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43Y1 -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43Y1
KR200475143Y1 KR2020130010289U KR20130010289U KR200475143Y1 KR 200475143 Y1 KR200475143 Y1 KR 200475143Y1 KR 2020130010289 U KR2020130010289 U KR 2020130010289U KR 20130010289 U KR20130010289 U KR 20130010289U KR 200475143 Y1 KR200475143 Y1 KR 2004751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awl
lower support
switch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한
Original Assignee
김연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한 filed Critical 김연한
Priority to KR2020130010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천장 사이에서 협착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시 폴을 염가로 제작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상부 장애물 감지범위를 대폭 확대시켜 작동의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고소 작업대의 난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버튼을 상부에 가진 스위치; 상기 스위치 상부에 결합되는 보호용 와셔와, 상기 버튼 상부에 탄성부재로 탄력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설치되는 감지작동편과; 상기 감지작동편은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감지작동편의 연결부는 유격을 갖고 경유하며 플랜지부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환턱 및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에는 폴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은 합성수지재 파이프,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은 고소작업대 난간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호 감지로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High place working vehicles means of preventing stenosis}
본 고안은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승강 가능한 차량에 장착되어 천장의 배관, 덕트, 조명 등의 공사에 사용되는 고소 작업대에서 작업자가 천장 사이에 협착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감시 폴(pole)을 염가로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상부 장애물 감지범위를 대폭 확대시켜 작동의 신뢰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률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대는 천장의 도장, 미장 등의 공사 외에 배관, 덕트, 조명 등의 설비를 시공 및 보수하기 위해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승강작동이 가능한 승강차량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고소작업대의 바디 상부에는 고소작업대가 상승작동 시 작업자가 천장 등과 같은 상부의 장애물 사이에서 협착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협착 방지수단으로 감지 폴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상부의 천장 등과 같은 장애물과 접하게 되면 전원 단속이 가능한 스위치가 전원을 단락시켜 승강부의 상승을 멈추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발명자는 기히 이러한 감지 폴을 갖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에 대해 선특허 출원(출원번호: 10-2013-0082635)한 바 있으며, 이러한 협착 방지를 위한 스위칭수단(1)은 도 1의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더(2) 내부에 버튼(3)이 상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슬라이더(4) 상부의 푸셔(5)가 폴(6)이 하강 시 버튼(3)을 눌러 고소작업대의 승강부 상승 전원을 OFF 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버튼(3)과 푸셔(5) 사이에는 폴(6)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같은 탄력복원수단(7)을 탄력설치한다.
상기 가이더(2)와 슬라이더(4) 사이에는 승강 폭을 결정하고, 슬라이더(4)가 가이더(2)로부터 복원시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드슬롯(8; guide slot)을 가이더(2)에 관통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슬롯(8)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범퍼(9; guide bump)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4)에는 높이조절부재(10)를 설치하여 폴(6)을 자체적으로도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상기 협착 방지용 폴(6)은 고소작업대의 난간에 선택적으로 고정수단(11)으로 고정되어 스위칭수단(1)이 승강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상부 장애물에 폴(6)이 부딪혀 밑으로 하강하면서 버튼(3)을 눌리게 되면 전원을 단락토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소작업대의 높이가 작업에 적정한 높이 만큼 승강조절이 이루어졌을 시에 작업자는 승강부 전원을 단속하는 풋스위치에서 발을 분리하면 전원을 끊게 되어 고소 작업대의 상승이 정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만약 작업자가 풋스위치를 잘못 작동시키거나, 풋스위치의 오작동으로 고소 작업대의 상승이 계속된다면 폴(6)과 연결설치된 스위칭수단(1)의 버튼(3)이 천장 또는 장애물에 접촉한 폴(6)의 하강작동에 의해 전원을 끊게 되어 승강부(2)의 상승을 멈추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소 작업대(1)와 천장 또는 장애물 사이에 끼여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자의 선출원 특허의 경우 협착 방지수단인 폴의 높이를 고정수단 및 높이조절부재를 사용하여 임의로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여 고소 작업대의 높이를 작업환경에 맞추어 간편히 조절, 사용이 가능하고, 고소작업대에 하나 이상의 폴을 설치, 사용토록 하여 다양한 작업환경에 맞추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부품 구성이 복잡하고 양산에 적합지 않아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망되었던 것이다.
