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196A -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Google Patents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0196A KR20200030196A KR1020180108723A KR20180108723A KR20200030196A KR 20200030196 A KR20200030196 A KR 20200030196A KR 1020180108723 A KR1020180108723 A KR 1020180108723A KR 20180108723 A KR20180108723 A KR 20180108723A KR 20200030196 A KR20200030196 A KR 202000301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uxiliary
- main
- vertical frame
- scaffo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5/00—Building or assembling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e.g. semi-submersible platforms, SPAR platforms or wind turbine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0—Steps or ladders specially adapted for scaffo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 B63B2737/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5—Platforms with an access hatch for getting through from one level to an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위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운반 또한 가능함과 아울러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메인 작업대 모듈; 복수 개의 증축 작업대 모듈; 및 탑 작업대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에 제공한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함은 물로 인양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조립식 벽의 설치가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규모가 크고 기간이 긴 공사일수록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안전함은 물로 인양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조립식 벽의 설치가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규모가 크고 기간이 긴 공사일수록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의 외장마감공사시에 사용되는 외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작업위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운반 또한 가능함과 아울러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한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구조물 중 플랜트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은 극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외기 보호(Weather Protection)를 위해 대형 구조물의 외벽에 외장마감공사(Cladding Wall)를 수행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한다.
외장마감공사의 한 종류로 설치비용 절감을 위해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보온재를 포함한 조립식 벽(Composite Wall, 또는 '샌드위치 벽'이라고도 함)을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조립식 벽의 경우, 구성품 즉, 내부 플레이트, 보온재, 외부 플레이트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나, 중량이 무거워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가 필요하며, 조립식 벽을 대형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의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종래 대형 구조물에 조립식 벽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에는 발판과 크레인 또는 고소차와 크레인의 조합에 의해 설치하였다.
전자인 발판과 크레인을 사용하는 공법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므로 조립식 벽의 설치기간 단축이 가능하나, 발판 설치를 위한 비용 및 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발판과 대형 구조물의 고정을 위해 조립식 벽에 발판의 강관 관통을 위한 많은 홀(Hole) 시공이 필요한 단점 또한 가진다.
후자인 고소차와 크레인을 사용하는 공법은 발판 설치를 위한 비용 절감과 기간 단축은 가능하나, 일부 인원만이 작업 가능하므로 조립식 벽의 설치 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중량물을 고소차로 설치함에 따른 안전문제가 큰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해양구조물을 제작시 사용되는 작업수단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738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블라스팅과 같은 작업에 의해 바닥에 연마재와 같은 이물질이 쌓인 상태에서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업용 사다리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144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의 용접이나 도장 등의 작업시 해당되는 높이에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핸드 레일이 형성된 저층 작업부를 포함하는 저층 사다리, 핸드 레일이 형성된 고층 작업부를 포함하는 고층 사다리, 상기 각 사다리와 작업부를 지지하는 지지 틀과 지지 틀에 마련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작업 사다리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2410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작업 위치 특성으로 수직 설치 시 블록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접이식 핸드 레일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핸드 레일 안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계단식 이동 작업대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3은 다 같이 사다리 형태로, 해양구조물 중 플랜트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에 조립식 벽 등을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조립식 벽을 설치하기 위한 중량물 등의 인양 등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작업자가 작업위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운반 또한 가능함과 아울러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한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작업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그 높이와 대응되게 증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로프 등을 연결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작업시 작업대상물과의 유동성 없이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의 전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 세로 프레임,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각 출입구와 그 출입구와 연결되는 각 사다리가 설치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메인 발판 프레임, 상기 각 메인 발판 프레임이 위치한 메인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메인 작업대 모듈;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보조 세로 프레임, 상기 보조 세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각 출입구와 