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536A -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Google Patents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05536A KR20130105536A KR1020130028011A KR20130028011A KR20130105536A KR 20130105536 A KR20130105536 A KR 20130105536A KR 1020130028011 A KR1020130028011 A KR 1020130028011A KR 20130028011 A KR20130028011 A KR 20130028011A KR 20130105536 A KR20130105536 A KR 201301055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in
- mast
- lift cabin
- crane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장치는 타워 크레인의 운전실에의 동력식 접근을 가능케 해준다. 본 장치는 크레인의 마스트(3)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프트 캐빈(11)을 포함하며, 이 캐빈은 마스트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캐빈 위에는 작업대(12)가 있으며, 이 작업대는 그 캐빈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작업대(12)를 캐빈(11)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요구되는 높이에서 작업대(12)를 마스트(3)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장치는 크레인 운전자가 특히 캐빈 자체를 사용하여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게 해주며 또한 마스트(3)를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을 가능케 해준다.
본 장치는 중첩되는 마스트 요소(8)들로 이루어지는 마스트를 갖는 타워 크레인에 적용된다.
본 장치는 중첩되는 마스트 요소(8)들로 이루어지는 마스트를 갖는 타워 크레인에 적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가식 하중물 리프팅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편으로 수고나 피로 없이 크레인 운전자가 크레인의 높은 부분에 있는 운전실에 신속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해주며 다른 한편으로는 작업자가 크레인 구조물의 세우기 또는 해체 작업 중에 또는 다른 일을 위해 다양한 높이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타워 크레인은 수직 마스트(mast)를 포함하며, 이 마스트의 정상부에는 수직 방향 축선 주위로 회전하는 붐(boom)이 설치되며, 이 붐을 따라 캐리지가 이동하게 되며, 이 캐리지 아래에는 들어 올려질 하중물이 갈고리에 매달리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의 운전실은 보통 마스트의 정상부 영역에 위치되어 지상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곳에 있는 캐빈(cabin)으로 형성된다.
대부분의 타워 크레인에서 크레인 운전자를 위한 운전실에의 접근은 크레인의 마스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사다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보호 "크리놀린(crinoline)" 또는 일정한 수직 방향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휴식대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경사 사다리를 갖는 수직 사다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접근 방식의 주된 단점은 다음과 같다:
- 한편으로, 크레인 운전자가 마스트를 타고 올라가 운전실까지 가는데 많은 육체적 수고가 필요하고,
- 다른 한편으로는, 운전실까지 올라가고 또한 반대로 지상으로 내려가는데 긴 시간이 걸리고, 이 때문에 크레인이 사용되는 현장의 생산성이 감소하게 된다.
이들 단점을 피하기 위해,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가 이미 제안되어 있는데, 이 방안은 크레인의 마스트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설치되어 움직이게 되는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마스트의 외부에서의 동력식 방안은 여전히 다음과 같은 많은 단점들을 갖는다:
- 접근 장치(다르게는 리프트로 알려져 있음)는 크레인을 세운 후에 마스트에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타워 크레인과 그의 리프트를 결합하기 위한 설치 시간이 너무 길게 됨을 의미한다.
- 마스트의 외부에 리프트가 존재하면, 역시 마스트의 외부에 배치되는 신축자재형 케이지의 사용과 양립할 수 없다.
- 외부 리프트가 존재하면, 크레인의 풍손(windage)이 증가되고 크레인의 작업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 외부 리프트가 존재하면, 크레인의 갈고리에 매달려 있는 부피가 큰 하중물에 리프트가 부딪힐 위험이 또한 있다.
-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움직이는 리프트의 경우, 이러한 기구는 크레인 마스트의 변형과 양립될 수 없으며 또한 리프트가 움직일 중간 마스트의 제공이 필요하게 된다.
- 케이블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리프트의 경우에는, 마스트의 외부에 상부 고정점을 제공해야 한다.
- 사람이 마스트 외부의 리프트와 마스트 내부 사이를 움직이는데 종종 문제가 있다.
마스트 외부에서의 동력식 방안의 예를 들면, 특허 문헌 CH665825, EP 0 175 052 및 WO 2005/087645가 있으며, 여기서 마스트의 외부에 있는 리프트 캐빈 위에는 작업대가 있다.
따라서, 크레인 마스트 내부에서의 동력식 방안이 전술한 단점들을 해소하는데 바람직한 것 같다. 이러한 방안은 특히 특허 문헌 WO 92/18412 및 FR 2 936 236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 WO 92/18412의 경우, 간단한 리프트 캐빈이 안전 크리놀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하게 되며, 그 안전 크리놀린 자체는 크레인 마스트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리프트 캐빈은 사다리를 따라 안내되고 랙-피니언 기구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랙은 바람직하게는 사다리에 설치된다.
상기 문헌 FR 2 936 236 의 경우에는, 크레인 마스트의 내부에 있는 수직 방향 안내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리프트 캐빈이 설치되며, 그 안내 레일에는 리프트 캐빈을 이동시키기 위한 랙이 구비되어 있다. 이 리프트 캐빈 위에는 안전 레일로 둘러싸여 있는 작업대가 있다. 리프트 캐빈 및 그의 작업대는 분리될 수 없다. 크레인의 마스트가 소정 갯수의 마스트 요소들이 중첩되어 형성되므로, 리프트 캐빈과 작업대로 이루어진 결합체는 완전히 바닥 마스트 요소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해체된 크레인의 운반을 위해 상기 결합체는 상기 바닥 마스트 요소 안에 설치된다. 수직 사다리가 통과하는 뚜껑문에 의해, 리프트 캐빈의 내부와 이 캐빈 위의 작업대가 서로 연통된다.
