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7626B1 -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7626B1
KR101507626B1 KR1020100131811A KR20100131811A KR101507626B1 KR 101507626 B1 KR101507626 B1 KR 101507626B1 KR 1020100131811 A KR1020100131811 A KR 1020100131811A KR 20100131811 A KR20100131811 A KR 20100131811A KR 101507626 B1 KR101507626 B1 KR 10150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arriage
clamp
camera
m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304A (ko
Inventor
박준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1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6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게차의 캐리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배선을 스프링행거에 의해 고정하여, 높은곳의 하물 운반 및 카메라의 배선 장력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웃터마스트와 다단의 이너마스트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에 의해 캐리지가 상하이동되는 지게차의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게차 캐리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지게차의 운전석의 오버헤드 가드에 설치되는 모니터와,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배선과, 캐리지에 연결설치되어 배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행거와, 캐리지가 연결된 이너마스트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클램프와, 아웃터마스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Camera fixing device of forklift for safety}
본 발명은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 캐리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 배선을 스프링행거 및 클램프에 의해 카메라배선을 처리하여, 지게차의 안전작업 및 카메라 배선을 보호할 수 있는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소망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체를 가지며, 차체의 전방에는 마스트조립체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조립체는 아웃터 마스트와, 아웃터 마스트의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인너 마스트들로 구성되며, 인너 마스트에는 캐리지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캐리지와 인너 마스트는 일차 및 이차 리프트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그리고 마스트조립체의 캐리지에는 한 쌍의 포크가 설치된다. 한 쌍의 포크는 하물을 직접적으로 들어올리는 것으로, 간격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포크를 대신하여 다른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힌지드 버켓, 사이드 쉬프트, 로드 스테빌라이저, 로테이딩 포크 등을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어태치먼트는 어태지먼트 라인에 의해 작동유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게차에 의하면, 한 쌍의 포크에 하물을 받쳐 지지한 상태에서 일차 및 이차 리프트 실린더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캐리지와, 캐리지에 설치된 한 쌍의 포크가 상부로 상승된다. 따라서 포크에 지지된 하물을 원하는 곳까지 상승시킨다.
한편, 이러한 지게차는 포크의 인상높이가 "고양고"일 경우, 즉 포크를 상승시켜 하물을 높은 곳까지 상승시킬 경우,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같은 문제점 때문에 높은 곳에 상승된 하물을 하부로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포크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차량의 내부에는 모니터를 설치함으로써, 포크의 상태를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는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포크가 높이 상승된 경우라도, 모니터를 통해 포크 및 이에 지지된 하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하물의 운송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허출원 제10-2005-0056517호는 포크에 인접한 캐리지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전실 내부에 모니터를 설치하여 운용하였다. 그러나 포크가 파레트의 구멍을 통과하여 화물을 운반하거나 높은 곳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킬 경우 파레트의 하부 면에 가려 카메라가 포크의 끝을 볼 수 없어,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를 내려 놓거나 올려 놓아야 할 선반이나 차량의 바닥 턱 등에 부딪혀, 제품이 쏟아지는 사고가 일어나 올바르게 기기를 동작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배선이 별도의 고정수단없이 그대로 연결되어 있어, 마스트조립체의 상하이동과 배선 사이에 간섭현상이 발생되고, 마스트조립체의 상하이동에 의해 카메라와 연결된 배선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카메라와 배선의 접속에 문제가 발생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게차의 캐리지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배선을 스프링행거에 의해 고정하여, 높은곳의 하물 운반 및 카메라의 배선 장력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마스트조립체에 설치된 스프링행거 및 클램에 의해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한 배선을 처리하여, 배선으로 인한 지게차 운전자의 시야간섭을 제거하고, 배선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한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웃터마스트와 다단의 이너마스트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에 의해 캐리지가 상하이동되는 지게차의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게차 캐리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지게차의 운전석의 오버헤드 가드에 설치되는 모니터와,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배선과,
캐리지에 연결설치되어 배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행거와,
캐리지가 연결된 이너마스트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클램프와,
아웃터마스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게차 운전석 내부에 설치된 모니터 및 지게차 캐리지에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 지게차 운전석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포크의 위치를 어느 위치에서나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높은 곳의 하물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피로도를 감소시키고, 작업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배선이 스프링행거 및 클램프에 의해 처리되어 있어, 운전자의 시야확보 및 배선의 파손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행거에 의해 배선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캐리지의 업/다운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배선을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마스트조립체의 반복적인 상하이동에 의해 배선에 늘어짐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스프링행거의 스프링 탄력에 의해 배선의 장력이 자동조절되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카메라 및 스프링행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설치위치를 보인 예시도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카메라 및 스프링행거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클램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설치위치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아웃터마스트(110)와 다단의 이너마스트(120,120`)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100)에 의해 캐리지(200)가 상하이동되는 지게차의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게차 캐리지(200)에 설치되는 카메라(10)와,