그 출입구와 연결되는 각 사다리가 설치되어 적어도 일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각 보조 발판 프레임, 상기 보조 발판 프레임이 위치한 보조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증축 작업대 모듈; 및 상기 보조 세로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탑 세로 프레임, 상기 탑 세로 프레임 상에 출입구와 그 출입구와 연결되는 사다리가 설치되는 탑 발판 프레임, 상기 탑 발판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받침 프레임과 복수 개의 보조 지지 프레임 상에 일면을 제외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중량물 운반을 위한 트롤리 또는 호이스트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탑 작업대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의 폭은 베이스 프레임의 폭과 동일하거나 좁은 폭으로 형성하되, 좁은 폭으로 형성시에는 구조적 보강 및 안정성을 위해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한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과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각의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의 양측 전방에는 작업대상물과 접촉 지지되는 각각의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 상면에는 수평 조절용 램(RAM)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 방향과 길이방향이 연결되는 부분은 각각의 곡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의 상단과, 보조 세로 프레임의 상단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연결시 가이드 될 수 있는 한 쌍의 각 가이드 피스(piece)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 보조 발판 프레임, 탑 발판 프레임 및 보조 지지 프레임에는 운반을 위한 각각의 리프팅 러그 및 각각의 생명줄 고리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과 보조 발판 프레임 및 탑 발판 프레임 중 최 하단에 위치한 각 발판 프레임의 밑면에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이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과 보조 발판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볼팅 작업을 위한 연장 플랫폼이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탑 작업대 모듈의 보조 지지 프레임 끝단에는 작업대상물과 맞닿거나 체결 고정을 위한 각각의 연결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증축 작업대 모듈에는 작업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 부재를 마련하되, 상기 클램프 부재는 보조 세로 프레임에 삽입 장착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작업대상물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2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위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운반 또한 가능함과 아울러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함은 물로 인양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조립식 벽의 설치가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규모가 크고 기간이 긴 공사일수록 더욱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또한, 작업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그 높이와 대응되게 증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호환성도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또, 운반이 용이함은 물론 작업자가 안전로프 등을 연결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과 작업자의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 작업시 작업대상물과의 유동성 없이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에게는 더욱더 안전한 조건을 제공함은 물론 인양작업도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메인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증축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탑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측면도와 결합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작업대상물과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메인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증축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탑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측면도와 결합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작업대상물과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메인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증축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탑 작업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분해 측면도와 결합된 측면도 및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이 작업대상물과 고정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 중 플랜트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이하 '작업대상물'이라 함)은 극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외기 보호(Weather Protection)를 위해 작업대상물의 외벽에 외장마감공사(Cladding Wall)를 수행함으로써, 내부 온도를 유지한다.
외장마감공사의 한 종류로 설치비용 절감을 위해 내부 플레이트와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보온재를 포함한 조립식 벽(Composite Wall, 또는 '샌드위치 벽'이라고도 함)을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조립식 벽의 경우, 구성품 즉, 내부 플레이트, 보온재, 외부 플레이트를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을 가지나, 중량이 무거워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가 필요하며, 조립식 벽을 작업대상물에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의 접근하기 위한 방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통상적인 작업대상물에 조립식 벽을 설치하기 위한 공법에는 발판과 크레인 또는 고소차와 크레인의 조합에 의해 설치하였다.
전자인 발판과 크레인을 사용하는 공법은 여러 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이 가능하므로 조립식 벽의 설치기간 단축이 가능하나, 발판 설치를 위한 비용 및 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발판과 작업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해 조립식 벽에 발판의 강관 관통을 위한 많은 홀(Hole) 시공이 필요한 단점 또한 가진다.
후자인 고소차와 크레인을 사용하는 공법은 발판 설치를 위한 비용 절감과 기간 단축은 가능하나, 일부 인원만이 작업 가능하므로 조립식 벽의 설치 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고정되지 않은 중량물을 고소차로 설치함에 따른 안전문제가 큰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위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운반 또한 가능함과 아울러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구조물 중 플랜트 등과 같은 대형 작업대상물(M)에 조립식 벽(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기 위한 외부 작업대(1)는 메인 작업대 모듈(10)과, 복수 개의 증축 작업대 모듈(20) 및 탑 작업대 모듈(30)로 구성되어 진다.