위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 작업대와 리프트 캐빈을 영구적으로 함께 연결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있다:
- 크레인 운전자가 매번 올라가거나 내려가기 위해서는, 리프트 캐빈 및 이 캐빈 위의 적업대로 인한 무거운 물체와 큰 부피의 물체를 움직여야 한다.
-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상기 FR 2 936 236에 따른 방안은, 리프트 캐빈이 크레인 기부에서 바닥 위치에 있거나 마스트를 따라 움직이고 있을 때는 캐빈에 동반하는 작업대가 크레인의 회전부(붐을 가짐) 아래에 없게 되며, 따라서, 어떤 상황에서는 이 영역에서 작업하는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있을 수 있을 때 크레인의 운전실의 높이에 큰 틈이 남게 된다는 점에서 위험이 있다.
- 크레인이 수리 중일 때, 작업대와 리프트 캐빈은 마스트의 상부에 위치되며, 그 결과, 지상으로부터 상당히 높은 곳에 리프트 캐빈에 있으므로 크레인 풍손이 증가된다.
- 특별한 일을 하기 위해 또는 크레인을 세우거나 해체하는 작업 중에 작업대를 중간 높이에서 정지시켜야 할 경우, 반드시 리프트 캐빈을 작업대와 동일한 높이에 정지시켜야 하며 작업자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데 더 이상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워 크레인의 실제적인 요구 조건에 특히 적합하고 또한 완전히 안전하고 그러면서도 사용에 있어 유연하고 특히 크레인을 세우고 해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는 동력식 높이 접근 방안을 갖는 개선된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크레인의 마스트 내부에 설치되어 그 마스트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리프트 캐빈을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프트 캐빈 위에는 안전 레일을 갖는 작업대가 있으며, 상기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의 본질적인 특징으로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리프트 캐빈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작업대를 상기 리프트 캐빈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요구되는 높이에서 상기 작업대를 크레인의 마스트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따라서 높이 접근을 위해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있는 상기 리프트 캐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이디어는 리프트 캐빈 위에 있는 작업대를 그 캐빈으로 부터 분리가능하게 만드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특히,
작업대를 크레인의 운전실의 높이에 그래서 크레인의 회전부 바로 아래에 있는 마스트의 정상부에 유지할 수 있으며, 그리고 리프트 캐빈이 상기 작업대에서 분리되어, 크레인 운전자가 수고나 피로 없이 작업 장소에 신속히 접근하기 위해 근무 시작시 올라갈 수 있고 또한 근무가 끝나면 내려 갈 수 있고, 그리고
작업대가 리프트 캐빈에 부착되어 있을 때, 임시 작업 및, 가장 중요하게는, 조립되거나 분해되는 중첩된 마스트 요소들로 형성되는 마스트를 포함하는 크레인을 세우고 해체하는 작업에 요구되는 높이에 상기 작업대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설계 덕분에, 높이 접근 과정은 단지 리프트 캐빈의 이동으로만 수행되고, 이 리프트 캐빈의 중량과 전체 크기는 제한되며, 정상부에서 제 위치에 남아 있는 작업대는 크레인의 회전부 아래에서의 사람들의 순환을 위한 전체적인 안전을 제공한다.
더욱이, 크레인이 수리 중일 때, 리프트 캐빈은 크레인의 기부로 복귀할 수 있고, 작업대는 상부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그래서 크레인은 더욱 낮은 풍손을 갖게 된다.
크레인을 운반하기 위해, 리프트 캐빈은 작업대와 함께 바닥 마스트 요소의 전체 크기 내부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작업대는 캐빈에 연결되고, 이리하여, 크레인의 운반 중에 상기 장치의 양호한 보호가 보장된다.
물론, 본 발명의 상기 장치는 마스트 내부의 방안들의 모든 이점들을 유지하는데, 특히 움직이고 있는 리프트 캐빈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갈고리에 매달려 있는 하중물과의 충돌 위험을 없애 준다.
상기 작업대를 리프트 캐빈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요구되는 높이에서 작업대를 크레인의 상기 마스트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수단은 수동식 수단 또는 동력식 수단일 수 있다. 수동식 수단의 경우에, 이 수동식 수단은 상기 리프트 캐빈의 내부 또는 작업대에서 가능하다면 뚜껑문을 통해 접근가능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단은 단순하고 안전해야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 리프트 캐빈은 그의 바닥부의 높이에 있는 바닥 뚜껑문, 상기 리프트 캐빈의 지붕에 제공되어 있는 상부 뚜껑문 및 경사진 또는 수직 내부 사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뚜껑문이 구비되어 있는 개구를 갖는 바닥부를 가지며, 그 개구의 뚜껑문은 리프트 캐빈의 상기 상부 뚜껑문과 대응하는 관계로 위치되어 있다. 리프트 캐빈의 내부 사다리, 특히 경사진 사다리에는 중간 턱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내부 사다리는 특히 리프트 캐빈에서 작업대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그 내부 사다리는 크레인 운전자가 아파서 캐빈의 바닥 뚜껑문 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그 바닥 뚜껑문을 보호하는 기능도 하며, 그래서 구조 대원이 항상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캐빈의 경우, 상기 작업대를 리프트 캐빈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상기 수동식 수단은 상기 리프트 캐빈의 상부 뚜껑문을 통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랫치(latch)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랫치는 상기 작업대를 캐빈에 연결하지 않을 때는 상기 크레인 마스트의 사다리에 결합된다.