지게차의 운전석(300)의 오버헤드 가드(310)에 설치되는 모니터(20)와,
카메라(10)와 모니터(20)를 연결하는 배선(30)과,
캐리지(200)에 연결설치되어 배선(30)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행거(40)와,
캐리지(200)가 연결된 이너마스트(120)에 설치되어 배선(30)을 가이드하는 제1클램프(50)와,
아웃터마스트(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제2클램프(6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트조립체(100)는 아웃터마스트(110)와, 아웃터 마스트(110)의 내측에 겹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이너마스트(120,120`)들로 구성되며, 이너마스트(120,120`)에는 캐리지(20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캐리지와 이너마스트는 일차 및 이차 리프트 실린더(도시없음)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마스트조립체의 캐리지에는 한 쌍의 포크(2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마스트조립체의 구성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10)는 지게차 포크(210)에 의한 하물의 적재시, 하물의 위치 및 지게차 포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지게차의 캐리지(200)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모니터(20)는 카메라(10)와 배선(30)에 의해 연결되고, 운전자의 작업시야에 간섭되지 않도록 운전석의 오버헤드 가드(310)에 고정설치되어, 카메라(10)를 통해 들어오는 영상을 운전자가 운전석(300)내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20)는 지게차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배선(30)은 캐리지에 설치된 카메라(10)와 운전석내에 설치된 모니터(20)를 연결하여, 카메라(10)의 신호를 모니터(20)로 전송하는 것으로, 마스트조립체(100)를 경유하여 모니터(20)에 연결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행거(40)는 카메라(10)에 연결된 배선이 일정한 장력을 구비하도록 조절하는 것으로, 배선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대(41)와, 상기 고정대(41)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캐리지(200)에 연결설치되는 스프링(4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41)는 볼트 및 너트조립에 의해 배선을 고정하는 결합대(43)와, 스프링(42)의 끝단이 연결되는 고리(4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행거(40)는 마스트조립체(100)의 반복적인 상하이동에 의한 배선의 늘어짐 현상발생시, 스프링 탄력에 의해 배선이 고정된 고정대가 항시 당겨지므로, 배선의 장력이 조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행거(40)는 캐리지(200) 상하이동에 따른 충격 발생 시,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충격이 완충되므로, 배선을 안전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제1클램프(50)는 캐리지가 설치된 이너마스트의 가로지지대(121)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가로지지대(121)에 양단이 볼트고정되고, 중간에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홀(51)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제1클램프(50)는 스프링행거(40)에 의해 일측이 고정된 후 이너마스트(120) 상단에 설치된 케이블로울러(122)를 통해 이어지는 배선을 고정한다.
상기 제2클램프(60)는 마스트조립체의 아웃터마스트(110)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모니터(20)로 연결되는 배선을 최종적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제1클램프(50)를 경유한 배선을 아웃터마스트의 일측에 고정하는 상단클램프(61)와, 상단클램프(61)와 모니터(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아웃터마스트에 설치되어 모니터(20)로 연결되는 배선을 고정하는 하단클램프(62)와, 상단클램프(61)에서 하단클램프(62)로 연결되는 배선을 고정하는 메인클램프(63)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2클램프(60)는 이너마스트(120,120`)를 통해 모니터(20)로 이어지는 배선(30)을 아웃터마스트(110) 일측에 고정처리시킨 후 모니터(20)로 연결시켜, 배선으로 인한 운전자 시야 곤란성 및 작업간섭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가이드롤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클램프(50)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너마스트(120)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70)와,
또다른 이너마스트(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70)는 캐리지가 설치된 이너마스트(120)의 하단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80)는 다단의 이너마스트 중, 캐리지가 설치된 이너마스트에 연결되는 또다른 이너마스트(1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1,2가이드롤러(70,80)가 설치될 경우, 제1클램프(50)를 경유한 배선은 제1가이드롤러(70) 및 제2가이드롤러(80)를 경유하여 제2클램프(60)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2가이드롤러(70,80)는 서로 90°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설치되어 있어, 이너마스트의 제1클램프(50)에서 아웃터마스트의 제2클램프(60)로 배선(30)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가이드롤러(70,80)에는 배선이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제1,2가이드롤러의 구성은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2가이드롤러(70,80)는 지게차의 어태치먼트로 작동유를 공급하기 위한 어태치먼트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롤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높은 곳에 위치한 하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마스트조립체를 상승시, 캐리지에 설치된 카메라 및 운전석의 모니터를 통해 포크의 위치가 확인되어 정확하고 안전하게 하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제1,2클램프에 의해 배선처리에 의해 작업자의 시야가 확보되고, 스프링행거에 의해 카메라와 연결된 배선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카메라 (20) : 모니터
(30) : 배선 (40) : 스프링행거
(41) : 고정대 (42) : 스프링
(43) : 결합대 (44) : 고리
(50) : 제1클램프 (51) : 배선홀
(60) : 제2클램프 (61) : 상단클램프
(62) : 하단클램프 (63) : 메인클램프
(70) : 제1가이드롤러 (80) : 제2가이드롤러
(100) : 마스트조립체 (110) : 아웃터마스트
(120,120`): 이너마스트 (121) : 가로지지대
(200) : 캐리지 (210) : 포크
