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508B1 -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508B1
KR102039508B1 KR1020190100170A KR20190100170A KR102039508B1 KR 102039508 B1 KR102039508 B1 KR 102039508B1 KR 1020190100170 A KR1020190100170 A KR 1020190100170A KR 20190100170 A KR20190100170 A KR 20190100170A KR 102039508 B1 KR102039508 B1 KR 102039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osis
aerial platform
limit
prevention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주)이엘렌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렌탈 filed Critical (주)이엘렌탈
Priority to KR1020190100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5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 사용시 협착(NARROWNESS)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소작업대의 상측에 연결된 협착방지대를 구성하여, 협착방지대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협착방지대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 조작되는 리미트를 구성하되, 상기 리미트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협착방지대와 연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APPARATUS FOR PREVENTION NARROWNESS OF HIGH-PLACE WORKBENCH}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 사용시 협착(NARROWNESS)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소작업대의 상측에 연결된 협착방지대를 구성하여, 협착방지대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협착방지대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 조작되는 리미트를 구성하되, 상기 리미트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협착방지대와 연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리의 가로수 작업, 전봇대 작업, 간판 작업, 네온 사인 작업 및 건설 작업과 같은 공사 현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비교적 높은 곳에서 원활한 작업을 하기 위해 승강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승강장치는 고소작업대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최초 공압을 이용한 자동 사다리 개념으로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그 이후, 유압 리프트로 발전하게 되어 최근까지 가장 보편적인 고소작업대로 사용되고 있다(도 8 참조).
고소작업대는 전동 방식, 엔진 방식, 수동 방식 및 원치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높은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고소작업대는 유압식 승강장치, 굴절식 승강장치, 직진식 승강장치 및 견인식 승강장치 등의 형태로 분류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소작업대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고소작업대를 이용한 고소 작업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고소작업대를 상승시키는 과정 중에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승차부가 천장 구조물에 충돌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특히, 고소작업대의 하부에서 승차부를 상승시키는 경우, 승차부와 천장 사이의 거리를 정밀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상승 과정에서 각종 장애물에 접촉 가능성이 있으나, 승강장치의 조작자가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고소작업대의 협착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몇가지 제안되었는데, 이러한 구조물들은 작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일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959747호에는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고소작업시 바디 상승 과정에서 장애물을 감지하여 승강수단의 상승을 정지시켜 협착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간단한 구조로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은 물론, 바디의 가변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작업환경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고소작업대를 구성하는 고소작업차량의 상부에 접철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하게 설치하는 승강수단과, 상기 승강수단의 상단에 바닥판과 난간으로 이루어진 바디의 상단에 설치하여 상승과정에서 장애물과 접촉시 승강수단의 상승작동을 정지시켜 장애물과 바디 사이에서 작업자가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는, 바디의 난간을 구성하는 상부바와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어 장애물과 접촉시 승강수단으로 인가하여 상승을 정지시키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다.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143호에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 수단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고소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천장 사이에서 협착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시 폴을 염가로 제작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상부 장애물 감지범위를 대폭 확대시켜 작동의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716호에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의 상단에 와이어에 의해서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를 장착하여 작업자가 상부공간에서 협착될 경우에 고소작업대를 상승시키는 장비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협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기술들은, 협착방지수단의 구성으로 인해 작업을 불편하게 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57116호에는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차의 상부에 보조난간의 네 귀퉁이에 각 상부감지바와 보조난간을 지지하는 협착방지바를 동시에 꽂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이탈작동멈춤스위치의 접촉이 떨어질 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을 감지함과 동시에 멈출 수 있어서 매우 안전한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 기술의 경우 상측으로 감지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공간의 확보를 고려하고는 있지만, 선택적으로 작업 공간을 창출하지 못한다.