상기 랫치는 유리하게는 리프트 캐빈의 감속된 또는 감속되지 않은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데 적합한 전기 스위치와 상호 작용하며, 따라서 상기 랫치가 작업대를 캐빈에 연결하지 않을 때는 감속되지 않은 속도가 허용된다. 따라서 캐빈만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반대로 작업대가 캐빈에 연결되어 있을 때는 캐빈-작업대 결합체가 느린 속도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일 변형예에서, 상기 수동식 수단은 레버 기구로 형성되며, 이 레버 기구는 상기 리프트 캐빈의 내부에서 조작될 수 있는 로드에 의해 작동된다.
어떤 경우에도, 이 타워 크레인용 높이 접근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장치를 구비하는 타워 크레인의 전체 사시도로, 리프트 캐빈과 작업대가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과 작업대가 연결되어 있다.
도 3 은 연결되어 있는 캐빈과 작업대를 따로 따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리프트 캐빈만을 나타낸 "절취" 사시도이다.
도 5 는 캐빈에서 분리되어 있는 작업대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는 도 1 과 유사한 전체도이지만, 작업대는 정상부에 있고 캐빈은 바닥에 있다.
도 7 은 도 6 의 B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작업대는 정상부에 있다.
도 8 은 도 6 의 C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은 바닥에 있다.
도 9 는 도 1 및 6 과 유사한 다른 전체도이지만, 작업대는 정상부에 있고 캐빈은 중간 위치에 있다.
도 10 은 도 9 의 D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은 중간 위치에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세워지고 있는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E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과 작업대는 설치되고 있는 마스트의 정상부에 있다.
도 13 은 작업대와 캐빈 사이의 연결 수단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이다.
도 14 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연결 수단을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과 작업대가 연결되어 있다.
도 3 은 연결되어 있는 캐빈과 작업대를 따로 따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리프트 캐빈만을 나타낸 "절취" 사시도이다.
도 5 는 캐빈에서 분리되어 있는 작업대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는 도 1 과 유사한 전체도이지만, 작업대는 정상부에 있고 캐빈은 바닥에 있다.
도 7 은 도 6 의 B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작업대는 정상부에 있다.
도 8 은 도 6 의 C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은 바닥에 있다.
도 9 는 도 1 및 6 과 유사한 다른 전체도이지만, 작업대는 정상부에 있고 캐빈은 중간 위치에 있다.
도 10 은 도 9 의 D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은 중간 위치에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세워지고 있는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E 부분의 확대 상세도로, 캐빈과 작업대는 설치되고 있는 마스트의 정상부에 있다.
도 13 은 작업대와 캐빈 사이의 연결 수단이 잠금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세 사시도이다.
도 14 는 잠금 해제 위치에 있는 연결 수단을 나타낸다.
도 1 을 참조하면, 타워 크레인은 기부 프레임(2), 마스트(3) 및 수직 방향 축선 주위로 배향될 수 있는 회전부(4)를 포함한다. 이 회전부 자체는 분배 붐(boom; 5) 및 카운터웨이트(보이지 않음)를 지니고 있는 카운터 붐(7)을 포함하고, 캐리지(6)가 상기 분배 붐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스트(3)는 소정 갯수의 중첩된 마스트 요소(8)를 포함하는 마스트이고, 정상 마스트 요소(8)는 피봇(9)을 지니고 있으며, 이 피봇에는 크레인의 회전부(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크레인은 또한 그의 상부에서 운전실(10)을 갖고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운전실(10)은 상기 회전부(4)에 지지되며 붐(5)의 일 측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자 및 특히 크레인 운전자가 크레인의 상부 및 특히 운전실(10)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높이 접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높이 접근 장치는 리프트 캐빈(11) 및 이 리프트 캐빈(11)의 위에 있는 작업대(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들 두 요소, 즉 리프트 캐빈(11)과 작업대(12)는 마스트(3)의 내부에 수용되며 또한 실제로는 이 마스트(3)의 전체 높이에 걸쳐 그 마스트(3)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12)는 리프트 캐빈(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3 은 리프트 캐빈(11)에 연결되어 있는 작업대(12)를 나타내고, 도 5 는 리프트 캐빈에서 분리되어 따로 있는 동일한 작업대(12)를 나타낸다.
도 3 및 4 를 참조하면, 리프트 캐빈(11)은 안전 레일(14)로 둘러싸여 있는 바닥부(13) 및 보호 지붕(16)을 지지하는 구조물(15)을 포함한다. 이 캐빈은 그의 바닥부(13)에 있는 바닥 뚜껑문(17) 및 지붕(16)에 있는 상부 뚜껑문(18)을 구비한다. 리프트 캐빈(11)은 또한 경사진 내부 사다리(19)를 더 포함하며, 이 사다리에는 중간 턱부(20)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 턱부는 바닥 뚜껑문(17)과 상부 뚜껑문(18)의 사이의 연속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상기 작업대(12)는 또한 바닥(21)을 포함하고 이 바닥 위에는 안전 레일(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작업대의 바닥부(21)에는, 뚜껑문(23)이 구비되어 있는 개구가 제공되어 있으며, 그 뚜껑문은 리프트 캐빈(11)의 상부 뚜껑문(18)에 대응하는 관계로 위치된다.
