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707B1 -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707B1
KR101629707B1 KR1020150090732A KR20150090732A KR101629707B1 KR 101629707 B1 KR101629707 B1 KR 101629707B1 KR 1020150090732 A KR1020150090732 A KR 1020150090732A KR 20150090732 A KR20150090732 A KR 20150090732A KR 101629707 B1 KR101629707 B1 KR 101629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afety
limit switch
safety bar
guid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기천
Original Assignee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 상기 대차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이루어진 고소작업대로서, 상기 작업대의 상승 시 다른 구조물에 먼저 접촉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단보다 높게 설치되는 안전구조체; 상기 안전구조체가 설치되는 구조체 지지부와 상기 안전구조체가 다른 구조물과 접촉됨을 감지하여 상기 안전구조체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부로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체;를 마련하여 승강부의 승강 시 리미트 스위치부에 의해 안전구조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구조체가 구조물에 접촉 시 구조체 지지부와 리미트 스위치부의 분리에 의해 안전구조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된 구조체 지지부와 리미트 스위치부를 재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소작업대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소작업대에 안전바 및 안전봉을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어 적용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Separate Safety Unit of Aerial Work Platforms}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의 상승 도중에 부딪힘 또는 협착 등으로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안전장치의 분리 및 재설치가 용이한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리의 가로수 작업, 전봇대 작업, 간판 작업, 네온 사인 작업 및 건설 작업과 같은 공사 현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비교적 높은 곳의 작업을 하기 위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비가 고소작업대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어원이 수입 제품의 명칭을 'Aerial Work Platform'라고 부르면서 그대로 해석되어 고소작업대라고 불리게 되었다.
한편 일반 공사 현장에서 "렌탈"이라고 불리우는 고소작업대는 시이저 리프트의 일반적인 총칭으로 1990년대 이후 렌탈을 통해 산업 현장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이 장비는 기존의 철재 가설물이나 비계 틀에 비해 효율성이 뛰어나 이제는 공사 현장에 가장 중요한 설비 장비로 인식하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소작업대는 유압사다리보다 포괄적인 표현으로, 높이 올라갈 수 있는 전반적인 산업 장비를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고소작업대는 전동방식, 엔진방식, 수동방식 및 윈치방식 등 다양한 제품에 대한 표현으로 그야말로 높은 곳을 작업할 수 있는 장비나 작업자가 올라갈 수 있는 장비이다.
이러한 고소작업대에는 유압식 고소작업대, 굴절식 고소작업대, 직진식 고소작업대 및 견인식 고소작업대 등의 형태로 분류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소작업대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10), 상기 대차부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부(20) 및 승강부의 상단에 설치된 작업대(30)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에 의하면 작업대의 상단에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았기 때문에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즉, 상기 조작부를 작동시켜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조작자의 부주의에 의해 작업대의 난간 상단이 구조물에 충돌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 상기 구조물이 심하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하다. 특히, 작업대에 승차한 작업자가 난간과 구조물 사이에 끼어 다치거나 압사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고소작업대의 안전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바스켓 보다 높은 높이를 갖는 안전봉(미도시)을 설치하고, 안전봉이 천장에 부딪힘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미도시)가 온 되면서 바스켓의 상승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안전봉은 천장이나 부딪히게 되는 경우, 안전봉이 휘어지게 되고, 리미트 스위치 등에 연결되는 전선이 안전봉 하단으로 인출되게 연결되어 작업자의 작업 도중에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소작업대의 이동 중에 안전봉이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는 경우 측방으로 휘어져 안전봉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소작업대에는 안전장치의 일종으로, 바스켓의 상부에 안전바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안전바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간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바는 천장에 부딪히게 되면 작동간을 중심으로 소정 높이만큼 낮아지게 되며, 작동간과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가 작동되어 바스켓의 상승을 멈추게 된다.
