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318Y1 -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318Y1
KR200213318Y1 KR2020000026646U KR20000026646U KR200213318Y1 KR 200213318 Y1 KR200213318 Y1 KR 200213318Y1 KR 2020000026646 U KR2020000026646 U KR 2020000026646U KR 20000026646 U KR20000026646 U KR 20000026646U KR 200213318 Y1 KR200213318 Y1 KR 200213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levating
elevator
hole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호
Original Assignee
구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태호 filed Critical 구태호
Priority to KR2020000026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3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318Y1/ko

Link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홀의 서로 대향되는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그 승강시에도 승강홀을 따라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므로 승강홀 내벽면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대략 사각의 프레임(40)과, 이 프레임(40)의 모서리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선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홀 내벽면(2)을 따라 이송되는 로울러(54)가 구비된 스토퍼(50)와, 상기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이 스토퍼(50)가 승강홀의 고정홈(3)에서 펼쳐져 걸렸을 때 상기 스토퍼(50)를 접촉지지하도록 된 걸림턱(5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50)는 그 자중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홀의 고정홈(3)에서 펼쳐져 걸리고, 승강시에는 승강홀의 내벽면(2)에 눌려 그 선단부가 하강회동되어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elevator pit working desk}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내부의 거푸집 설치 및 해제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승강홀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의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승강홀 내부에 거푸집을 설치 및 해제하거나, 엘리베이터용 레일, 배선케이블 등을 설치하기 위해 작업대가 필요하다.
이처럼 승강홀 내부의 작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로울러(7)가 설치된 걸림부재(6)가 그 일단부에 구비되며 소정 간격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개의 제 1 지지재(5)와, 이 제 1 지지재(5)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제 2 지지재(10)와,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재(5, 10)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가로재(15)와, 이 가로재(15)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소정 면적의 발판(17)과, 상기 가로재(15)에 결합되며 로프(19)와 연결되는 후크(20)와, 상기 제 1 지지재(5)에 대한 제 2 지지재(10)의 상방향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지지재(5)의 일단부 저면에 고정결합된 역회전방지 스토퍼(25)로 구성된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작업대는 로프(19)를 통하여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비에 연결한 후, 이 인양장비를 조정하여 승강홀을 따라 하강시켜 내벽면(2)의 고정홈(3)에 도달되도록 하면, 이 걸림부재(6)의 단부가 상기 고정홈(3)에 삽입되어 거치된 다음, 상기 제 2 지지재(10)가 펼쳐져 그 선단부가 승강홀 내벽면(2)의 반대편 고정홈(3)에 삽입됨으로써, 승강홀 내부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작업 종료 후에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사용하여 상방향으로 인양하면, 상기 제 2 지지재(10)의 선단부가 하향회동되어 절곡된 형상을 취하며, 상기 걸림부재(6)가 고정홈(3)으로부터 인출되어 상부로 인양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6)의 저면에는 볼트(11)와 너트(12)로 이루어진 푸셔(9)가 구비되어, 이 푸셔(9)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6)의 선단부와 제 2 지지재(10)의 선단부가 승강홀 내벽면(2)의 고정홈(3)에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대를 승강홀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윈치 등의 인양장비에 의해 작업대를 승강시켜 상기 걸림부재(6)의 선단부가 승강홀 내벽면(2)을 따라 승강되다가 승강홀 내벽면(2)의 고정홈(3)에 삽입되면, 반대편의 제 2 지지재(10)의 선단부가 반대편 고정홈(3)에 걸려져 펼쳐지면서 이 고정홈(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 2 지지재(10)가 절첩된 상태에서 승강홀 고정홈(3)에 걸려져 펼쳐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로 대향되는 고정홈(3) 사이의 거리가 매우 정확하여야 하고, 고정홈(3)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2 지지재(10)의 선단부가 고정홈(3)에 걸려지지 않아 작업대를 거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걸림부재(6)와 제 2 주보강부재(10)의 양단부의 삽입 깊이를 적당히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푸셔(9)를 정밀하게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이 푸셔(9)가 정확히 조절되지 않아 작업대가 제대로 거치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는 작업 종료 후 상부로 인양할 때 승강홀 내부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전후좌우로 흔들리면서 승강홀 내벽면(2)에 충돌하게 되므로, 승강홀 내벽면(2)을 손상시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승강홀의 서로 대향되는 고정홈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그 승강시에도 승강홀을 따라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승강되므로 승강홀 내벽면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의 일 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54. 로울러 17, 49. 발판
40. 프레임 42. 제 1 지지바아
43. 제 2 지지바아 44, 52. 관통공
47. 브라켓 50. 스토퍼
본 고안에 따르면, 대략 사각의 프레임(40)과, 이 프레임(40)의 모서리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선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홀 내벽면(2)을 따라 이송되는 로울러(54)가 구비된 스토퍼(50)와, 상기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이 스토퍼(50)가 승강홀의 고정홈(3)에서 펼쳐져 걸렸을 때 상기 스토퍼(50)를 접촉지지하도록 된 걸림턱(5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50)는 그 자중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홀의 고정홈(3)에서 펼쳐져 걸리고, 승강시에는 승강홀의 내벽면(2)에 눌려 그 선단부가 하강회동되어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는 프레임(40)과, 이 프레임(40)의 모서리에 힌지결합되고 그 선단부에는 로울러(54)가 구비된 스토퍼(50)와, 상기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이 스토퍼(50)를 접촉지지하도록 된 걸림턱(56)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바아(42)와, 이 한 쌍의 제 1 지지바아(42)의 상부에 대략 직각으로 연결설치된 다수개의 제 2 지지바아(43)와, 이 제 2 지지바아(43)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발판(49)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지지바아(42)는 두 개의 ㄷ자 형강이 상호 대향되도록 구성되고, 그 양단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44)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한 쌍의 브라켓(47)이 상부로 수직돌출되어 이 브라켓(47)에 로프(19)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50)는 대략 그 중앙부에 관통공(52)이 형성되어 상기 제 1지지바아(42)의 양단부에 상하로 회동되도록 핀결합된다. 이 스토퍼(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바아(42)의 양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44)에 의해 승강홀의 직경에 따라 그 설치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50)의 선단부에는 승강홀의 내벽면(2)을 따라 이송되는 로울러(54)가 구비되며, 이 스토퍼(50)의 기단부에는 추 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승강홀의 고정홈(3)에 위치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지지바아(42)의 상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 2지지바아(43)가 설치되는데, 이 제 2지지바아(43)는 대략 H형강을 용접하거나 볼트 결합 등에 의해 제 1지지바아(42)에 대해 대략 직교되도록 고정설치된다. 상기 걸림턱(56)은 제 1지지바아(42)의 양단부 근방 저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토퍼(50)가 제1 지지바아(42)와 평행을 이루도록 펼쳐진 상태에서 그 선단부가 상향회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턱(56)은 소정 길이의 바아를 제 1지지바아(42)의 양단부 저면에 고정설치하여 대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는 크레인이나 기타 인양장비에 의해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스토퍼(50)의 선단부가 승강홀의 내벽면(2)에 눌려 하향회동되어 절첩되며, 승강홀의 고정홈(3)에 위치되면 이 스토퍼(50)가 추의 자중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펼쳐지면서 고정홈(3)에 거치되어 승강홀 내부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승강시 스토퍼(50)가 추의 자중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펼쳐지려고 하면서 그 선단부의 로울러(54)가 승강홀 내벽면(2)을 따라 밀착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는 승강홀 내벽면(2)의 고정홈(3)에 도달하였을 때에 스토퍼(50)가 추의 자중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펼쳐지면서 안정적으로 거치되므로, 그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근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스토퍼(50) 선단부의 로울러(54)가 승강홀의 내벽면(2)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송되어 전후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되기 때문에, 승강홀 내벽면(2)에 충돌되어 승강홀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는 승강홀에 보다 간편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고, 안전사고가 방지되며, 승강홀 내벽면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대략 사각의 프레임(40)과, 이 프레임(40)의 모서리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그 선단부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홀 내벽면(2)을 따라 이송되는 로울러(54)가 구비된 스토퍼(50)와, 상기 프레임(40)에 설치되어 이 스토퍼(50)가 승강홀의 고정홈(3)에서 펼쳐져 걸렸을 때 상기 스토퍼(50)를 접촉지지하도록 된 걸림턱(5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토퍼(50)는 그 자중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홀의 고정홈(3)에서 펼쳐져 걸리고, 승강시에는 승강홀의 내벽면(2)에 눌려 그 선단부가 하강회동되어 접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KR2020000026646U 2000-09-22 2000-09-22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KR2002133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46U KR200213318Y1 (ko) 2000-09-22 2000-09-22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46U KR200213318Y1 (ko) 2000-09-22 2000-09-22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3318Y1 true KR200213318Y1 (ko) 2001-02-15