상기 리프트 캐빈(11) 및 작업대(12) 모두에서 그들의 일 측에는 각각의 안내 롤러(24, 25)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들 안내 롤러는 크레인의 마스트(3)에 설치되어 있는 공통 안내 레일에 상기 캐빈과 작업대를 위치시켜 구를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들 공통 안내 레일은 마스트(3)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다리(26)의 디딤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다리(26) 자체는 마스트 요소(8)에 대응하는 부분들로 형성된다.
리프트 캐빈(11)을 안내 레일을 따라 추진시키기 위한 동력식 수단이 제공된다. 리프트 캐빈(11)의 승강 및 하강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또는 콘솔이 제공되며, 특히 이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갖는다:
- 리프트 캐빈(11) 안에서 동력식 추진 수단을 제어하는 전기 캐비넷(28)의 위에 설치되는 주 제어부(27);
- 크레인의 기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어부; 및
- 작업대(12)에 배치되는 또 다른 제어부.
이들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로 제어 지시를 전달하여 권취 케이블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작업대(12)는 분리가능하게 리프트 캐빈(11)에 연결되며, 그래서 작업대는 캐빈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또는 어떤 높이에서 고정될 수 있는 반면 캐빈은 움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리프트 캐빈(12)과 작업대(12)에는 기계적인 결합 수단이 제공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수단은 수동식이며, 리프트 캐빈(11)의 지붕(16) 위로 돌출되어 있는 요소(29) 및 작업대(12)의 바닥부(21)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상보적인 요소(30)를 포함한다. 레버 기구(31)가 상기 요소(25, 26)의 결합 및/또는 분리를 제어한다. 이 레버 기구(31)는 리프트 캐빈(11)의 내부에서 조작될 수 있는 로드(32)로 작동될 수 있다.
작업대(12)는 리프트 캐빈(11)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그 작업대는 마스트(3)의 요구되는 높이에서 작업대를 못 움직이게 하기 위한 수동식 또는 동력식 수단을 더 구비한다. 이들 수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리하게는 레일 사다리(26)의 가로대 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핀의 형태로 되어 있다.
나타나 있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장치는 다양한 안전 요소, 즉 리프트 캐빈(11)이 정상 또는 바닥 위치에 도달하면 작동하는 이동 종료 센서, 캐빈 승하강 장애물 센서, 과부하 센서, 캐빈 과속 센서 및 비상 브레이크, 다양한 뚜껑문(17, 18, 23)과 관련되어 있고 이들 뚜껑문들 중 어떤 것이라도 정확하게 닫히지 않으면 캐빈의 출발을 금지하는 센서, 동력식 추진 수단의 고장시에 사용될 수 있는 수동식 백업 시스템 등을 더 포함한다.
리프트 캐빈(11)과 작업대(12)는 유리하게는 조명 수단, 바람직하게는 비상 전력 공급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데, 이는 특히 제어 콘솔에 대한 최소한의 조명을 제공한다.
여러 도를 참조하면, 전술한 상기 접근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제 1 작동 모드는 현장에서 타워 크레인을 사용하는 중에 적용되는 소위 "정상" 모드인데, 이 모드에서는, 크레인 운전자가 운전실(10)에 접근하기 위해 마스트(3)의 정상부로 올라갈 수 있고 또한 반대로 근무가 끝나면 지상으로 내려갈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 캐빈(11)은 작업대(12)에서 분리되며, 그 작업대 자체는 높은 위치, 즉 회전부(4) 바로 아래에 있는 마스트(3)의 정상부에서 고정된다.
적절하다면 근무 시작시 올라가기 위해 크레인 운전자는,
마스트(3)의 기부에 이미 존재하는 리프트 캐빈(11)에 직접 접근하거나, 또는
리프트 캐빈(11)이 없으면(캐빈은 정상 위치에 남아 있다), 크레인의 기부에 배치되어 있는 제어부를 이용해 그 캐빈을 불러 바닥 위치로 오게 할 수 있다.
바닥 위치(도 6 및 8 참조)에서 리프트 캐빈(11)은 크레인의 기부 프레임(2) 위로 예컨대 2 m 정도의 높이에서 멈추게 된다. 그리고, 크레인 운전자는 레일 사다리(26)의 첫번째 가로대를 딛고 리프트 캐빈(11)의 열린 바닥 뚜껑문(17)을 통과하여 그 리프트 캐빈에 접근하게 된다. 그런 다음, 크레인 운전자는 리프트 캐빈(11)의 출발이 허가될 수 있도록 이 뚜껑문(17)을 닫아야 한다.
그런 다음, 리프트 캐빈(11) 안에 있는 제어부(27)를 이용하여 그 리프트 캐빈의 승강을 제어한다. 그리고, 크레인 운전자는,
언제든지 리프트 캐빈(11)의 승강 운동을 중단시켜 이음 철판의 조임 확인과 같은 작업을 진행하거나(그 이음 철판에 의해 마스트 요소(8)들이 서로 조립됨)(중간 위치에 멈춰있는 리프트 캐빈(11)을 나타내는 도 9 및 10 참조요), 또는
리프트 캐빈(11)을 직접 그의 장상 위치로 보낼 수 있다(이 위치에서 리프트 캐빈은 작업대(12)의 바로 아래에서 멈추게 됨)(도 1 및 2 참조요).