또한, 고소작업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폴 각각이 천장 등과 같은 장애물을 감지하게 되므로, 폴과 이웃하게 설치된 폴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에는 감지를 행하지 못하여 작업자가 협착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000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3-82635 호
이에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본 고안자가 선 특허출원한 발명이 갖는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감지 폴과 스위칭수단의 구성을 보다 양산작업에 용이하게 하고, 구성 부품수를 간소화시켜 원가절감 및 염가로 공급이 가능토록 한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또한 장치의 내구성 및 오작동에 대한 제품의 안정성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며, 감지범위를 대폭 확대하여 궁극적으로는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고소 작업대의 난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하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버튼을 상부에 가진 스위치; 상기 스위치 상부에 결합되는 보호용 와셔와, 상기 버튼 상부에 탄성부재로 탄력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 상부에 설치되는 감지작동편과; 상기 감지작동편은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의 상부에는 감지작동편의 연결부는 유격을 갖고 경유토록 하고 플랜지부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환턱 및 결합공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는 폴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은 합성수지재 파이프,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은 고소작업대 난간에 복수개 설치되어 이웃하는 폴과 상호 감지로프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구성 부품수를 최소화 함과 동시에 양산에 적합하게 구조를 개선시켜 보다 염가로 제작 및 보급이 가능하며, 제품의 내구성 및 안정성도 보다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소작업대 난간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폴을 상호 감지로프로 연결하여 폴과 더불어 감지로프도 감지작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감지범위의 확대로 인해 작업자의 안전을 획기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본 고안의 고안자가 선 특허출원한 협착 방지수단을 보인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이 수직으로 하강할 시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이 어느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의 작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을 이웃하여 설치되는 폴과 감지로프로 연결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고소 작업대를 구성하는 바디에 설치되는 고정 난간 또는 확장형 난간 등에 선택적으로 고정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며, 구성부품 수를 줄이고 제조공정을 개선토록 하여 용이하게 제작 및 염가제작이 가능하여 양산성을 극대화시키고, 사용 중 내구성 및 작동의 안정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스위치(20)가 내입 설치되는 상하 지지프레임(21,22)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2) 상부로 스위치(20)의 버튼(23)이 노출되어 폴(24)과 연결되고 탄성부재(25)에 의해 탄력 승강이 가능한 슬라이더(26)와, 상기 슬라이더(26)와 폴(24) 사이에 설치되어 폴(24)이 천장과 같은 각종 장애물에 접하면서 하강하거나 이웃하는 설치되는 폴(24)과 연결된 감지로프(34)의 감지작동에 의해 폴(24)이 어떤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기울어지더라도 이를 즉각 스위치(20)가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작동편(27), 상기 감지작동편(27)의 상부에 고정되는 폴(24)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1)과 폴(24) 사이에 이물이나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2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 도 2 내지 도 7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정면 구성도이고, 도 3은 일부를 파절시켜 내부 구성을 보인 정면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중공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프레임(22) 상부에 스위치(20)를 끼움고정식으로 내입시키고, 상기 스위치(20) 상부에는 충격으로 인한 스위치(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와셔(29)를 끼움조립토록 한다.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2) 상부에서 스위치(20) 조립이 이루어지면 스위치(20)의 전원을 단속하는 버튼(23)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버튼(23)을 후술하는 슬라이더(26)가 하강하면 전원이 OFF되고, 슬라이더(26)가 탄성부재(25)에 의해 상부로 상승하면 전원은 ON되는 스위치(2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20) 상부에 조립된 보호용 와셔(29)와 상부의 슬라이더(26) 사이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5)를 개재시키고, 플랜지부(27a)를 갖는 감지작동편(27)을 안치하여 상부 지지프레임(21)을 하부 지지프레임(22) 상부에서 끼움조립시켜 셋팅볼트(30)를 사용하여 상하부 지지프레임(21,22)을 고정시킨다.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1) 역시 중공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의 내경은 하부 지지프레임(22)의 외경과 동일한 치수로 제작하여 끼움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는 감지작동편(27)의 플렌지부(27a)가 상부로 더 이상 올라가지 않고 걸림될 수 있는 걸림환턱(21a)을 가진 결합공(21b)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공(21b)을 통해 감지작동편(27)의 연결부(27b)가 상부로 노출되도록 조립시킨다.
상기 결합공(21b)의 내경은 연결부(27b)의 외경 보다는 크게 유격을 갖도록 하여 감지작동편(27)이 상하 방향은 물론 사방으로 경사각을 갖고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여유를 갖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작동편(27)의 연결부(27b) 상부에는 숫나사부(27c)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부(27c)의 외경치수 보다는 작은 내경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 폴(24)을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토록 한다.
