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284B1 -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284B1
KR102224284B1 KR1020200178185A KR20200178185A KR102224284B1 KR 102224284 B1 KR102224284 B1 KR 102224284B1 KR 1020200178185 A KR1020200178185 A KR 1020200178185A KR 20200178185 A KR20200178185 A KR 20200178185A KR 102224284 B1 KR102224284 B1 KR 102224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witch
ring
ring member
a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양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양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양계기
Priority to KR102020017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소작업대의 안전난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수평 난간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 부재와, 상기 고리 부재와 체결되는 중간 프레임 부재와,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 영역에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의 상부측에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한 상하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SAFETY ASSISTANT DEVICE FOR TOWER WAGON}
본 발명은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 작업 시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보조하기 위한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는 전신주 위에 설치되는 고압선로의 설치나 철거 또는 유지보수 등의 제반 공사를 위하여 작업자가 탑승하여 소정 고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한다.
고소작업차는 주행을 위한 차체의 상부에 신축 가능한 복수의 붐으로 이루어진 크레인이 설치되어 차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크레인의 말단부에는 안전 난간 구조체가 결합되어 작업자가 내부에 탑승하여 작업하거나 장비들을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잇다.
일반적인 고소작업차는 복수의 붐이 결합하여 유압에 의해 신축 작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붐은 차량 본체에 대해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상하 회동이 가능하며 유압모터에 의하여 회전도 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붐은 신축, 상하회동 및 좌우회전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전방향으로 안전 난간 구조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붐의 최상단인 선단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안전 난간 구조체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회전각도의 변경이 요구되고 종래에는 이를 위하여 차량을 이동하거나 지상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으로 구동되었다.
종래에는 단순하게 작업자의 탑승과 고소작업의 효율성에 대해서만 관심을 가졌으나, 최근에는 작업자의 안전에 대하여 인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고, 현재 국내에서 운용되고 있는 고소작업차에 대하여 안전벨트를 고정할 수 있는 안전 벨트 고리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실제 관리감독이 소홀하고 작업자들의 안전에 대해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작업을 수행하는 사례가 많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고소에 독립된 공간인 안전 난간 구조체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 안전벨트의 착용은 작업자의 판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이를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소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벨트(안전고리)가 제대로 착용되지 않은 경우, 고소작업대의 작동을 바로 중단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안전을 보조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고소작업대의 안전난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수평 난간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 부재와, 상기 고리 부재와 체결되는 중간 프레임 부재와,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 영역에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의 상부측에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한 상하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은, 외부의 안전 고리가 통과할 수 있는 안전 고리 홀을 형성하는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와, 상기 하부 블록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가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해 상하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은, 외부의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고리 홀과 상기 관통 홀을 함께 관통한 후 상기 관통 홀에 걸림에 따라 제1 상태에 있던 상기 스위치가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는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해 상기 관통 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에 맞닿게 되어 탄성력에 의한 상승 동작이 중단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에 맞닿아 상승 동작이 중단된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에 의해 제1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외부의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고리 홀과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를 함께 관통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가 상기 안전 고리 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제2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허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체결되는 일 영역과 상기 스위치와 맞닿는 타 영역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고리 부재와 제2 고리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양측에는 고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고리 부재의 양단과 상기 제2 고리 부재의 양단이 삽입 가능한 체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소작업대에 탑승한 작업자가 안전벨트(안전고리)가 제대로 착용되지 않은 경우, 고소작업대의 작동을 바로 중단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상태에 따라 안전을 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상면도와 하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에 안전 고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가 장착된 고소작업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고소작업대(10)는 주행 가능한 고소작업차의 차량 본체와 연결되어, 신축 가능한 붐(13)과, 그 선단부에 결합되는 안전 난간 구조체(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안전 보조 장치(100)는 안전 난간 구조체(11)에 장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는, 고소작업차의 고소작업대 뿐만 아니라, 크레인이나 리프팅 장치 등 작업자가 탑승하여 지면에서 이격된 높이에서 작업이 가능한 다양한 장비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100)는 복수의 붐(13)이 조립체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인입 및 인출되어 일단부측에서 소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붐(13)의 일단부에는 안전 난간 구조체(11)가 결합되어 작업자 및 장비의 하중을 지지하고 타단에서 지면 위에 위치하여 지면을 지지하는 고소작업대(10)의 베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붐(13)은 인입 및 인출 작동, 승하강 동작 및 좌우회전의 동력은 고소작업차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동력의 인출은 PTO(Power take off) 장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동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는 붐(1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작동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제어부(미도시)를 통하여 지상의 조작자는 붐(13)의 신축, 승하강 동작 및 좌우회전 등 붐(13)의 작동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제어부(미도시)는 안전 난간 구조체(11)를 원격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작동 제어부(미도시)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붐(13)의 신축실린더, 유압모터, 윈치의 모터, 안전 난간 구조체(11)의 회동모터, 아우트리거 등의 장비에 송신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안전 난간 구조체(11)는 고소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붐(13)의 움직임이나, 외부 환경에 따라 요동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작업자의 안전상의 불안요소로 작용된다. 작업자의 안전벨트가 안전 난간 구조체(11)에 정확하게 취부되지 않는 경우에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100)는 안전 난간 구조체(11)에 설치 구비되어 작업자의 안전벨트의 취부상태에 따라 작동 제어부(미도시)가 고소작업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안전벨트(이하, 안전 고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고, 작업자의 허리나 상반신 등에 착용되며, 소정의 거리 만큼 연장되도록 일단이 안전 난간 구조체(11)에 설치된 안전 보조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평면도와 저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100)는, 고리 부재(110), 중간 프레임 부재(130), 하부 블록(150),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리 부재(110)는 고소작업대의 안전 난간 구조체(11)를 구성하는 수직 난간 부재와 수평 난간 부재 중 수평 난간 부재에 걸릴 수 있다. 즉, 고리 부재(11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난간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리 부재(110)는 제1 고리 부재(111)와 제2 고리 부재(113)로 마련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안전 보조 장치(100)는 상기 제1 고리 부재(111)와 제2 고리 부재(113)에 의해 안전 난간 구조체(11)의 수평 난간 부재에 취부됨에 따라 안전 난간 구조체(11)에 설치될 수 있다.
