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752Y1 -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752Y1
KR200480752Y1 KR2020140004728U KR20140004728U KR200480752Y1 KR 200480752 Y1 KR200480752 Y1 KR 200480752Y1 KR 2020140004728 U KR2020140004728 U KR 2020140004728U KR 20140004728 U KR20140004728 U KR 20140004728U KR 200480752 Y1 KR200480752 Y1 KR 200480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ootrest
fixing post
slid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668U (ko
Inventor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Original Assignee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filed Critical 장진만
Priority to KR2020140004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75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7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의 고정발판 양측으로 절첩발판이 구비된 가변발판에 있어서, 상기 가변발판은 고정발판의 가장자리 상부에 고정포스트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정포스트와 이웃하는 고정포스트의 하단 내측면에 절첩발판의 양측 발판프레임 하단부가 탄성힌지부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탄성힌지부는 제1힌지홀이 형성된 고정포스트와 제2힌지홀이 형성된 힌지편 사이에 발판프레임이 끼워져 상기 고정포스트와 발판프레임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힌지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힌지에 부싱이 끼워진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평상시 상기 절첩발판이 세워지게 접혀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업영역을 넓혀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하여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자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Adjustable worktable functionality foothold in high places}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가변발판에 의하여 넓이가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영역을 넓혀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이나 하우스 과수의 가지치기 및 수확을 위해서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과수 작업을 한다.
사다리를 이용한 과수 작업은 작업자가 사다리를 오르고 내리는 동작이 반복되어지는 가운데 사다리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원인이 있다.
이러한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소작업대가 제안되었으나, 대부분의 고소작업대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발판이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까지만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작업범위가 벗어나게 될 경우, 고소작업대 전체를 이동시켜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10-68451(2014.06.09)호의 리트프타입 고소작업장치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고소작업장치에서 메인 답판의 좌,우측에 접이식 답판을 갖는 보조 답판이 인,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보조 답판이 인,입출되는 과정에서 접이식 답판이 펼쳐지고 접혀지는 구성이 복잡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시간 및 비용이 추가적으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보조 답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접이식 답판이 접혀지지 못함에 따라 접이식 답판이 필요치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와 간섭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기능성 가변발판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용이하게 펼쳐지도록 하는 가운데 펼쳐진 가변발판에서 사용자가 발을 내려 놓음과 동시에 다시 접혀지도록 하여 작업자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의 고정발판 양측으로 절첩발판이 구비된 가변발판(A)에 있어서, 상기 가변발판(A)은 고정발판(10)의 가장자리 상부에 고정포스트(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정포스트(20)와 이웃하는 고정포스트(20)의 하단 내측면에 절첩발판(30)의 양측 발판프레임(31) 하단부가 탄성힌지부(4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첩발판(30)은 발판프레임(31)에 타공판(3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타공판(32)의 하부 모서리에 프레임 힌지 보강부(33)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33)는 외부를 감싸게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 제3힌지홀(3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33)의 외측 하부 모서리에 만곡부(33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힌지부(40)는 제1힌지홀(201)이 형성된 고정포스트(20)와 제2힌지홀(411)이 형성된 힌지편(41) 사이에 발판프레임(31)이 끼워져 상기 고정포스트(20)와 발판프레임(3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힌지(42)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41)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힌지(42)에 부싱(43)이 끼워진 탄성부재(44)가 결합되어 평상시 상기 절첩발판(30)이 세워지게 접혀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다음, 상기 탄성부재(44)는 코일형태로 감겨져 부싱(43)이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 탄성몸체(441)의 일측에
Figure 112014058565615-utm00001
형태로 연장 절곡된 가압핑거(4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몸체(441)의 타측에
Figure 112014058565615-utm00002
형태로 연장 절곡된 걸림핑거(44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상기 체결힌지(42)는 외주연부에 숫나사산(4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숫나사산(421)에 가압링(45)이 끼워져 너트(46)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상기 고정포스트(20)의 상부에는 안전바(50)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50)는 각각의 하단이 고정포스트(20)에 슬라이드 절첩부(51)로 절첩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드 절첩부(51)는 고정포스트(20)의 상부가 외측으로 절개되어 절곡된 받침편(5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편(52)의 양측으로 위치된 고정포스트(20)의 측면에 슬라이드안내홈(5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편(52)과 대응되는 고정포스트(20)의 내측에 슬라이드걸림홈(5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안전바(50)는 각각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안내홈(53)에 중심이 일치되는 슬라이드핀(55)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55)이 결합된 상기 안전바(50)의 하단 내측에 상기 슬라이드걸림홈(54)에 삽입된 슬라이드 고정편(5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고소작업대를 이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가변발판에 의하여 넓이가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영역을 더 넓혀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기능성 가변발판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제조과정 및 제조시간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비용이 추가적으로 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인출된 발판에서 펼쳐진 가변발판에서 사용자가 발을 내려 놓음과 동시에 접혀지도록 하여 가변발판이 필요치 않은 상태에서 작업자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가변발판을 갖는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의 절첩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의 절첩발판의 분해 사시도.
