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856B1 -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856B1
KR101626856B1 KR1020160006793A KR20160006793A KR101626856B1 KR 101626856 B1 KR101626856 B1 KR 101626856B1 KR 1020160006793 A KR1020160006793 A KR 1020160006793A KR 20160006793 A KR20160006793 A KR 20160006793A KR 101626856 B1 KR101626856 B1 KR 101626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hook
sensing
push rod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인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16000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12Sit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Abstract

본 발명은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스켓조작부가 구비되는 고소작업차의 붐 선단에 배치되는 바스켓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신체와 연결된 안전벨트가 바스켓의 걸림부에 취부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SENSING DEVICE FOR PUTTING ON SAFETY BELT OF AERIAL LIFT VEHICLE AND SENS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바스켓 안전벨트와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전신주 위에 설치되는 고압선로의 설치나 철거 또는 유지보수 등의 제반 공사를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정 고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한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주행을 위한 차체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복수의 붐으로 이루어진 크레인이 설치되어 차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의 말단부에는 바스켓(bucket)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내부에 탑승하여 작업하거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179호는 종래기술의 고소작업차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고소작업차(100)는 복수의 붐(200)이 결합하여 유압에 의해 신축작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붐(200)은 차량 본체에 대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상하 회동이 가능하며 또한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도 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붐(200)은 신축, 상하회동 및 좌우회동이 가능하여 이동이 원하는 전방향으로 선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붐(200)의 최상단인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바스켓(3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스켓(300)은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회전각도의 변경이 요구되고 종래에는 이를 위하여 차량을 이동하거나 지상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이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바스켓(300) 자체에도 조작을 위한 컨트롤패널이 구비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도 2는 이러한 바스켓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10)이 바스켓에 결합되어 있으며 컨트롤패널(310)에는 상시적인 전원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바스켓(300)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외부 조력을 받지 아니하고 컨트롤패널(310)을 조작하여 가로등이나 신호등을 보수하기 용이하여졌다.
종래에는 단순하게 작업자의 탑승과 고소작업의 효율성에 대하여서만 관심을 가졌으나 최근에는 안전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고,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고소작업차에 대하여 안전벨트를 고정할 수 있는 안전벨트 고리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에, 고소작업의 위험성을 감안하여 안전벨트를 의무적으로 착용하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실제 관리감독이 소홀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는 사례가 많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고소에 독립된 공간인 바스켓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안전벨트의 착용은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이를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소작업차의 바스켓에서 안전벨트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고, 특히 탑승인원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여 작업환경을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착용을 유도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축 가능한 붐과 바스켓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바스켓에 고정되어 안전벨트의 후크가 결합되는 걸림부(2110)와, 상기 걸림부의 내주측에서 후크의 결합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는 푸시부(2120)와, 상기 푸시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푸시로드(2150)와, 상기 푸시로드의 외면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융기부(2151)와, 상기 융기부 및 푸시로드의 외면을 추종하는 추종부(2162)와 상기 추종부의 양측으로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161)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2160)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후크의 걸림부로의 결합시 후크의 두께에 의하여 푸시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융기부에 배치되는 추종부의 접촉부위가 푸시로드의 외면으로 이동되면서 추종부가 인출된 상태를 감지신호로 발생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정확한 안전벨트의 착용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푸시로드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후크의 결합에 따라 푸시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압축되어 푸시부가 걸림부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2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 융기부는, 전후측에서 푸시로드와의 연결부위에 경사면을 구비하여 추종부가 외면을 따라 이동시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시부는, 복원부에 의하여 걸림부와의 밀착시 후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함몰된 요홈부(2121)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탈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감지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미취부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의 탑승을 판단한 이후에 안전벨트의 취부여부를 판단하며, 안전벨트가 취부되지 않은 경우 바스켓에 구비되는 바스켓조작부(1220)의 제어신호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및 바스켓의 취부상태를 적절하게 감지하고 이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탑승여부 및 안전벨트 취부여부의 판단을 통하여 바스켓측에서의 구동부 제어를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계통의 관리가 가능하고 작업시 안전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고소작업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고소작업차에서 바스켓 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에서 안전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고소작업차의 붐 선단에 배치되는 바스켓에 설치되며 작업자의 신체와 연결된 안전벨트가 바스켓의 걸림부에 취부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소작업차는 주행 가능한 차량 본체와 신축 가능한 붐을 구비하며 그 선단부에 결합되는 바스켓에 장착되는 