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153B1 -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 Google Patents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153B1
KR101816153B1 KR1020160038621A KR20160038621A KR101816153B1 KR 101816153 B1 KR101816153 B1 KR 101816153B1 KR 1020160038621 A KR1020160038621 A KR 1020160038621A KR 20160038621 A KR20160038621 A KR 20160038621A KR 101816153 B1 KR101816153 B1 KR 101816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ork
support plate
body portion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082A (ko
Inventor
남기영
백승학
송호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15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는,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용 지그로서, 작업대상 구조물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작업대상 구조물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상 좌우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중앙부에 힌지구조가 장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된 후,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의 양단부에 소정 각도로 장착되는 작업자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얹혀 고정된 후 작업자에게 작업자 지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Jig for Working Having Hinge Structure}
본 발명은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대형 작업대상 구조물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자는 사다리 또는 보조지지대를 이용하여 작업대상 구조물에 진입한다.
발전플랜트 설비에 적용되는 구조물의 경우, 제작과정 중 수압 테스트가 실시된다. 수압 테스트를 실시하기 위해 볼트를 조립하기 위해 작업자는 수 차례 대형 작업대상 구조물에 진입해야 한다. 또한, 수압 테이스를 마친 후 볼트를 해체하기 위해 작업자는 또 다시 수 차례 대형 작업대상 구조물에 진입해야 한다.
대형 작업대상 구조물의 경우, 그 높이가 상당하여 작업자의 추락에 따라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가지 추가적인 안전 장치 또는 도구들을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안전 장치 또는 도구들은 준비하고 활용함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대형 작업대상 구조물에 설치함에 있어 까다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형 작업대상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손쉽게 활용될 수 있는 작업용 지그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02759호 (2013년 01월 0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 내부 작업 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작업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용 지그는,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용 지그로서, 작업대상 구조물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작업대상 구조물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상 좌우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중앙부에 힌지구조가 장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된 후,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의 양단부에 소정 각도로 장착되는 작업자 지지판;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단면상 'ㄷ'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힌지구조에 의해 서로 결속되고, 힌지구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 1 본체부 및 제 2 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다리는, 본체부의 측부면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넷 이상 배열된 측방연장부; 및 상기 측방연장부의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하연장부의 상단부에는, 상하연장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수직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연장부의 일단부에는, 또 다른 외부장비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구조를 포함하는 장비고정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는 볼팅동작에 의해 본체부와 작업대상 구조물을 서로 결속시키는 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는, 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볼팅동작에 의해 내입되는 볼팅가압부재; 및 본체부의 타측면의 내부에 장착되고,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연장된 가압돌기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힌지구조에는 리프팅 러그(lifting lug)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지판은 판상형 구조로서 상부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 사이에는 보강지지판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는 힌지구조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있고, 상기 힌지구조와 인접하여 본체부에,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고정부재가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구조의 본체부 및 작업자 지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얹혀 고정된 후 작업자에게 작업자 지지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단면상 'ㄷ'자형 구조로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고 있어, 가벼운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힌지구조에 의해 좌우 대칭 형태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제 1 본체부 및 제 2 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대상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펴거나 접어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 작업대상 구조물의 크기 별로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용 지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외부면에 작업자가 오르내릴수 있는 사다리가 장착되어 있어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외부면에 볼팅동작에 의해 본체부와 작업대상 구조물을 서로 결속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용 지그를 작업대상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용 지그의 원치 않는 움직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상부면에 리프팅 러그가 장착되어 있어 작업용 지그의 핸들링을 더욱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작업자 지지판의 상부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의 미끄럼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작업용 지그에 따르면,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 사이에 보강지지판을 더 장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체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 지지판의 파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전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지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지그를 접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접혀진 작업용 지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접혀진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선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 