물론, 상기 폴(24)의 하단 내경부에 암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숫나사부(27c)에 나사결합식으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1)과 폴(24) 사이에는 이물질 및 습기, 수분 등이 스위치(20)로 유입되지 않도록 신축 가능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자바라형으로 제작된 보호커버(28)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폴(24)은 합성수지재 등으로 제작이 되는데, 이는 작업자의 눈에 쉽게 식별이 되도록 형광색, 빨간색 등 시인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토록 하며, 필요하다면 외면부에 반사 테이프 등 시인성 향상에 유용한 테이프 등을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2)은 고소작업대 난간에 설치되는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31)을 사용하여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스위치(20)의 케이블(32)은 손상되지 않도록 중공 파이프로 이루어진 하부 지지프레임(22) 내부로 배설하여 하부 지지프레임(22)의 하단에 결합된 보호캡(33)에 의해 보호가 될 수 있도록 배선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일 작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고소작업대 난간에 고정수단(31)으로 설치되어 고소작업대를 상승시킬 때 폴(24)이 상부의 천장 등과 같은 장애물에 접하게 되어 하부로 하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상기 폴(24)이 상부의 장애물과 접하여 하강하면 이의 하부에 연결된 감지작동편(27)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감지작동편(27)의 하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26) 하단면이 스위치(20)의 버튼(23)을 하강시켜 스위치(20)가 OFF 상태로 전환되어 고소작업대의 상승작동은 자동으로 중지하게 되어 만약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고안의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다른 작용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고소작업대 난간에 고정수단(31)으로 설치되어 고소작업대를 상승시킬 때 폴(24)이 상부의 천장 등과 같은 장애물에 접하여 어느 일방향으로 기울어질 경우를 보인 것이다. 이는 폴(24)이 하강과 동시에 기울어지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부 장애물이 수평이 아닌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폴(24)이 하강 보다는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기울어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는 폴(24)이 하강 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과 동시에 어느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인데, 폴(24) 하부에 연결된 감지작동편(27)도 기울어지게 되어 상기 감지작동편(27)의 플랜지부(27a)가 수평상태에서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더(26)를 동시에 하강시키게 되고, 슬라이더(26)의 하단면이 스위치(20)의 버튼(23)을 하강시켜 스위치(20)가 OFF 상태로 전환되어 고소작업대의 상승작동이 자동으로 중지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폴(24)의 기울어짐 작동은 폴(24)이 설치된 부위 뿐만 아니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소작업대에 이웃하여 설치된 각각의 폴(24)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로프와 같은 감지로프(34)에 천장 등과 같은 상부 장애물이 걸리게 되는 경우 상승하는 고소작업대에 의해 감지로프(34)가 폴(24)을 하측으로 당기게 되므로, 전기한 바와 같이 폴(24)이 기울어져 스위치(20)를 OFF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기 폴(24)을 합성수지재가 아닌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실시예의 경우 연결로프와 같은 감지로프(34)를 이웃하는 폴(24)과 연결할 시에 보다 용이하게 결속 고정이 가능하며, 폴(24)이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도 일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폴(24)의 상부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사인부재(35)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은 기존 고소작업대의 난간에 복수개 고정수단(31)으로 설치하고, 이웃하는 폴(24)을 감지로프(34)로 상호 연결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 부품이 본 고안자가 선출원한 특허에 비해 대폭 간소화되어 원가절감 및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그로 인해 양산성도 높일 수 있으며, 기존 고소작업대에 보다 용이하게 장착,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폴(24)이 하강하거나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폴(24) 하부에 연접설치된 감지작동편(27)의 플랜지부(27b)가 기울어지면서 슬라이더(26)를 하강시켜 스위치(20)를 OFF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어 감지범위가 대폭 확대되어 작업공간의 상부 장애물이 수평인 경우는 물론 일부가 경사면, 또는 다양한 형태로 돌출된 작업장이라도 보다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의 보호범위가 기재될 것이나, 당해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 일지라도 본 고안과 기본적인 기술구성을 같이하는 한 본 고안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종래)
1: 스위칭수단 2: 가이더 3: 버튼 4: 슬라이더 5: 푸셔 6: 폴 7: 탄력복원수단 8: 가이드슬롯 9: 가이드범퍼 10: 높이조절부재 11: 고정수단
(본 고안)
20: 스위치 21: (상부)지지프레임 21a: 걸림환턱 21b: 결합공 22: (하부)지지프레임 23: 버튼 25: 탄성부재 26: 슬라이더 27: 감지작동편 27a: 플랜지부 27b: 연결부 27c: 숫나사부 28: 보호커버 29: 와셔 30: 셋팅볼트 31: 고정수단 32: 케이블 33: 보호캡 34: 감지로프 35: 사인부재

Claims (2)

  1. 승강차량의 승강부 상부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 후 풋스위치에 의해 승강 제어가 가능한 고소 작업대에 설치되어, 상기 풋스위치와 함께 승강부의 상승 작동을 단속할 수 있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의 난간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고정수단(31)으로 고정되는 하부 지지프레임(22)과;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2) 상부에 설치되며 버튼(23)을 상부에 가진 스위치(20)와;
    상기 스위치(20) 상부에 결합되는 보호용 와셔(29)와,
    상기 버튼(23) 상부에 탄성부재(25)로 탄력설치되는 슬라이더(26)와;
    상기 슬라이더(26) 상부에 설치되는 감지작동편(27)과;