그리고 나서, 크레인 운전자는 리프트 캐빈(11)의 내부 사다리(19)를 타고 올라가 그 캐빈의 열린 상부 뚜껑문(18) 및 작업대(12)의 뚜껑문(23)을 통과하여 정상부를 지나 리프트 캐빈에서 나갈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 운전자는 작업대(12)의 바닥부(21)에 도달하고 거기서 크레인의 회전부(4)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실(10)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작업일(또는 다른 작업 기간)이 끝나면, 크레인 운전자는 운전실(10)을 떠나, 정상 위치에서 고정 유지되어 있는 작업대(12)로 내려 오게 된다. 리프트 캐빈(11)이 정상 위치에 남아 있다면 크레인 운전자는 상기 작업대에서 그 리프트 캐빈에 직접 접근할 수 있으며, 또는 리프트 캐빈(11)이 없으면 작업대에 있는 제어부를 사용하여 리프트 캐빈을 불러 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작업은 리프트 캐빈(11)이 바닥 위치(도 6 및 8 참조)로 복귀하여 멈출 때까지 승강 작업의 반대 순서로 수행된다.
도 11 및 12 에 나타나 있는 다른 작동 모드는 타워 크레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속적으로 서로 조립되어야 하는 중첩된 마스트 요소(8)들로 구성된 마스트(3)의 세우기 및 해체시의 사용에 대응한다.
리프트 캐빈(11)은 작업대(12)에 연결된다. 처음에, 리프트 캐빈(11)과 작업대(12)의 최종 결합체는 완전히 바닥 마스트 요소(8)의 내부에 위치된다.
마스트(3)가 올라감에 따라, 상기 결합체는 수직 방향 운동으로 정상 마스트 요소(8), 즉 설치될 마지막 마스트 요소까지 갈 수 있다. 그리고,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의 작업자가 새로운 마스트 요소를 이전 마스트 요소에 연결하는 부재들을 끼우기 위하여 다음 마스트 요소(8)를 받기 위해 작업대(12)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캐빈-작업대 결합체는 이 새로운 마스트 요소의 내부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계속 이런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은 마스트(3)가 요구되는 높이에 이를 때까지 계속되며, 마지막에 작업대(12)는 완성된 마스트(3)의 정상부에서 고정된다.
상기한 다른 작동 모드에서, 리프트 캐빈(11)이 이동하는 속도는 안전상의 이유로 정상 모드에서 보다 낮을 수 있다. 더욱이, 이동 종료 관리가 상이하고 적절한데, 왜냐하면 정상 위치는 이미 제 위치에 있는 마스트 요소(8)의 수에 따라 변하고 또한 그에 의존하기 때문이며, 그 정상 위치는 특히 사다리(26)의 존재로 알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캐빈-작업대 결합체는 마스트(3)의 해체시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마스트는 마스트 요소(8)들이 제거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되며, 상기 결합체는 제거될 다음 마스트 요소의 높이로 가게 된다.
이 다른 작동 모드에서도 그리고 따라서 세우기 또는 해체시에, 리프트 캐빈(11)은 고정된 작업대(12)로부터 일시적으로 분리된 채로 유지되어, 사람이 작업대로 올라가거나 지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리프트 캐빈(11) 안에 있는 제어부(27)에 제공되어 있는 수동식 스위치가 정상 작동 모드에서 세우기/해체 모드로의 전환을 명령한다.
마지막으로,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여, 작업대(12)를 비영구적 방식으로 리프트 캐빈(11)에 연결하기 위한 수동식 수단의 특별한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 수단은 수평 방향으로 배향되어 레일 사다리(26) 쪽으로 향하는 랫치(33)를 포함하며, 이 랫치(33)는 리프트 캐빈(11)의 상부 뚜껑문(18)을 통해 조작될 수 있다.
잠금 위치(도 13)에서 상기 랫치(33)는 작업대(12)를 리프트 캐빈(11)에 연결하는데, 하지만 레일 사다리(26)로부터 떨어져 있다. 잠금해제 위치(도 14)에서 랫치(latch; 33)는 작업대(12)를 리프트 캐빈(11)에서 분리시킨다. 그리고 이 랫치(33)는 레일 사다리(26)의 가로대(34)와 상호 작용하여 작업대(12)를 요구되는 높이에 유지시킨다.
또한 도 13 및 1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잠금 위치에서 작업대(12)가 캐빈(11)에 연결되고 캐빈-작업대 결합체가 저속으로만 마스트(3)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잠금해제 위치에서는 작업대(12)가 고정되고 그래서 캐빈(11)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고 이 캐빈(11)이 더 높은 속도로 마스트(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랫치(33)는 리프트 캐빈(11)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스위치(35)와 상호 작용하게 된다.
또한 도 13 에서, 뚜껑문이 정확히 닫혀 있지 않으면 리프트 캐빈(11)의 어떠한 움직임도 금지하기 위해 그 리프트 캐빈의 상부 뚜껑문(18)과 관련된 센서(36)를 볼 수 있다.
