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038B1 -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038B1
KR102278038B1 KR1020190118305A KR20190118305A KR102278038B1 KR 102278038 B1 KR102278038 B1 KR 102278038B1 KR 1020190118305 A KR1020190118305 A KR 1020190118305A KR 20190118305 A KR20190118305 A KR 20190118305A KR 102278038 B1 KR102278038 B1 KR 102278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wire
safety
magne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176A (ko
Inventor
김민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1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3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는, 일측에 안전고리와 전원단자 및 램프를 구비한 버킷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안전고리에 자석을 구비한 안전벨트와, 상기 버킷의 안전고리와 전원단자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와이어와 전선을 구비한 안전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가 버킷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킷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석과 자석센서의 자기장에 의해 센싱되는 안전로프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에 결속하지 않을 경우 버킷에 설치된 램프의 불빛이 빨간색으로 발광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결속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버킷으로부터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SAFTY APPARATUS OF LIVE WIRE OPERATION TRUCK BUCKET WITH WORKER DROP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활선 버킷에 결속된 안전로프가 작업자의 안전벨트와 미결속시 결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 고소차량은 작업자가 버킷에 탑승하여 높은 곳에서 활선 작업이 용이하도록 설계된 장비로써 전력선 이설, 완금 교체, 가공지선 및 지지대 교체, 전주 교체, 애자 교체, 단상선로 3상화 등을 비롯하여 비교적 높은 장소의 전주 또는 철탑 위치까지 작업자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보내거나 귀환시킬 수 있게 하여 목적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예로서, 도 1과 같이 버킷(10)에 탑승된 작업자는 버킷(10)의 일측에 설치된 안전고리(12)와 작업자에 착용되는 안전벨트(20)를 안전로프(30)로 결속하여 작업 중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로프(30)는 버킷(10)의 안전고리(12)에 결속될 때 버킷(10)에 설치된 감지센서(14)가 안전로프(30)의 끝단에 고정된 금속성 카라비너(32)(karabiner)를 감지하여 결속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안전로프(30)의 반대 끝단에 고정된 카라비너(34)는 작업자의 안전벨트(20)와 전기적(電氣的)으로 센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안전벨트(20)와 안전로프(30)의 결속여부를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전벨트(20)와 안전로프(30)의 미연결시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5881호(2003.12.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01190호(2016.01.06.)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버킷에서 작업자의 안전벨트까지 전기적으로 결속여부를 센싱하여 즉시 확인하도록 안전로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는, 일측에 안전고리와 전원단자 및 램프를 구비한 버킷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안전고리에 자석을 구비한 안전벨트와, 상기 버킷의 안전고리와 전원단자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와이어와 전선을 구비한 안전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전고리 및 전원단자는 상기 안전로프측 와이어 및 전선측 하단과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버킷의 외부 측면 하부에 서로 인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자석은 상기 안전고리의 일측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가 결속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안전로프는, 상기 와이어와 전선을 동시 감싸주는 튜브와, 상기 와이어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버킷의 안전고리와 안전벨트의 안전고리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카라비너와, 상기 전선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의 전원단자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단자와, 상기 제2 카라비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과 센싱되도록 상기 전선의 상단과 연결되는 자석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와이어는 강철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꼬아서 만들어지고, 상기 전선은 와이어의 내부 중심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자석센서는 상기 자석과 5㎝ 이내로 접근할 경우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자석센서와 자석이 접근하여 센싱될 경우 램프가 초록색 불빛을 발광하고, 상기 자석센서와 자석이 센싱이 안될 경우 램프가 빨간색 불빛을 발광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는 작업자가 버킷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킷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석과 자석센서의 자기장에 의해 센싱되는 안전로프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에 결속하지 않을 경우 버킷에 설치된 램프의 불빛이 빨간색으로 발광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결속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버킷으로부터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활선 버킷에 안전벨트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활선 버킷과 안전로프 및 안전벨트가 연결된 상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로프와 안전벨트가 미연결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는, 일측에 안전고리(110)와 전원단자(120) 및 램프(130)를 구비한 버킷(100)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안전고리(210)에 자석(220)을 