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8355A -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8355A
KR20160068355A KR1020140173985A KR20140173985A KR20160068355A KR 20160068355 A KR20160068355 A KR 20160068355A KR 1020140173985 A KR1020140173985 A KR 1020140173985A KR 20140173985 A KR20140173985 A KR 20140173985A KR 20160068355 A KR20160068355 A KR 2016006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ractor
workbench
work
work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현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 (주) filed Critical 평화산업 (주)
Priority to KR102014017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8355A/ko
Publication of KR2016006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에 견인되어 이동가능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지지대 실린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동작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측면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앞면에는 트랙터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고리가 설치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작업대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동작하는 시저 리프트; 상기 시저 리프트 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실린더에 의해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작업대에 의해 확장되는 작업대; 및 상기 지지대 실린더, 작업대 실린더 및 슬라이딩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Working platform towed by tractor for fruit tree work}
본 발명은 과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또는 경운기에 견인되어 이동가능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에서 높은 곳에 위치된 과실을 수확하거나 가지치기 등의 작업을 할 때, 작업판이나 사다리 등을 놓고 작업자가 그 위에 올라가 작업을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작업판이나 사다리 등을 이용하는 경우,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작업판이나 사다리의 높이를 계속하여 조정하여야 하고 그 위치를 계속적으로 옮겨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일의 진척 속도를 늦추는 주된 이유가 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농용 고소작업대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농용 고소작업대는 이동 수단으로 무한궤도의 자주형 주행 방식이 채택되고, 작동 방식으로는 유압 작동 방식 및 배터리에 의한 전자 작동 방식이 혼용되어 소규모의 과수 농장에서 사용하기에는 그 비용이 너무 고가이고, 유지 관리에도 어려움이 많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공개특허공보 10-2011-0004947호(2011.01.17) 등록특허공보 10-1248639호 (2013.03.28) 공개특허공보 10-2013-0096559호 (2013.08.30)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어 이동가능하고, 다수의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작업대를 안정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키고, 양옆으로 슬라이딩 확장시키고, 밸런스를 조정할 수 있는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지지대 실린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동작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측면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앞면에는 트랙터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고리가 설치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작업대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동작하는 시저 리프트; 상기 시저 리프트 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실린더에 의해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작업대에 의해 확장되는 작업대; 및 상기 지지대 실린더, 작업대 실린더 및 슬라이딩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조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상기 작업대 실린더로 연결되는 호스에는 상기 작업대의 승하강 속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상기 작업대 실린더로 연결되는 호스에는 상기 작업대 실린더가 소정의 값 이상의 부하를 갖게 되면 더 이상 작업대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유압의 흐름을 리턴 유압 호스 쪽으로 방출하도록 조절하는 릴리프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상기 슬라이드 작업대의 외측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 가이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트랙터와 분리되어 주차시 상기 바퀴와 함께 상기 기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가 상기 기본 프레임의 앞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트랙터를 사용하여 견인하고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모든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동력 제공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며, 하나의 유압 조정부에 의해 모든 동작을 용이하게 컨트롤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대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작업 중 발생가능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는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의 유압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기본 프레임(1), 시저 리프트(3), 작업대(5) 및 유압 조정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본 프레임(1)은 그 위에 작업대(5)를 승하강시키는 시저 리프트(3)를 설치하기 위한 사각형의 샤시 구조로 이루어진다.
기본 프레임(1)의 측면에는 휠과 타이어로 이루어진 바퀴(13)가 장착되고, 앞면에는 트랙터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고리(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와 분리되어 주차시, 바퀴(13)와 함께 기본 프레임(1)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4)가 기본 프레임(1)의 앞면에 설치된다. 받침대(14)은 수동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본 프레임(1)의 각 모서리에는 지지대(12)가 설치되는데, 각 지지대(12)는 유압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지지대 실린더(121)와 지지대 실린더 끝에 부착되어 지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지판(122)으로 이루어진다. 지지대(12)는 실제 작업 환경에서 바퀴(13)와 받침대(14)를 대신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를 지지하여 작업대(5)를 수평 또는 일정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저 리프트(3)는 기본 프레임 위의 양측에 엑스자 링크 형태로 설치된다. 엑스자 링크의 앞쪽은 각각 기본 프레임(1)과 작업대(5)에 고정되고, 뒤쪽은 각각 기본 프레임(1)과 작업대(5)에 각각 마련된 레일(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유압으로 작동하는 작업대 실린더(31)에 의해 엑스자 링크의 상하 간격을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작업대(5)가 기본 프레임(1)과 평행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하게 된다.
작업대(5)는 시저 리프트(3) 위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과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대(5)에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슬라이딩 실린더(51)에 의해 작업대의 하단에 수납되어 있다가 양측으로 각각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작업대(52)가 설치됨으로써, 작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작업대(52)의 외측에는 안전 가이드(53)가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업대(5)의 앞측에는 지지대 실린더(121), 작업대 실린더(31) 및 슬라이딩 실린더(51)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조정부(7)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에서 유압 조정부(7)는 5단 유압 밸브로 구현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압은 유압 조정부(7)인 5단 유압조정 밸브를 통하여 각 실린더로 공급이 되어 레버를 통하여 작동을 하도록 설계된다.
