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391A -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391A
KR20200063391A KR1020180148417A KR20180148417A KR20200063391A KR 20200063391 A KR20200063391 A KR 20200063391A KR 1020180148417 A KR1020180148417 A KR 1020180148417A KR 20180148417 A KR20180148417 A KR 20180148417A KR 20200063391 A KR20200063391 A KR 2020006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fixed
slide
bottom plat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64B1 (ko
Inventor
홍용
김영길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8014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26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난간의 해체는 불가능하게 하면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활동 공간과 아울러 거치대를 확장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절첩식으로 신축되는 붐 어세이(10)의 선단에서 회전수단과 센서들을 구비한 후레임(11)의 상부로 안착되는 탑승함(100)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100)은 중앙에 위치되며, 바닥판(111)의 전 후방으로 속이 빈 파이프 구조의 메인 안전난간(112)들이 세워 고정되는 고정탑승함(110)과, 이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조 바닥판(121)의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메인 안전난간(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 난간(122)과 측면부를 막혀지게 하는 측면난간(123)이 구비되는 확장탑승함(120)과, 상기 확장탑승함(120)을 선택에 따라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Boarding box of high place works car}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난간의 해체는 불가능하게 하면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활동 공간과 아울러 거치대를 확장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서 붐이 설치되고 이동성을 갖춘 고소 작업차가 있다.
고소 작업차는 붐의 선단에 적재대를 겸한 탑승함 설치되어 고층 아파트나 빌딩에 물품 운송 작업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층 건물 외벽 설치 및 보수 작업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고소 작업차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붐(2)이 하단부에 링기어를 이용한 회전수단을 갖춘 붐지지대(4)와 힌지 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붐지지대(4)는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이 붐 어세이(10)는 다수개의 붐이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최상단의 붐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함(10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결합을 이루고 있는 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간에는 붐의 각도를 조종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안테나 식으로 중첩되어 있는 붐들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기 위해 붐 내부에는 신축용 유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탑승함(100)에 작업자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붐을 신축 작동시켜 고층 건물에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에 설치되는 붐(boom)은 길이를 신축하기 위해서 다수개 붐이 슬라이딩하도록 안테나식으로 형성되어 다단의 붐을 인출하는 붐 인출수단과, 붐대에 각도 및 회전 변경이 가능하게 탑승함을 연결하는 탑승함 회전 연결장치와, 상기 탑승함 연결장치를 구동시키는 유압 구동부를 포함하여 고소 작업차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승함의 하부에는 과적재를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 및 탑재물이 탑재된 탑승함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과, 탑승함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센서와 수평 유지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탑승함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둘레를 따라 일정 높이의 안전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국내 등록 실용신안 20-0377023호(등록일자 2005년02월17일) 국내 특허공개 10-2006-39164호(공개일자 2006년 05월 08일) 국내 등록 특허 10-1478724호(등록일자 2014년12월26일)
종래, 고소 작업차의 탑승함은 이동이 용이하도록 안전난간을 접거나,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탈, 부착이 가능한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전난간이 탑승함 둘레를 따라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작업 활동반경에 제한을 주게 되므로, 작업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므로 안전난간을 제거한 상태로 탑승함에 탑승하여 각종 고소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흔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안전난간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 부주의로 작업자 또는 물건의 추락에 의해 심하게 사망재해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탑승함 내부 공간 이외에 고소 작업을 위한 각종 물건들을 탑승할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탑승함 공간안에 작업자와 함께 각종 물건을 탑재하고 있다.
