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3255B1 -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255B1
KR101773255B1 KR1020150128043A KR20150128043A KR101773255B1 KR 101773255 B1 KR101773255 B1 KR 101773255B1 KR 1020150128043 A KR1020150128043 A KR 1020150128043A KR 20150128043 A KR20150128043 A KR 20150128043A KR 101773255 B1 KR101773255 B1 KR 101773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vating
supporting
work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750A (ko
Inventor
정성채
Original Assignee
정성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채 filed Critical 정성채
Priority to KR1020150128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2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고소작업대는 작업부, 승강부, 지지부, 동력운반부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작업부는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한다. 승강부는 작업부를 지지하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지지부는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동력운반부는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한다. 연결부는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작업부 및 승강부가 배치된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동력운반부 및 지지부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DEVICE FOR WORKING AT HIGH PLACE}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높은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대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높은 작업 위치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과수의 재배용 봉지 씌우기, 가지 치기, 과실 수확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 배관 공사, 덕트 공사, 미장 공사, 건물 외벽공사 등과 같은 건축용 작업 등과 같이 높은 위치에서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널리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주행 대차, 작업자가 고소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대, 상기 주행 대차와 상기 작업대를 연결하며 상기 작업대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작업대는, 작업 반경이 좁고 이동성이 떨어지며, 추락의 위험성이 있으며 사용자 편의성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한 고소작업대의 개발이 요청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는 작업부, 승강부, 지지부, 동력운반부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부는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운반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지지체 및 지지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승강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바퀴는 상기 지지체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 상에서 상기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제1 연결바(bar) 및 상기 제1 연결바와 힌지(hinge) 형태로 결합된 제2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소작업대는, 상기 제1 연결바를 상기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켜 지면 상에 접촉시키는 하중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부재, 제2 연결부재 및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된다.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서로 오버랩(overlap)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동력운반부는 본체, 바퀴, 동력발생유닛 및 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퀴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지면 상에 위치한다. 상기 동력발생유닛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조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부는 조향바, 결합유닛 및 조향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바는 상기 연결부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조향바를 상기 동력운반부와 힌지 형태로 결합시킨다. 상기 조향유닛은 상기 조향바에 결합되며, 상기 조향바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를 상기 결합유닛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일 실시예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조향바로부터 돌출된 돌기 및 상기 돌기와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조향부는 결합유닛, 나사형 웜(worm) 및 웜 휠(whee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연결부와 고정 결합된 축 형태를 갖는다. 상기 나사형 웜은 상기 동력운반부에 설치되며,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웜 휠은 상기 나사형 웜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결합유닛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결합유닛과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상기 동력운반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승강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향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작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작업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절부재들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상기 승강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방으로 상기 승강부에 외력을 가하는 하중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작업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지지부의 무게중심은 상기 동력운반부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작업부의 무게중심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운반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분은 상하로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상기 동력운반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작업부의 일측 및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작업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역보조부는 상기 하역보조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부의 타측으로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고소작업대의 작업대를 차량 위에 적재한 후 승강하여 작업하는 대신, 작업대와 동력운반부를 분리하고 상기 작업대가 위치하는 지지부와 상기 동력운반부를 연결부를 통해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동력 제공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소작업대가 하중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여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연결부가 힌지 형태로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노면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소작업대가 상기 연결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경우, 작업반경을 넓히거나 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고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소작업대가 조향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작업대를 상기 동력운반부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므로, 고소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소작업대가 수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작업대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고소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대가 하중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작업대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보상할 수 있어, 작업대의 승강 및 하강 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소작업대가 