(300) : 운전석 (310) : 오버헤드 가드

Claims (4)

  1. 삭제
  2. 아웃터마스트와 다단의 이너마스트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에 의해 캐리지가 상하이동되는 지게차의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게차 캐리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지게차 운전석의 오버헤드 가드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와,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배선과,
    캐리지에 연결설치되어 배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행거와,
    캐리지가 연결된 이너마스트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클램프와,
    아웃터마스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행거는 배선이 고정설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캐리지에 연결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는 볼트 및 너트조립에 의해 배선을 고정하는 결합대와, 스프링의 끝단이 연결되는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3. 아웃터마스트와 다단의 이너마스트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에 의해 캐리지가 상하이동되는 지게차의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게차 캐리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지게차 운전석의 오버헤드 가드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와,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배선과,
    캐리지에 연결설치되어 배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행거와,
    캐리지가 연결된 이너마스트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클램프와,
    아웃터마스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2클램프는 제1클램프를 경유한 배선을 고정하는 상단클램프와, 상단클램프와 모니터 사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하단클램프와, 상단클램프에서 하단클램프로 연결되는 배선을 고정하는 메인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4. 아웃터마스트와 다단의 이너마스트를 구비한 마스트조립체에 의해 캐리지가 상하이동되는 지게차의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지게차 캐리지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지게차 운전석의 오버헤드 가드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모니터와,
    카메라와 모니터를 연결하는 배선과,
    캐리지에 연결설치되어 배선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행거와,
    캐리지가 연결된 이너마스트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클램프와,
    아웃터마스트의 측면에 설치되어 배선을 고정하는 제2클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클램프 하단에 위치하도록 이너마스트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또다른 이너마스트의 상단에 설치되어 배선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1020100131811A 2010-12-21 2010-12-21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10150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11A KR101507626B1 (ko) 2010-12-21 2010-12-21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811A KR101507626B1 (ko) 2010-12-21 2010-12-21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04A KR20120070304A (ko) 2012-06-29
KR101507626B1 true KR101507626B1 (ko) 2015-03-31

Family

ID=46688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811A KR101507626B1 (ko) 2010-12-21 2010-12-21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7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046B1 (ko) 2014-12-22 2021-09-06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KR102385239B1 (ko) 2020-06-19 2022-04-11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
KR102512036B1 (ko) * 2021-05-12 2023-03-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포크 리프트
KR102475610B1 (ko) * 2021-06-14 2022-12-08 모비어스앤밸류체인(주) 가동 케이블 텐션 유지를 위한 사이드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지게차
KR102442689B1 (ko) * 2021-12-13 2022-09-14 국토안전관리원 수직형 시설물의 내부 외관을 조사하기 위한 스캐닝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97A (ja) 2002-02-20 2003-09-02 Fujitsu General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カメラシステム
JP2004155534A (ja) 2002-11-05 2004-06-03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筒状物ピックアップ確認装置
KR20070000864A (ko) * 2005-06-28 2007-01-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97A (ja) 2002-02-20 2003-09-02 Fujitsu General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カメラシステム
JP2004155534A (ja) 2002-11-05 2004-06-03 Toyota Industries Corp フォークリフトの筒状物ピックアップ確認装置
KR20070000864A (ko) * 2005-06-28 2007-01-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304A (ko) 201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626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101625497B1 (ko) 배관 스풀 운반 장치
EP3114069B1 (en) Tilting cab mechanism for a crane
EP3473582B1 (en) Mobile crane
EP29132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and removal of ballast
KR20070000864A (ko)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
EP3868701B1 (en) Lift chain tension relieving devices and methods
KR20140004732U (ko) 선장 작업용 대차
CN114370241A (zh) 一种车载式全液压修井机
JP2013023969A (ja) ブームおよびブームシリンダの組付け方法とその組付け装置
CN115924748A (zh) 具有后发动机配置的铺管机
JP2013193800A (ja) フォークシフト装置
AU2011244854B2 (en) Carriage frame and fork pin lock assembly
KR20130132031A (ko) 시야 확보가 가능한 지게차 마스트 구조
CN110733957A (zh) 一种链式升降机
KR102115586B1 (ko) 호이스트용 트롤리 바아 고정구조 및 트롤리 바아 고정방법
KR20120000314U (ko) 천장 크레인 하중시험장치
CN217650697U (zh) 导向限位结构及具有其的吊运设备
CN218561031U (zh) 一种叉车吊臂
CN211078230U (zh) 一种电机试验用拖吊装置
CN113526329A (zh) 发动机吊具及其使用方法
KR20100091440A (ko) 운전자 보호구조물이 장착된 파이프 레이어
GB2322350A (en) Vehicle Cranes
KR20100026690A (ko) 굴삭기의 카운터웨이트 호이스팅 장치
CN201665465U (zh) 整机吊装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