메인 작업대 모듈(10)은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11)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2)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의 길이 방향 양측의 전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 세로 프레임(14)과,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14) 상에 작업자가 왕복할 수 있는 소정 높이로 각 출입구(15)와 그 출입구(15)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연결되는 통상적인 형태인 각 사다리(16)가 설치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메인 발판 프레임(17)과, 상기 각 메인 발판 프레임(17)이 위치한 메인 세로 프레임(14)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안전수단인 핸드 레일(18)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사다리(16)는 통상적인 구조로 하부 메임 발판 프레임에서 직 상부의 메인 발판 프레임으로 올라가기 위한 수단으로, 높이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직 상부와 좌측과 우측으로 번갈아가며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하부의 발판 프레임에 구비되는 사다리는 폭 방향으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된다. 또,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작업자의 진입을 위해 사다리 측으로 진입판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17)은 통상적인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메인 세로 프레임에 틀 형태로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틀 프레임과, 상기 틀 프레임의 내측에 통상적인 플레이트 형태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레이팅 또는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소정 폭을 갖는 통상적인 복수 개의 프레임이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메인 작업대 모듈은 지면에 설치되어 스스로 세워질 수 있는 구조로, 외부 작업대의 기초가 되며, 작업대상물의 최하층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작업대 모듈(10)이 스스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주된 기술적 구성은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14)의 폭은 베이스 프레임(12)의 폭과 동일하거나 좁은 폭으로 형성하되, 좁은 폭으로 형성시에는 구조적 보강 및 안정성을 위해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한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14)과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베이스 프레임(12)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각의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메인 발판 프레임이 구비되는 메인 세로 프레임을 베이스 프레임 폭과 동일 또는 좁은 폭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작업대상물과 근접되게 길이 방향의 일측에 형성함에 따라 그 자체로 세워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특히, 경량화를 위해 메인 세로 프레임 폭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 폭 보다 좁은 폭을 갖더라도 받침대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으로 받쳐 지지됨에 따라 구조적 보강 및 안정성이 확보되어 스스로 세워지더라도 높은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14)의 양측 전방에는 작업대상물(M)과 접촉 지지되는 각각의 지지대(14A)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대상물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경우, 유동성이 발생할 수 있는 관계로, 상기 지지대는 유동성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과 함께 작업대상물과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겸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의 각 모서리 상면에는 바닥면에 설치시 수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수평 조절용 램(RAM, 12A)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메인 작업대 모듈이 정확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를 확인함으로, 그 상부 적층되는 복수 개의 증축 작업대 모듈이나 탑 작업대 모듈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증축 작업대 모듈(20)은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보조 세로 프레임(22)과, 상기 보조 세로 프레임(22) 상에 소정 높이로 각 출입구(24)와 그 출입구(24)와 연결되는 각 사다리(25)가 설치되어 적어도 일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각 보조 발판 프레임(26)과, 상기 보조 발판 프레임(26)이 위치한 보조 세로 프레임(22)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핸드 레일(27)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보조 발판 프레임과 사다리는 전술한 메인 발판 프레임에 구비되는 사다리와 기술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증축 작업대 모듈(20)은 낮게는 일단이나 이단 이상으로 여러 개로 제작하여, 필요한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적정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작업대상물(M)의 높이에 따라 증축 작업대 모듈(20)을 도 5 내지 도7에서와 같이 메인 작업대 모듈(10)과 탑 작업대 모듈(30) 사이에 개재시켜 필요로 하는 높이로 조립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증축 작업대 모듈과 메인 작업대 모듈 또는 탑 작업대 모듈과의 연결은 통상적인 방식인 브래킷 연결방식이나 플랜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볼팅 연결방식 등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증축 작업대 모듈(20)에는 작업대상물(M)과의 고정을 위한, 통상적인 형태의 클램프 부재(200)를 마련하되, 상기 클램프 부재(200)는 보조 세로 프레임(22)에 삽입 장착되는 제1 클램프(210), 상기 작업대상물(M)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클램프(220) 및 상기 제1,2 클램프(210)(220)를 연결하는 연결대(2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2 클램프에는 삽입 후 체결 고정을 위한 각각의 체결 볼트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클램프 부재는 작업대상물과 고정됨은 물론 메일 작업대 모듈의 메인 세로 프레임에 구비되는 지지대에 의해 외부 작업대 전체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조건을 가진다. 또한, 외부 작업대 전체가 전복될 우려도 방지한다.
