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967B1 -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967B1
KR102198967B1 KR1020200127845A KR20200127845A KR102198967B1 KR 102198967 B1 KR102198967 B1 KR 102198967B1 KR 1020200127845 A KR1020200127845 A KR 1020200127845A KR 20200127845 A KR20200127845 A KR 20200127845A KR 102198967 B1 KR102198967 B1 KR 10219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heel
pedestal
upper side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전진
Original Assignee
남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전진 filed Critical 남전진
Priority to KR102020012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 E04G2001/244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바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소작업대의 바퀴에 바퀴 분리를 위한 지그 장치를 안착시키는 안착 단계; 상기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소작업대로부터 바퀴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바퀴가 분리된 자리에 새 바퀴를 설치하는 바퀴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REPLACING METHOD OF HIGH PLACE WORKTABLE WHEEL}
본 발명은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의 바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에서 높은 곳을 작업할 때, 사다리 또는 고소 작업대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 다리 또는 고소 작업대의 하부에는 이동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바퀴가 설치되어 있다.
고소 작업대는 상,하부프레임과, 상,하부프레임을 연결함과 동시에 상부프레임으로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형태로 된 중간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프레임의 네모서리에는 바퀴가 각각 설치되어 장소 이동시 고소 작업대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바퀴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의 상부프레임에 올라가 작업할 때에는 고소 작업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또한 고소 작업대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때에는 고소 작업대의 고정을 해제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를 들면, 후드마스터와, 레버식 브레이크가 구비된 안전 바퀴가 알려져 있다.
기존의 고소작업대의 바퀴를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볼트 등을 분리시켜 교체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작업의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1263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3075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소작업대의 바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은, 고소작업대의 바퀴에 바퀴 분리를 위한 지그 장치를 안착시키는 안착 단계; 상기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소작업대로부터 바퀴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바퀴가 분리된 자리에 새 바퀴를 설치하는 바퀴 설치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 장치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로 분리될 바퀴의 측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바퀴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안착부를 바퀴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볼트;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바퀴에 형성되는 제2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안착부를 바퀴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볼트;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 중심축을 통해 회전하며 삽입되면서 바퀴를 상기 고소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축을 눌러 바퀴로부터 상기 고정축을 분리시키는 가압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원통;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 중심축을 관통하고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압 볼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관통홀; 상기 제1 체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체결 볼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2 체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체결 볼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소작업대는, 이동을 위해 전단 양측 및 후단 양측에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를 각각 구비하는 주행부; 사용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주행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본체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리프트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가 과승강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상승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상승 방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바아; 상기 지지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플렉스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구조물과의 충돌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며,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리프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의 구동을 중지하기 위한 구동 정지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승강 구동부로 전송하는 충돌 감지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렉스관의 상측에 수평 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충돌감지 원판;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플렉스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칼브럭; 및 상기 칼브럭의 상측을 통해 상기 칼브럭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칼브럭을 팽창시켜 상기 칼브럭을 상기 플렉스관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상승 방지부는,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판 지지부; 및 상기 원판 지지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상측을 덮는 원판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판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 덮개부를 지지하는 완충형 지지부; 및 상기 충돌감지 원판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완충형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형 지지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수직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형 지지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본체; 상기 원판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지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보조홈;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보조홈; 상기 제3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보조홈; 및 상기 제4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보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은,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 지지 바아;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조홈에서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제1 바아 지지부; 및 상기 제1 바아 지지부와 대칭되도록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보조홈에서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를 지지하는 제2 바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바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중간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지지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밀착 바퀴;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전단 경사홈; 상기 전단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단 경사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전단 경사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단 경사홈; 및 상기 후단 경사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후단 경사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홈은,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 안착홈; 상기 제1 바아 지지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 안착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받침대 지지 바아가 상기 지주 안착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중간 지지대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 및 상기 전단 안착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주 안착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고소작업대의 바퀴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바퀴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지그 장치에 의한 바퀴의 분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과상승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6의 과상승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들이다.