중간 프레임 부재(130)는 고리 부재(110)와 체결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평면도인 도3 (a)를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 부재(120)의 상면의 양측에 제1 고리 부재(111)의 양단과, 제2 고리 부재(113)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의 저면도인 도3 (b)를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 부재(120)의 하면의 양측에는 제1 고리 부재(111)의 양단과, 제2 고리 부재(113)의 양단이 삽입 가능한 체결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중간 프레임 부재(120)의 체결공에 삽입된 상기 제1 및 제2 고리 부재(111, 113) 각각의 양단은 볼트(190)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 프레임 부재(130)의 상부측에는 고리 부재(110)가 배치되고, 중간 프레임 부재(130)의 하부측에는 중간 블록(150) 및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170)이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 프레임 부재(1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리 부재(111)와 제2 고리 부재(113)가 형성되는 양측 영역의 폭(width)이, 하부 블록(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도2를 참조한다.
하부 블록(150)은 중간 프레임 부재(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 영역에 안전 고리(2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 홀(151)의 형성 위치보다 위에 고소작업대(10)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53)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153)는 도1을 참조한 설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안전 고리(안전 벨트)의 취부상태에 따라 작동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고소작업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치(153)는 붐(13) 및 안전 난간 구조체(1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153)는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안전 보조 장치(10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제1 상태)에서는 고소작업대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 고리가 안전 보조 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제2 상태)에서는 고소작업대의 동작(승하강 동작 및 좌우회전)을 허용함에 따라, 고소작업대가 고소 작업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170)은 하부 블록(15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안전 고리(20)에 의한 상하 동작에 따라 스위치(1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170)은 탄성 지지 부재(171)와,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171)는 하부 블록(1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가 안전 고리(20)에 의해 상하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하여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를 지지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는 안전 고리(20)가 통과할 수 있는 안전 고리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는 하부 블록(150)의 측면에 배치되는 탄성 지지 부재(171)에 체결되는 일 영역과, 스위치(153)와 맞닿는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의 타 영역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지지 부재(171)는 하부 블록(150)의 측면에 부착되는 탄성 지지 부재 프레임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 부재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는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가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은 탄성 지지 부재 프레임의 구멍을 관통하는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에 안전 고리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170)은 작업자의 안전 고리(20)가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의 안전 고리 홀과 하부 블록(150)의 관통 홀(151)을 함께 관통함으로써, 안전 고리(20)가 안전 고리 홀과 관통 홀(151)에 걸림에 따라 제1 상태에 있던 스위치(153)가 제2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소작업대는 승하강 동작 및 좌우회전 등 작동할 수 있다. 안전 고리(20)가 걸려있는 상태에서의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의 안전 고리 홀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151)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되어 있던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와 스위치(153)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스위치(153)가 제2 상태로 셋팅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걸려있던 안전 고리(20)가 안전 보조 장치(100)로부터 이탈되어 걸려있던 안전 고리(20)가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의 안전 고리 홀로부터 벗어나면, 제2 상태에 있던 스위치(153)는 제1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고소작업대의 동작이 중단된다.