적재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가 상하 회전을 하지 않는 특징을 활용하여, 상기 동력운반부 상에 작업도구, 수확된 농작물 등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소작업대가 상기 작업부 또는 상기 승강부와 연결된 하역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적재물을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소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소작업대의 조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소작업대의 조향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향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고소작업대의 적재부 및 하역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100)는 작업부(110), 승강부(120), 지지부(130), 동력운반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100)는 작업부(110), 승강부(120), 지지부(130), 동력운반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부(110)는 작업자가 작업하기 위한 작업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대는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형성되어 작업자를 지지하며, 작업자는 상기 작업대 내에서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작업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상기 상승 또는 하강의 동작은 다양한 구동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승강부(1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GR)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동력운반부(140)는 상기 승강부(12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130)를 이동시키도록 지면(GR)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운반부(140)는 주행 가능한 차량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110) 및 상기 승강부(120)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13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140) 및 상기 지지부(130)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100)는, 종래와 같이 고소작업대의 작업대를 차량 위에 적재한 후 승강하여 작업하는 대신, 상기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110)와 차량과 같은 동력운반부(140)를 분리하고 상기 작업대가 위치하는 지지부(130)와 상기 동력운반부(140)를 연결부(150)를 통해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 위험을 감소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동력 제공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작업부(110), 상기 승강부(120) 및 상기 지지부(130)의 무게중심은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작업부(110)의 무게중심은 상기 승강부(120) 및 상기 지지부(1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안정성이 확보된 고소작업대(100)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동력은 상기 작업부(110), 상기 승강부(120) 및 상기 지지부(130)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에서 일괄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소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소작업대(100)는 작업부(110), 승강부(120), 지지부(130), 동력운반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작업부(110)는 작업대(112) 및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112)는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한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부(120)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에서 제공하는 동력의 제어 및 상기 고소작업대(100)에서 수행할 수 있는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4)는 후술되는 조향부(170)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고, 비상정지 버튼이나 각종 발조정 레버 등과 같이 손이나 발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버튼이나 조작 레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14)는 작업 레버를 포함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제어부(114)의 작업 레버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업부(110) 내에는 작업자의 탑승석 등 작업자의 편의용 구성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작업부(110)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작업부(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승강부(12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로부터 유압을 동력으로 제공받아서 X자 형태의 접철식 구조물을 접고 폄에 의해 상기 작업부(11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승강부(120)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GR)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지지체(132) 및 지지바퀴(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132)는 상기 승강부(12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120)를 지지하고, 후술되는 연결부(150)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바퀴(134)는 상기 지지체(132)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GR) 상에서 상기 지지체(132)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지지체(132) 및 상기 지지바퀴(134) 사이에 베어링(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30)의 구조는 주지의 카트(cart) 구조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바퀴(134)는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퀴(134)는 지면(GR) 상에서 이동이 제한되도록 락(lock)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30)의 전진 및 후진을 비롯한 기본적인 1차적 이동은 후술되는 동력운반부(14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의한 이동이 종료된 후의 세부적인 2차적 이동은 후술되는 연결부(150)의 길이 조절에 의한 전후 이동, 후술되는 조향부(170)의 방향 조절에 의한 좌우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운반부(140)는 상기 승강부(12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130)를 이동시키도록 지면(GR) 상에 위치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동력운반부(140)는 본체(142), 바퀴(144), 동력발생유닛(146) 및 회전결합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42)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주행 가능한 차량의 차체일 수 있다.
상기 바퀴(144)는 상기 본체(142)에 설치되며, 지면(GR) 상에 위치한다. 상기 바퀴(144)는 주행 가능한 차량의 바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144)는 일반적인 바퀴일 수도 있고, 포크레인 등에 널리 활용되는 무한궤도형 바퀴일 수도 있다.
상기 동력발생유닛(146)은 상기 본체(142)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120)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유닛(146)은 다른 동력, 예를 들면, 후술하는 연결부(150)의 길이조절 동작, 후술하는 하중조절부(160)의 하중조절 동작 및 후술하는 조향부(170)의 방향조절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발생유닛(146)은, 일 예로 유압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142)를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 가능한 차량의 엔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발생유닛(146)은 하나로 통합되어 모든 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지만, 일부 분리하여 일부의 동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고,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본체(142) 외부에 위치하거나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결합부(148)는 상기 본체(142)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1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150)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결합부(148)는 상기 연결부(15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핀 형태로 형성된 후술되는 결합유닛(17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110) 및 