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81565B1 -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81565B1
KR102681565B1 KR1020230033322A KR20230033322A KR102681565B1 KR 102681565 B1 KR102681565 B1 KR 102681565B1 KR 1020230033322 A KR1020230033322 A KR 1020230033322A KR 20230033322 A KR20230033322 A KR 20230033322A KR 102681565 B1 KR102681565 B1 KR 10268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elevator
passage
workbench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상선
Priority to KR102023003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81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8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8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04G5/046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for fastening scaffoldings 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발판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케이지; 및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케이지에 연결되는 절첩발판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발판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지가 형성되고, 상기 중간케이지가 승강 통로 내부에서 상승은 가능하지만 하강은 억제되는 중간역지부재가 장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작업대를 크레인고리에 연결하여 끌어올릴 수 있고, 작업대 위치가 정해지면 승강 통로 내의 일정위치에서 작업대가 자동으로 고정되고, 사고에 의하여 추락하는 경우에는 승강 통로 내에서 자동으로 정지되고, 특히 최고층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크레인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출되므로, 승강 통로 내부에서 작업대를 해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Elevator elevator path construction workbenc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를 시공할 때 사용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구조물의 각층이 설치될 때마다 용이하게 상승되고, 작업자는 상승되는 작업대에서 안전하게 승강 통로 내부의 작업을 할 수 있고, 특히 건축 구조물의 최상단층이 마무리된 후에는 크레인에 의하여 간단하게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의 각 층에는 사람이나 화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또는 하부에서 상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균형추, 케이블 및 도르래 장치를 이용하여 전동기로 작동되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게 된다.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와 같이 건물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중공형태의 구조물을 시공에는 작업대가 사용된다. 수직 중공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대를 별도로 설치한 다음 외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을 조립하고, 이후 슬라브와 함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이 완료되면 외부 거푸집과 내부 거푸집을 분해하여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상층으로 끌어올린 후 앞서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인 수직 중공 구조물을 구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서 상기 작업대는 케이지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케이지는 대체로 사각 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작업자가 올라서서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단에는 벽체 시공을 위한 거푸집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기 시공된 하층 승강로에 케이지를 고정한 다음 거푸집을 설치하여 상층을 시공하고, 상층 시공이 완료되면 상기 케이지를 승강로에서 분리하여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상승 승강로에 고정한 다음 다시 그 위층을 시공하는 과정을 거쳐 승강 통로를 시공하게 된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2458212호(2022. 10. 25 공고)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8939호(2010. 04. 15 공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문헌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8940호(2010. 04. 15 공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문헌3: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8941호(2010. 04. 15 공개)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문헌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286호(2000. 09. 01 공고) "엘리베이터 피트 거푸집 설치용 작업대" 문헌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367호(2019. 06. 07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작업대"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에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를 크레인고리에 연결하여 끌어올릴 수 있고, 작업대 위치가 정해지면 승강 통로 내의 일정위치에서 작업대가 자동으로 고정되고, 사고에 의하여 추락하는 경우에는 승강 통로 내에서 자동으로 정지되고, 특히 최고층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크레인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출되므로, 승강 통로 내부에서 작업대를 해체할 필요가 없는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발판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케이지; 및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케이지에 연결되는 절첩발판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케이지가 승강 통로 내부에서 상승은 가능하지만 하강은 억제되는 중간역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역지부재는 상기 중간케이지에 장착되는 회동걸림구와; 승강 통로 내부벽에 고정되는 고정스톱구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걸림구는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회동판과; 한 쌍의 상기 회동판의 가장자리를 각각 연결하는 저지판과; 상기 회동판을 승강 통로 내부벽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회동판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톱구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돌출판; 및 한 쌍의 상기 돌출판의 돌출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걸림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스톱구의 상기 돌출판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첩발판대에는 상기 고정스톱구에 걸려서 하강을 저지하는 걸림환봉이 구성되어, 상기 절첩발판대의 상기 걸림환봉이 상기 돌출판의 상기 경사면에 걸리게 되며, 상기 중간케이지에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거푸집지지대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케이지에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접촉되면서 상승을 원활하게 하는 활주구가 장착되고, 상기 활주구는 상기 중간케이지의 측면에 고정되는 활주대와 상기 활주대에 장착되는 활주휠로 구성되며, 상기 절첩발판대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발판은 2부분으로 이루어져서 절첩될 수 있으며, 접은 상태의 상기 절첩발판대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승객 출입구를 통하여 승강 통로 내부에 진입되고 견인줄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펼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발판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지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상부케이지의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기 수직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가변걸림구가 장착되어서, 상기 상부케이지는 거푸집의 상단에 의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되며, 상기 가변걸림구는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걸림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2개의 선택홈과; 상기 걸림판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선택홈과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케이지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발판과 상기 상부발판에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작업대를 크레인고리에 연결하여 끌어올릴 수 있고, 작업대 위치가 정해지면 승강 통로 내의 일정위치에서 작업대가 자동으로 고정되고, 사고에 의하여 추락하는 경우에는 승강 통로 내에서 자동으로 정지되고, 특히 최고층에서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크레인에 의하여 용이하게 인출되므로, 승강 통로 내부에서 작업대를 해체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가 설치된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가 설치된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절첩발판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가 설치된 예시도.