분명, 이들 요소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크레인의 정상 작동 및 세우기/해체 과정 모두에서 작동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로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해도 벗어나지 않는다:
- 리프트 캐빈 및 작업대의 세부 구성을 변경하는 것;
- 마스트를 따르는 리프트 캐빈의 동력식 운동을 위한 적절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
- 작업대를 캐빈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동식 수단을 동력식 수단으로 대체하고, 이들 수동식 수단 또는 동력식 수단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것;
- 특히 캐빈의 경사진 내부 사다리를 수직 사다리로 대체하거나 이 캐빈의 바닥 뚜껑문을 위한 보호 안전 레일을 추가하여 캐빈과 작업대의 장비를 수정하거나 개작하는 것;
- 접근 장치의 작동 및 안전에 유용한 추가적인 장비를 제공하는 것;
- 이 접근 장치를 특별한 타워 크레인, 예컨대 가변적인 단면의 마스트를 갖는 크레인 또는 앵커나 스테이(stay) 프레임을 갖는 크레인에 설치하는 것(적절하다면, 캐빈과 작업대가 마스트의 전체 높이의 일 부분에 걸쳐서만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 제공됨).
Claims (10)
- 타워 크레인의 마스트(3) 내부에 설치되어 그 마스트(3)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리프트 캐빈(11)을 포함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로서, 상기 리프트 캐빈(11) 위에는 안전 레일(22)을 갖는 작업대(12)가 있는 상기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2)는 상기 리프트 캐빈(1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작업대(12)를 상기 리프트 캐빈(11)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요구되는 높이에서 상기 작업대(12)를 크레인의 마스트(3)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29 ∼ 32)이 제공되고, 따라서 높이 접근을 위해 상기 작업대(12)에서 분리되어 단독으로 있는 상기 리프트 캐빈(11)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를 리프트 캐빈(11)에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요구되는 높이에서 작업대(12)를 크레인의 상기 마스트(3)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수단은 수동식 수단(29 ∼ 3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수단(29 ∼ 33)은 상기 리프트 캐빈(11)의 내부 또는 작업대(12)에서 가능하다면 뚜껑문(18)을 통해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수단은 상기 리프트 캐빈(11)의 상부 뚜껑문(18)을 통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랫치(33)로 형성되며, 이 랫치(33)는 상기 작업대(12)를 캐빈(11)에 연결하지 않을 때는 상기 크레인 마스트(3)의 사다리(26)에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랫치(33)는 리프트 캐빈(11)의 감속된 또는 감속되지 않은 이동 속도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전기 스위치(35)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랫치(33)가 작업대(12)를 캐빈(11)에 연결하지 않을 때는 감속되지 않은 속도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식 수단은 레버 기구(31)로 형성되며, 이 레버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트 캐빈(11)의 내부에서 조작될 수 있는 로드(32)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12)와 리프트 캐빈(11)을 비영구적으로 연결하고 또한 요구되는 높이에서 작업대(12)를 크레인의 상기 마스트(3)에 대해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수단은 동력식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캐빈(11)은 그의 바닥부(13)의 높이에 있는 바닥 뚜껑문(17), 상기 리프트 캐빈의 지붕(16)에 제공되어 있는 상부 뚜껑문(18) 및 경사진 또는 수직 내부 사다리(19)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12)는 뚜껑문(23)이 구비되어 있는 개구를 갖는 바닥부(21)를 가지며, 그 개구의 뚜껑문은 리프트 캐빈(11)의 상기 상부 뚜껑문(18)과 대응하는 관계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캐빈(11)의 승하강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 상기 리프트 캐빈(11) 안에 위치되는 주 제어부(27);
- 상기 크레인의 기부에 배치되는 다른 제어부; 및
- 상기 작업대(12)에 배치되는 또 다른 제어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마스트 요소(8)들이 중첩되어 형성되는 마스트(3)를 갖는 타워 크레인을 세우거나 해체하기 위해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를 사용하는 용도로서, 리프트 캐빈(11)과 작업대(12)로 이루어진 결합체는 세우기 작업 중에 설치되는 마지막 마스트 요소의 높이까지 올라 가거나 또는 해제 작업 중에 제거될 다음 마스트 요소의 높이까지 내려가는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2305304.3 | 2012-03-15 | ||
EP12305304.3A EP2639193B1 (fr) | 2012-03-15 | 2012-03-15 | Dispositif d'accès en hauteur pour grue à tou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5536A true KR20130105536A (ko) | 2013-09-25 |
Family
ID=4593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8011A KR20130105536A (ko) | 2012-03-15 | 2013-03-15 |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9382099B2 (ko) |
EP (1) | EP2639193B1 (ko) |
KR (1) | KR20130105536A (ko) |
CN (1) | CN103303810B (ko) |
AU (1) | AU2013201212A1 (ko) |
DK (1) | DK2639193T3 (ko) |
ES (1) | ES2527551T3 (ko) |
PT (1) | PT2639193E (ko) |
SG (1) | SG19372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193B1 (ko) * | 2014-06-18 | 2014-12-01 | (주)성하산업 | 타워 크레인용 리프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20645B2 (en) * | 2011-11-16 | 2015-09-01 | Spacelift Products, Inc. | Control system for a platform lift apparatus |
