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9339A -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 Google Patents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339A
KR20210019339A KR1020190098409A KR20190098409A KR20210019339A KR 20210019339 A KR20210019339 A KR 20210019339A KR 1020190098409 A KR1020190098409 A KR 1020190098409A KR 20190098409 A KR20190098409 A KR 20190098409A KR 20210019339 A KR20210019339 A KR 20210019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main
unit
slide
ext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0699B1 (ko
Inventor
이형교
Original Assignee
1680스카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680스카이(주) filed Critical 1680스카이(주)
Priority to KR102019009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699B1/ko
Priority to PCT/KR2019/016243 priority patent/WO2021029494A1/ko
Publication of KR2021001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기본 작업대를 제공하는 메인 탑승부, 상기 메인 탑승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탑승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되어 확장 작업대를 제공하는 확장 탑승부, 상기 메인 탑승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확장 탑승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확장 탑승부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실린더부, 및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부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SLIDE TYPE RIDING BASKET OF MOBILE ELEVATED WORK PLATFORM}
본 발명은 고소 작업장비에 설치되는 고소작업을 위한 탑승함 확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으로 탑승함의 면적 및 공간을 필요한 만큼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건설현장의 경우 고임금과 인력수급문제, 구조물의 고층화·대형화 등으로 건설인력 대비 건설장비에 의한 시공비율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타워크레인, 차량탑재형 고소작업대, 이동식 크레인 등을 많이 사용중이다.
고소작업대(MEWP: Mobile Elevated Work Platform)란 작업대(Work Platform), 연장구조물(Boom 등), 차대(Chassis)로 구성되며 동력에 의해 사람이 탑승한 작업대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건설기계·장비를 말하며, 자동차(트럭) 위에 붐을 설치하고 그 끝에 작업대가 설치된 형태이며 시저형, 굴절형, 유압식 등 작업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작업대(Work Platform)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하는 공간으로 추락방지를 위하여 주변에 안전 난간대가 설치되어 있는 플랫폼 또는 케이지로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필요한 작업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그곳에서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작업대에 소정 인원의 작업자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동력을 이용하여 작업대를 상승시켜 건물 외벽공사, 천장배관, 전등설치 및 교체, 도장 등의 각종 고소작업을 하게 되는 데, 이때 작업대의 공간이 한정되어 탑승 인원 및 작업 범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접이식 발판을 사용하여 작업 발판에서 접이식 발판을 펼쳐 발판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접이식 발판을 펼친 상태에서 안전 난간대를 별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3255(2017.08.24)호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하는 동력운반부, 및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0752(2016.06.27)호는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에 관한 것으로, 고소작업대의 고정발판 양측으로 절첩발판이 구비된 가변발판에 있어서, 상기 가변발판은 고정발판의 가장자리 상부에 고정포스트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정포스트와 이웃하는 고정포스트의 하단 내측면에 절첩발판의 양측 발판프레임 하단부가 탄성힌지부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첩발판은 발판프레임에 타공판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타공판의 하부 모서리에 프레임 힌지 보강부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는 외부를 감싸게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 제3힌지홀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의 외측 하부 모서리에 만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힌지부는 제1힌지홀이 형성된 고정포스트와 제2힌지홀이 형성된 힌지편 사이에 발판프레임이 끼워져 상기 고정포스트와 발판프레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힌지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힌지에 부싱이 끼워진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평상시 상기 절첩발판이 세워지게 접혀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73255(2017.08.2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0752(2016.06.2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으로 고소작업 탑승함의 면적 및 공간을 필요한 만큼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고소작업 탑승함의 기울어짐 변화와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여 슬라이딩 개폐를 제한할 수 있도록 안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oT를 기반으로 하여 위험 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기본 작업대를 제공하는 메인 탑승부, 상기 메인 탑승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탑승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되어 확장 작업대를 제공하는 확장 탑승부, 상기 메인 탑승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확장 탑승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확장 탑승부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실린더부, 