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7322B1 -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 Google Patents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7322B1
KR102677322B1 KR1020230158995A KR20230158995A KR102677322B1 KR 102677322 B1 KR102677322 B1 KR 102677322B1 KR 1020230158995 A KR1020230158995 A KR 1020230158995A KR 20230158995 A KR20230158995 A KR 20230158995A KR 102677322 B1 KR102677322 B1 KR 10267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body
fastening
vertical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성
유승식
임신홍
전준식
노윤산
김성희
유도흥
최남용
이도형
권연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네시스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네시스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네시스솔루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7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 시 장애물 등 눌림이 감지되면 고소작업대의 상승을 제어하여 정지시킴으로써, 협착방지대와 작업장 천장 사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에 관한 것으로, 승강 장치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태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난간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과상승 방지 장치; 및 상기 과상승 방지 장치의 각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Stenosis prevention with over-lift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 시 장애물 등 눌림이 감지되면 고소작업대의 상승을 제어하여 정지시킴으로써, 협착방지대와 작업장 천장 사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高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소작업대가 알려져 있다. 특히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가 동력 승강기에 의하여 승강되는 형태의 고소작업대에 있어서는, 승강기를 제어하는 조작기나 제어기의 고장이나 사고, 운전미숙 등으로 인한 과다 승강에 의하여 작업자가 고소와 작업대 사이에 끼여서 협착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협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대가 필수가 되고 있다.
종래에는 협착방지를 위하여, 작업대의 최상단 난간에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상대운동하는 상부 프레임 및 이 상대운동을 감지하는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된 협착 방지장치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7432호 (2015.08.26. 공고)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고소작업 시 장애물 등 눌림이 감지되면 고소작업대의 상승을 제어하여 정지시킴으로써, 협착방지대와 작업장 천장 사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는, 승강 장치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태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난간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과상승 방지 장치; 및 상기 과상승 방지 장치의 각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바;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과상승 방지 장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난간에 직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수평바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수직 지지대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단과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동시에 하강 이동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다시 제자리로 복귀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치턱;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노출된 뒤 상기 거치턱의 상단이 안착되며,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가 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턱이 함께 하강 이동되어 분리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통지하는 센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 설치되는 플레이트 몸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수직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1 체결 배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수직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 체결 배관;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 상기 플레이트 몸체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볼트가 노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 상기 플레이트 몸체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볼트가 노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의 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스프링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을 관통하고 직립되어 삽입되며, 상단에 상기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의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 볼트; 상기 체결 볼트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볼트의 하단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맞물리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 저면에 안착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체결 볼트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볼트의 상단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맞물리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의 상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턱이 상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턱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4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지지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1 체결 배관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1 체결 배관을 서로 고정시켜 주는 제1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수직 지지대가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제2 체결 배관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제2 체결 배관을 서로 고정시켜 주는 제2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턱은, 상기 제2 체결 배관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 배관의 내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고소작업 시 장애물 등 눌림이 감지되면 고소작업대의 상승을 제어하여 정지시킴으로써, 협착방지대와 작업장 천장 사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과상승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고정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늬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10)는, 작업대(100), 과상승 방지 장치(200) 및 수평바(300)를 포함한다.
작업대(100)는, 승강 장치(1)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과상승 방지 장치(200)는, 작업대(100)의 태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난간(11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수평바(300)를 지지하는 동시에, 수평바(300)가 청장 등의 장애물에 충격된 경우 이를 감지한 뒤 승강 장치(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과상승 방지 장치(200)는, 작업대(100)가 상승 이동함에 따라 수평바(300)가 함께 상승 이동하는 도중에 수평바(300)가 장애물을 만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승강 장치(1)의 구동의 정지를 요청할 수 있다.
수평바(300)는, 과상승 방지 장치(200)의 각 상단을 따라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10)는, 고소작업 시 장애물 등 눌림이 감지되면 고소작업대의 상승을 제어하여 정지시킴으로써, 협착방지대와 작업장 천장 사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과상승 방지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과상승 방지 장치(200)는, 고정 플레이트(210),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230), 거치턱(240) 및 센싱 장치(250)를 포함한다.
고정 플레이트(210)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대(100)의 난간(110)에 직립되어 고정 설치되며,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230), 거치턱(240) 및 센싱 장치(250)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는, 수평바(300)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수직 지지대(120-1, 120-2)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고정 플레이트(210)의 전단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230)은, 고정 플레이트(210)의 상단과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 플레이트(210)의 전단에서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동시에 하강 이동된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를 다시 제자리로 복귀시켜 준다.
거치턱(240)은,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에 설치되어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센싱 장치(250)는, 고정 플레이트(210)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의 전방으로 노출된 뒤 거치턱(240)의 상단이 안착되며,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가 하강 이동함에 따라 거치턱(240)이 함께 하강 이동되어 분리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승강 장치(1)의 구동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승강 장치(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통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과상승 방지 장치(200)는, 고소작업 시 장애물 등 눌림이 감지되면 고소작업대의 상승을 제어하여 정지시킴으로써, 협착방지대와 작업장 천장 사이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늬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는, 플레이트 몸체(221), 제1 체결 배관(222), 제2 체결 배관(223), 제1 개구부(224), 제2 개구부(225), 제3 개구부(226) 및 스프링 체결부(227)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몸체(221)는, 고정 플레이트(210)의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 설치된다.