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C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5의 D-D'선 절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를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지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지그를 접었을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접혀진 작업용 지그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1에 도시된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접혀진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는, 작업대상 구조물(10)의 상부에 얹혀 고정되어 작업자(1)를 지지하는 작업용 지그로서, 본체부(110) 및 작업자 지지판(120)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안정적으로 고정된 후, 작업자(1)의 안전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상 구조물(10)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작업대상 구조물(10)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상 좌우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중앙부에 힌지구조(113)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힌지구조(113)에 의해 서로 결속되고, 힌지구조(113)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 1 본체부(111) 및 제 2 본체부(11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작업용 지그(100)에 따르면, 힌지구조에 의해 좌우 대칭 형태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는 제 1 본체부(111) 및 제 2 본체부(112)를 구비함으로써, 작업대상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펴거나 접어 손쉽게 적용할 수 있어, 작업대상 구조물의 크기 별로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용 지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작업용 지그(100)에 따르면, 힌지구조(115)의 상부면에 리프팅 러그(lifting lug, 119)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리프팅 러그가 장착되어 있어 작업용 지그의 핸들링을 더욱 손쉽게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를 이용한 소정의 작업을 마친 후, 작업용 지그(100)를 작업대상 구조물로부터 제거할 경우을 살펴보면, 리프팅 러그(119)를 이용하여 작업용 지그(100)를 들어올릴 수 있고, 제 1 본체부(111)와 제 2 본체부(112)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접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손쉽게 리프팅 러그(119)를 핸들링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5의 A-A'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ㄷ'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작업용 지그(10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항할 수 소정크기의 강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와 동시에 본체부(110)의 무게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가벼운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작업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부(110)의 단면상 형상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부(110)의 단면상 일단부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18)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른 완충부재(118)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118)는 본체부(110)의 일단부와 작업대상 구조물(10)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본체부(110)에 의한 작업대상 구조물(10)의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양단부에는 작업자 지지판(120)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지지판(120)은, 본체부(110)가 작업대상 구조물(10)의 상부에 얹혀 고정된 후,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소정 각도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지지판(120)과 본체부(110) 사이에는 보강지지판(114)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보강지지판(114)의 크기 및 형상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는, 작업자 지지판(120)과 본체부(110) 사이에 보강지지판(114)을 더 장착함으로써, 작업자의 체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 지지판(120)의 파손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안전한 작업을 유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작업자 지지판(12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구조(115)에 의해 본체부(110)와 결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에 의해 작업자 지지판(120)의 각도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고 안전한 작업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 지지판(120)과 본체부(110)는 힌지구조(115)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있고, 힌지구조(115)와 인접하여 본체부(110)에, 작업자 지지판(120)과 본체부(110)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고정부재(116)가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는 여러 각도에 위치하는 둘 이상의 결속관통구(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양한 각도로 작업자 지지판(120)의 결속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에 형성되는 결속관통구(117)의 위치는 설계자의 의도 및 적용되는 작업대상 구조물에 따라 적절히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작업자 지지판(120)의 외부 구조는, 작업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움직임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판상형 구조로서 상부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의 외부면에는, 작업자(1)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13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다리(130)는 측방연장부(131) 및 상하연장부(132)로 구성될 수 있다. 측방연장부(131)는, 본체부(110)의 측부면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넷 이상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하연장부(132)는 측방연장부(131)의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작업자가 오르내릴수 있는 사다리(130)가 장착되어 있어 작업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연장부(132)의 상단부에는, 상하연장부(132)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수직연장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연장부(133)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일종의 난간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한 작업을 보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연장부(133)의 일단부에는, 또 다른 외부장비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구조를 포함하는 장비고정부재(134)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비고정부재(134)의 구체적인 구조는, 외부장비를 거치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후크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자는 외부장비를 소지하여 외부장비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외부장비는 전기 또는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운용되는 