즉, 작업 여건에 따라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싫음에도 불구하고, 강제적으로 고소작업대와 천장 사이에 공간이 만들어진다. 뿐만 아니라 이런 경우에는 작업장 내 상측 구조물과의 부딪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도 우려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술들을 다른 기술들과 결합하여 고려하여도, 이들이 연계된 동작을 창출할 수는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59747호(2019.03.20.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5143호(2014.11.07.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716호 등록특허공보 제10-1857116호(2018.05.14.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소작업대 사용시 협착(NARROWNESS)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소작업대의 상측에 연결된 협착방지대를 구성하여, 협착방지대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협착방지대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 조작되는 리미트를 구성하되, 상기 리미트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협착방지대와 연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는,
고소작업대에 설치되는 협착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협착방지 구조는,
상기 고소작업대의 일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협착방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협착방지대의 눌림을 감지하여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협착방지 구조는,
상기 협착방지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대에 닿지 않는 길이를 갖는 1개 이상의 스토퍼와,
상기 협착방지대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2개의 협착방지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대와,
상기 지지대와 스토퍼에 결합된 힌지와,
상기 지지대와 협착방지대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대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대를 이용하여 2개의 돌출대 사이 별도의 바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고소작업대와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협착방지대 또는 돌출대 일측에는 리미트봉이 형성되되,
상기 리미트봉은,
상기 협착방지대 또는 돌출대 일측에 하방으로 결합된 판부와,
상기 판부의 일측에서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고소작업대의 프레임 일측을 지지하는 ㄷ자프레임과,
상기 판부의 다른 일측에서 'ㄴ'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협착방지대 또는 돌출대를 지지하는 ㄴ자프레임과,
상기 판부이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봉이 관통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에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눌림감지부가 형성된 리미트 끼움대와,
상기 판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봉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단끼움대와,
상기 리미트봉 일측에 형성된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하단끼움대의 일측에 형성된 제3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브라켓과 제3 브라켓은 코일스프링으로 연결되어 리미트봉이 하단끼움대로부터 탄성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눌림감지부의 코일스프링이 제1 브라켓에 닿는 여부에 따라 상기 리미트봉의 눌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봉은 일측에 끼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끼움대에는 리미트가 더 포함되고,
상기 리미트는 끼움대에 볼트로 체결되어 높이 조절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리미트를 상승시킴에 따라 협착방지대와 작업장의 천장 사이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의하면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고소작업대 사용시 협착(NARROWNESS)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소작업대의 상측에 연결된 협착방지대를 구성하여, 협착방지대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다.
둘째. 협착방지대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 조작되는 리미트를 구성하되, 상기 리미트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협착방지대와 연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대(37a)에 끼워져 결합된 리미트(37d)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눌림 감지를 위한 제한(limit) 높이를 높일 수 있어서, 협착방지대(32)와 작업장의 천장 사이에서 작업할 수 있는 안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셋째, 협착방지 구조(3)를 적용함에 있어서, 고소작업대(1)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는 협착방지대(32)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물품을 안착하여도 고소작업대(1)의 상승 제어가 정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작업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넷째, 경첩(2)을 통해 고소작업대(1)와 협착방지 구조(3)가 결합됨에 따라, 협착방지 구조(3)를 접어서 사용함으로써(예를 들어, 작업장에 천장이 없는 경우), 효율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리미트봉(37)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눌림감지부가 리미트봉의 하강을 감지하기 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리미트봉이 하강됨에 따라 눌림감지부의 코일스프링이 제1 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되어 눌림을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의 사용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 사용시 협착(NARROWNESS)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소작업대의 상측에 연결된 협착방지대를 구성하여, 협착방지대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협착방지대에 결합되어 상승 또는 하강 조작되는 리미트를 구성하되, 상기 리미트의 상측으로부터의 눌림이 감지되면 상기 협착방지대와 연계 구동됨으로써, 상기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를 첨부되 도면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고소작업대의 상세한 구조 또는 상승/하강을 위한 제어 구조는 통상의 고소작업대의 기술을 채용할 수 있고, 이는 다양한 기술을 통해 공지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이 고소작업대에 구성된 협착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므로, 이러한 기재가 없음으로 인해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상의 고소작업대는 다수 프레임이 결합되고 프레임 간의 사이 공간을 천막 등으로 폐쇄하거나 혹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어떠한 것도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상기 고소작업대(1)의 맨 상측 프레임에는 경첩(2)을 통해 협착방지 구조(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경첩(2)과 고소작업대(1)의 맨 상측 프레임과 협착장비 구조(3)의 결합은 볼트나 나사의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소작업대(1)의 맨 상측 프레임에 경첩(2)을 통해 지지대(31)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31)는 통상의 사각바일 수 있고, 이하의 구성 역시 통상의 사각바일 수 있다. 이러한 사각바는 내부가 중공일 수도 있고, 중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중공이라고 명확히 기재된 것은 그러한 기재에 한정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31)는 고소작업대의 길이가 긴 방향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1)의 상측으로는 상기 지지대(31)와 동일한 길이방향을 갖되, 상기 지지대(3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협착방지대(32)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협착방지대(32)의 하면 일측으로는 스토퍼(34)가 돌출 형성되고, 그 개수는 도면과 같이 2개 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개 이상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상기 협착방지대(31)의 단부는 상기 지지대(31)와 협착방지대(32)가 최대로 이격되었을 때, 상기 지지대(31)에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즉, 상기 스토퍼(34)는 상기 지지대(31)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술된 지지대(31), 협착방지대(32) 및 스토퍼(34)는, 상기 고소작업대(1)의 길이가 긴 방향의 프레임에 각각 구성될 수 있다. 즉, 첨부된 도면과 같이 2개로 구성되는 것이고, 이는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 도면부호'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다만, 후술될 리미트봉(37)의 경우 1개로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단부에 각 1개씩 총 4개가 구성될 수도 있고,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각 단부에 1개씩 총 2개만 구성될 수도 있다. 혹은 도면과 같이 1개로 구성되어도 무관하다.