구비한 안전벨트(200)와, 상기 버킷(100)의 안전고리(110)와 전원단자(12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와이어(310)와 전선(320)을 구비한 안전로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안전고리(110)와 전원단자(120) 및 램프(130)는 상기 버킷(100)의 외부 일측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안전고리(110) 및 전원단자(120)는 상기 안전로프(300)측 와이어(310) 및 전선(320)측 하단과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버킷(100)의 외부 측면 하부에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기 램프(130)는 상기 안전고리(110) 및 전원단자(120)와 일정 거리를 두고 버킷(100)의 외부 측면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램프(130)는 상기 안전로프(300)의 전선(320)이 상기 버킷(100)의 전원단자(120)와 안전벨트(200)의 자석과 전기적(電氣的)으로 센싱될 경우 초록색 불빛을 발광하게 되고, 센싱이 안될 경우 빨간색 불빛을 발광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안전벨트(200)는 상기 안전로프(300)의 와이어(310)와 전선(32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일측에 안전고리(210)와 자석(220)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안전고리(210)는 안전벨트(200)의 길이단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자석(220)은 상기 안전고리(210)의 일측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310)가 결속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전로프(300)는, 강철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꼬아서 만든 와이어(310)와, 상기 와이어(310)의 내부 중심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인접하도록 와이어(3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전선(320)과, 상기 와이어(310)과 전선(320)을 동시 감싸주는 튜브(330)와, 상기 와이어(31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버킷(100)의 안전고리(110)와 안전벨트(200)의 안전고리(21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카라비너(340)(350)와, 상기 전선(3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220)과 센싱되도록 상기 버킷(100)의 전원단자(12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단자(360)와, 상기 제2 카라비너(35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320)의 상단과 연결되는 자석센서(37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센서(370)는 상기 자석(220)과 5㎝ 이내로 접근할 경우 센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는 도 2와 같이 안전로프(300)의 하단측 와이어(310)에 고정된 제1 카라비너(340)가 버킷(100)의 외측면에 설치된 안전고리(110)에 결속되고, 안전로프(300)의 하단측 전선(320)에 설치된 연결단자(360)가 버킷(100)의 외측면에 설치된 전원단자(120)에 연결된 상태에서 안전로프(300)의 상단측에 고정된 제2 카라비너(350)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200)의 안전고리(210)에 결속하면, 제2 카라비너(350)의 일측에 설치된 자석센서(370)가 안전벨트(200)측 안전고리(210)에 설치된 자석(220)을 자기장에 의해 센싱하면서 그 센싱된 신호를 버킷(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에 보내게 되고, 이 제어부는 프로그램화된 신호에 따라 램프(130)를 초록색 불빛으로 발광하도록 동작시킴으로써 버킷(100) 내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로프(300)와 연결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버킷(100) 내에 탑승한 작업자가 도 3과 같이 안전로프(300)와 연결되지 않을 경우, 즉 안전로프(300)의 상단측 제2 카라비너(350)가 안전벨트(200)의 안전고리(210)와 미연결되면서 일정 거리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2 카라비너(350)의 일측에 설치된 자석센서(370)가 안전벨트(200)측 안전고리(210)에 설치된 자석(220)과 센싱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수초 후 램프(130)는 제어부(미도시)의 프로그램화된 신호에 따라 빨간색 불빛으로 발광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버킷(100)은 제어부(미도시)의 프로그램화된 신호에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정지하기 때문에 버킷(100)의 이동 작업 중 버킷(100)에 탑승한 작업자가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버킷(100)에 탑승한 상태에서 버킷(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석(220)과 자석센서(370)의 자기장에 의해 센싱되는 안전로프(300)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한 안전벨트(200)에 결속하지 않을 경우 버킷(100)에 설치된 램프(130)의 불빛이 빨간색으로 발광하면서 경고음을 발생하기 때문에 결속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버킷(100)으로부터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버킷 110 : 안전고리
120 : 전원단자 130 : 램프
200 : 안전벨트 210 : 안전고리
220 : 자석 300 : 안전로프
310 : 와이어 320 : 전선
330 : 튜브 340 : 제1 카라비너
350 : 제2 카라비너 360 : 연결단자
370 : 자석센서

Claims (7)

  1. 일측에 안전고리(110)와 전원단자(120) 및 램프(130)를 구비한 버킷(100)과,
    작업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안전고리(210)에 자석(220)을 구비한 안전벨트(200)와,
    상기 버킷(100)의 안전고리(110)와 전원단자(12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와이어(310)와 전선(320)을 구비한 안전로프(300)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로프(300)는,
    상기 와이어(310)와 전선(320)을 동시 감싸주는 튜브(330)와,
    상기 와이어(310)의 하단과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버킷(100)의 안전고리(110)와 안전벨트(200)의 안전고리(210)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및 제2 카라비너(340)(350),
    상기 전선(32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100)의 전원단자(120)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단자(360), 및