도 12는 도 10의 원판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1 지지 프레임과 제1 지지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바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은, 우선, 고소작업대(20)의 바퀴(30)에 바퀴(30) 분리를 위한 지그 장치(10)를 안착시킨다(S110).
지그 장치(10)를 이용하여 고소작업대(20)로부터 바퀴(30)를 분리한다(S120).
바퀴(30)가 분리된 자리에 새 바퀴(30)를 설치한다(S13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은, 고소작업대의 바퀴(30)를 용이하게 교체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바퀴 교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그 장치(10)는, 안착부(100), 제1 체결 볼트(120), 제2 체결 볼트(140) 및 가압 볼트(160)를 포함한다.
안착부(100)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로 분리될 바퀴(30)의 측면에 안착된다.
제1 체결 볼트(120)는, 안착부(10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바퀴(30)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31)에 체결되어 안착부(100)를 바퀴(30)에 고정시킨다.
제2 체결 볼트(140)는, 안착부(10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바퀴(30)에 형성되는 제2 체결홈(32)에 체결되어 안착부(100)를 바퀴(30)에 고정시킨다.
가압 볼트(160)는, 안착부(100)의 상부 중심축을 통해 회전하며 삽입되면서 바퀴(30)를 고소작업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축(33)을 눌러 바퀴(30)로부터 고정축을(33) 분리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그 장치(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00)가 제1 체결 볼트(120)와 제2 체결 볼트(140)에 의해 바퀴(30)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 볼트(160)를 이용하여 고정축(33)를 가압하여 바퀴(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킴으로써, 바퀴(30)를 고소작업대(2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착부(100)는, 안착 원통(101), 제1 관통홀(102), 제2 관통홀(103) 및 제3 관통홀(104)을 포함한다.
안착 원통(101)은,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바퀴(30)에 안착된다.
제1 관통홀(102)은, 안착 원통(101)의 상부 중심축을 관통하고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가압 볼트(16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한다.
제2 관통홀(103)은, 제1 체결 볼트(1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 원통(101)의 상부에서 제1 관통홀(102)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안착 원통(101)의 상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제1 체결홈(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1 체결 볼트(12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10cm 등)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제3 관통홀(104)은, 제2 체결 볼트(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 원통(101)의 상부에서 제1 관통홀(102)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이격되어 안착 원통(101)의 상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제2 체결홈(32)의 위치에 대응하여 제2 체결 볼트(14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예를 들어, 1cm 내지 10cm 등)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소작업대(20)는, 주행부(200), 본체부(300), 리프트부(400) 및 과상승 방지부(500)를 포함한다.
주행부(200)는, 이동을 위해 전단 양측 및 후단 양측에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30)를 각각 구비하고, 상측에 리프트부(400)가 설치된다.
본체부(300)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리프트부(400)에 의해 승강 또는 하강된다.
리프트부(400)는, 주행부(200)와 본체부(300)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어 본체부(30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과상승 방지부(500)는, 본체부(300)에 설치되며, 상부가 본체부(30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감지하여 본체부(300)가 과승강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고소작업대(20)는, 과상승 방지부(500)를 이용하여 본체부(300)의 주변 물체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탑승한 본체부(300)가 승강함에 따라 시설물의 천정 등에 부딪힘에 따라 작업자가 다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과상승 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과상승 방지부(500)는, 지지 바아(510), 충돌 감지부(520), 충돌감지 원판(530), 칼브럭(540) 및 체결구(550)를 포함한다.
지지 바아(510)는, 하부가 본체부(300)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가 본체부(300)의 상측으로 기 설정된 높이(예를 들어, 10cm 내지 200cm 등)로 노출되며, 상측에 충돌 감지부(520)가 설치된다.
충돌 감지부(520)는, 지지 바아(5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플렉스관(521)으로부터 전달되는 구조물과의 충돌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며, 충돌이 감지되면 리프트부(40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중지하기 위한 구동 정지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승강 구동부로 전송한다.
충돌감지 원판(53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플렉스관(521)의 상측에 수평 되도록 고정 설치되며, 구조물에 충돌되면 진동되어 플렉스관(521)를 진동시킨다.