또한,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협착방지대(32)의 일측에 구성되어도 무관하다.
상기 협착방지대(32)의 양 단부로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대(33)는 내부가 중공인 상태로 구성되어, 마주하는 2개의 돌출대(33) 간에 사각바 또는 별도의 파이프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돌출대(33) 사이의 빈 공간으로 인해 낙상하는 안전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31)와 스토퍼(34) 사이에는 힌지(3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35)는 지지대(31)와 스토퍼(34)가 이탈되지 않고 간격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31)와 협착방지대(32) 사이에는 스프링(36)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6)은 1측의 지지대(31)와 협착방지대(32) 사이에 1개 이상의 복수 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항 스프링(36)은 사선 방향을 유지함으로써 수축되는 힘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대(31)와 협착방지대(32) 간에 최대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협착방지대(32)에서 상측으로부터의 힘이 작용되면, 상기 협착방지대(32)가 지지대(31) 방향으로 인접하게 되고, 스프링(36)이 팽창하면서 탄력이 발생되었다가, 외력(外力, 눌리는 힘)이 제거되면서 상기 협착방지대(32)가 원상 복귀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고소작업대(1)에서 작업자가 작업 중 사고로 인한 고소작업대(1)의 상승, 또는 고소작업대(1)의 상승 중, 협착방지대(32)와 작업공간 천장의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어있는 경우, 상기 협착방지대(32)가 눌림으로써, 눌림을 감지한 협착방지 구조(3)에 의해 고소작업대(1)의 상승 제어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눌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협착방지대(32) 역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협착방지대(32)의 눌림 감지를 위한 구성은 리미트봉(37)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르면, 상기 돌출대(33)의 일측에 리미트봉(37)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봉(37)은, 상기 협착방지대(32)과 연계 구동되어 상기 협착방지대(32)의 눌림 작용시 함께 눌리거나, 또는 리미트봉(37)에 결합된 리미트(37d)만 자체적으로 눌림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리미트봉(37)의 일측으로는 다른 바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끼움대(37a)가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상기 끼움대(37a)에는 리미트(37d)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대(37a) 일측에 형성된 볼트홀을 통해 상기 리미트(37d)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볼트홀에 체결되는 볼트는 나비볼트 등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미트봉(37)은 첨부된 도면과 같이 끼움대(37a)의 하방으로 계속 연장되고,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별도의 판부에 밀착되어 상기 판부 상에서 상, 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판부의 일측으로는 상기 고소작업대(1)의 프레임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ㄷ'자 형태를 갖는 ㄷ자브라켓(37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의 최상측 일측으로는 상기 협착방지 구조(3)의 돌출대(33)를 안착하기 위해 'ㄴ'자 형태를 갖는 ㄴ자브라켓(37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미트봉(37)의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의 도 2를 도 1과 함께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의 리미트봉(37)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상기 리미트봉(37)의 일측에는 제1 브라켓(37e)이 'ㄴ'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제1 브라켓(37e)의 하측 중, 상기 리미트봉(37)의 다른 일측에는 'ㄴ'자 형태로 구성된 상부가 개방된 형태인 제2 브라켓(37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미트봉(37)은 상기 판부에 결합된 리미트 끼움대(37g)를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리미트 끼움대(37g)의 외측 일측으로는 눌림 감지를 위한 눌림감지부(37h)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눌림감지부(37h)는, 상기 제1 브라켓(37e) 방향으로 연결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이 상기 제1 브라켓(37e)으로부터 이격됨을 감지하여 협착방지 구조(3) 또는 리미트봉(37)의 눌림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적색 신호선)를 고소작업대(1)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부의 최하단 일측으로는 하단끼움대(37i)가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봉(37)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끼움대(37i)의 외측 일측으로는 'ㄱ'자 형태의 제3 브라켓(37j)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브라켓(37j)은 제2 브라켓(37f)과 코일스프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리미트봉(37)이 하단끼움대(37i)와 탄성을 가지고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리미트봉(37)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눌림감지부(37h)가 눌림을 감지하는 것은 첨부된 도면의 도 3 및 도 4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눌림감지부가 리미트봉의 하강을 감지하기 전이고, 도 4는 도 2의 리미트봉이 하강됨에 따라 눌림감지부의 코일스프링이 제1 브라켓으로부터 이격되어 