도 6은 매립단턱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가 설치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가 설치된 단면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한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는 중간케이지(20)와 절첩발판대(60)로 구성된다.
상기 중간케이지(20)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고,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발판(2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작업자는 상기 중간발판(21) 위에서 사면이 개방된 부위를 이용하여 승강 통로의 내부면에 여러가지 작업을 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케이지(20)에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접촉되면서 상승을 원활하게 하는 활주구(27)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활주구(27)는 상기 중간케이지(20)의 측면에 고정되는 활주대(271)와 상기 활주대(271)에 장착되는 활주휠(273)로 구성되어서, 상기 중간케이지(20)가 승강 통로 내부벽과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면서도, 작업 공정에 따라 상부로 원할하게 활주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10)에는 상기 중간케이지(20)가 승강 통로 내부에서 상승은 가능하지만 하강은 억제되는 중간역지부재가 구비되게 된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역지부재는 상기 중간케이지(20)에 장착되는 회동걸림구(25)와 승강 통로 내부벽에 고정되는 고정스톱구(28)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걸림구(25)는 상기 중간케이지(20)의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힌지핀(25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회동판(253)과 한 쌍의 상기 회동판(253)의 가장자리를 각각 연결하는 저지판(257)과 상기 회동판(253)을 승강 통로 내부벽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252) 및 상기 회동판(253)에 형성되는 걸림홈(25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톱구(28)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고정되는 고정판(281)과, 상기 고정판(281)에 고정되는 한 쌍의 돌출판(283)과, 한 쌍의 상기 돌출판(283)의 돌출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걸림대(285)로 구성되고, 상기 돌출판에는 경사면(28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252)에 의하여 상기 회동판(253)이 회동되므로, 상기 중간케이지(20)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저항 없이 상승하게 되고, 만약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252)에 의하여 상기 회동판(253)이 벽면을 향하여 하강하므로 상기 고정스톱구(28)의 상기 걸림대(285)에 상기 회동판(253)의 상기 걸림홈(255)에 걸리면서 하강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첩발판대(60)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발판(61)으로 이루어지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발판(61)은 2부분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하부발판대(60)는 절첩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절첩되는 상기 절첩발판대(60)는 접은 상태에서 승강 통로 내부벽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승객 출입구(140)를 통하여 승강 통로 내부에 용이하게 진입시킬 수 있게 된다.(도 2와 도 4 참조)
상기 절첩발판대(60)는 상기 중간케이지(20)와 견인줄(130)에 의하여 탈착되고, 상기 중간케이지(20)의 상기 중간발판(21)에는 상기 견인줄(130)이 관통되는 견인줄 개구부(24)가 형성되는 구성이다.(도 2 참조)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첩발판대(60)에는 상기 고정스톱구(28)에 걸려서 하강을 저지하는 걸림환봉(63)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스톱구(28)의 상기 돌출판(283)에는 경사면(286)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따라서 절첩된 상태로 승강 통로 내부벽에 형성된 승객 출입구(140)를 통하여 승강 통로 내부에 진입한 상기 절첩발판대(60)를 펼치면 상기 걸림환봉(63)이 상기 돌출판(283)의 경사면(286)에 걸려서 안정되게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케이지(20)에는 거푸집(150)을 지지하는 거푸집지지대(22)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거푸집지지대(22)는 상부에 승강 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150)을 지지하게 되며, 지지하는 거푸집(15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잭(jack)과 같은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10)는 피트가 설치된 후에, 상부층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중간케이지(20)를 승강 통로에 크레인(미도시)에 의하여 안착한 후에, 상기 거푸집지지대(22)를 이용하여서 상부층을 시공하는 상기 거푸집(150)을 지지하게 되고, 지지되는 상기 거푸집(150)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리고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상기 고정스톱구(28)를 설치되고, 그 후에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크레인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고리(5)를 이용하여 상기 중간케이지(40)를 상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생된 층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중간발판(21)을 이용하여 양생된 상기 승강 통로 내부에서 필요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상부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150)이 조립되고, 상기 거푸집(150)은 높이조절이 되는 상기 거푸집지지대(22)에 의하여 지지되게 된다. 상기 거푸집(150)을 조립할 때에는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중간발판(21)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중간발판(21)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 사다리(7)와 상기 출입개구부(23)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중간발판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층의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중간케이지(20)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활주구(27)에 의하여 상기 중간케이지(20)는 상부로의 이동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걸림구(25)는 상기 고정스톱구(28)를 건너서 상부로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회동걸림구(25)는 상기 고정스톱구(28) 하부로 건널 수 없는 구성이므로 상기 중간케이지(20)가 사고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절첩발판대(60)는 양생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객 출입구(140)를 통하여 상기 승강 통로 내부에 진입되게 되고, 상기 견인줄개구부(24)를 관통하는 상기 견인줄(130)에 의하여 상기 중간케이지(20)와 연결되게 된다.