감지장치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도면에 한정된 고소작업차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크레인이나 리프팅장치 등 작업자가 탑승하여 지면에서 이격된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한 다양한 장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구비한 고소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고소작업차(1000)는 복수의 붐(1130)이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인입 및 인출되어 일단부측에서 소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붐(1130)의 인입 및 인출되는 개수 및 형상은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붐(1130)의 일단부에는 바스켓(1210)이 결합되어 작업자 및 장비의 하중을 지지하고 타단에서 고소작업차(1000)의 베이스(1010)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붐(1130)은 베이스(101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붐(1130)의 인입 및 인출 작동,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의 동력은 차량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의 인출은 PTO(Power Take Off)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유압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작업상태를 고정하기 위하여 고소작업차(1000)의 측면에는 아우트리거(1020)가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우트리거(1020) 역시 유압을 통하여 작동될 수 있다.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붐(1130)에 인접된 고소작업차(1000)의 베이스(1010)에는 붐(1130)의 상태를 조작할 수 있는 주조작부(11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주조작부(1110)를 통하여 지상의 조작자는 붐(1130)의 신축,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을 직접 조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주조작부(1110)는 바스켓(1210) 또는 바스켓(1210)에 구비되는 장비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스켓(1210)은 붐(1130)에 연결된 측의 바스켓지지부(1230)에 대하여 회전 또는 승하강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제어라인이 연장되어 작업자가 탑승한 경우 바스켓(1210) 내부에서 직접 차량 또는 붐 등의 장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바스켓조작부(1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스켓(1210)은 고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붐의 움직임이나 외부 환경에 따라 요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작업자의 안전상의 불안요소로 작용된다. 안전벨트(1300)가 바스켓(1210)에 정확하게 취부되지 않은 경우에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에, 바스켓(1210)에는 감지장치(2000)가 구비되어 안전벨트(1300)의 바스켓(1210)으로의 취부상태를 감지하고 소정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전벨트(1300)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의 허리나 상반신 등에 착용되고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일단이 바스켓(1210)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취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2000)는 이러한 걸림부에의 걸림상태를 감지한다.
도 4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취부되는 걸림부(2110)에서 안전벨트(1300)의 말단에 배치되는 후크(도 5의 1310)의 걸림되는 두께를 감지할 수 있는 개념을 제시한다.
상기 후크는 일측이 개방될 수 있어 고리 형태의 걸림부(2110)에 개방부를 통하여 삽입되고 걸림된 이후 개방부가 폐쇄될 수 있는 힌지덮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걸림부(2110)는 바스켓(1210)애 내부 또는 외부 벽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고 외주가 폐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크(도 5의 1310)는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걸림될 수 이있다.
상기 걸림부(2110)의 내주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푸시부(2120)가 배치되며, 이러한 푸시부(2120)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푸시로드(2150)와 연결되어 전후방향 이동을 푸시로드(2150) 측에서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바스켓(1210)의 벽체를 기준으로 소정의 관통공(참조번호 미표시)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푸시로드(2150)가 푸시부(2120)의 이동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다만 이러한 벽체는 반드시 바스켓(1210) 자체의 벽체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에 결합된 소정의 패널이나 부가적인 장치의 브라켓 등일 수도 있다.
상기 푸시부(2120)는 후크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방 단부가 걸림부(2110)에 밀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크의 걸림상태에서 그 전후방향 두께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후크의 탈거 시에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21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2120)의 전방 단부는 후크의 취부시에 소정의 삽입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방 단부측에 호 형태의 요홈부(212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푸시부(2120)는 좌우측이 걸림부(2110)의 내주측에 밀착되고 중심측에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복원부(2140)는 푸시로드(2150)의 외주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푸시로드(2150)는 푸시부(2120)의 이동에 따라 후방측으로 복원부(2140)를 압축할 수 있도록 단턱부(참조번호 미표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턱부는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원부(2140)를 외주측에서 감싸면서 후방측을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싱(2130)이 벽체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2130)은 내부의 공간에 복원부(2140)를 고정지지하며 전후방으로 관통 배치되는 푸시로드(2150)의 이동에 따라 정확하게 복원부(2140)가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도록 한다.
상기 푸시로드(2150)의 후방측에는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융기부(21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융기부(2151)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2161)가 이에 인접되어 고정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융기부(2151)는 푸시로드(2150)보다 반경이 큰 형태로 이루어지고, 스위칭부(2160)는 푸시로드(2150)의 외면 및 융기부(2151)의 외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추종부(2162)와, 상기 추종부(2162)의 일측으로 연장된 부위의 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부(216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융기부(2151) 측에서의 외면을 추종하도록 추종부(2162)는 말단에 링 또는 롤러 형태의 추종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추종부재는 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2151)는 가장 직경이 큰 부위에서 전후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푸시로드(2150)의 외면과 연결되도록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추종부(2162)의 원만한 작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에서 안전벨트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310)의 걸림부(2110)에 걸림된 상태에서 후크(1310)의 두께에 의해 푸시부(2120)는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단턱부 측에서 복원부(2140)를 압축하고 푸시로드(2150)는 후방측으로 함께 이동된다.