그러므로, 탑승함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되어 작업자의 이동과 작업 활동에 많은 불편함을 주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작업자의 필요에 의해 탑승함을 확장시켜 충분한 활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난간 해체로 인한 각종 재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으로 작업 물건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한 별도의 거치대 확장이 가능하여 작업 공간 확대와 아울러, 보다 많은 물건을 동시에 탑재할 수 고소 있도록 한 작업차량의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의 편리성과 안정성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절첩식으로 신축되는 붐 어세이(10)의 선단에서 회전수단과 센서들을 구비한 후레임(11)의 상부로 안착되는 탑승함(100)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100)은 중앙에 위치되며, 바닥판(111)의 전 후방으로 속이 빈 파이프 구조의 메인 안전난간(112)들이 세워 고정되는 고정탑승함(110)과,
이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조 바닥판(121)의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메인 안전난간(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 난간(122)과 측면부를 막혀지게 하는 측면난간(123)이 구비되는 확장탑승함(120)과,
상기 확장탑승함(120)을 선택에 따라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튜브(211)와 로드(212)의 단부가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바닥판(111)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 또는 공압으로 신축 작동되는 하나의 실린더(2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2개의 튜브(211)는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에 위치 고정되고, 2개의 로드(212) 단부가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 또는 공압으로 신축 작동되는 2개의 실린더(210)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모터(130)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피니언(231)의 양쪽으로 래크(232)(233)가 치차 결합되어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래크로드(234)(235)가 서로 대칭되게 직선 구동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탑승함(120)의 보조 바닥판(121)과 슬라이드 난간(122)의 경계 코너부에는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하게 슬라이드로드(124)를 고정 설치하고, 고정탑승함(110)에는 이 슬라이드로드(124)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작동홈(114)을 오목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때, 작동홈(114)의 위치로는 슬라이드로드(124)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패드(115)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탑승함(110)의 전방으로는 고정 바닥판(111)에 경첩(131)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거치대(1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거치대(130)의 끝단에는 걸림턱(132)이 부착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거치대(130)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반복 성형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고정탑승함(110)의 전방으로는 고정 바닥판(111)에 다수의 홀(142)들이 일정간격 뚫어진 슬라이드빔(141)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볼트(143)의 체결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드거치대(140)가 더 구비된다.
이 슬라이드거치대(140)의 끝단부에는 걸림막대(144)를 더 고정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탑승함의 양쪽으로 확장탑승함이 필요에 의해 더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활동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고 안전난간을 제거할 이유가 없어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게 된다.
또, 탑승함 외부로 별도의 거치대가 선택적으로 확장 설치할 수 있어 예로서 유리나 창문과 같은 물건들을 작업자 탑승 공간과 별도로 안전하게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탑재 물건의 방해로 인해 작업자의 이동과 활동에 불편함이나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편의성과 아울러, 안정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고소 작업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탑승함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확장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확장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구동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구동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 10은 회전거치대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도 9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회전거치대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확장탑승함 분해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A부 확대도.
도 14는 도 13의 요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차대(1)에 붐지지대(4)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붐지지대(4)는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되는 붐 어세이(10)가 힌지 결합된다.
붐 에세이(10)는 수개의 붐들이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 작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 사이에는 각도를 조종하는 메인실린더(6)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붐들의 신축 작용을 위하여 메인붐 어세이(10)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축용 유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붐 어세이(10)의 단부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기능과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함(100)이 후레임(11)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다.
후레임(11)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2)에 의해 링기어를 구동시켜 탑승함을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과중량 탑재 감지용 로드셀과 수평유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유지장치는 붐 어세이(10)가 경사진 상태로 펼쳐질 때 작업자 및 적재물의 안전을 위해 항상 지면과 수평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탑승함(100)은 중앙에 위치되는 종래 규격의 고정탑승함(110) 양쪽으로 확장탑승함(120)들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고, 이 확장탑승함(120)을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의 작동으로 확장 또는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탑승함(110)은 후레임(11)의 상부에 중앙위치로 안착되며, 대략 종래 탑승함 크기로 된 바닥판(111)의 전 후방으로 속이 빈 파이프 구조의 메인 안전난간(112)들이 세워 고정된다.
확장탑승함(120)은 슬라이드 난간(122)들이 고정탑승함(110)의 안전난간(112) 내부로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고, 보조 바닥판(121)은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과 높이가 어긋나게 주로 바닥판(111)의 상부측에서 보조 바닥판(121)이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조립된다.
확장탑승함(120)의 양쪽 측면은 측면난간(123)에 의해 막혀지게 된다.
이 확장탑승함(120)이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복귀시키는 작동은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튜브(211)와 로드(212)의 단부가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바닥판(111)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 또는 공압으로 신축 작동되는 하나의 실린더(210)로 구성될 수 있다.(도 3 및 도 6)
이 실린더(210)는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 저면에 설치 공간을 마련하여 튜브(211)로부터 로드(212)가 전후진 되는 것에 의해 양쪽의 확장탑승함(120)이 고정탑승함(110)으로부터 확장, 또는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2개의 튜브(211)가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에 양쪽을 향해 대칭되게 위치 고정되고, 2개의 로드(212) 단부가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 또는 공압으로 신축 작동되는 2개의 실린더(210)로 구성될 수 있다.(도 7)
이 2개의 실린더(210)는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 저면에 설치 공간을 마련하여 튜브(211)로부터 로드(212)가 전후진 되는 것에 의해 양쪽의 확장탑승함(120)이 고정탑승함(110)으로부터 각각 확장, 또는 복귀될 수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의해 어느 하나의 선택된 확장탑승함(120) 만을 확장되도록 구동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모터(230)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피니언(231)의 양쪽으로 래크(232)(233)가 치차 결합되어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래크로드(234)(235)가 서로 대칭되게 직선 구동되어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30)와 피니언(231)은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 저면에 위치된 상태로 피니언(131)이 정, 역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래크(232)(233)와 래크로드(134)(15)가 양쪽으로 대칭되게 벌어지거나, 중앙측으로 복귀되는 동작으로 확장탑승함(120)이 슬라이드 구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확장탑승함(120)의 보조 바닥판(121)과 슬라이드 난간(122)의 경계 코너부에는 강도 보강과 보다 원활한 슬라이드 작동을 위해 좌우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하게 슬라이드로드(124)를 고정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탑승함(110)에는 이 슬라이드로드(124)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작동홈(114)을 오목하게 형성하게 된다.