및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부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탑승부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하는 메인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의 상부 전후방과 상기 확장 탑승부가 설치되지 않은 측방에 각각 일정 높이로 구비된 메인 난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탑승부는 상기 메인 발판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 발판의 하부에 대해 인입출되어 상기 메인 발판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 발판, 및 상기 확장 발판의 상부 전후방 및 외측방에 각각 일정 높이로 구비된 확장 난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탑승부는 상기 확장 난간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이 상기 메인 난간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 난간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내에 인입출되어 상기 메인 탑승부의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고출력 DC 모터일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상기 확장 탑승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상기 탑승함의 기울어짐과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 감지 및 기울어짐 변화에 따라 상기 확장 탑승부의 슬라이딩 개폐가 제한되도록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 탑승함은 탑승함 고유 IoT 코드가 부착되어 모바일 태그를 통해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수동 또는 자동 슬라이딩 개폐 방식으로 메인 탑승부에서 확장 탑승부가 좌우 일측 또는 양측으로 선택적으로 인입출됨에 따라 탑승 면적 및 작업 공간을 작업자가 필요한 만큼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기울어짐 변화와 주변 장애물을 감지하여 슬라이딩 개폐를 제한함으로써 안전하게 확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탑승함에 고유 IoT 코드를 부착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태그로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려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이 적용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의 편개형 슬라이드 확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의 양개형 슬라이드 확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이 적용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소작업차(100)는 차량부(110), 탑승함 지지부(120), 탑승함 이동부(130) 및 고소작업 탑승함(14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부(110)는 상단 방향으로 탑승함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다.
탑승함 지지부(120)는 고소작업 탑승함(140)과 고정하여 연결된 탑승함 이동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 탑승함(140)은 작업자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작업위치로 이동하여 고속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발판과 발판에서 상방으로 일정 높이로 연장되어 형성된 난간을 포함하는 함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난간은 발판의 전후좌우 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예컨대, 난간은 일정 높이 이상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 탑승함(140)은 좌·우측 중 적어도 일측에서 슬라이딩 개폐되어 확장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고소작업 탑승함(140)은 작업자가 필요한 만큼 수동으로 슬라이딩 조절할 수 있고 모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자동으로 슬라이딩 조절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고소작업 탑승함(140)은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 및 작업 시에 자동 슬라이딩되지 않게 잠금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소작업 탑승함(140)에는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고유 IoT 코드(141)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탑승함 고유 IoT(Internet of Things) 코드(141)는 QR(Quick Response)코드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작업자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에 부착된 탑승함 고유 IoT 코드(141)를 모바일 태그하는 것에 의해 위험상황을 네트워크로 연결된 탑승함 관리 시스템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는 위험 시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태그로 탑승함에 부착된 고유 IoT 코드(141)를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탑승함 관리 시스템 측에 상황을 알리어 정확하고 빠르게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을 설명하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을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소작업 탑승함(140)은 메인 발판(211)과 메인 난간 프레임(213)을 포함하는 메인 탑승부(210), 확장 발판(221)과 확장 난간 프레임(223)을 포함하는 확장 탑승부(220), 실린더(231)와 슬라이드바(233)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실린더부(230), 모터부(240), 잠금부재(250) 및 센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탑승부(210)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하는 기본 작업대이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탑승부(210)는 메인 발판(211)과 메인 발판(211)의 상부 전,후방에 각각 일정 높이로 구비된 메인 난간 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인 탑승부(210)는 좌우 양측 중 확장 탑승부(220)가 일측에만 설치된 경우 그 반대측에 메인 난간 프레임(2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난간 프레임(213)은 중공 형상의 복수개의 길이 바(bar)들을 격자 형태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난간 프레임(213)의 하부에는 알루미늄 천공판(215)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탑승부(220)는 메인 탑승부(21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메인 탑승부(210)의 탑승 공간 및 작업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 작업대이다. 