152), 상기 가이드 레일(1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프레임(153), 상기 승강 프레임(153)과 수평 프레임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프레임(153)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이송용 실린더(154),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의 상하 후면 상에 배치되는 작업대 고정 플랜지(155)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경사각 조절 실린더(143)는 상기 승강 프레임(153)과 상기 로딩 모듈 연결 프레임(141) 사이에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져 유압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 각도를 설정하는,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20160010480A 2016-01-28 2016-01-28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82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80A KR101823592B1 (ko) 2016-01-28 2016-01-28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480A KR101823592B1 (ko) 2016-01-28 2016-01-28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075A true KR20170090075A (ko) 2017-08-07
KR101823592B1 KR101823592B1 (ko) 2018-02-02

Family

ID=5965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480A KR101823592B1 (ko) 2016-01-28 2016-01-28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5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2451A (zh) * 2018-12-25 2019-03-01 白雪 一种摘苹果装置
KR20200063391A (ko) * 2018-11-27 2020-06-05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KR102159964B1 (ko) * 2020-03-03 2020-09-28 (주)아이엘엔지니어링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KR20210019339A (ko) * 2019-08-12 2021-02-22 1680스카이(주)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304B2 (ja) * 2002-12-27 2005-09-14 有限会社山興企画 作業用ケージ昇降装置
JP5189020B2 (ja) 2009-03-30 2013-04-24 株式会社東洋スタビ 公道自走可能なスタビライザ
WO2011055947A2 (ko) 2009-11-06 2011-05-12 Kim Seokil 이동식 다기능 테이블 리프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391A (ko) * 2018-11-27 2020-06-05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CN109392451A (zh) * 2018-12-25 2019-03-01 白雪 一种摘苹果装置
CN109392451B (zh) * 2018-12-25 2022-04-08 浙江国正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摘苹果装置
KR20210019339A (ko) * 2019-08-12 2021-02-22 1680스카이(주)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KR102159964B1 (ko) * 2020-03-03 2020-09-28 (주)아이엘엔지니어링 건물외벽 공사용 자주식 작업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592B1 (ko) 2018-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US8267222B2 (en) Compact scissors lift
KR101923680B1 (ko) 과수 작업차
KR101008221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DE3642700C3 (de) Hydraulischer Gabelhubwagen mit Scherenabstützung
KR101773255B1 (ko) 고소작업대
KR101358679B1 (ko) 붐 결합 힌지 조립장치
KR20120104864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CA2702129C (en) Compact scissors lift
KR101070405B1 (ko) 수직이송 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붐식 고소작업차량
DE102005011560A1 (de) Scherenhubwagen
CN212887189U (zh) 一种可360度旋转的升降翻转工作台
CN211618240U (zh) 一种升降翻转机
KR101811173B1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20130084478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210053803A (ko) 적재공간 확장이 가능한 과수작업차
KR20120050357A (ko) 농업용 고소작업장치
CN112340652A (zh) 一种铠装开关柜电流互感器更换专用小车
CN112273049A (zh) 一种多功能自走式果园采摘设备
DE102008061334A1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schweren Gegenständen
KR20160068355A (ko)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US2836883A (en) Device for removing parts from a tractor
EP2480477B1 (de) Portalhubwagen zum einsatz in containerterminals und für allgemeine transportaufga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