상기 승강부(120)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130)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140) 및 상기 지지부(130)를 연결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150)는, 제1 연결부재(152), 제2 연결부재(154) 및 길이조절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152)는 상기 지지부(130)와 연결되며, 예를 들면, 바(bar) 형태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재(154)는 상기 동력운반부(140) 및 상기 제1 연결부재(152) 사이에서 상기 동력운반부(140) 및 상기 제1 연결부재(152)와 연결되며, 예를 들면, 바(bar) 형태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56)는 상기 연결부(150)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152) 및 상기 제2 연결부재(154)를 서로 오버랩(overlap)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결부재(152)는 중공원통(hollow cylinder) 혹은 중공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재(154)는 중공/중실원통 혹은 중공/중실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부재(152)의 내경은 상기 제2 연결부재(154)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154)가 상기 제1 연결부재(152)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서로 오버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연결부재(152) 및 상기 제2 연결부재(154)의 오버랩 방식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156)는, 일 예로, 상기 제1 연결부재(152) 및 상기 제2 연결부재(154) 상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유압 실린더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소작업대(100)가 상기 연결부(15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156)를 포함하는 경우, 작업반경을 넓히거나 차량이 진입하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고소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상기 지지부(130)를 상승시켜 지면(GR)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상기 지지부(130)를 하강시켜 지면(GR) 상에 접촉시키는 하중조절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지부(130)와 연결된 상기 제1 연결부재(152)는 상기 지지부(130)와 연결된 제1 연결바(bar)(152a) 및 상기 제1 연결바(152a)와 힌지(hinge) 형태로 결합된 제2 연결바(15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중조절부(160)는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상기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부(130)의 지지바퀴(134)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하중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상기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당기는 방식은 주지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당기는 방식은 상기 길이조절부(156)와 유사한 방식에 의해 수행하되 완충스프링과 인장력을 전달하는 플렉스블 와이어 등이 활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바(152a) 및 상기 제2 연결바(152b) 상에 하중 조절이 가능하도록 유압 실린더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당기는 방식은 제2 연결바(152b) 상에 배치된 위치 조절 가능한 고정부를 설치하여 당기는 힘을 조절함으로써 하중 조절이 수동으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를 포함한 상기 작업부(110), 상기 승강부(120) 및 상기 지지부(130) 등의 하중이 150kg일 때, 상기 하중조절부(160)에서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당기지 않으면 상기 지지부(130)의 지지바퀴(134)에 하중 150kg이 모두 작용하지만, 상기 제1 연결바(152a)를 일정한 힘으로 당기도록 조절함에 따라 상기 지지부(130)의 지지바퀴(134)에 하중이 100kg, 50kg 등이 작용하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130)의 지지바퀴(134)에 하중이 전혀 작용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30)의 지지바퀴(134)는 지면(GR) 위로 부양한 상태가 되며, 이 때의 모든 하중은 상기 동력운반차(14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중조절부(160)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여 하중을 조절함으로써 장치의 안정성, 예를 들면 좌우 회전 시의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때 상기 연결부(150)가 힌지 형태로 결합된 연결바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지지부(130)를 상승시켜 지면(GR)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노면이 불안정한 경우에도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는 조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부(170)는 조향바(172), 결합유닛(174) 및 조향유닛(176a, 176b)을 포함한다.
상기 조향바(172)는 상기 연결부(150)에 고정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조향바(172)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174)은 상기 조향바(172)를 상기 동력운반부(140)와 힌지 형태로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조향바(172)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와 결합되되,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대해서 상기 결합유닛(17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회전결합부(148)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유닛(174)을 중심으로 상기 조향바(172), 상기 결합유닛(174) 및 상기 조향유닛(176a, 176b)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조향유닛(176a, 176b)은 상기 조향바(172)에 고정 또는 힌지 형태로 결합되며, 상기 조향바(172)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150)를 상기 결합유닛(174)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상기 조향유닛(176a, 176b)은 제1 유압실린더(176a) 및 제2 유압실린더(176b)를 포함하여 상기 조향바(172)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조향부(170)는 상기 조향바(172)로부터 돌출된 돌기(172a) 및 상기 돌기(172a)와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172)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1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78)는 상기 동력운반부(14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돌기(172a)는 상기 조향바(172)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172a)는 상기 가이드(178)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향바(172)의 운동 방향 및 이동 경로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소작업대의 조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상기 조향유닛(176a, 176b)은 제1 유압실린더(176a) 및 제2 유압실린더(176b)를 포함하여 상기 조향바(172)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압실린더(176a)에서 밀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176b)에서 당기는 경우, 상기 조향바(172)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는 도 4와 같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176a)에서 당기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176b)에서 미는 경우, 상기 조향바(172) 및 이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는 이와 반대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다른 실시예의 조향부(2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고소작업대의 조향방식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향부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부(270)는 결합유닛(274), 나사형 웜(worm)(276) 및 웜 휠(wheel)(27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274)은 상기 연결부(150)와 고정 결합된 축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결합유닛(274)은 상기 연결부(15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결합유닛(2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150)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나사형 웜(276)은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설치되며, 직선왕복운동을 한다. 상기 나사형 웜(276)은 나사 형태를 갖는다.