도 4의 후크(1310) 탈거상태에서는 융기부(2151)의 직경이 가장 큰 부위에 추종부(2162)가 배치되어 감지부(2161)에 대해 추종부(2162)가 최대로 삽입된 상태로 나타나는데, 도 5에서는 푸시로드(2150)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추종부(2162)가 융기부(2151)에서 벗어나 푸시로드(2150)의 외면을 따른다.
따라서, 추종부(2162)가 감지부(2161)로부터 인출되고 감지부(2161)는 이를 감지하여 바스켓조작부(1220)와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로 안전벨트가 감지되었다는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이러한 안전벨트의 착용 상태에 따라 바스켓조작부(1220)의 조작가능상태를 설정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후크(1310)의 걸림부(2110)로의 취부 상태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개념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바스켓(1210)에는 센싱부(2200)가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센싱부(2200)는 바스켓(1210)에 연결되어 봉 형태의 걸림부(2110)를 지지하는 브라켓(2210)과, 상기 브라켓(2210)의 양측에서 후크(1310)의 걸림상태를 감지하는 포토센서(2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상태에서는 걸림부(2110)가 바스켓(1210)의 외면에 형성되는 경우가 나타나 있으나 경우에 따라 바스켓(1210)의 내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림부(2110)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후크(1310)는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걸림되고, 이러한 후크(1310)는 광경로를 차폐하여 포토센서(2220)에서 취부상태의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토센서(2220)는 브라켓(22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발생부와 타측에 배치되는 광감지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은 가시광선, 적외선 또는 다양한 형태의 광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물체의 유입이나 광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부(2110)와 후크(1310)의 취부 부위 및 포토센서(2220)를 외부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부(2201)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부(2201)는 브라켓(2210) 측에서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는 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및 바스켓으로의 취부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소정의 제어부에서 감지하고 바스켓조작부 및/또는 주조작부의 조작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시스템에 대하여 아래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감지장치(2000)에서 안전벨트(1300) 취부에 대한 감지가 푸시부 또는 포토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이러한 장착신호는 제어부(미도시)로 송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바스켓조작부(1220)로 제어전력을 인가하여 붐 또는 차량 장비의 조작이 고소에서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바스켓조작부(1220)와 각 구동장치들의 구동부(미도시)로의 연결관계에 배치되는 인터록부(미도시)를 제어하여 바스켓조작부(1220)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무력화하도록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가 탑승하여 안전벨트를 취부하지 않은 경우 소리나 알람을 통하여 경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바스켓(1210)에 작업자가 탑승하였는지를 먼저 감지하여 안전벨트의 취부 상태에 대한 판단을 그 이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탑승 감지는 하중에 대한 감지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스켓(1210)에는 2인 이상이 탑승하여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단독 탑승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 대해 다른 판단을 수행하여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장치(2000)는 탑승인원 감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탑승인원의 감지에 따라 안전벨트의 취부상태를 탑승인원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인원 전체가 안전벨트를 바스켓(1210) 측에 취부하지 않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바스켓조작부(1220)가 작동하지 않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및 바스켓의 취부상태를 적절하게 감지하고 이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고소작업시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탑승여부 및 안전벨트 취부여부의 판단을 통하여 바스켓측에서의 구동부 제어를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계통의 관리가 가능하고 작업시 안전벨트의 착용을 강제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고소작업차 1010...베이스
1020...아우트리거 1110...주조작부
1120...실린더 1130...붐
1210...바스켓 1220...바스켓조작부
1230...바스켓지지부 1300...안전벨트
1310...후크 2000...감지장치
2110...걸림부 2120...푸시부
2121...요홈부 2130...케이싱
2140...복원부 2150...푸시로드
2151...융기부 2160...스위칭부
2161...감지부 2162...추종부
2200...센싱부 2201...커버부
2210...브라켓 2220...포토센서부

Claims (6)

  1. 신축 가능한 붐과 바스켓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에 있어서,
    바스켓에 고정되어 안전벨트의 후크가 결합되는 걸림부(2110);
    후크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방 단부가 걸림부에 밀착되고 후크의 걸림상태에서 후크의 두께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푸시부(2120);
    상기 푸시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푸시로드(2150);
    상기 푸시로드의 외면에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융기부(2151);
    상기 푸시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2140); 및
    상기 융기부 및 푸시로드의 외면을 추종하는 추종부(2162)와 상기 추종부의 양측으로의 이동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2161)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2160);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복원부에 의하여 걸림부와의 밀착시 후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전방 단부측에서 호 형태로 함몰되어 좌우측이 걸림부의 내주측에 밀착되고 중심측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요홈부(2121)를 구비하고,
    상기 감지부는,
    후크의 걸림부로의 결합시 후크의 두께에 의하여 푸시부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융기부에 배치되는 추종부의 접촉부위가 푸시로드의 외면으로 이동되면서 추종부가 인출된 상태를 감지신호로 발생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의 외주측을 감싸면서 후방측을 고정지지하는 케이싱(2130);을 더 포함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는,
    가장 직경이 큰 부위의 전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면서 푸시로드의 외면과 연결되도록 경사면을 구비하고 추종부가 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감지시스템으로서,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안전벨트의 미취부상태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의 탑승을 판단한 이후에 안전벨트의 취부여부를 판단하며, 안전벨트가 취부되지 않은 경우 바스켓에 구비되는 바스켓조작부(1220)의 제어신호를 제한하는 안전벨트 착용 감지시스템.