칼브럭(540)은, 충돌감지 원판(530)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플렉스관(52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체결구(550)는, 칼브럭(540)의 상측을 통해 칼브럭(540)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칼브럭(540)을 팽창시켜 칼브럭(540)을 플렉스관(521)의 내측에 고정시킨다.
즉, 충돌감지 원판(530)은, 플렉스관(521)의 상측에 안착된 뒤(도 9의 (a)), 칼브럭(540)에 의해 플렉스관(521)에 체결되고(도 9의 (b)), 체결구(550)에 의해 플렉스관(521)에 고정 설치된다(도 9의 (c)).
도 10 및 도 11은 도 6의 과상승 방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부(500a)는, 지지 바아(510), 충돌 감지부(520), 충돌감지 원판(530), 칼브럭(540) 및 체결구(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 바아(510), 충돌 감지부(520), 충돌감지 원판(530), 칼브럭(540) 및 체결구(550)는, 도 8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원판 지지부(560)는, 충돌감지 원판(530)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원판 덮개부(570)는, 원판 지지부(560)의 상측에 안착되어 충돌감지 원판(530)의 상측을 덮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부(500a)는, 원판 지지부(560)에 의해 지지되는 원판 덮개부(570)를 이용하여 충돌감지 원판(530)의 상측을 덮어 구조물과의 충돌로 인해 충돌감지 원판(530)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원판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원판 지지부(600)는, 완충형 지지부(610) 및 고정형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완충형 지지부(6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태로 형성되어 원판 덮개부(570)를 지지하며, 고정형 지지부(6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고정형 지지부(620)는, 충돌감지 원판(530)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완충형 지지부(6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회전 기둥(600)은, 원판 덮개부(570)와 충돌감지 원판(530)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구조물의 충돌에 의해 충돌감지 원판(53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형 지지대와 및 베이스 플레이트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완충형 지지부(610)는, 지지 프레임(611), 제1 수직 프레임(612), 제2 수직 프레임(613), 제3 수직 프레임(614) 및 제4 수직 프레임(615)을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611)는, 프레임 안착홈(622)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 제2 받침대(6112), 제3 받침대(6113) 및 제4 받침대(6114)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의 선단부에 제1 수직 프레임(612), 제2 수직 프레임(613), 제3 수직 프레임(614) 및 제4 수직 프레임(615)의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수직 프레임(612)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보조홈(623)에 안착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한다.
즉, 제1 수직 프레임(612)은, 후술하는 제1 보조홈(6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받침대(61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받침대(61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
제2 수직 프레임(613)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보조홈에 안착되어 제2 받침대(6112)를 지지한다.
제3 수직 프레임(614)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보조홈에 안착되어 제3 받침대(6113)를 지지한다.
제4 수직 프레임(615)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보조홈에 안착되어 제4 받침대(6114)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수직 프레임(613), 제3 수직 프레임(614) 및 제4 수직 프레임(615)은, 제1 수직 프레임(612)과 설치되는 위치만 다른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고정형 지지부(620)는, 지지 본체(621), 프레임 안착홈(622), 제1 보조홈(623), 제2 보조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보조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보조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6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프레임 안착홈(622)이 형성된다.
프레임 안착홈(622)은, 지지 프레임(611)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지지 본체(62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 보조홈(623)은, 제1 수직 프레임(6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1 수직 프레임(612)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조홈(623)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안착홈(6231), 전단 안착홈(6232) 및 후단 안착홈(6233)을 포함한다.
지주 안착홈(6231)은, 받침대 지지 바아(6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받침대 지지 바아(6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전단 안착홈(6232)이 형성되고, 후단에 후단 안착홈(6233)이 형성된다.
전단 안착홈(6232)은, 제1 바아 지지부(6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주 안착홈(6231)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받침대 지지 바아(6121)가 지주 안착홈(6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하는 중간 지지대(730)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후단 안착홈(6233)은, 전단 안착홈(6232)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주 안착홈(6231)의 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직 프레임(612)은, 받침대 지지 바아(6121), 제1 바아 지지부(6122) 및 제2 바아 지지부(6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 지지 바아(6121)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6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제1 바아 지지부(6122)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제2 바아 지지부(6123)가 연결 설치된다.