절접된 상태로 승강 통로 내부에 진입한 상기 절첩발판대(60)는 확개 되면서 펼쳐지고, 상기 활주구(27)에 의하여 하강한다.
이와 같이 펼쳐진 상기 절첩발판대(60) 위에서 작업자가 상기 승강 통로 내부에서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절첩발판대(60)가 사고에 의하여 낙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정지바(64)와 상기 고정스톱구(28)에 의하여 승강 통로 내부에서 정지되게 된다.
양생이 완료되어 상부층으로의 상승이 필요한 때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서 상기 중간케이지(20)와 상기 절첩발판대(60)를 동시에 상부로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케이지(20)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발판(41)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지(40)가 추가로 장착되게 된다.
상기 상부케이지(40)의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상기 중간케이지(20)의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가변걸림구(43)가 장착되어서, 상기 상부케이지(40)는 거푸집(150)의 상단에 의하여 하강되는 것을 저지되게 된다.
상기 가변걸림구(43)는 힌지(43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걸림판(431)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형성되는 2개의 선택홈(435)과 상기 걸림판(431)에 형성되는 고정홈(433) 및 상기 선택홈(435)과 상기 고정홈(433)을 관통하는 고정핀(437)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치에 따라서 상기 승강 통로 내부벽에 상기 회동걸림구(25)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스톱구(28)의 기능을 대신하는 매립단턱구(65)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매립단턱구(6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통로 내부벽에 매립되어서, 상기 회동판(253)의 하강을 저지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발판대(60)는 걸림환봉(63) 대신에 정지바(64)가 구비되게 된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10)는 상기 상부케이지(40)가 추가되게 된다.
작업자가 발을 딛고 작업을 할 수 있는 상부발판(41)이 구비되고, 또한 작업환경에 따라서 매립단턱구(6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변걸림구(43)에 의하여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 통로 작업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크레인에 의하여 상부로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10) 전체를 상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10)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20: 중간케이지,
21: 중간발판, 22: 견인줄개구부,
23: 출입개구부, 24: 견인줄개구부,
25: 회동걸림구, 27: 활주구,
28: 고정스톱구, 40: 상부케이지,
41: 상부발판, 43: 가변발판,
43: 가별걸림구, 60: 절첩발판대,
61: 하부발판, 63: 걸림환봉

Claims (14)

  1.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중간발판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케이지; 및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발판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케이지에 연결되는 절첩발판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케이지가 승강 통로 내부에서 상승은 가능하지만 하강은 억제되는 중간역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역지부재는 상기 중간케이지에 장착되는 회동걸림구와; 승강 통로 내부벽에 고정되는 고정스톱구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걸림구는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한 쌍의 회동판과; 한 쌍의 상기 회동판의 가장자리를 각각 연결하는 저지판과; 상기 회동판을 승강 통로 내부벽으로 회동시키는 스프링; 및 상기 회동판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스톱구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고정되는 한 쌍의 돌출판; 및 한 쌍의 상기 돌출판의 돌출부위를 서로 고정시키는 걸림대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스톱구의 상기 돌출판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절첩발판대에는 상기 고정스톱구에 걸려서 하강을 저지하는 걸림환봉이 구성되어, 상기 절첩발판대의 상기 걸림환봉이 상기 돌출판의 상기 경사면에 걸리게 되며,
    상기 중간케이지에는 거푸집을 지지하는 거푸집지지대가 장착되고,
    상기 중간케이지에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접촉되면서 상승을 원활하게 하는 활주구가 장착되고, 상기 활주구는 상기 중간케이지의 측면에 고정되는 활주대와 상기 활주대에 장착되는 활주휠로 구성되며,
    상기 절첩발판대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부발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발판은 2부분으로 이루어져서 절첩될 수 있으며, 접은 상태의 상기 절첩발판대는 승강 통로 내부벽에 형성된 엘리베이터 승객 출입구를 통하여 승강 통로 내부에 진입되고 견인줄 개구부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하여 펼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부발판이 형성되며,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복수의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지가 추가로 장착되고,
    상기 상부케이지의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중간케이지의 상기 수직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가변걸림구가 장착되어서, 상기 상부케이지는 거푸집의 상단에 의하여 하강되는 것이 저지되며,