KR1020160006793A 2016-01-20 2016-01-20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KR101626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93A KR101626856B1 (ko) 2016-01-20 2016-01-20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793A KR101626856B1 (ko) 2016-01-20 2016-01-20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856B1 true KR101626856B1 (ko) 2016-06-03

Family

ID=5619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793A KR101626856B1 (ko) 2016-01-20 2016-01-20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8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284B1 (ko) * 2020-12-18 2021-03-08 주식회사 대양계기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KR20210036176A (ko) * 2019-09-25 2021-04-02 한국전력공사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KR20230039093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안전고리 체결감지시스템
US11633632B2 (en) 2019-03-22 2023-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protection system with monitoring system
KR102598185B1 (ko) * 2023-05-04 2023-11-02 기동옥 고소작업용 안전 후크 체결감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100A (ja) * 1997-01-30 1998-08-11 Aichi Corp 身体保持装置
JP2004352456A (ja) * 2003-05-29 2004-12-16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3052949A (ja) * 2011-09-02 2013-03-2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100A (ja) * 1997-01-30 1998-08-11 Aichi Corp 身体保持装置
JP2004352456A (ja) * 2003-05-29 2004-12-16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3052949A (ja) * 2011-09-02 2013-03-2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3632B2 (en) 2019-03-22 2023-04-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protection system with monitoring system
US11819714B2 (en) 2019-03-22 2023-1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all-protection system with monitoring system
KR20210036176A (ko) * 2019-09-25 2021-04-02 한국전력공사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KR102278038B1 (ko) 2019-09-25 2021-07-15 한국전력공사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KR102224284B1 (ko) * 2020-12-18 2021-03-08 주식회사 대양계기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KR20230039093A (ko)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안전고리 체결감지시스템
KR102598185B1 (ko) * 2023-05-04 2023-11-02 기동옥 고소작업용 안전 후크 체결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856B1 (ko)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KR101322201B1 (ko) 건설용 중장비 접근 감시 시스템
CN102219154B (zh) 用于无线防滑车撞击系统的电力和控制
JP6511098B2 (ja) 電子センサー式安全防護装置を有する高所作業車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KR101643906B1 (ko) 인터록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39093A (ko) 안전고리 체결감지시스템
KR102004261B1 (ko)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과 방법
JP201305294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101523197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크레인의 안전정보 제공시스템
CN203655137U (zh) 矿用挖掘机登机梯的安全保护装置
CN104393676A (zh) 接地线在线监测装置
JP6202665B2 (ja) 作業機械の外部電源接続装置
KR102028385B1 (ko) 상하부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유압 램 장치
KR20130104393A (ko) 열감지 센서를 이용한 고소차 자동 경보 장치 및 제어방법
CN205249241U (zh) 矿用通讯装置
CN203822141U (zh) 矿用挖掘机及其伸缩梯
CN217424425U (zh) 吊篮触地检测装置
CN105610240B (zh) 接地线安全监控系统
CN214580333U (zh) 一种适用于煤矿井下各类开关遥控器
CN216190502U (zh) 互感器上下料区域安全防护装置
US11053100B1 (en) Crane winch assembly stowage and mod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1097696A (ja) 作業車の安全装置
CN116477540A (zh) 一种牵引支腿式高空作业机械及其控制系统
JP2009035387A (ja) 作業車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