제1 바아 지지부(6122)는, 제1 바아 지지부(6122)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보조홈(623)에서 받침대 지지 바아(6121)를 지지한다.
제2 바아 지지부(6123)는, 제1 바아 지지부(6122)와 대칭되도록 제1 바아 지지부(6122)의 후단에 설치되며, 후단 안착홈(6233)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보조홈(623)에서 받침대 지지 바아(6121)를 지지한다.
제2 보조홈은, 제2 수직 프레임(6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받침대(611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2 수직 프레임(613)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3 보조홈은, 제3 수직 프레임(6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받침대(611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3 수직 프레임(614)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4 보조홈은, 제4 수직 프레임(6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받침대(611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622)의 일 단부로부터 제4 수직 프레임(615)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보조홈, 제3 보조홈, 및 제4 보조홈은, 제1 보조홈(623)과 방향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받침대 지지 바아(6121)는, 제1 보조홈(62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지 아니하고 제1 바아 지지부(6122)와 제2 바아 지지부(6123)에 의해 제1 보조홈(623)에서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제1 바아 지지부(6122)와 제2 바아 지지부(6123)가 전단 안착홈(6232) 및 후단 안착홈(6233)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제1 바아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아 지지부(7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710), 제2 지지 플레이트(720) 및 중간 지지대(7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710)는, 제2 지지 플레이트(72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받침대 지지 바아(6121)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받침대 지지 바아(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중간 지지대(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720)는, 제1 지지 플레이트(710)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제1 지지 플레이트(710)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받침대 지지 바아(6121)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받침대 지지 바아(6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중간 지지대(7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중간 지지대(730)는, 제1 지지 플레이트(7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711)과 제2 지지 플레이트(7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721)에 각각 안착되며, 하부 안착홈(7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상부 안착홈(72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거치되며,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바아 지지부(700)는, 중간 지지대(730)가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안착된 뒤, 받침대 지지 바아(6121)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중간 지지대(730)가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중간 지지대(730)는, 지지 원판(731), 베어링(732), 밀착 바퀴(733), 전단 경사홈(734), 제1 탄성체(735-1, 735-2)), 후단 경사홈(736) 및 제2 탄성체(737-1, 737-2)를 포함한다.
지지 원판(73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베어링(732)이 연결 설치된다.
베어링(732)은, 지지 원판(731)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밀착 바퀴(733)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밀착 바퀴(733)는, 베어링(732)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지지 원판(7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전단 경사홈(734)은, 제1 거치 바아(71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7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지지 원판(7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1 탄성체(735-1, 735-2)는, 전단 경사홈(734)에 안착된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전단 경사홈(734)에서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후단 경사홈(736)은, 제2 거치 바아(72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7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전단 경사홈(734)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지 원판(731)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7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제2 탄성체(737-1, 737-2)는, 후단 경사홈(736)에 안착된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후단 경사홈(736)에서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간 지지대(730)는, 제1 거치 바아(712)와 제2 거치 바아(7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안착홈(6232)의 중심 부위에 안착되어 있다가, 받침대 지지 바아(6121)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제1 거치 바아(712) 또는 제2 거치 바아(722)를 지지하고 있는 제1 탄성체(735-1, 735-2) 또는 제2 탄성체(737-1, 337-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단 안착홈(6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받침대 지지 바아(612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그 장치
20: 고소작업대

Claims (3)

  1. 고소작업대의 바퀴에 바퀴 분리를 위한 지그 장치를 안착시키는 안착 단계;
    상기 지그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고소작업대로부터 바퀴를 분리하는 분리 단계; 및
    바퀴가 분리된 자리에 새 바퀴를 설치하는 바퀴 설치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 장치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개구부로 분리될 바퀴의 측면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바퀴에 형성되는 제1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안착부를 바퀴에 고정시키는 제1 체결 볼트;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바퀴에 형성되는 제2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안착부를 바퀴에 고정시키는 제2 체결 볼트; 및
    상기 안착부의 상부 중심축을 통해 회전하며 삽입되면서 바퀴를 상기 고소작업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축을 눌러 바퀴로부터 상기 고정축을 분리시키는 가압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는,
    하측이 개방되고 상측이 밀폐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원통;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 중심축을 관통하고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상기 가압 볼트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리기 위한 나사산을 형성하는 제1 관통홀;