일 실시예에서, 확장 탑승부(220)는 메인 탑승부(210)에 대해 인입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작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확장 탑승부(220)는 확장 발판(221)과 확장 발판(221)의 상부 전,후방 및 외측방에 구비된 확장 난간 프레임(2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확장 발판(221)은 메인 발판(211)의 하부에 삽입 구비되어 메인 발판(211)의 일측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확장 난간 프레임(223)은 메인 난간 프레임(213)의 일측에 삽입 구비되어 메인 난간 프레임(213)의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부(230)는 메인 탑승부(2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확장 탑승부(220)를 메인 탑승부(2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실린더부(230)는 메인 탑승부(210)의 저면에 설치되되 중심부에 있는 탑승함 링기어 연결부(270)의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231)와 일측이 확장 탑승부(220)의 하단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되고 실린더(231)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바(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슬라이드 실린더부(230)는 모터부(240)의 구동력으로 또는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실린더(231) 내부에 삽입 구비된 슬라이드바(233)가 실린더(231)의 외측을 향해 후진 이동하면 슬라이드바(233)의 일측 단부에 연결된 확장 탑승부(220)가 함께 후진 이동하면서 메인 탑승부(210)로부터 인출되어 나와 고소작업 탑승함(140)을 확장시킬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드 실린더부(230)는 슬라이드바(233)가 실린더(231)의 내측을 향해 전진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확장 탑승부(220)가 메인 탑승부(210)를 향해 인입되어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모터부(240)는 슬라이드 실린더부(2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풍압과 저항 등의 불규칙한 외부 조건의 변동에도 작동 가능한 고출력 DC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잠금부재(250)는 메인 탑승부(210)에 대해 확장 탑승부(220)가 슬라이딩 개폐되어 확장된 상태에서 확장 탑승부(220)를 메인 탑승부(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부재(250)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하는 과정에서는 자동 슬라이딩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잠금부재(250)는 슬라이딩 조절된 확장 탑승부(220)가 더 이상 슬라이딩 이동하지 못하도록 메인 탑승부(210)에 고정 체결시키는 볼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잠금부재(250)는 작업자가 필요한 만큼 확장 탑승부(220)가 슬라이딩 조절된 후 더 이상 슬라이딩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슬라이드 실린더부(130)를 잠금시킬 수 있다.
센서부(260)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의 기울기 및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장애물 감지 및 기울기 변화에 따라 상기 모터부(250)의 구동을 중지시켜 슬라이드 실린더부(230)의 자동 슬라이딩 개폐를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60)는 지면 또는 중력방향에 대한 탑승함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60)는 탑승함의 주변에 장애물을 측정하는 장애물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 센서로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부(260)는 탑승함이 기울어진 상태이거나 확장 탑승부(220)를 확장시키는 방향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개폐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상황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한 상태에서만 자동 슬라이딩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4는 도 2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의 편개형 슬라이드 확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 탑승함(140)에서 확장 탑승부(220)를 편개형 슬라이드 확장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또는 모터부(240)의 구동을 통해 자동으로 슬라이드 실린더부(230)의 슬라이드바(233)를 신장시킬 수 있다.
그러면 슬라이드바(233)와 연결되어 슬라이드바(233)가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는 것에 연동된 확장 탑승부(220)가 메인 탑승부(210)의 좌·우측 중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인출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부(230)는 실린더(231)가 메인 발판(21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슬라이드바(233)가 확장 발판(221)의 하부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바(233)는 메인 발판(211)에 간섭없이 메인 발판(211)의 하부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231)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231)에 결합된 슬라이드바(233)와 확장 발판(221)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메인 발판(211)이 위치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탑승부(210)의 일측에 확장 탑승부(220)가 설치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실린더부(230)에 의해 한쪽으로 슬라이딩되는 편개형으로 탑승 공간 및 작업 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메인 탑승부(210)의 양측에 확장 탑승부(220)가 설치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실린더부(230)에 의해 양쪽으로 슬라이딩되는 양개형으로 탑승 공간 및 작업 공간을 편개형 확장 보다 더 확장할 수 있다.
메인 탑승부(210)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메인 발판(211)의 상단에 전,후방으로 메인 난간 프레임(213)을 설치할 수 있다. 메인 난간 프레임(213)은 가로 프레임(213a)과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들(213b)을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들(213b)은 내부가 빈 중공의 관 즉,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어 확장 탑승부(220)의 확장 난간 프레임(223)의 대응 세로 프레임들(223b)과 결합될 수 있다.