상기 웜 휠(278)은 상기 나사형 웜(276)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결합유닛(274)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결합유닛(274)과 결합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형 웜(276)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웜 휠(27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나사형 웜(276)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웜 휠(278)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웜 휠(27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웜 휠(278)의 중심축에 해당하는 상기 결합유닛(274)은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나사형 웜(276)과 상기 웜 휠(278)은 웜 기어(gear)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한편 도 5에서, 상기 동력운반부(140)는 상기 조향부(170)의 좌측 및 상기 연결부(15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동력운반부(140)는 상기 조향부(170)의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150)의 하측에 위치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유닛(27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향부(170, 270)에 의해, 상기 작업부(110)를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대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에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상기 승강부(120) 및 상기 작업부(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120) 및 상기 작업부(1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절부재들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조절부(180)는 상기 작업대(112)의 코너에 배치되는 수평조절유닛(182)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조절유닛(182)은 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작업대(112)의 4개의 코너에 배치되는 4개의 수평조절유닛(182)들을 조절하여 상기 작업대(11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수평조절부(180)는 상기 수평조절유닛(182)들 사이, 즉 상기 작업대(112)의 중앙 및 상기 승강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수평조절유닛(182)들의 거리 조절 및 이에 따른 수평 조절을 원활하게 하는 힌지 혹은 베어링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평조절부(180)에 의해 상기 작업대(112)를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어, 고소작업에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하중보상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보상부(190)는 상기 승강부(12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130) 및 상기 연결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120)의 상방으로 상기 승강부(120)에 외력을 가한다.
상기 하중보상부(190)는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120)를 일정한 외력으로 상방 작용함으로써, 상기 승강부(120)의 상승 시 상승을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120)의 하강 시 하강을 천천히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중보상부(190)에 의해, 상기 작업대(1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보상할 수 있어, 작업대의 승강 및 하강 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승강부(120), 상기 연결부(150) 및 상기 조향부(17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예를 들면,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배관 시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의 연결 부분은 상하로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하중조절부(160)에 의해 회전이 가능할 수 있지만,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의 연결 부분은 상하로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상부는 상기 고소작업대(100)의 동작 시에 아무런 변화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적재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고소작업대의 적재부 및 하역보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때,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적재공간(LS)을 갖는 적재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200)는, 상기 동력운반부(140)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150)의 연결 부분이 상하로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상부의 변화나 제약이 없어 적재물을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재물은 작업도구, 수확된 농작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적재부(200)는 적재함(202) 및 상기 적재함(202)을 상기 동력운반부(140)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적재함(202) 및 상기 지지대(20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4)는, 예를 들면, 상기 동력운반부(140)의 각 코너마다 배치되어 4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50)는, 평면적으로 관측할 때, 상기 지지대(204)들 사이로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고소작업대(100)는, 상기 작업부(110) 또는 상기 승강부(120)의 일측 및 이와 마주보는 상기 적재부(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200)의 적재공간(LS)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하역보조부(210)는 상기 작업부(110) 또는 상기 승강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200)를 향하여 연장된 연장바(212) 및 상기 연장바(2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적재부(200)의 일측에 연결된 당김부재(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역보조부(210)는 상기 승강부(120)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당김부재(214)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부(110)의 일측을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적재부(110)의 타측으로 상기 적재공간(LS)에 적재된 적재물을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당김부재(214)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바(212)에 대해 슬라이드(slide)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200)가 상기 적재공간(LS)을 정의하는 측벽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재부(200)의 타측에 대응하는 측벽은 적재물 배출에 용이하도록 힌지 형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부(200)에 의해, 상기 연결부(150)가 상기 상하 회전을 하지 않는 특징을 활용하여, 상기 동력운반부(140) 상에 작업도구, 수확된 농작물 등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고소작업대(100)가 상기 작업부(110) 또는 상기 승강부(120)와 연결된 하역보조부(21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적재부(200)로부터 상기 적재물을 용이하게 내릴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고소작업대 110 : 작업부
120 : 승강부 130 : 지지부
140 : 동력운반부 150 : 연결부
160 : 하중조절부 170, 270 : 조향부
180 : 수평조절부 190 : 하중보상부
200 : 적재부 210 : 하역보조부

Claims (16)

  1.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하는 동력운반부; 및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강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고, 상기 연결부와 연결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하부에 배치되어 지면 상에서 상기 지지체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지지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제1 연결바(bar) 및 상기 제1 연결바와 힌지(hinge) 형태로 결합된 제2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바를 상기 힌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지지부를 상승시켜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거나 상기 지지부를 하강시켜 지면 상에 접촉시키는 하중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는,