또한 벽면과 인접한 위치에서는 안전바가 쓰러질 여유공간이 없어 작동간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바 및 작동간의 파손이 자주 발생하게 되며, 고소작업대의 이동 중에 안전바가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는 경우 안전바 또는 작동간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고소작업대의 협착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에는 고소작업대의 난간 상단에 고정 설치하도록 형성된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작업대의 난간을 따라 설치하도록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 일정거리 작동하도록 형성된 완충수단 및 상기 완충수단과 연동하여 상부 프레임이 압착 또는 충돌에 의해 하강시 상기 승강부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협착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하단이 작업대 난간의 전후 상단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안착되고, 상기 각 하부 프레임의 외측면과 난간의 외측면은 경첩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접히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에 각각 설치되는 중간부재와 상기 중간부재의 좌우 각 단부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ㄷ " 형태로 절곡 형성된 고정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 10-2009-0063626호(2009년 6월 18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는 안전바 또는 안전봉이 천장에 부딪히는 사고에 따라 작업자가 천장에 부딪히는 협착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안전바 또는 안전봉이 구조물에 부딪히게 됨에 따라 안전바 또는 안전봉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구조체가 구조물에 접촉되면 작업대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장치가 분리되는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에 설치된 안전장치가 충격에 의해 안전하게 분리되어 안전장치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이를 재사용할 수 있는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는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 상기 대차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이루어진 고소작업대로서, 상기 작업대의 상승 시 다른 구조물에 먼저 접촉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단보다 높게 설치되는 안전구조체; 상기 안전구조체가 설치되는 구조체 지지부와 상기 안전구조체가 다른 구조물과 접촉됨을 감지하여 상기 안전구조체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부로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체;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구조체 지지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체 지지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의 일면에는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접착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수단은 일정한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분리되는 벨크로 또는 자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는 상기 안전구조체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설치되는 봉; 상기 봉의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프레임에는 안전봉이 설치되는 제1 안내 프레임; 상기 제1 안내 프레임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전바가 설치되는 제2 안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에 의하면, 승강부의 승강 시 리미트 스위치부에 의해 안전구조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구조체가 구조물에 접촉 시 구조체 지지부와 리미트 스위치부의 분리에 의해 안전구조체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리된 구조체 지지부와 리미트 스위치부를 재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소작업대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소작업대에 안전바 및 안전봉을 자유로이 설치할 수 있어 적용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는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10), 상기 대차부(1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20) 및 상기 승강부(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작업대(30)로 이루어진 고소작업대로서, 상기 작업대(30)의 상승 시 다른 구조물에 먼저 접촉되도록 상기 작업대(30)의 상단보다 높게 설치되는 안전구조체(40); 상기 안전구조체(40)가 설치되는 구조체 지지부(51)와 상기 안전구조체(40)가 다른 구조물과 접촉됨을 감지하여 상기 안전구조체(40)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부(61)로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50)는 상기 구조체 지지부(51)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61)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는 안전구조체(40)가 다른 구조물에 접촉하게 되면, 스위치 조립체(50)가 작업대(30)로부터 분리됨과 함께 안전구조체(40)를 분리시켜 안전구조체(4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대는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10), 상기 대차부(10)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승강부(20) 및 승강부(20)의 상단에 설치된 작업대(3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종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구조체(40)는 작업대(30)의 상단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대(30)의 최상단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의 안전바(41)가 설치되거나 작업대(30)의 최상단 프레임보다 높게 설치되는 안전봉(42)을 포함한다.