확장 탑승부(220)는 메인 발판(211)을 확장하는 확장 발판(221)의 상단에 전,후방과 일측방으로 확장 난간 프레임(223)을 설치할 수 있다. 확장 난간 프레임(223)은 가로 프레임(223a)과 복수개의 세로 프레임들(223b)을 격자 형태로 배치하여 설치할 수 있다. 확장 난간 프레임(223) 중 확장 탑승부(220)의 전,후방에 설치된 세로 프레임들(223b)은 메인 탑승부(210)의 세로 프레임들(213b)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확장 탑승부(220)의 세로 프레임들(223b)은 슬라이드 실린더부(230)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메인 탑승부(210)의 세로 프레임들(213b)에 의해 지지되어 인입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 탑승함(140)은 슬라이드바(233)의 인출 길이와 상응되게 확장 탑승부(220)가 인출됨에 따라 좌우 폭이 좁은 메인 탑승부(210)의 좌우 폭을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인출된 확장 탑승부(220)를 다시 인입시킬 때에는,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또는 모터(250)의 구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슬라이드바(233)를 실린더(231) 내의 원 위치로 후퇴시킬 수 있다.
그러면 확장 발판(221)이 메인 발판(21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서 메인 발판(211)의 하부로 인입되고, 이때 확장 난간 프레임(223)도 메인 난간 프레임(22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면서 메인 난간 프레임(221)에 삽입됨으로써 인입이 완료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고소작업 탑승함(140)의 양개형 슬라이드 확장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작업 탑승함(140)에서 메인 탑승부(310)의 좌측에 설치된 확장 탑승부(320a)와 우측에 설치된 확장 탑승부(320b)을 선택적으로 또는 둘다 확장할 수 있다. 확장 탑승부(320a,320b)를 확장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또는 모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슬라이드 실린더부(330)의 슬라이드바를 신장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부(330)는 메인 탑승부(310)의 하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메인 탑승부(310)의 양쪽으로 설치되는 확장 탑승부(320a,320b)가 각각 슬라이딩하여 이동하도록 두개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부(330)는 메인 탑승부(310)의 좌측에 설치된 확장 탑승부(320a)에 연결된 슬라이드바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메인 탑승부(310)의 좌측에 설치된 확장 탑승부(320a)가 인입출되어 메인 탑승부(310)의 좌측 폭을 확장하고 원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 실린더부(330)는 메인 탑승부(310)의 우측에 설치된 확장 탑승부(320b)에 연결된 슬라이드바의 전,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메인 탑승부(310)의 우측에 설치된 확장 탑승부(320b)가 인입출되어 메인탑승부(310)의 우측 폭을 확장하고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고소 작업시 메인 탑승부를 통해 기본 작업대로 사용함은 물론 확장 탑승부를 통해 메인 탑승부의 좌우 폭을 넓게 인출하여 확장 작업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작업대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넓은 면적의 확장된 작업대에서 고소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고소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은, 탑승함을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확장시 난간도 함께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확장에 따른 안전 난간을 추가 설치하는 작업이 필요치 않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고속작업차
110: 차량부 120: 탑승함 지지부
130: 탑승함 이동부 140: 고속작업 탑승함
141: 탑승함 고유 IoT 코드
210: 메인 탑승부
211: 메인 발판 213: 메인 난간 프레임
213a: 세로 프레임 213b: 가로 프레임
215: 알루미늄 천공판
220: 확장 탑승부
221: 확장 발판 223: 확장 난간 프레임
223a: 가로 프레임 223b: 세로 프레임
230: 슬라이드 실린더부
231: 실린더 233: 슬라이드바
240: 모터부 250: 잠금부재
260: 센서부 270: 탑승함 링기어 연결부
310: 메인 탑승부 320a,320b: 확장 탑승부
330: 슬라이드 실린더부

Claims (8)

  1. 기본 작업대를 제공하는 메인 탑승부;
    상기 메인 탑승부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 탑승부에 대해 슬라이딩 개폐되어 확장 작업대를 제공하는 확장 탑승부;
    상기 메인 탑승부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확장 탑승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확장 탑승부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슬라이드 실린더부; 및
    상기 슬라이드 실린더부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동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탑승부는
    사각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면에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하는 메인 발판; 및
    상기 메인 발판의 상부 전후방과 상기 확장 탑승부가 설치되지 않은 측방에 각각 일정 높이로 구비된 메인 난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탑승부는
    상기 메인 발판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 발판의 하부에 대해 인입출되어 상기 메인 발판의 면적을 확장시키는 확장 발판; 및
    상기 확장 발판의 상부 전후방 및 외측방에 각각 일정 높이로 구비된 확장 난간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탑승부는