도4a 및 도4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에서 안전바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5a 및 도5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에서 절첩발판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가변발판(A)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대의 고정발판(10) 양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넓이를 확장 즉,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가변발판(A)은 고정발판(10)의 가장자리 상부에 고정포스트(20)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정포스트(20)와 이웃하는 고정포스트(20)의 하단 내측면에 절첩발판(30)의 양측 발판프레임(31) 하단부가 탄성힌지부(40)에 의하여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절첩발판(30)은 사용자가 발로 고정발판(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내딛이면서 밟게 됨과 동시에 펼쳐질 수 있도록 하고, 절첩발판(30)에서 발을 뗌과 동시에 접혀질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절첩발판(30)은 발판프레임(31)에 타공판(32)이 결합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타공판(32)의 하부 모서리에 프레임 힌지 보강부(33)가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포스트(20)에 체결힌지(42)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33)는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부분의 양측으로 제3힌지홀(331)이 형성되어 체결힌지(42)가 관통될 수 있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33)의 외측 하부 모서리에 만곡부(332)가 형성되어 절첩발판(3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과정에서 고정발판(10)의 상부면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힌지부(40)는 평상시 절첩발판(30)이 수직인 상태 즉, 고정발판(10)의 상부에서 수직된 상태로 접혀진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사용자가 발로 고정발판(10)의 외측으로 내딛이면서 밟게 됨과 동시에 펼쳐져 작업공간이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힌지부(40)는 제1힌지홀(201)이 형성된 고정포스트(20)와 상기 고정포스트(20)로부터 일정간격이 이격된 곳에 제2힌지홀(411)이 형성된 힌지편(41)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정포스트(20)와 힌지편(41) 사이에 발판프레임(31)이 끼워져 상기 고정포스트(20)와 발판프레임(3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힌지(42)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힌지편(41)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힌지(42)에는 부싱(43)이 끼워진 탄성부재(44)가 결합되어 탄성부재(44)가 오무려지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체결힌지(42)와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충분한 탄성력이 제공되어 고정발판(10)의 외측으로 펼쳐졌던 절첩발판(30)이 다시 세워지게 접혀진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코일형태로 감겨져 부싱(43)이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 탄성몸체(441)의 일측에
Figure 112014058565615-utm00003
형태로 연장 절곡된 가압핑거(442)가 형성되어 절첩발판(30)의 타공판(32)에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몸체(441)의 타측에는
Figure 112014058565615-utm00004
형태로 연장 절곡된 걸림핑거(443)가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발판(10)의 가장자리 모서리 상부에 걸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힌지(42)는 외주연부에 숫나사산(421)이 형성되어 가압링(45)이 끼워져 너트(46)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아울러 탄성부재(44)의 점검이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포스트(20)의 상부에는 절첩발판(30)이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방향으로 같이 펼쳐지거나 접혀져 작업자가 고정발판(10)의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바(5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안전바(50)는 각각의 하단이 고정포스트(20)에 슬라이드 절첩부(51)로 절첩되게 구비되어있다.