탑 작업대 모듈(30)은 상기 보조 세로 프레임(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탑 세로 프레임(32)과, 상기 탑 세로 프레임(32) 상에 출입구(33)와 그 출입구(33)와 연결되는 사다리(34)가 설치되는 탑 발판 프레임(35)과, 상기 탑 발판 프레임(35)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받침 프레임(36)과 복수 개의 보조 지지 프레임(36) 상에 일면을 제외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중량물 운반을 위한 공지된 트롤리 또는 호이스트(H)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38)을 포함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상기 탑 발판 프레임은 전술한 메인 발판 프레임과 동일한 기술적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가이드레일(38)의 측 방향과 길이방향이 연결되는 부분은 트롤리 E는 호이스트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곡선형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37)은 받침 프레임(36)의 상면에 통상적인 방식에 마련되며, 상기 보조 지지 프레임(37) 끝단에는 작업대상물(M)과 맞닿거나 체결 고정을 위한 각각의 연결 플레이트(37A)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 플레이트에는 볼팅을 위한 각각의 홀이 마련된다.
그에 따라 탑 작업대 모듈 또한 보조 지지 프레임의 끝단에 구비된 연결 플레이트에 의해 작업대상물과 지지됨에 따라 더욱더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수 있다.
상기한 상기 탑 작업대 모듈(30)은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가이드레일 상에 공지된 운반수단인 트롤리 또는 호이스트가 마련됨으로써, 작업대상물로 조립식 벽 시공에 따른 중량물을 별도의 크레인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활하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14)의 상단과, 보조 세로 프레임(22)의 상단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연결시 가이드 될 수 있는 통상적인 한 쌍의 각 가이드 피스(piece, P)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가이드 피스는 각 메인 세로 프레임과 보조 세로 프레임 또는 탑 세로 프레임을 상호 연결시 정확한 위치로 가이드 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14)과, 보조 발판 프레임(26)은 물론 탑 발판 프레임(35) 및 보조 지지 프레임(37)에는 크레인 등으로 운반을 위한 통상적인 각각의 리프팅 러그(R) 및 작업자의 안전하게 로프 등을 걸어 사용할 수 있는 통상적인 각각의 생명줄 고리(H)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 상기 베이스 프레임(12)의 상면과 상기 보조 발판 프레임(26) 및 탑 발판 프레임(35) 중 최 하단에 위치한 각 발판 프레임(26)(35)의 밑면에 공지의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어 운반할 수 있는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S)이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그에 따라 운반 조건에 따라 크레인은 물론 지게차 등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어, 원하는 어떠한 장소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17)과 보조 발판 프레임(26)의 양 측면에는 볼팅 작업을 위한 통상적인 연장 플랫폼(F)이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 플랫폼(F)은 메인 발판 프레임과 보조 발판 프레임의 각 최상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 프레임의 측면에 받침틀과 통상적인 핸드레일 등과 같은 펜스로 구성되어, 작업자가 볼팅 작업을 더욱더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위치로의 접근이 용이하면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운반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아울러 1회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면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한 편리성도 제공한다.