    상기 감지작동편(27)은 플랜지부(27a)와, 상기 플랜지부(27a)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27b)와;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22)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상부 지지프레임(21)의 상부에는 감지작동편(27)의 연결부(27b)는 유격을 갖고 경유하며 플랜지부(27a)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걸림환턱(21a) 및 결합공(21b)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27b) 상부에 고정되는 폴(24)과;
    상기 폴(24)과 이웃하여 설치되는 폴(24)은 감지로프(34)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24)은 합성수지재 파이프,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2020130010289U 2013-12-11 2013-12-11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2004751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289U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3-12-11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289U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3-12-11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43Y1 true KR200475143Y1 (ko) 2014-11-07

Family

ID=5228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289U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3-12-11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43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07B1 (ko) * 2015-06-25 2016-06-13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KR101857116B1 (ko) *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80104412A (ko) * 2017-03-13 2018-09-21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903023B1 (ko) 2018-07-17 2018-10-01 (주)에이원렌탈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8-10-24 신한곤도라주식회사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11-04 (주)이엘렌탈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KR200490977Y1 (ko) * 2018-07-30 2020-02-03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2635155B1 (ko) * 2023-09-08 2024-02-07 김태영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2664436B1 (ko) * 2023-06-26 2024-05-10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템 고소작업대용 중간연결구를 구비한 리미트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586A (ko) * 2008-09-22 2010-03-31 아주렌탈 주식회사 완충접촉용 리미트스위치
KR20100006020U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고소작업차의 리미트스위치
KR20120003556U (ko) * 2010-11-12 2012-05-22 정기훈 고소작업대에 의한 벽체 파손 및 협착 방지용 보호 장치
KR200465878Y1 (ko) 2011-03-16 2013-03-18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3586A (ko) * 2008-09-22 2010-03-31 아주렌탈 주식회사 완충접촉용 리미트스위치
KR20100006020U (ko) * 2008-12-05 2010-06-15 주식회사 케이지오토 고소작업차의 리미트스위치
KR20120003556U (ko) * 2010-11-12 2012-05-22 정기훈 고소작업대에 의한 벽체 파손 및 협착 방지용 보호 장치
KR200465878Y1 (ko) 2011-03-16 2013-03-18 신한곤도라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07B1 (ko) * 2015-06-25 2016-06-13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KR101857116B1 (ko) * 2017-03-10 2018-05-14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20180104412A (ko) * 2017-03-13 2018-09-21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959747B1 (ko) 2017-03-13 2019-03-20 김연한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8-10-24 신한곤도라주식회사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1903023B1 (ko) 2018-07-17 2018-10-01 (주)에이원렌탈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200490977Y1 (ko) * 2018-07-30 2020-02-03 박길수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KR102039508B1 (ko) 2019-08-16 2019-11-04 (주)이엘렌탈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KR102664436B1 (ko) * 2023-06-26 2024-05-10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템 고소작업대용 중간연결구를 구비한 리미트스위치
KR102635155B1 (ko) * 2023-09-08 2024-02-07 김태영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143Y1 (ko)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101903023B1 (ko) 전방향 충돌 감지식 고소작업대용 리미트 스위치장치
KR200465878Y1 (ko)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KR101629707B1 (ko)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JP2013523565A (ja) 低オーバヘッドエレベータの可倒式ストップ
KR101857116B1 (ko) 고소작업차의 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101626856B1 (ko)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959747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CN204847694U (zh) 电梯轿顶伸缩式安全护栏
KR20150077920A (ko)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KR20090063628A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방지장치
KR101571816B1 (ko) 상사점과 하사점이 설정된 승하강식 볼라드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KR101680944B1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장치
CN105523459A (zh) 施工升降机发生钢丝绳跳槽故障的报警方法及装置
KR200463400Y1 (ko) 안전 난간 끝단 식별 보호구
KR101632485B1 (ko) 작업용 승강기
KR20170036971A (ko) 고소작업차의 승강장치용 리미트스위치
CN203079456U (zh) 电梯轿顶防护装置
KR102299163B1 (ko)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CN105800441A (zh) 一种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上的安全保护装置
CN214780586U (zh) 一种安全性较高的舞台升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