Family

ID=7305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646U KR200213318Y1 (ko) 2000-09-22 2000-09-22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3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153B1 (ko) * 2016-03-30 2018-02-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153B1 (ko) * 2016-03-30 2018-02-2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9133632B2 (en) Platform support device for lifting loads or persons the height of a structure
EP1700973B1 (en) Ladder support bracket
WO2017018927A1 (en) Construction platform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JP4556136B2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213318Y1 (ko)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0609726B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KR101062138B1 (ko) 가설대 조임 장치 및 방법
KR200355424Y1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JP4707466B2 (ja) 作業台着脱式昇降台及び作業台
KR20060107874A (ko) 상승식 가설대용 안내장치
JPH0829905B2 (ja) 昇降路足場装置
KR20110043120A (ko) 슬라브 거푸집 해체용 하강장치
KR101800622B1 (ko) 다단 승강형 족장
JP3982807B2 (ja) 階段
JP2500841Y2 (ja) エレベ―タの昇降路内作業用足場
KR20090034709A (ko) 추락방지대 설치용 브래킷
JP3413760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
KR102146245B1 (ko) 건축공사용 낙하방지수단 고정구조
JPH11182166A (ja) 昇降枠及び開口枠の伸縮管構造
KR200300491Y1 (ko) 전도방지형 안전사다리
KR200195286Y1 (ko) 엘리베이터 피트 거푸집 설치용 작업대
AU2004293121B2 (en) Lifting apparatus
EP0049234B1 (en) A device for the transport of material up and down along a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