상기 슬라이드 절첩부(51)는 고정포스트(20)의 상부가 외측으로 절개되어 절곡된 받침편(5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편(52)의 양측으로 위치된 고정포스트(20)의 측면에 슬라이드안내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편(52)과 대응되는 고정포스트(20)의 내측에 슬라이드걸림홈(54)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바(50)가 끼워진 상태에서 안전바(50)를 들어 외측으로 젖힘과 동시에 펼쳐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전바(50)의 각각 하단에는 상기 슬라이드안내홈(53)에 중심이 일치되는 슬라이드핀(55)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55)이 결합된 상기 안전바(50)의 하단 내측에 상기 슬라이드걸림홈(54)에 삽입된 슬라이드 고정편(56)이 구비되어 슬라이드 고정편(56)에 의하여 상기 안전바(50)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변발판(A)은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50)가 고정포스트(20)와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포스트(20) 사이로 구비된 절첩발판(30)의 수직으로 접혀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작업자가 안전바(50)를 상부로 잡아당김과 동시에 슬라이드핀(55)이 슬라이드안내홈(53)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안전바(50)가 인출되고, 슬라이드핀(55)이 슬라이드안내홈(53)의 상단에 걸려진 상태에서 안전바(50)를 외측으로 젖힌다.
다음, 외측으로 젖혀진 안전바(50)는 슬라이드핀(55)의 힌지작용으로 외측으로 젖혀지면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50)의 하부 외측이 받침편(52)에 얹혀짐과 동시에 슬라이드고정편(56)이 슬라이드홈(54)에 걸려지면서 펼쳐진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50)가 외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발로 절첩발판(30)을 밟아 외측으로 밀게 됨과 동시에 발판프레임(31)의 프레임 힌지 보강부(33)가 체결힌지(42)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탄성부재(44)의 가압핑거(442) 및 걸림핑거(443)에 의하여 탄성몸체(441)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발판(30)이 펼쳐진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작업이 이루어진 후 작업자가 절첩발판(30)으로부터 발을 뗌과 동시에 탑출된 상태로 있던 탄성몸체(441)의 복원력에 의하여 절첩발판(30)이 체결힌지(42)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게 된다.
10:고정발판 20:고정포스트
30:절첩발판 31:발판프레임
40:탄성힌지부 41:힌지편
42:체결힌지 43:부싱
44:탄성부재

Claims (6)

  1. 고소작업대의 고정발판 양측으로 절첩발판이 구비된 가변발판(A)에 있어서,
    상기 가변발판(A)은 고정발판(10)의 가장자리 상부에 고정포스트(2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정포스트(20)와 이웃하는 고정포스트(20)의 하단 내측면에 절첩발판(30)의 양측 발판프레임(31) 하단부가 탄성힌지부(4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되, 상기 절첩발판(30)은 발판프레임(31)에 타공판(3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타공판(32)의 하부 모서리에 프레임 힌지 보강부(33)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33)는 외부를 감싸게 형성된 부분의 양측에 제3힌지홀(33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프레임 힌지 보강부(33)의 외측 하부 모서리에 만곡부(33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힌지부(40)는 제1힌지홀(201)이 형성된 고정포스트(20)와 제2힌지홀(411)이 형성된 힌지편(41) 사이에 발판프레임(31)이 끼워져 상기 고정포스트(20)와 발판프레임(3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체결힌지(42)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힌지편(41)을 관통하여 노출된 체결힌지(42)에 부싱(43)이 끼워진 탄성부재(44)가 결합되어 평상시 상기 절첩발판(30)이 세워지게 접혀진 상태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4)는 코일형태로 감겨져 부싱(43)이 끼워지는 형태를 갖는 탄성몸체(441)의 일측에
    Figure 112014058565615-utm00005
    형태로 연장 절곡된 가압핑거(44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탄성몸체(441)의 타측에
    Figure 112014058565615-utm00006