    상기 확장 난간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이 상기 메인 난간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메인 난간 프레임의 가로 프레임 내에 인입출되어 상기 메인 탑승부의 공간을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고출력 DC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탑승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잠금하는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함의 기울어짐과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 감지 및 기울어짐 변화에 따라 상기 확장 탑승부의 슬라이딩 개폐가 제한되도록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 탑승함은
    탑승함 고유 IoT 코드가 부착되어 모바일 태그를 통해 위험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KR1020190098409A 2019-08-12 2019-08-12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KR102340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409A KR102340699B1 (ko) 2019-08-12 2019-08-12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PCT/KR2019/016243 WO2021029494A1 (ko) 2019-08-12 2019-11-25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409A KR102340699B1 (ko) 2019-08-12 2019-08-12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339A true KR20210019339A (ko) 2021-02-22
KR102340699B1 KR102340699B1 (ko) 2021-12-20

Family

ID=7457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409A KR102340699B1 (ko) 2019-08-12 2019-08-12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0699B1 (ko)
WO (1) WO2021029494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94U (ja) * 1991-10-07 1993-04-2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Zブーム式高所作業車
KR20120060589A (ko) * 2010-12-02 2012-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KR200480752Y1 (ko) 2014-06-23 2016-07-04 장진만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KR20170090075A (ko) * 2016-01-28 2017-08-07 (주)씨앤씨테크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773255B1 (ko) 2015-09-10 2017-08-31 정성채 고소작업대
KR20180111720A (ko) * 2018-09-18 2018-10-11 송복석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KR101950247B1 (ko) * 2018-05-24 2019-02-21 (주)엔티뱅크 수직 트랙 안전 승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601B1 (ko) * 2011-03-11 2013-05-03 김명수 고소차용 신축식 작업대
KR20130007440U (ko) * 2012-06-19 2013-12-30 원세길 안전센서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150048064A (ko) * 2013-10-24 2015-05-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관리 장치
CN205575519U (zh) * 2016-03-29 2016-09-14 石东风 一种新型剪刀式高空作业车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94U (ja) * 1991-10-07 1993-04-27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Zブーム式高所作業車
KR20120060589A (ko) * 2010-12-02 2012-06-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유지식 농업용 고소작업차량
KR200480752Y1 (ko) 2014-06-23 2016-07-04 장진만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KR101773255B1 (ko) 2015-09-10 2017-08-31 정성채 고소작업대
KR20170090075A (ko) * 2016-01-28 2017-08-07 (주)씨앤씨테크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950247B1 (ko) * 2018-05-24 2019-02-21 (주)엔티뱅크 수직 트랙 안전 승강시스템
KR20180111720A (ko) * 2018-09-18 2018-10-11 송복석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9494A1 (ko) 2021-02-18
KR102340699B1 (ko) 202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EP1891287B1 (en) Collapsible access tower
KR20130105536A (ko)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CN105236276A (zh) 一种可升降、可折叠的龙门起重装置
KR20180111720A (ko) 고소작업차량 탑재 확장형 버켓 안전난간 구조체
US20190330034A1 (en) Work platform with extension deck and work step
KR20200030196A (ko)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KR102340699B1 (ko)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CN110259095A (zh) 一种可折叠式高空升降作业平台装置
KR102050843B1 (ko)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155861B (zh) 一种基于折叠式轿厢的大行程维修升降梯
US2778694A (en) Mobile swinging lift platform equipment
CN111945561B (zh) 异形索塔装饰板安装装置及施工方法
CN211847055U (zh) 一种快速拼装桅柱式高空作业平台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CN210678678U (zh) 一种机车车辆组装用伸缩平台
CN105672867A (zh) 一种折叠式安全爬梯
KR20200063391A (ko) 고소 작업차량의 탑승함
KR20210000005A (ko) 철로용 리프트 작업대
KR200493313Y1 (ko) 전동식 타입의 리프트 장치
CN220725708U (zh) 一种简易可移动式吊笼
KR102312871B1 (ko) 사다리 장치
CN114150994B (zh) 综合管廊的逃生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