상기 안전바(41)는 작업대(30)와 동일하게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이며, 안전봉(42)은 작업대(3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봉으로, 이들 안전바(41) 또는 안전봉(42)은 천장, 벽체 등과 같은 구조물에 먼저 접촉되도록 작업대(30)의 최상단 프레임보다 높게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50)는 안전구조체(30)가 설치되는 구조체 지지부(51)와 상기 구조체 지지부(51)가 작업대(30)에 설치되게 함은 물론 상기 안전구조체(30)가 다른 구조물(천장 또는 벽체 등)에 접촉 시 승강부(20)의 승강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부(61)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 지지부(51)는 안전구조체(40)인 안전바(41) 또는 안전봉(42)이 결합되도록 중공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조체 지지부(51)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 지지부(51)는 안전바(41)가 설치되는 제1 안내 프레임(52)과 안전봉(42)이 설치되는 제2 안내 프레임(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작업대(30)에 안전바(41)를 단독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안내 프레임(52)이 설치되며, 작업대(30)에 안전봉(42)을 단독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안내 프레임(53)이 설치된다.
한편 작업대(30)에는 안전바(41) 및 안전봉(42)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 제1 안내 프레임(52)에 안전바(41)와 제2 안내 프레임(53)에 안전봉(42)을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52) 및 제2 안내 프레임(53)의 일면에는 삽입된 안전바(41) 또는 안전봉(42)을 조여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54)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내 프레임(52) 및 제2 안내 프레임(53)의 일면에는 리미트 스위치부(61)에 부착되도록 벨크로(55)가 부착된다. 상기 벨크로(55)는 자석 등의 부착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부(61)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신호교환기(56)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61)는 작업대(30)의 프레임 일면에 안전구조체(40) 및 구조체 지지부(51)를 설치되게 함은 물론 안전구조체(40)에 의해 승강부(20)의 승강을 멈추도록 한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부(61)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프레임(62), 상기 제1 프레임(62)에 대하여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 프레임(63) 및 상기 제2 프레임(63)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3 프레임(6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프레임(63)의 일면에는 승강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65)가 설치되며, 제3 프레임(64)의 일면에는 구조체 지지부(51)의 제1 안내 프레임(52)이 부착되도록 벨크로(66)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프레임(62)은 작업대(30)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제2 프레임(63)은 제1 프레임(62)에 대칭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데, 제1 프레임(62)에 대하여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제1 프레임(62)과 제2 프레임(63)에는 수직 방향으로 봉(67)이 결합되며, 상기 봉(67)의 외측에는 제2 프레임(63)을 상승시키는 스프링(68)이 설치된다.
아울러 제2 프레임(63)에는 제1 프레임(62)의 신호교환기(56)에 대응되는 신호교환기(69)가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는 작업대(30)의 상측에 안전구조체(40)를 설치한다. 상기 안전구조체(40)는 작업대(30)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안전바(41)를 설치할 수 있고, 작업대(30)의 모서리에 작업대(30)의 상단보다 높은 안전봉(42)을 설치한다.
이러한 안전바(41) 및 안전봉(42)은 스위치 조립체(50)의 구조체 지지부(51)에 설치한다. 즉, 구조체 지지부(51)의 제1 안내 프레임(52)에는 안전바(41)를 설치할 수 있고, 구조체 지지부(51)의 제2 안내 프레임(53)에는 안전봉(42)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전바(41) 및 안전봉(42)은 제1 안내 프레임(52) 및 제2 안내 프레임(53)에 설치된 고정볼트(54)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안내 프레임(51) 및 제2 안내 프레임(52)의 일면에는 리미트 스위치부(61)에 부착되도록 벨크로(55)를 부착한다.
상기 벨크로(55)는 제1 안내 프레임(52) 및 제2 안내 프레임(53)을 리미트 스위치부(61)에 부착되게 하는 것으로, 자석 등과 같은 부착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안내 프레임(52)에는 제2 프레임(63)에 설치된 신호교환기(69)와 직교되도록 신호교환기(56)를 설치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61)는 작업대(30)의 일면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62), 상기 제1 프레임(62)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제2 프레임(63), 상기 제2 프레임(63)의 일면에 고정되며, 상기 구조체 지지부(51)의 제1 안내 프레임(52)이 부착되도록 벨크로(66)가 부착된 제3 프레임(64) 및 승강부(20)의 승강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62)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2 프레임(63)은 제1 프레임(62)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설치한다. 아울러 제2 프레임(63)은 제1 프레임(62)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2 프레임(63)에는 승강부(20)의 승강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65)를 설치하며, 제3 프레임(64)의 일면, 즉 제1 안내 프레임(52)에 벨크로(66)를 부착한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52)의 벨크로(55)와 제2 프레임(63)의 벨크로(66)는 서로 부착되어 제1 안내 프레임(52)과 제2 프레임(63)을 부착되게 한다.