    형태로 연장 절곡된 걸림핑거(443)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힌지(42)는 외주연부에 숫나사산(4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숫나사산(421)에 가압링(45)이 끼워져 너트(46)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포스트(20)의 상부에는 안전바(50)가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50)는 각각의 하단이 고정포스트(20)에 슬라이드 절첩부(51)로 절첩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슬라이드 절첩부(51)는 고정포스트(20)의 상부가 외측으로 절개되어 절곡된 받침편(5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편(52)의 양측으로 위치된 고정포스트(20)의 측면에 슬라이드안내홈(5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받침편(52)과 대응되는 고정포스트(20)의 내측에 슬라이드걸림홈(5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안전바(50)는 각각의 하단에 상기 슬라이드안내홈(53)에 중심이 일치되는 슬라이드핀(55)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슬라이드핀(55)이 결합된 상기 안전바(50)의 하단 내측에 상기 슬라이드걸림홈(54)에 삽입된 슬라이드 고정편(56)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KR2020140004728U 2014-06-23 2014-06-23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KR200480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28U KR200480752Y1 (ko) 2014-06-23 2014-06-23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728U KR200480752Y1 (ko) 2014-06-23 2014-06-23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68U KR20150004668U (ko) 2015-12-31
KR200480752Y1 true KR200480752Y1 (ko) 2016-07-04

Family

ID=55170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728U KR200480752Y1 (ko) 2014-06-23 2014-06-23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7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39A (ko) 2019-08-12 2021-02-22 1680스카이(주)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KR102270911B1 (ko) * 2021-02-26 2021-06-30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2708A (ja) * 2010-02-24 2011-09-08 Shikoku:Kk 椅子付き手摺装置
KR101098336B1 (ko) 2011-07-18 2011-12-23 장진만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농업용 고소 작업대
KR101123630B1 (ko) *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44B1 (ko) * 2012-11-28 2015-01-29 주식회사 세웅 리프트타입 고소작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2708A (ja) * 2010-02-24 2011-09-08 Shikoku:Kk 椅子付き手摺装置
KR101098336B1 (ko) 2011-07-18 2011-12-23 장진만 기울기 조절이 용이한 농업용 고소 작업대
KR101123630B1 (ko) * 2011-08-10 2012-03-21 주식회사 세웅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39A (ko) 2019-08-12 2021-02-22 1680스카이(주)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KR102270911B1 (ko) * 2021-02-26 2021-06-30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 자동복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68U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37995A (en) Pole climbing apparatus
KR20170002456U (ko) 우마형 사다리
KR200480752Y1 (ko) 고소작업대용 기능성 가변발판
ATE401488T1 (de) Leiter mit plattform und klappbaren rohrförmigen sicherheitsvorrichtungen, insbesondere für ausziehleiter
KR101459637B1 (ko) 농업기계용 고소작업대의 발판 확장장치
US2388892A (en) Ladder
JP6211460B2 (ja) エレベータ用乗りかご
KR101667157B1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100977715B1 (ko) 작업대
KR102280085B1 (ko) 접이식 작업용 사다리
JP2017071980A (ja) 踏桟カバー
KR20190131681A (ko) 이동 및 보관의 편의성이 극대화된 세이프티 스마트 래더
KR200480473Y1 (ko) 수직 사다리용 접이식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
WO2010136044A1 (en) A scaffolding element
JP5775063B2 (ja) 脚立における開き止め装置
KR102146400B1 (ko) 고소작업차의 보조발판장치
KR200486641Y1 (ko) 사다리용 안전발판
KR20090000735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및 이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JP2007177452A (ja) 三脚脚立
KR20120008547U (ko) 벌크헤드 작업대
KR102465944B1 (ko) 사다리 및 작업대용 지지대
KR100956022B1 (ko) 이동식 작업대
KR200494805Y1 (ko) 작업 발판 사다리
KR200344096Y1 (ko) 신축 사다리
KR100453482B1 (ko) 도배용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