제1 체결 배관(222)은, 플레이트 몸체(221)의 일측에 배치되는 수직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플레이트 몸체(221)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제2 체결 배관(223)은, 플레이트 몸체(221)의 타측에 배치되는 수직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플레이트 몸체(221)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한다.
제1 개구부(224)는, 센싱 장치(250)가 플레이트 몸체(22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에 형성된다.
제2 개구부(225)는, 플레이트 몸체(221)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볼트(B1)가 노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에 형성된다.
제3 개구부(226)는, 플레이트 몸체(221)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볼트(B2)가 노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에 형성된다.
스프링 체결부(227)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230)의 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의 하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 체결부(227)는, 체결 볼트(2271), 제1 너트(2272) 및 제2 너트(227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볼트(2271)는, 플레이트 몸체(221)의 하단을 관통하고 직립되어 삽입되며, 상단에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230)의 하단이 체결된다.
제1 너트(2272)는, 체결 볼트(2271)를 플레이트 몸체(221)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볼트(2271)의 하단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맞물리면서 플레이트 몸체(221)의 하단 저면에 안착된다.
제2 너트(2273)는, 체결 볼트(2271)를 플레이트 몸체(221)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체결 볼트(2271)의 상단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맞물리면서 플레이트 몸체(221)의 하단 상면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플레이트(210)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230)의 상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턱(211)이 상단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220)는, 제4 개구부(228), 제1 고정 볼트(2291), 및 제2 고정 볼트(22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개구부(228)는, 체결턱(211)이 플레이트 몸체(221)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몸체(221)의 상단에 형성된다.
제1 고정 볼트(2291)는, 수직 지지대가 삽입되어 있는 제1 체결 배관(222)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직 지지대와 제1 체결 배관(222)을 서로 고정시켜 준다.
제2 고정 볼트(2292)는, 수직 지지대가 삽입되어 있는 제2 체결 배관(223)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직 지지대와 제2 체결 배관(223)을 서로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거치턱(240)은, 제2 체결 배관(223)과 대향하는 제1 체결 배관(222)의 내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100: 작업대
200: 과상승 방지 장치
300: 수평바

Claims (4)

  1. 승강 장치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되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태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난간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과상승 방지 장치; 및
    상기 과상승 방지 장치의 각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수평바;를 포함하며,
    상기 과상승 방지 장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의 난간에 직립되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수평바를 지지하기 위한 두 개의 수직 지지대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수직 이동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상단과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 주는 동시에 하강 이동된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를 다시 제자리로 복귀시켜 주는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거치턱;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내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의 전방으로 노출된 뒤 상기 거치턱의 상단이 안착되며,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가 하강 이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턱이 함께 하강 이동되어 분리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정지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승강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통지하는 센싱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전단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밀착 설치되는 플레이트 몸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수직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일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1 체결 배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수직 지지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타측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2 체결 배관;
    상기 센싱 장치가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
    상기 플레이트 몸체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볼트가 노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
    상기 플레이트 몸체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볼트가 노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 및
    상기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의 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는 스프링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체결부는,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을 관통하고 직립되어 삽입되며, 상단에 상기 플레이트 지지 스프링의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 볼트;
    상기 체결 볼트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볼트의 하단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맞물리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 저면에 안착되는 제1 너트; 및
    상기 체결 볼트를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체결 볼트의 상단을 통해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맞물리면서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하단 상면에 안착되는 제2 너트;를 포함하는,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158995A 2023-08-25 2023-11-16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KR102677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2158 2023-08-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034A Division KR102677323B1 (ko) 2023-08-25 2023-12-05 배터리 효율의 증대가 가능한 협착방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7322B1 true KR102677322B1 (ko) 2024-06-21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25Y1 (ko) 2006-06-12 2006-09-12 황명환 굴절축을 갖는 건설용 리프트 상부 협착 방지 장치
KR101857116B1 (ko) *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11-04 (주)이엘렌탈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KR200490977Y1 (ko) * 2018-07-30 2020-02-03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825Y1 (ko) 2006-06-12 2006-09-12 황명환 굴절축을 갖는 건설용 리프트 상부 협착 방지 장치
KR101857116B1 (ko) *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0490977Y1 (ko) * 2018-07-30 2020-02-03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11-04 (주)이엘렌탈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555B2 (ja) 航空機用ローダのための仕切装置
KR102180713B1 (ko) 리프트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2677322B1 (ko)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KR10193601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104412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CA2447396C (en) Elevator hoist machine installation apparatus
KR100656960B1 (ko)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102677323B1 (ko) 배터리 효율의 증대가 가능한 협착방지대
JP48870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
JPS6334119B2 (ko)
JP2019073388A (ja) エスカレーターの作業用足場装置および作業用足場設置方法
JP2015000798A (ja) エレベータ据付用作業床装置
KR102213287B1 (ko) 고소작업대
JP6740117B2 (ja) エレベーター
KR102447770B1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JP71578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072608B2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出入り装置
JP4406273B2 (ja) エレベータの作業保護装置
JP2846528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JP6222864B1 (ja) エレベータのバッファ装置
JP20050891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KR101605311B1 (ko) 승하강식 안전난간
JP6682054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用機械台固定装置
JPH011579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