    상기 작업대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된 제1 연결부재;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재 사이에서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연결된 제2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를 서로 오버랩(overlap)시키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6.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하는 동력운반부; 및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운반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지면 상에 위치하는 바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유닛;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와 결합된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7.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하는 동력운반부; 및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에 고정 결합된 조향바;
    상기 조향바를 상기 동력운반부와 힌지 형태로 결합시키는 결합유닛; 및
    상기 조향바에 결합되며, 상기 조향바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를 상기 결합유닛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조향유닛을 포함하는 조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조향바로부터 돌출된 돌기; 및
    상기 돌기와 대응하여 상기 조향바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운반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승강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조향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작업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작업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적어도 두 개의 조절부재들을 포함하는 수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승강부의 상방으로 상기 승강부에 외력을 가하는 하중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지지부의 무게중심은 상기 동력운반부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작업부의 무게중심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3. 삭제
  14. 삭제
  15.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하는 동력운반부; 및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운반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의 연결 부분은 상하로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되며,
    상기 동력운반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적재공간을 갖는 적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작업부의 일측 및 상기 승강부 또는 상기 작업부의 일측과 마주보는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적재부의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의 하역을 보조하는 하역보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역보조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승에 따라서 상기 적재부의 일측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적재부의 타측으로 상기 적재공간에 적재된 적재물을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16. 작업자가 소정 높이에서 작업하도록 작업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작업부;
    상기 작업부를 지지하며, 상기 작업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지면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부;
    상기 승강부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을 발생하여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지면 상에 위치하는 동력운반부; 및
    상기 동력운반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부 및 상기 승강부가 배치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동력운반부 및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와 고정 결합된 축 형태의 결합유닛;
    상기 동력운반부에 설치되며,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나사형 웜(worm); 및
    상기 나사형 웜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며, 상기 결합유닛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결합유닛과 결합된 웜 휠(wheel)을 포함하는 조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KR1020150128043A 2015-09-10 2015-09-10 고소작업대 KR101773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43A KR101773255B1 (ko) 2015-09-10 2015-09-10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8043A KR101773255B1 (ko) 2015-09-10 2015-09-10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50A KR20170030750A (ko) 2017-03-20
KR101773255B1 true KR101773255B1 (ko) 2017-08-31

Family

ID=5850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043A KR101773255B1 (ko) 2015-09-10 2015-09-10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39A (ko) 2019-08-12 2021-02-22 1680스카이(주)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449B1 (ko) * 2020-06-08 2020-09-21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차의 조향장치
KR102198967B1 (ko) 2020-10-05 2021-01-05 남전진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KR102213287B1 (ko) 2020-10-05 2021-02-05 남전진 고소작업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474A (ja) * 2006-06-22 2008-01-10 Nsk Ltd 昇降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1474A (ja) * 2006-06-22 2008-01-10 Nsk Ltd 昇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339A (ko) 2019-08-12 2021-02-22 1680스카이(주) 슬라이드식 확장형 고소작업 탑승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50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255B1 (ko) 고소작업대
ITRE20080040A1 (it) '' barella e sistema per il trasporto di pazienti ''
KR101580528B1 (ko) 고소작업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KR101229993B1 (ko) 벙 받침용 벙카
KR101707202B1 (ko) 자동 이송대차
ITRM20060657A1 (it) Carro semovente per la movimentazione di rimorchi e simili macchine statiche
CN104856780A (zh) 一体化手术台
KR101635168B1 (ko)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고소작업대용 승강장치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212340B1 (ko) 가변형 조립 작업대
KR20090006377U (ko) 작업용 자동승강 리프트
KR101517437B1 (ko) 전동운송부가 구비된 구조물 조립용 트롤리
JP2017114627A (ja) 昇降台装置
KR20200027614A (ko) 비닐하우스용 운반장치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150111772A (ko) 리프트 카시스템
KR101674718B1 (ko) 농업용 고소작업기
US1409906A (en) Portable elevator
CN106938832A (zh) 一种六自由度升降平台
KR20130003787U (ko) 오버헤드 작업용 이동 작업대
JP2022062881A (ja) 多目的農作業機
JP2007154643A (ja) 自走式処理装置
US923454A (en) Vehicle jack and lifter.
KR20210001553U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서포트
JP2020189714A (ja) 荷搬送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