이 작동홈(114)의 위치로는 슬라이드로드(124)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마찰을 줄이도록 윤활유가 공급되는 마찰패드(115)를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도 13 및 도 14 참조)
또, 상기 고정탑승함(110)의 전방으로는 바닥판(111)에 경첩(131)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거치대(13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회전거치대(130)의 끝단에는 걸림턱(132)이 부착되는 것이 물건 탑재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면에서 좋다.
상기 회전거치대(130)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반복 성형되는 것도 좋다.
회전거치대(130)는 바닥판(111)과 대략 수평하게 펼쳐지게 하면 예로서 유리나 창틀과 같은 화물을 탑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도 10)
그리고, 회전거치대(13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경첩(131)을 이용해 대략 수직하게 세워 안전난간(112)과 나란하게 절첩시키게 된다.(도 11)
또한, 상기 고정탑승함(110)의 전방으로는 고정 바닥판(111)에 다수의 홀(142)들이 일정간격 뚫어진 슬라이드빔(141)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볼트(143)의 체결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드거치대(140)가 더 구비된다.
이 슬라이드거치대(140)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가 없을 경우, 고정탑승함(110)의 내부로 최대한 진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물건 탑재를 위해 필요하게 되는 경우 슬라이드거치대(140)를 필요 길이만큼 인출시킨 다음 홀(142)에 볼트(143)를 체결하여 인출상태를 위치 고정한 후 예로서 유리나 창틀과 같은 화물을 탑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이 슬라이드거치대(140)의 끝단부에는 걸림막대(144)를 더 고정 설치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한편, 고정탑승함(110)의 안전난간(122)에는 작업에 필요한 각종 공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구함(117)을 부착하게 된다.
이 공구함(116)은 작업하기 편리한 위치로 이동 설치가 가능하며 그 설치 갯수도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다수개 부착이 가능하다.(도 2)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탑승함과 거치대를 작업자 필요에 의해 간단히 확장시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적용된다.
1 - 차대 4 - 붐지지대
6 - 메인실린더 10 - 붐 어세이
100 - 탑승함 110 - 고정탑승함
122 - 메인 안전난간 120 - 확장탑승함
122- 슬라이드 난간 123 - 측면난간
200 - 슬라이드 구동수단

Claims (11)

  1.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절첩식으로 신축되는 붐 어세이(10)의 선단에서 회전수단과 센서들을 구비한 후레임(11)의 상부로 안착되는 탑승함(100)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100)은 중앙에 위치되며, 바닥판(111)의 전 후방으로 속이 빈 파이프 구조의 메인 안전난간(112)들이 세워 고정되는 고정탑승함(110)과,
    이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조 바닥판(121)의 상부로 세워지며 상기 메인 안전난간(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슬라이드 난간(122)과 측면부를 막혀지게 하는 측면난간(123)이 구비되는 확장탑승함(120)과,
    상기 확장탑승함(120)을 선택에 따라 고정탑승함(110)의 양쪽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복귀되도록 제어하는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튜브(211)와 로드(212)의 단부가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바닥판(111)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 또는 공압으로 신축 작동되는 하나의 실린더(2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2개의 튜브(211)는 고정탑승함(110)의 바닥판(111)에 위치 고정되고, 2개의 로드(212) 단부가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저면부에 각각 결합되며 유압 또는 공압으로 신축 작동되는 2개의 실린더(2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구동수단(200)은 모터(230)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피니언(131)의 양쪽으로 래크(232)(233)가 치차 결합되어 양쪽 확장탑승함(120)의 저면에 각각 고정된 래크로드(234)(235)가 서로 대칭되게 직선 구동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장탑승함(120)의 보조 바닥판(121)과 슬라이드 난간(122)의 경계 코너부에는 슬라이드 방향과 나란하게 슬라이드로드(124)를 고정 설치하고, 고정탑승함(110)에는 이 슬라이드로드(124)가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작동홈(114)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작동홈(114)의 위치로는 슬라이드로드(124)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마찰을 줄이도록 마찰패드(11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탑승함(110)의 전방으로는 고정 바닥판(111)에 경첩(131)으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거치대(1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거치대(130)의 끝단에는 걸림턱(13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거치대(130)의 바닥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반복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탑승함(110)의 전방으로는 고정 바닥판(111)에 다수의 홀(142)들이 일정간격 뚫어진 슬라이드빔(141)들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볼트(143)의 체결로 위치고정되는 슬라이드거치대(1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거치대(140)의 끝단부에는 걸림막대(144)를 더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KR1020180148417A 2018-11-27 2018-11-27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KR102147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417A KR102147264B1 (ko) 2018-11-27 2018-11-27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417A KR102147264B1 (ko) 2018-11-27 2018-11-27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391A true KR20200063391A (ko) 2020-06-05