US8839586B2 (en) * | 2012-09-14 | 2014-09-23 | General Electric Company | Tower section and method for installing tower for wind turbine |
DE102012109860A1 (de) * | 2012-10-16 | 2014-04-17 | Max Bögl Wind AG | Versorgungsgerüst für einen Turm,Turm mit einem Versorgungsgerüst sowie Verfahren zum Errichten eines Versorgungsgerüsts im Inneren eines Turms |
DE102012020819A1 (de) | 2012-10-23 | 2014-05-08 | Liebherr-Werk Biberach Gmbh | Kran |
CN104973515B (zh) * | 2015-07-05 | 2017-03-08 | 范志甫 | 一种起重机多节安全操作室及其操作方法 |
FR3045169B1 (fr) * | 2015-12-09 | 2018-01-12 | Haulotte Group | Pupitre de commande et nacelle elevatrice comprenant un tel pupitre de commande |
CA2924982C (en) * | 2016-03-24 | 2023-09-19 | Adam Toma |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related methods |
US10669142B2 (en) | 2016-06-10 | 2020-06-02 | Altec Industries, Inc. | Transparent elevating platform |
US10822216B2 (en) * | 2016-06-10 | 2020-11-03 | Altec Industries, Inc. | Modular rib for elevating platform |
US10823327B2 (en) | 2016-06-10 | 2020-11-03 | Altec Industries, Inc. | Mounting system for elevating platform |
CN107416701A (zh) * | 2017-05-22 | 2017-12-01 | 无锡石油化工起重机有限公司 | 安装内外双升降梯的塔式起重机 |
CN107651575A (zh) * | 2017-08-10 | 2018-02-02 | 江苏京龙工程机械有限公司 | 一种方便上下的塔式起重机 |
US10655345B2 (en) * | 2017-11-16 | 2020-05-19 | Tiong Bin Seow | Height accessible work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displaceable cradle |
WO2019103163A1 (ko) * | 2017-11-21 | 2019-05-31 | 주식회사 리프텍 | 승강 장치 |
CN107720524A (zh) * | 2017-11-30 | 2018-02-23 | 保定天威保变电气股份有限公司 | 一种铁芯滚转台安全防护装置及方法 |
US10858893B2 (en) | 2018-02-02 | 2020-12-08 | Adam Toma | Laterally movable mobile well servicing units and methods of use |
CN108263977A (zh) * | 2018-03-05 | 2018-07-10 | 无锡石油化工起重机有限公司 | 具备水情监测报警功能的港口专用旋臂吊 |
DE202018101551U1 (de) * | 2018-03-20 | 2019-06-25 | Geda-Dechentreiter Gmbh & Co. Kg | Übertritt für einen Aufzug |
US20190389697A1 (en) * | 2018-06-22 | 2019-12-26 | Marvin M. May | Low-cost home lift |
CN109555263B (zh) * | 2019-01-07 | 2020-12-15 |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 桩腿单元和桩腿 |
US11964850B2 (en) * | 2019-03-20 | 2024-04-23 | Liebherr-Werk Biberach Gmbh | Crane |
CN117383486A (zh) * | 2019-04-05 | 2024-01-12 | 奥斯克什公司 | 升降车 |
CN110577174A (zh) * | 2019-09-10 | 2019-12-17 | 湖南省铁华强力专用汽车制造有限公司 | 一种中轴式半挂登高车 |
US11919756B2 (en) * | 2020-02-04 | 2024-03-05 | Xtreme Manufacturing, Llc | Aerial work vehicle boom auxiliary control panel |
US20210238021A1 (en) * | 2020-02-04 | 2021-08-05 | Xtreme Manufacturing, Llc | Aerial work vehicle auxiliary wireless control device |
DE102020113809A1 (de) * | 2020-05-22 | 2021-11-25 | Liebherr-Werk Biberach Gmbh | Transportanlage für den vertikalen Transport von Gütern und Personen auf einer Hochbaustelle |
CN111824957A (zh) * | 2020-06-24 | 2020-10-27 | 山东富友慧明测控设备有限公司 | 一种多层多臂式塔机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
CN113104747B (zh) * | 2021-05-24 | 2023-12-05 | 辽宁鑫丰矿业(集团)有限公司 | 一种防风防倒自动配重塔式起重机 |
CN113666277A (zh) * | 2021-08-20 | 2021-11-19 | 山东中诚机械租赁有限公司 | 一种顶升系统保护装置 |
CN114105001B (zh) * | 2021-11-16 | 2023-07-18 |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 装配式塔机塔身悬挑平台及其安装方法 |
CN115650077B (zh) * | 2022-03-01 | 2023-10-20 | 江苏众建达丰机械工程有限公司 | 一种塔式起重机的爬升机构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80981A (en) * | 1961-06-06 | 1963-03-12 | Schwermaschb Kirow Veb | Tower-crane cabin |
US3166154A (en) * | 1962-02-02 | 1965-01-19 | Titzel Engineering Inc | Portable scaffolds and work towers |
US3439467A (en) * | 1967-01-26 | 1969-04-22 | Zip Up Lighting Tower Co Inc | Portable collapsible tower |
FR2468541A1 (fr) * | 1979-10-29 | 1981-05-08 | Rock | Appareil de levage multiple avec echafaudage automoteur integre |
DE3433537A1 (de) | 1984-09-12 | 1986-04-17 | Liebherr-Werk Bischofshofen GmbH, Bischofshofen | Turmdrehkran |
CH665825A5 (en) | 1985-02-06 | 1988-06-15 | Emil Huggler Ag | Crane with height adjustable driver's cab - with adjustment achieved by crane's own lifting mechanism |
FR2675196B1 (fr) * | 1991-04-12 | 1998-09-04 | Hek France | Echelle de secours avec ascenseur incorpore. |
US5159993A (en) * | 1991-10-15 | 1992-11-03 | Gestion Des Brevets Fraco Limitee | Self-raising work platform assembly |
CN2113266U (zh) * | 1991-11-08 | 1992-08-19 | 李丕熙 | 建筑塔吊操作工自行升降梯 |