눌림을 감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된 구조에 따라, 협착방지대(32)의 눌림이 감지됨에 따라, 고소작업대(1)의 상승 제어를 정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가 끼움대(37a)에 끼워져 결합된 리미트(37d)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눌림 감지를 위한 제한(limit) 높이를 높일 수 있어서, 협착방지대(32)와 작업장의 천장 사이에서 작업할 수 있는 안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협착방지 구조(3)를 적용함에 있어서, 고소작업대(1)의 길이가 짧은 방향에는 협착방지대(32)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도 5와 같이 작업물품을 안착하여도 고소작업대(1)의 상승 제어가 정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즉, 작업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경첩(2)을 통해 고소작업대(1)와 협착방지 구조(3)가 결합됨에 따라 도 6 및 도 7과 같이 협착방지 구조(3)를 접어서 사용함으로써(예를 들어, 작업장에 천장이 없는 경우), 효율적인 작업 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전술된 2개의 돌출대(33) 사이를 연결하는 사각바 또는 별도의 바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먼저, 돌출대(33)에 삽입되는 단부는 사각바 형태를 이루되, 중심 일측을 파쇄하여 절단하고, 하측으로 별도의 바를 덧댄다. 이에 따라 '-_-'의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하측의 바의 상면은 상측의 각 바 하면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로 연결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측의 바 하면에는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의 유연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연층은 고소작업대의 프레임 상측에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여 눌림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돌출대(33) 사이의 공간에 바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한편, 절개된 일측에 작업용 물품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용 물품이 안착되어도 탄성부재에 의해 하측의 바가 탄성을 가짐에 따라 협착방지 구조(3)을 눌림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고, 아울러 하측의 바 하면의 유연층이 더욱 더 유연한 닿음을 유도하여 작업용 물품이 안착되어도 협착방지 구조(3)의 눌림을 방지할 수 있다.
총괄적으로, 작업용 물품의 안착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측의 바와 상측의 바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줄스프링, 고무줄 또는 길이가 긴 코일스프링 등으로 구성함에 따라, 굳이 돌출대(33) 사이의 바 구성을 해체하지 않고도, 협착방지 구조(3)의 지지대(31) 내지 협착방지대(32) 등의 구성을 경첩(2)을 통해 회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하측의 바와 상측의 바 사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에 (고무줄, 일반줄, 끈 등이 권취된)릴 구성을 적용하여 길이가 늘어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고소작업대
2 : 경첩
3 : 협착방지 구조
31 : 지지대
32 : 협착방지대
33 : 돌출대
34 : 스토퍼
35 : 힌지
36 : 스프링
37 : 리미트봉
37a : 끼움대
37b : ㄷ자브라켓
37c : ㄴ자브라켓
37d : 리미트
37e : 제1 브라켓
37f : 제2 브라켓
37g : 리미트 끼움대
37h : 눌림감지부
37i : 하단끼움대
37j : 제3 브라켓

Claims (5)

  1. 고소작업대에 설치되는 협착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협착방지 구조는,
    - 상기 고소작업대의 일방향으로 2개가 1쌍으로 구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측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협착방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협착방지대의 눌림을 감지하여 고소작업대의 상승 제어를 정지하고,
    - 상기 협착방지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대에 닿지 않는 길이를 갖는 1개 이상의 스토퍼와,
    상기 협착방지대의 양단부에 형성되되, 2개의 협착방지대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대와,
    상기 지지대와 스토퍼에 결합된 힌지와,
    상기 지지대와 협착방지대 사이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돌출대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상기 돌출대를 이용하여 2개의 돌출대 사이 별도의 바로 연결할 수 있으며,
    - 상기 협착방지대 또는 돌출대 일측에는 리미트봉이 형성되되,
    상기 리미트봉은,
    상기 협착방지대 또는 돌출대 일측에 하방으로 결합된 판부와,
    상기 판부의 일측에서 'ㄷ'자 형태로 구성되어, 고소작업대의 프레임 일측을 지지하는 ㄷ자프레임과,
    상기 판부의 다른 일측에서 'ㄴ'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협착방지대 또는 돌출대를 지지하는 ㄴ자프레임과,
    상기 판부이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봉이 관통되도록 구성되고, 일측에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눌림감지부가 형성된 리미트 끼움대와,
    상기 판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미트봉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단끼움대와,
    상기 리미트봉 일측에 형성된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과,
    상기 하단끼움대의 일측에 형성된 제3 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브라켓과 제3 브라켓은 코일스프링으로 연결되어 리미트봉이 하단끼움대로부터 탄성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눌림감지부의 코일스프링이 제1 브라켓에 닿는 여부에 따라 상기 리미트봉의 눌림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고소작업대와 경첩으로 연결되어 접힘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봉은 일측에 끼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끼움대에는 리미트가 더 포함되고,