KR102147264B1 KR102147264B1 (ko) 2020-08-25

Family

ID=7108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417A KR102147264B1 (ko) 2018-11-27 2018-11-27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4758A (zh) * 2022-03-28 2022-07-01 法兰泰克(常州)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带提供额外工作高度的登高台和高空作业平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90U (ja) * 1991-09-24 1993-04-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高所作業車の作業台
JP2002104798A (ja) * 2000-09-25 2002-04-10 Komatsu Ltd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KR200377023Y1 (ko) 2004-11-22 2005-03-09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회전장치
KR20060039164A (ko)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호룡 와이어를 이용한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KR20090007541U (ko) * 2008-01-22 2009-07-27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용 바스켓
KR20110003877U (ko) * 2009-10-14 2011-04-20 김용관 건축물용 폐 건축자재 배출장치
KR101478724B1 (ko) 2013-06-13 2015-01-05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연결장치
KR20170090075A (ko) * 2016-01-28 2017-08-07 (주)씨앤씨테크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20180111720A (ko) * 2018-09-18 2018-10-11 송복석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090U (ja) * 1991-09-24 1993-04-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高所作業車の作業台
JP2002104798A (ja) * 2000-09-25 2002-04-10 Komatsu Ltd 高所作業車の積載荷重検出装置
KR20060039164A (ko)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호룡 와이어를 이용한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KR200377023Y1 (ko) 2004-11-22 2005-03-09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회전장치
KR20090007541U (ko) * 2008-01-22 2009-07-27 동양기전 주식회사 크레인용 바스켓
KR20110003877U (ko) * 2009-10-14 2011-04-20 김용관 건축물용 폐 건축자재 배출장치
KR101478724B1 (ko) 2013-06-13 2015-01-05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연결장치
KR20170090075A (ko) * 2016-01-28 2017-08-07 (주)씨앤씨테크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20180111720A (ko) * 2018-09-18 2018-10-11 송복석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4758A (zh) * 2022-03-28 2022-07-01 法兰泰克(常州)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带提供额外工作高度的登高台和高空作业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264B1 (ko) 202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CN107013045B (zh) 装载平台
US5884725A (en) Scaffolding assembly
US6782665B2 (en) Dock unit for maintenance of an aircraft or the like
US3854550A (en) Mobile outrigger for scaffolds
US4962827A (en) Extendable, elevatable, rotatable, collapsible boom and basket for vehicles
RU2554915C2 (ru) Убирающаяся боковая надставка, примыкающая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к одной грузонесу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груз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5327690A (en) Erection workbench for constructing a frame
EP0711374B1 (en) A collapsible building
CN202248814U (zh) 用于建筑和室内装修的便携式折叠升降架
US6640928B1 (en) Free-standing, multi-functional, mobile construction aid
US3472337A (en) Portable collapsible scaffold
US4555890A (en) Process for the installation of curtain walls and apparatus for the execution of the process
DE3839858C2 (ko)
US5394956A (en) Suspended tender box
KR20200063391A (ko)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KR102022044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US4700513A (en) Mobile unit for facilitating wood frame construction
CN112982927A (zh) 一种室内装修用多层可折叠操作平台
GB2552222A (en) Mobile suspended platform apparatus
US7849637B2 (en)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JPH0348247Y2 (ko)
CN219096949U (zh) 一种具备吊篮扩展功能的船坞作业平台
CN110593913B (zh) 一种隧道支护作业台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