FR2694279A1 (fr) * | 1992-08-03 | 1994-02-04 | Otis Elevator Co | Ascenseur ou monte-charges, suivant l'avancement du gros-Óoeuvre de la construction de bâtiments. |
CN2444925Y (zh) * | 2000-09-26 | 2001-08-29 | 冯继光 | 自升式塔吊司机专用升降吊笼 |
FR2839055B1 (fr) * | 2002-04-25 | 2004-10-29 | Potain Sa | Unite cabine-pivot repliable pour grue a tour |
US20030213655A1 (en) * | 2002-05-20 | 2003-11-20 | Andre St-Germain | Tower for supporting an elevator thereon |
US7165650B2 (en) * | 2002-07-26 | 2007-01-23 | Korchagin Pavel V | High-rise, fire-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ment |
SE526546C2 (sv) | 2004-03-12 | 2005-10-04 | Alimak Ab | Hissystem |
RU2376234C2 (ru) * | 2005-07-25 | 2009-12-20 | Павел Владимирович Корчагин |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высотных сооружений |
US20080230321A1 (en) * | 2007-03-19 | 2008-09-25 | Frank Csaszar | Portable freestanding elevator |
CN201116259Y (zh) * | 2007-09-30 | 2008-09-17 | 东莞市鑫峰建筑机械有限公司 | 隐型人货施工升降机 |
AT506625B1 (de) * | 2008-09-04 | 2009-10-15 | Palfinger Systems Gmbh | Instandhaltungsplattform |
FR2936236A1 (fr) | 2008-09-19 | 2010-03-26 | Jean Pierre Teso | Ascenseur d'acces aux postes de travail |
-
2012
- 2012-03-15 PT PT123053043T patent/PT2639193E/pt unknown
- 2012-03-15 DK DK12305304.3T patent/DK2639193T3/en active
- 2012-03-15 ES ES12305304.3T patent/ES2527551T3/es active Active
- 2012-03-15 EP EP12305304.3A patent/EP2639193B1/fr not_active Not-in-force
- 2012-04-24 CN CN201210122964.4A patent/CN10330381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3-01 AU AU2013201212A patent/AU201320121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3-03-07 SG SG2013017082A patent/SG193723A1/en unknown
- 2013-03-14 US US13/829,580 patent/US93820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03-15 KR KR1020130028011A patent/KR201301055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7193B1 (ko) * | 2014-06-18 | 2014-12-01 | (주)성하산업 | 타워 크레인용 리프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303810A (zh) | 2013-09-18 |
US9382099B2 (en) | 2016-07-05 |
US20130240297A1 (en) | 2013-09-19 |
DK2639193T3 (en) | 2015-01-19 |
EP2639193B1 (fr) | 2014-10-15 |
ES2527551T3 (es) | 2015-01-26 |
SG193723A1 (en) | 2013-10-30 |
CN103303810B (zh) | 2015-06-03 |
EP2639193A1 (fr) | 2013-09-18 |
AU2013201212A1 (en) | 2013-10-03 |
PT2639193E (pt) | 2015-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105536A (ko) |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 |
CA2838259C (en) | Scaffold system | |
AU2011279567B2 (en) | Lift unit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 scaffold | |
EP2559647B1 (en) | A method for assembling a modular lift apparatus, a method for de-assembling a modular lift apparatus, and a modular lift apparatus | |
CN112900825B (zh) | 一种井道自爬升操作平台 | |
CN108928783B (zh) |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 |
CA2728798C (en) | A system comprising a movable work platform, as well as an apparatus and a crane device | |
WO2006128241A1 (en) |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 |
CN213418443U (zh) |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 |
KR20220125633A (ko) |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 |
JP6586490B2 (ja) | 人荷昇降装置付き移動昇降式足場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施工方法及びこれらの設置方法 | |
CN108590146B (zh) | 一种框式升降施工平台 | |
JP2014047479A (ja) | 解体建物への解体重機揚重方法 | |
US20090071751A1 (en) | Portable aerial platform | |
CN114439213A (zh) | 井道操作平台装置及其施工方法 | |
WO2003002447A1 (en) | Lift especially for mounting on a substantially vertical building and security arrangement for said lift | |
CN220580483U (zh) | 移动式操作平台 | |
RU2756697C1 (ru) | Подъемник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и/или ремонта подваг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или частей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 |
CN221070564U (zh) | 一种施工升降机的安拆装置 | |
CN210001549U (zh) | 一种建筑用液压移动式升降平台 | |
CN218145518U (zh) | 附着于塔机的施工升降机系统 | |
KR102681565B1 (ko) |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 |
CN114278108B (zh) | 一种施工升降机雨棚及施工方法 | |
CN116181041B (zh) |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 |
KR102446293B1 (ko) | 사다리차 탑승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