    상기 리미트는 끼움대에 볼트로 체결되어 높이 조절되도록 고정됨으로써, 상기 리미트를 상승시킴에 따라 협착방지대와 작업장의 천장 사이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0170A 2019-08-16 2019-08-16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KR102039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70A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08-16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70A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08-16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508B1 true KR102039508B1 (ko) 2019-11-04

Family

ID=6857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70A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08-16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5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998A (ko) * 2021-08-11 2023-02-20 대한곤돌라주식회사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KR20230057190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개성렌탈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KR102677322B1 (ko) * 2023-08-25 2024-06-21 주식회사 키네시스솔루션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223A (ko) * 2007-01-19 2007-02-08 (주)하이로드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63626A (ko) * 2007-12-14 2009-06-18 우종길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06716U (ko) 2007-12-29 2009-07-02 (주)에스렌탈산업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4-11-07 김연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101547432B1 (ko) * 2014-11-25 2015-08-26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1857116B1 (ko)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959747B1 (ko) 2017-03-13 2019-03-20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223A (ko) * 2007-01-19 2007-02-08 (주)하이로드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63626A (ko) * 2007-12-14 2009-06-18 우종길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06716U (ko) 2007-12-29 2009-07-02 (주)에스렌탈산업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4-11-07 김연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101547432B1 (ko) * 2014-11-25 2015-08-26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101857116B1 (ko)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959747B1 (ko) 2017-03-13 2019-03-20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3998A (ko) * 2021-08-11 2023-02-20 대한곤돌라주식회사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KR102610012B1 (ko) * 2021-08-11 2023-12-06 대한곤돌라주식회사 양면작업구조의 대형곤돌라
KR20230057190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개성렌탈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KR102587703B1 (ko) 2021-10-21 2023-10-23 주식회사 개성렌탈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KR102677322B1 (ko) * 2023-08-25 2024-06-21 주식회사 키네시스솔루션 과상승 방지 장치를 포함한 협착방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WO2006024173A1 (en) Elevator pit safety device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N105366524B (zh) 一种扶手电梯可升降的紧急停车连锁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29707B1 (ko)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KR200490977Y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1933198B1 (ko) 승강기의 추락 완충장치
KR20150077920A (ko)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20090063628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101680944B1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CN204251156U (zh) 一种家用电梯轿厢护脚板装置
KR101632485B1 (ko) 작업용 승강기
JP6090202B2 (ja)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時の安全装置
KR20090062779A (ko) 고소작업대의 협착 방지장치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CN206815234U (zh) 一种公路安全护栏
CN205132809U (zh) 一种防电梯轿厢坠井装置
CN210563327U (zh) 一种带有保护功能的附着式升降脚手架
NL1011375C2 (nl) Inspectiebordes.
CN104150304B (zh) 起升高度限制器
CN211998372U (zh) 一种用于电梯轿厢安全门救援的踏板装置
CN102305018A (zh) 一种带伸缩杆扶手和照明灯的防滑折叠梯
CN216717310U (zh) 车载轮椅装载装置底盘位置的感应检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