    상기 제2 카라비너(35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220)과 센싱되도록 상기 전선(320)의 상단과 연결되는 자석센서(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고리(110) 및 전원단자(120)는 상기 안전로프(300)측 와이어(310) 및 전선(320)측 하단과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버킷(100)의 외부 측면 하부에 서로 인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220)은 상기 안전고리(210)의 일측에 대하여 상기 와이어(310)가 결속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위치에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10)는 강철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꼬아서 만들어지고,
    상기 전선(320)은 와이어(310)의 내부 중심에 삽입되거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센서(370)는 상기 자석(220)과 5㎝ 이내로 접근할 경우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석센서(370)와 자석(220)이 접근하여 센싱될 경우 램프(130)가 초록색 불빛을 발광하고,
    상기 자석센서(370)와 자석(220)이 센싱이 안될 경우 램프(130)가 빨간색 불빛을 발광하면서 경보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KR1020190118305A 2019-09-25 2019-09-25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KR102278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05A KR102278038B1 (ko) 2019-09-25 2019-09-25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305A KR102278038B1 (ko) 2019-09-25 2019-09-25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176A KR20210036176A (ko) 2021-04-02
KR102278038B1 true KR102278038B1 (ko) 2021-07-15

Family

ID=7546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305A KR102278038B1 (ko) 2019-09-25 2019-09-25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475B1 (ko) 2022-01-27 2022-07-28 고관석 고압을 다루는 절연차
WO2023203058A1 (en) * 2022-04-20 2023-10-26 Haulotte Group Device for anchoring an operator to a height work structure, as well as an aerial bucket comprising such an anchoring device
KR102598185B1 (ko) 2023-05-04 2023-11-02 기동옥 고소작업용 안전 후크 체결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382B1 (ko) * 2021-11-16 2024-01-08 한국전력공사 버켓 장착형 추락방지용 안전경보장치
WO2023156793A1 (en) * 2022-02-17 2023-08-24 Nationwide Platforms Limited Safety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platform
CN115346337B (zh) * 2022-08-23 2023-07-2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防止作业人员坠落的方法、控制器、安全带和存储介质
KR102531417B1 (ko) * 2022-09-23 2023-05-12 주식회사 파나시아 레벨 측량을 위한 거치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벨 측량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590A (ja) * 2014-04-03 2015-11-09 日本電設工業株式会社 安全確認装置
KR101626856B1 (ko) 2016-01-20 2016-06-03 주식회사 광림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JP2018130134A (ja) 2017-02-13 2018-08-23 北陸電力株式会社 安全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7336A (ja) * 1997-06-09 1998-12-22 Kao Corp 安全帯を用いる人命防護装置
KR200335881Y1 (ko) 2003-09-08 2003-12-11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안전로프장치
KR101618241B1 (ko) 2014-06-26 2016-05-18 주식회사 지톤그룹 고소 작업차의 버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6590A (ja) * 2014-04-03 2015-11-09 日本電設工業株式会社 安全確認装置
KR101626856B1 (ko) 2016-01-20 2016-06-03 주식회사 광림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JP2018130134A (ja) 2017-02-13 2018-08-23 北陸電力株式会社 安全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475B1 (ko) 2022-01-27 2022-07-28 고관석 고압을 다루는 절연차
WO2023203058A1 (en) * 2022-04-20 2023-10-26 Haulotte Group Device for anchoring an operator to a height work structure, as well as an aerial bucket comprising such an anchoring device
FR3134833A1 (fr) * 2022-04-20 2023-10-27 Haulotte Group Dispositif d’ancrage d’un opérateur à une structure de travail en hauteur, ainsi que nacelle élévatric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ancrage
KR102598185B1 (ko) 2023-05-04 2023-11-02 기동옥 고소작업용 안전 후크 체결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176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038B1 (ko) 작업자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활선 고소차량용 버킷의 안전장치
US4649375A (en) Apparatus for detecting power lines
CN106039613B (zh) 防坠落装置
CN110914191B (zh) 安全系统以及包括这种安全系统的升降设备
CN109069888B (zh) 用于坠落保护设备的负载指示器
US20220266075A1 (en) Fall-protection apparatus with multimodal inductive sensing
US20160016023A1 (en) Fall Arresting System
JP2003070925A (ja) 安全帯
WO2020262873A3 (ko) 고소작업용 안전고리 체결 확인 센서를 구비한 안전관리 시스템
CN115346337A (zh) 防止作业人员坠落的方法、控制器、安全带和存储介质
JP6799307B2 (ja) 法面に吹付け作業を施して法面保護工事を行うロープ高所作業用装置及びロープ高所作業方法
ITPI20070015A1 (it) Dispositivo di rilevamento di pericoli elettrici
CN109281986A (zh) 一种安全分绳挂绳器及使用方法
CN205698935U (zh) 平移式防坠落安全防护及可逃生装置
JP6275386B2 (ja) フック連結確認装置
KR20220080285A (ko) 스마트 안전대
CN106536354B (zh) 人员运载装置
JP2019107085A (ja) 補助ロープ取付確認装置
JP3616740B2 (ja) ブレードロープ
JP6083776B1 (ja) 3色介錯ロープ
KR102643530B1 (ko)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00744U (ko) 탈부착이 가능한 활선경보 장치
JPH1017272A (ja) クレーン取り扱いの安全装置
CN117482424A (zh) 具有智能监测报警功能的安全带及控制方法
JP2018201551A (ja) 高所作業の二重安全対策に用いる中継装置及び二重安全対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