또 제2 프레임(63)에는 승강부(2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65)를 설치하며, 제2 프레임(63)은 제1 안내 프레임(52)이 하강됨에 따라 스프링(68)이 압축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제2 프레임(63)이 하강됨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65)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62)과 제2 프레임(63)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봉(67)을 설치하며, 봉(67)의 외측에는 제2 프레임(63)을 상승시키는 스프링(68)을 설치한다.
아울러 제2 프레임(63)의 일측에는 제1 안내 프레임(52)의 신호교환기(56)와 대응되는 신호교환기(69)를 설치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는 작업대(30)의 일측에 스위치 조립체(50)가 설치되는데, 작업대(30)에는 리미트 스위치부(61)가 고정되며, 리미트 스위치부(61)의 제2 프레임(63)에는 제1 안내 프레임(52)이 설치된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52)의 일측에는 필요에 따라 제2 안내 프레임(53)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52)에는 안전구조체(40)인 안전바(41)가 고정볼트(54)에 의해 고정되며, 제2 안내 프레임(53)에는 안전구조(40)인 안전봉(42)이 고정볼트(54)에 의해 고정된다.
이들 제1 안내 프레임(52) 및 제2 안내 프레임(53)은 벨크로(55) 또는 자석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안내 프레임(52)은 제3 프레임(64)의 일면에 벨크로(55) 또는 자석 등의 부착수단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 안내 프레임(52)의 신호교환기(56)와 제2 프레임(63)의 신호교환기(69)는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들 신호교환기(56, 69)는 인접한 상태에서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들 신호교환기(56, 69)는 자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위치 조립체(50)는 작업대(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대차부(10)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승강부(20)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승강된다.
상기 작업대(30)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부(20)가 상승으로 승강하게 되며, 안전바(41) 또는 안전봉(42)이 천장 등의 구조물에 접촉되면, 리미트 스위치(65)가 승강부(20)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즉, 제1 안내 프레임(52)이 천장 등과 같은 구조물에 접촉됨에 따라 제2 프레임(63)이 하강되면서 스프링(68)을 하강시키며, 이와 함께 리미트 스위치(65)가 작동하여 승강부(20)의 상승을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스프링(68)의 압력이 해제되면, 제2 프레임(63)은 스프링(63)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승강부(20)가 상승된 상태에서 작업 상황에 따라 대차부(10)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이동 중에 구조물 등과 부딪히게 되면, 안전바(41) 또는 안전봉(42) 등에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구조체(40)가 다른 구조물과 부딪히게 되면서 제3 프레임(64)에 부착된 제1 안내 프레임(52)이 분리된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52)이 제3 프레임(64)으로부터 분리되며, 이때 구조체 지지부(51)의 신호교환기(56)와 리미트 스위치부(61)의 신호교환기(69)는 서로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구조체 지지부(51)는 안전구조체(40)를 작업대(30)로부터 분리시켜 안전구조체(4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40: 안전구조체 41: 안전바
42: 안전봉 50: 스위치 조립체
51: 구조체 지지부 52: 제1 안내 프레임
53: 제2 안내 프레임 54: 고정볼트
55: 벨크로 56: 신호교환기
61: 리미트 스위치부 62: 제1 프레임
63: 제2 프레임 64: 제3 프레임
65: 리미트 스위치 66: 벨크로
67: 봉 68: 스프링
69: 신호교환기

Claims (6)

  1. 이동 및 지지가 이루어지는 대차부, 상기 대차부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이루어진 고소작업대로서,
    상기 작업대의 상승 시 다른 구조물에 먼저 접촉되도록 상기 작업대의 상단보다 높게 설치되는 안전구조체; 및
    상기 안전구조체가 설치되는 구조체 지지부와 상기 안전구조체가 다른 구조물과 접촉됨을 감지하여 상기 안전구조체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부로 이루어진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구조체 지지부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는 상기 안전구조체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부는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에 설치되는 봉;
    상기 봉의 외측에 상기 제2 프레임을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에는 안전봉이 설치되는 제1 안내 프레임;
    상기 제1 안내 프레임의 일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전바가 설치되는 제2 안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KR1020150090732A 2015-06-25 2015-06-25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KR101629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32A KR101629707B1 (ko) 2015-06-25 2015-06-25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732A KR101629707B1 (ko) 2015-06-25 2015-06-25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707B1 true KR101629707B1 (ko) 2016-06-13