유압 조정부(7)에 의해 좌측의 2개의 지지대 실린더(121a,121c)가 동시에 작동하고, 우측의 2개의 지지대 실린더(121b,121d)가 동시에 작동하는데, 이를 위해 지지대 실린더들 사이를 연결되는 유압 호스는 기본 프레임(1) 하단에 위치한다. 기본 프레인(1) 하단에 위치하는 유압 호스는 지면의 돌, 나뭇가지 등에 의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압 파이프(97)에 의해 유압 호스가 보호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2개의 슬라이딩 실린더(51a,51b)는 각각 좌우측에 설치된 슬라이드 작업대(52)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유압 조정부(7)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에는, 감압 밸브(91)와 릴리프 밸브(9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감압 밸브(91)는 작업대 실린더(31)로 연결되는 호스에 설치되어, 작업대(5)의 승하강 속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트랙터에서 사용하는 유압의 압력은 대략 15~18MPa이다. 이와 같이 트랙터에서 방출/유입되는 압력이 크기 때문에 작업대(5)의 상하강 속도 또한 빨라진다. 특히, 하강의 경우 빠른 속도로 작업대(5)가 하강할 경우 안전사고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감압밸브(91)는 압력을 조절하여 하강 속도를 조절해 주는 장치이다.
릴리프 밸브(93)는 작업대 실린더(31)로 연결되는 다른 호스(감압 밸브가 설치된 호스와는 다른 호스)에 설치되어, 작업대 실린더(31)가 소정의 값 이상의 부하를 갖게 되면 더 이상 작업대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유압의 흐름을 리턴 유압 호스(95) 쪽으로 방출하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는 트랙터로부터 분리되어 주차시, 바퀴(13)와 받침대(14)에 의해 지지되어 보관된다.
이후, 작업자가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를 작업 현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견인 고리(11)를 사용하여 트랙터의 후단에 연결하고, 주차시 사용한 받침대(14)의 길이를 수동으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작업 현장에 도착하면, 트랙터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유압 조정부(7)로 연결하고, 작업 현장의 지면 상태에 맞추어 지지대(12)의 수직 방향 길이를 조절한다.
이후, 시저 리프트(3)를 동작시켜 작업대(5)를 과수 작업을 수행하기 적당한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작업대(5) 양측에서 슬라이드 작업대(52)를 슬라이딩시켜 작업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슬라이드 작업대(52)의 외측에 접혀져 있는 안전 가이드(53)를 세워 고정시킴으로써 작업 중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지지대(12)를 원상 복구하고, 트랙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지지대 실린더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동작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측면에는 바퀴가 설치되고, 앞면에는 트랙터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고리가 설치되는 기본 프레임;
    상기 기본 프레임 위에 설치되어 작업대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동작하는 시저 리프트;
    상기 시저 리프트 위에 설치되고, 슬라이딩 실린더에 의해 양측으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 작업대에 의해 확장되는 작업대; 및
    상기 지지대 실린더, 작업대 실린더 및 슬라이딩 실린더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실린더로 연결되는 호스에는 상기 작업대의 승하강 속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감압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실린더로 연결되는 호스에는 상기 작업대 실린더가 소정의 값 이상의 부하를 갖게 되면 더 이상 작업대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유압의 흐름을 리턴 유압 호스 쪽으로 방출하도록 조절하는 릴리프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작업대의 외측에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안전 가이드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5. 제1항에 있어서,
    트랙터와 분리되어 주차시 상기 바퀴와 함께 상기 기본 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가 상기 기본 프레임의 앞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KR1020140173985A 2014-12-05 2014-12-05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KR20160068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85A KR20160068355A (ko) 2014-12-05 2014-12-05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985A KR20160068355A (ko) 2014-12-05 2014-12-05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355A true KR20160068355A (ko) 2016-06-15

Family

ID=5613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985A KR20160068355A (ko) 2014-12-05 2014-12-05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835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8571A (zh) * 2019-12-13 2020-03-13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电铲用摆动梯安全控制系统
KR20200002065U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KR20220125634A (ko) * 2021-03-05 2022-09-14 박인재 사다리차 탑승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947A (ko) 2009-07-09 2011-01-17 (주)한성티앤아이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의 적재함 작업대 안전장치
KR101248639B1 (ko) 2010-12-02 2013-03-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KR20130096559A (ko)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4947A (ko) 2009-07-09 2011-01-17 (주)한성티앤아이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의 적재함 작업대 안전장치
KR101248639B1 (ko) 2010-12-02 2013-03-2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KR20130096559A (ko)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065U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CN110878571A (zh) * 2019-12-13 2020-03-13 中铁工程机械研究设计院有限公司 电铲用摆动梯安全控制系统
KR20220125634A (ko) * 2021-03-05 2022-09-14 박인재 사다리차 탑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3180B1 (ko) 농업용 고소차
KR100948694B1 (ko) 붐을 갖는 농약 살포장치
KR101008221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60068355A (ko) 트랙터 부착형 과수용 작업대
KR101791773B1 (ko) 기울기 자동 조절기능을 갖는 농업용 고소작업차
EP4032396B1 (en) Multipurpose machine for cultivating trees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US4744718A (en) Aircraft service vehicle
KR101635168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용 승강장치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CN109850825A (zh) 一种可移动式物料装卸升降装置
KR101666344B1 (ko) 타이어 리프트
US7927063B2 (en) Method for mounting a forklift to a vehicle
KR20120104864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1260601B1 (ko) 고소차용 신축식 작업대
KR101323637B1 (ko) 과수원용 고소 작업차.
KR101911931B1 (ko) 전후방 및 좌우측 방향으로의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30084478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CN205921945U (zh) 一种底盘升降系统及其农用机械
KR101786784B1 (ko) 견인식 운반차 겸 고소 작업 장치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101547507B1 (ko) 착탈식 어태치먼트를 구비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JPH0416755Y2 (ko)
CN103121474B (zh) 驾驶室升降调节装置及方法
CN208248515U (zh) 一种用于雪橇式直升机地面移动的搬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