1 : 외부 작업대
10 : 메인 작업대 모듈 11 : 보강대
12 : 베이스 프레임 12A : 수평 조절용 램
14 : 메인 세로 프레임 14A : 지지대
15,24,33 : 출입구 16,25,34 : 사다리
17 : 메인 발판 프레임 18,27 : 핸드 레일
19 : 받침대 20 : 증축 작업대 모듈
22 : 보조 세로 프레임 26 : 보조 발판 프레임
200 : 클램프 부재 210 : 제1 클램프
220 : 제2 클램프 230 : 연결대
30 : 탑 작업대 모듈 32 : 탑 세로 프레임
35 : 탑 세로 프레임 36 : 받침 프레임
37 : 보조 지지 프레임 37A : 연결 플레이트
10 : 메인 작업대 모듈 11 : 보강대
12 : 베이스 프레임 12A : 수평 조절용 램
14 : 메인 세로 프레임 14A : 지지대
15,24,33 : 출입구 16,25,34 : 사다리
17 : 메인 발판 프레임 18,27 : 핸드 레일
19 : 받침대 20 : 증축 작업대 모듈
22 : 보조 세로 프레임 26 : 보조 발판 프레임
200 : 클램프 부재 210 : 제1 클램프
220 : 제2 클램프 230 : 연결대
30 : 탑 작업대 모듈 32 : 탑 세로 프레임
35 : 탑 세로 프레임 36 : 받침 프레임
37 : 보조 지지 프레임 37A : 연결 플레이트
Claims (10)
-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대가 격자형태로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태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 방향 양측의 전후에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한 쌍의 메인 세로 프레임,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각 출입구와 그 출입구와 연결되는 각 사다리가 설치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메인 발판 프레임, 상기 각 메인 발판 프레임이 위치한 메인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메인 작업대 모듈;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보조 세로 프레임, 상기 보조 세로 프레임 상에 소정 높이로 각 출입구와 그 출입구와 연결되는 각 사다리가 설치되어 적어도 일단 이상으로 설치되는 각 보조 발판 프레임, 상기 보조 발판 프레임이 위치한 보조 세로 프레임에 다단으로 설치되는 핸드 레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증축 작업대 모듈; 및
상기 보조 세로 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각각의 탑 세로 프레임, 상기 탑 세로 프레임 상에 출입구와 그 출입구와 연결되는 사다리가 설치되는 탑 발판 프레임, 상기 탑 발판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받침 프레임과 복수 개의 보조 지지 프레임 상에 일면을 제외한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중량물 운반을 위한 트롤리 또는 호이스트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탑 작업대 모듈;을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의 폭은 베이스 프레임의 폭과 동일하거나 좁은 폭으로 형성하되, 좁은 폭으로 형성시에는 구조적 보강 및 안정성을 위해 길이방향의 양단에 위치한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과 그와 대응되는 위치의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각각의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의 양측 전방에는 작업대상물과 접촉 지지되는 각각의 지지대가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각 모서리 상면에는 수평 조절용 램(RAM)이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측 방향과 길이방향이 연결되는 부분은 각각의 곡선형 형태로 형성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세로 프레임의 상단과, 보조 세로 프레임의 상단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연결시 가이드 될 수 있는 한 쌍의 각 가이드 피스(piece)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 보조 발판 프레임, 탑 발판 프레임 및 보조 지지 프레임에는 운반을 위한 각각의 리프팅 러그 및 각각의 생명줄 고리가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과 보조 발판 프레임 및 탑 발판 프레임 중 최 하단에 위치한 각 발판 프레임의 밑면에 지게차 포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서포트 프레임이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하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발판 프레임과 보조 발판 프레임의 양 측면에는 볼팅 작업을 위한 연장 플랫폼이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작업대 모듈의 보조 지지 프레임 끝단에는 작업대상물과 맞닿거나 체결 고정을 위한 각각의 연결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축 작업대 모듈에는 작업대상물과의 고정을 위한 클램프 부재를 마련하되, 상기 클램프 부재는 보조 세로 프레임에 삽입 장착되는 제1 클램프, 상기 작업대상물의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2 클램프 및 상기 제1,2 클램프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723A KR20200030196A (ko) | 2018-09-12 | 2018-09-12 |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723A KR20200030196A (ko) | 2018-09-12 | 2018-09-12 |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196A true KR20200030196A (ko) | 2020-03-20 |