Family

ID=5619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732A KR101629707B1 (ko) 2015-06-25 2015-06-25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7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8-10-24 신한곤도라주식회사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1982334B1 (ko) 2018-12-14 2019-05-24 박재섭 고소작업대용 입식 천막장치
KR20200116212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하나기업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2398756B1 (ko) 2022-01-05 2022-05-16 이상건 균등식 작동압력 구조와 안전 신뢰성이 강화된 고소작업대용 끼임방지장치
KR20230057190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개성렌탈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223A (ko) * 2007-01-19 2007-02-08 (주)하이로드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63626A (ko) 2007-12-14 2009-06-18 우종길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06716U (ko) * 2007-12-29 2009-07-02 (주)에스렌탈산업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
KR20090118467A (ko) * 2008-05-14 2009-11-18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천장협착방지장치
KR200475143Y1 (ko) * 2013-12-11 2014-11-07 김연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7223A (ko) * 2007-01-19 2007-02-08 (주)하이로드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63626A (ko) 2007-12-14 2009-06-18 우종길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20090006716U (ko) * 2007-12-29 2009-07-02 (주)에스렌탈산업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
KR20090118467A (ko) * 2008-05-14 2009-11-18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천장협착방지장치
KR200475143Y1 (ko) * 2013-12-11 2014-11-07 김연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8-10-24 신한곤도라주식회사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1982334B1 (ko) 2018-12-14 2019-05-24 박재섭 고소작업대용 입식 천막장치
KR20200116212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하나기업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2205520B1 (ko) 2019-04-01 2021-01-20 주식회사하나기업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20230057190A (ko) * 2021-10-21 2023-04-28 주식회사 개성렌탈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KR102587703B1 (ko) 2021-10-21 2023-10-23 주식회사 개성렌탈 고소작업차용 협착방지장치
KR102398756B1 (ko) 2022-01-05 2022-05-16 이상건 균등식 작동압력 구조와 안전 신뢰성이 강화된 고소작업대용 끼임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707B1 (ko)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US10428536B2 (en) Scaffold system
KR101654483B1 (ko) 안전발판을 포함한 건축용 비계장치
KR200475143Y1 (ko)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KR101975293B1 (ko) 고소작업대용 안전 기구 및 그 안전 기구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1857116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CN210561776U (zh) 一种桥梁防撞护栏外挂平台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200490977Y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326793B1 (ko) 고소작업대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101982334B1 (ko) 고소작업대용 입식 천막장치
KR20090063628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101884810B1 (ko) 길이가 신축되는 가설물
KR20150077920A (ko)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101219629B1 (ko) 갱폼상승유도기 및 이의 사용방법
JP5174354B2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101680944B1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KR200479223Y1 (ko) 비계용 리프트 장치
KR20090099182A (ko) 조립식틀비계의 일체형 안전난간대
KR101910486B1 (ko)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0778533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101476538B1 (ko) 레일을 이용한 고소작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