장비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력공급 케이블 또는 압축공기 공급 배관이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의 경우, 전력공급 케이블 또는 압축공기 공급 배관 등을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비고정부재(134)를 구비하고 있어,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을 구현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에는 도 5의 B-B'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도 2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외부면에는 볼팅동작에 의해 본체부(110)와 작업대상 구조물(10)을 서로 결속시키는 고정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볼팅동작에 의해 내입되는 볼팅가압부재(141); 및 본체부(110)의 타측면의 내부에 장착되고,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연장된 가압돌기부(14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가압돌기부(142)는 소정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10)의 내측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18)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에에 따른 완충부재(118)는 소정 크기의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유연한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118)는 본체부(110)의 내측면과 작업대상 구조물(10)의 표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본체부(110)의 내측면에 의한 작업대상 구조물(10)의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용 지그(100)는,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볼팅동작에 의해 본체부(110)와 작업대상 구조물(10)을 서로 결속시키는 고정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용 지그(100)를 작업대상 구조물(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용 지그(100)의 원치 않는 움직임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작업자
10: 작업대상 구조물
100: 작업용 지그
110: 본체부
111: 제 1 본체부
112: 제 2 본체부
113: 힌지구조
114: 보강지지판
115: 힌지구조
116: 고정부재
117: 결속관통구
118: 완충부재
119: 리프팅 러그(lifting lug)
120: 작업자 지지판
130: 사다리
131: 측방연장부
132: 상하연장부
133: 수직연장부
134: 장비고정부재
140: 고정부
141: 볼팅가압부재

Claims (13)

  1.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용 지그로서,
    작업대상 구조물의 외부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작업대상 구조물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고, 측면상 좌우 대칭으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도록 중앙부에 힌지구조가 장착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작업대상 구조물의 상부에 얹혀 고정된 후, 수평을 이루도록 본체부의 양단부에 소정 각도로 장착되는 작업자 지지판;
    을 포함하고,
    본체부의 외부면에는 작업자가 오르내릴 수 있는 사다리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사다리는,
    본체부의 측부면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장착되고, 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중앙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넷 이상 배열된 측방연장부; 및
    상기 측방연장부의 일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단면상 'ㄷ'자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힌지구조에 의해 서로 결속되고, 힌지구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 1 본체부 및 제 2 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연장부의 상단부에는, 상하연장부로부터 상방을 향하도록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수직연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장부의 일단부에는, 또 다른 외부장비를 거치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후크구조를 포함하는 장비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는 볼팅동작에 의해 본체부와 작업대상 구조물을 서로 결속시키는 고정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볼팅동작에 의해 내입되는 볼팅가압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의 내부에 장착되고,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연장된 가압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힌지구조에는 리프팅 러그(lifting lug)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지판은 판상형 구조로서 상부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 사이에는 보강지지판이 더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는 힌지구조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있고,
    상기 힌지구조와 인접하여 본체부에, 작업자 지지판과 본체부를 서로 결속시키도록 고정부재가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지그.
KR1020160038621A 2016-03-30 2016-03-30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KR101816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21A KR101816153B1 (ko) 2016-03-30 2016-03-30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21A KR101816153B1 (ko) 2016-03-30 2016-03-30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082A KR20170112082A (ko) 2017-10-12
KR101816153B1 true KR101816153B1 (ko) 2018-02-21

Family

ID=6014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621A KR101816153B1 (ko) 2016-03-30 2016-03-30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1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18Y1 (ko) * 2000-09-22 2001-02-15 구태호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318Y1 (ko) * 2000-09-22 2001-02-15 구태호 엘리베이터 승강홀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082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US11680411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KR101825615B1 (ko) 레그 작업용 플랫폼
EP3156547A1 (en) Guar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1507626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101816153B1 (ko) 힌지구조를 포함하는 작업용 지그
JP5174354B2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20160146061A (ko) 추락방지용 구조물
KR101599139B1 (ko) 비계
KR102123359B1 (ko) 구명줄 장치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JP4160609B2 (ja) 親綱固定具
KR101310013B1 (ko) 유압 잭을 이용한 가설 장치
EP2557065B1 (en) Carriage frame and fork pin lock assembly
KR101642572B1 (ko) 철골 컬럼을 이용한 중장비 지지 장치
JP5603805B2 (ja) 吊り治具および吊り治具の取付構造、バルコニーユニットの吊り上げ方法
JP2010180557A (ja) 昇塔防止装置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JP6495846B2 (ja) 法面のアンカー工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レールユニットセット
JP5468319B2 (ja) 仮設作業台用の幅木
CN214221153U (zh) 一种液压修井机的安装定位装置
JP2019096665A (ja) 静止誘導機器の搬入方法
KR20130006005U (ko) 사다리 덮개
JP2018009346A (ja) 免震装置設置工法
KR20130009296A (ko) 갱폼 인양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