Family
ID=6995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8723A KR20200030196A (ko) | 2018-09-12 | 2018-09-12 |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030196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5018A (zh) * | 2020-08-14 | 2020-12-11 | 湖南创一机械有限公司 | 一种可自主装配多层升降平台的升降机 |
CN112065014A (zh) * | 2020-08-14 | 2020-12-11 | 湖南创一机械有限公司 | 一种可自主装配的多层结构的升降机用升降平台 |
CN112572722A (zh) * | 2020-12-01 | 2021-03-30 |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 一种艉门跳板制作工艺及利用该工艺制作的艉门跳板 |
KR102578415B1 (ko) * | 2022-12-21 | 2023-09-13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대형 전동기 정비 작업을 위한 이동형 탑승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7386U (ko) | 2012-06-18 | 2013-12-2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용 사다리 |
KR20140001447U (ko) | 2012-08-31 | 2014-03-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구조물용 작업 사다리 |
KR101372410B1 (ko) | 2012-10-15 | 2014-03-11 | 김형호 | 슬라브 시공용 블록 |
-
2018
- 2018-09-12 KR KR1020180108723A patent/KR20200030196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007386U (ko) | 2012-06-18 | 2013-12-27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작업용 사다리 |
KR20140001447U (ko) | 2012-08-31 | 2014-03-10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해양구조물용 작업 사다리 |
KR101372410B1 (ko) | 2012-10-15 | 2014-03-11 | 김형호 | 슬라브 시공용 블록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65018A (zh) * | 2020-08-14 | 2020-12-11 | 湖南创一机械有限公司 | 一种可自主装配多层升降平台的升降机 |
CN112065014A (zh) * | 2020-08-14 | 2020-12-11 | 湖南创一机械有限公司 | 一种可自主装配的多层结构的升降机用升降平台 |
CN112572722A (zh) * | 2020-12-01 | 2021-03-30 |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 一种艉门跳板制作工艺及利用该工艺制作的艉门跳板 |
KR102578415B1 (ko) * | 2022-12-21 | 2023-09-13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대형 전동기 정비 작업을 위한 이동형 탑승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4483B1 (ko) |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 |
KR20200030196A (ko) | 해양구조물용 외부 작업대 | |
US10738488B2 (en) | Lift truck operated stacking formwork tabl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CN101775907A (zh) | 一种网架结构高空组队整体滑移安装方法 | |
US20160304329A1 (en) | Lifting device | |
US9556624B1 (en) | Scaffold system | |
US10655335B2 (en) |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 |
AU2018215859A1 (en) | Scaffold system | |
CN216076228U (zh) | 一种轨道式吊篮支架装置 | |
JP6167025B2 (ja) |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 |
CN108584646B (zh) | 一种适应于顶升施工的装配式外加电梯井道结构 | |
KR102102441B1 (ko) | 조립식 케이지 | |
CN204662501U (zh) | 一种进出沉管的竖向临时通道 | |
KR20090099182A (ko) |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 |
CN212895943U (zh) | 小截面墩柱钢筋绑扎用作业平台装置 | |
KR101668177B1 (ko) | 전동 고소작업용 가설복층작업대 | |
JP6520533B2 (ja) | 天井クレーン支持装置及び荷重受け部材 | |
CN113668831A (zh) | 一种可移动悬挑脚手架 | |
AU2003221623B2 (en) | A transportable building and self-levelling chassis therefor | |
KR20200069533A (ko) | 발전소 보일러 연소실 내부 코너부 작업대 및 시공방법 | |
KR101031313B1 (ko) |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 |
JP6953655B1 (ja) | 足場を構成する一組の箱 | |
JP2004143677A (ja) | 建築機材の搬出入装置 | |
CN213683914U (zh) | 可移动式登高梯 | |
CN219604900U (zh) | 一种可周转的层间短距运输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