    상기 제1 체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체결 볼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2 관통홀; 및
    상기 제2 체결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에서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안착 원통의 상부를 관통하고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홈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체결 볼트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기 설정된 길이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제3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소작업대는,
    이동을 위해 전단 양측 및 후단 양측에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를 각각 구비하는 주행부;
    사용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주행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상기 본체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리프트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감지하여 상기 본체부가 과승강되어 상측에 위치하는 구조물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상승 방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과상승 방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바아;
    상기 지지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플렉스관으로부터 전달되는 구조물과의 충돌에 따른 진동을 감지하며,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리프트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의 구동을 중지하기 위한 구동 정지 요청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승강 구동부로 전송하는 충돌 감지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렉스관의 상측에 수평 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충돌감지 원판;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중심축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플렉스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칼브럭; 및
    상기 칼브럭의 상측을 통해 상기 칼브럭의 내측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칼브럭을 팽창시켜 상기 칼브럭을 상기 플렉스관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과상승 방지부는,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상측을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원판 지지부; 및
    상기 원판 지지부의 상측에 안착되어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상측을 덮는 원판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판 지지부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판 덮개부를 지지하는 완충형 지지부; 및
    상기 충돌감지 원판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완충형 지지부를 지지하는 고정형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형 지지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원판 지지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수직 프레임;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지지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돌감지 원판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본체;
    상기 원판 지지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지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1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보조홈;
    상기 제2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보조홈;
    상기 제3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보조홈; 및
    상기 제4 수직 프레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수직 프레임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보조홈;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7845A 2020-10-05 2020-10-05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KR10219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45A KR102198967B1 (ko) 2020-10-05 2020-10-05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845A KR102198967B1 (ko) 2020-10-05 2020-10-05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967B1 true KR102198967B1 (ko) 2021-01-05

Family

ID=7414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845A KR102198967B1 (ko) 2020-10-05 2020-10-05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38U (ja) * 1991-10-17 1994-02-18 株式会社明電舎 軸一体化車輪
KR20130071263A (ko) 2011-12-20 2013-06-28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안전 바퀴
KR20170030750A (ko) 2015-09-10 2017-03-20 정성채 고소작업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838U (ja) * 1991-10-17 1994-02-18 株式会社明電舎 軸一体化車輪
KR20130071263A (ko) 2011-12-20 2013-06-28 대한민국(우정사업본부) 이동식 고소 작업대의 안전 바퀴
KR20170030750A (ko) 2015-09-10 2017-03-20 정성채 고소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287B1 (ko) 고소작업대
KR102257595B1 (ko) 윤축 프레스
US7337864B2 (en) Industrial truck with a damped driver's position
EP2679473A3 (en) Suspended floorboard
KR102198967B1 (ko) 고소작업대 바퀴 교체 방법
KR102183990B1 (ko) 사방으로 연결이 가능한 고소작업대
JP200729720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171953A (ja) エレベータ用駆動装置の支持装置
KR102034452B1 (ko) 절단 장치
JP2007008693A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の支持装置
KR102237615B1 (ko) 가공 시스템
JP2006298612A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JP2014177198A (ja) 自転車保管器具構造
JP5733926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
KR102064383B1 (ko) 절단 장치
JPWO20181164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1530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JPH0344388Y2 (ko)
KR102677322B1 (ko)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KR200307846Y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교체장치
JP6788925B1 (ja) 作業台および加工装置
CN214063991U (zh) 一种空调设备安装用吊杆
JP6987573B2 (ja) 保護装置
JP6515855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H07314854A (ja) プリンターの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