    상기 가변걸림구는 힌지에 의하여 회동 가능한 걸림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되는 2개의 선택홈과; 상기 걸림판에 형성되는 고정홈; 및 상기 선택홈과 상기 고정홈을 관통하는 고정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지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발판과 상기 상부발판에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14. 삭제
KR1020230033322A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KR10268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322A KR102681565B1 (ko)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322A KR102681565B1 (ko)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81565B1 true KR102681565B1 (ko) 2024-07-03

Family

ID=9189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3322A KR102681565B1 (ko) 2023-03-14 2023-03-14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81565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50U (ko) * 1998-11-09 2000-06-05 오춘수 중공단면 통로 구축물용 작업 발판 조립체
KR200195286Y1 (ko) 2000-04-07 2000-09-01 김상갑 엘리베이터 피트 거푸집 설치용 작업대
KR200213318Y1 (ko) * 2000-09-22 2001-02-15 구태호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KR20100038939A (ko) 2008-10-07 2010-04-15 (주)대산씨에스에이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KR20100038941A (ko) 2008-10-07 2010-04-15 (주)대산씨에스에이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20100038940A (ko) 2008-10-07 2010-04-15 (주)대산씨에스에이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20170103495A (ko) * 2016-03-04 2017-09-13 일웅이엔지(주)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KR200489367Y1 (ko) 2019-04-01 2019-06-07 미래테크(주)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작업대
KR20190131867A (ko) * 2018-05-17 2019-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102458212B1 (ko)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50U (ko) * 1998-11-09 2000-06-05 오춘수 중공단면 통로 구축물용 작업 발판 조립체
KR200195286Y1 (ko) 2000-04-07 2000-09-01 김상갑 엘리베이터 피트 거푸집 설치용 작업대
KR200213318Y1 (ko) * 2000-09-22 2001-02-15 구태호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KR20100038939A (ko) 2008-10-07 2010-04-15 (주)대산씨에스에이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KR20100038941A (ko) 2008-10-07 2010-04-15 (주)대산씨에스에이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20100038940A (ko) 2008-10-07 2010-04-15 (주)대산씨에스에이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20170103495A (ko) * 2016-03-04 2017-09-13 일웅이엔지(주)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KR20190131867A (ko) * 2018-05-17 2019-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족장 프레임
KR200489367Y1 (ko) 2019-04-01 2019-06-07 미래테크(주)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작업대
KR102458212B1 (ko)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엘리베이터 승강기 수직통로의 낙하물 방호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5536A (ko) 타워 크레인용 동력식 높이 접근 장치
SG186043A1 (en) Mobile cantilever platform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hereof
CN111491885A (zh) 用于多层建筑物建造的升降平台系统
US9440820B2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681565B1 (ko) 엘리베이터 승강 통로 시공용 안전작업대
KR101068229B1 (ko) 타워크레인 해체 하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체 하역 방법
CN108118885B (zh) 垂直移动式防护平台及其在钢结构柱对接施工中的应用
KR102069702B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KR101923925B1 (ko)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KR100583785B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KR20200077843A (ko) 승강형 가이드슈를 이용한 건물 외벽 시공방법
JP3961369B2 (ja) スリップフォーム工法における乗降ステージおよび施工法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KR102653955B1 (ko) 건축용 작업대
JP20061444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KR200267717Y1 (ko) 콘크리트 교각 시공용 리프트장치
JP7462515B2 (ja) 移動足場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KR102630862B1 (ko) 엘리베이터 점검용 사다리
KR102301009B1 (ko) 지브 크레인을 포함하는 리프트
KR102635155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0356598Y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JP3560000B2 (ja) 立坑移動セントル
KR100452402B1 (ko) 작업발판이 구비된 상승형 타워크레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