이때,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173)는 안전 고리(20)가 외부로 벗어나면서, 탄성 지지 부재(171)의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으로 위로 올라가다가, 중간 프레임 부재(120)의 하부면에 맞닿게 되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고정된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100)는 고소작업차 및 고소작업대가 작업 현장에 모두 셋팅된 후에, 고소작업대에 설치되고, 설치된 후 작동하는 것으로서, 고소작업대에 설치되기 이전에는 안전 고리의 장착유무와 관계없이 작동하지 아니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보조 장치(100)는 작동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전원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고소작업대
11: 안전 난간 구조체
13: 붐
20: 안전 고리(안전 벨트)
100: 안전 보조 장치
110: 고리 부재
130: 중간 프레임 부재
150: 하부 블록
170: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

Claims (8)

  1. 고소작업대의 안전난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수평 난간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리를 형성하는 고리 부재와,
    상기 고리 부재와 체결되는 중간 프레임 부재와,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 영역에 관통 홀과 상기 관통 홀의 상부측에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하부 블록과,
    상기 하부 블록의 일측에 결합되어 배치되고,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한 상하 동작에 따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은,
    외부의 안전 고리가 통과할 수 있는 안전 고리 홀을 형성하는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와,
    상기 하부 블록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가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해 상하 동작을 수행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동작 제어 모듈은,
    외부의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고리 홀과 상기 관통 홀을 함께 관통한 후 상기 관통 홀에 걸림에 따라 제1 상태에 있던 상기 스위치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는 외부의 안전 고리에 의해 상기 관통 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에 맞닿게 되어 탄성력에 의한 상승 동작이 중단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하부면에 맞닿아 상승 동작이 중단된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에 의해 제1 상태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외부의 안전 고리가 상기 안전 고리 홀과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를 함께 관통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가 상기 안전 고리 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와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제2 상태로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제1 상태일 때,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2 상태일 때, 상기 고소작업대의 승하강 동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제어 고리 부재는,
    상기 탄성 지지 부재에 체결되는 일 영역과 상기 스위치와 맞닿는 타 영역이 서로 수직하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부재는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고리 부재와 제2 고리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 부재의 양측에는 고리를 형성하는 상기 제1 고리 부재의 양단과 상기 제2 고리 부재의 양단이 삽입 가능한 체결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KR1020200178185A 2020-12-18 2020-12-18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KR102224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85A KR102224284B1 (ko) 2020-12-18 2020-12-18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85A KR102224284B1 (ko) 2020-12-18 2020-12-18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284B1 true KR102224284B1 (ko) 2021-03-08

Family

ID=7518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85A KR102224284B1 (ko) 2020-12-18 2020-12-18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2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165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신호테크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2598185B1 (ko) * 2023-05-04 2023-11-02 기동옥 고소작업용 안전 후크 체결감지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100A (ja) * 1997-01-30 1998-08-11 Aichi Corp 身体保持装置
JPH11100198A (ja) * 1997-09-29 1999-04-13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H11322296A (ja) * 1998-05-13 1999-11-24 Yurtec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1240395A (ja) * 2000-02-29 2001-09-04 Aichi Corp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2004352456A (ja) * 2003-05-29 2004-12-16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6021897A (ja) * 2004-07-09 2006-01-26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3052949A (ja) * 2011-09-02 2013-03-2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101626856B1 (ko) * 2016-01-20 2016-06-03 주식회사 광림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KR101643906B1 (ko) * 2016-01-20 2016-07-29 주식회사 광림 인터록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2100A (ja) * 1997-01-30 1998-08-11 Aichi Corp 身体保持装置
JPH11100198A (ja) * 1997-09-29 1999-04-13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H11322296A (ja) * 1998-05-13 1999-11-24 Yurtec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1240395A (ja) * 2000-02-29 2001-09-04 Aichi Corp 作業用車両の安全装置
JP2004352456A (ja) * 2003-05-29 2004-12-16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6021897A (ja) * 2004-07-09 2006-01-26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13052949A (ja) * 2011-09-02 2013-03-21 Aichi Corp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101626856B1 (ko) * 2016-01-20 2016-06-03 주식회사 광림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KR101643906B1 (ko) * 2016-01-20 2016-07-29 주식회사 광림 인터록을 구비하는 고소작업차의 탑승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0165A (ko) 2022-03-29 2023-10-06 주식회사 신호테크 시저 리프트 타입 고소작업대용 안전장치
KR102598185B1 (ko) * 2023-05-04 2023-11-02 기동옥 고소작업용 안전 후크 체결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284B1 (ko) 고소작업대 안전 보조 장치
EP2058265B1 (en) Traveling crane and assembling/disassembling method thereof
CN102190256B (zh) 起重机
EP2969887B1 (en) Scissors lift assembly for jacking tower
WO2014140723A1 (en) Self erecting jacking tower
CN106012852B (zh) 支架整体落架施工方法
KR20100121409A (ko) 자동설치 버팀장치를 구비한 신축식 크레인과 버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JP2015019482A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CN102311049A (zh) 一种港口起重机械及其锚定防风机构
CN204873628U (zh) 一种履带起重机臂架系统用快卸式支腿
JPH0530758B2 (ko)
RU2114048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и ремонта контактной сети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CN210795549U (zh) 一种用于室外桥机的锚定装置及桥机组件
WO2016001212A1 (en) Device for lifting loads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JP4389200B2 (ja) 落橋防止用鋼製ブラケットおよびブロックの取付け装置
CN214935782U (zh) 一种转向避障装吊装置
JP2582226Y2 (ja) 移動式クレーン装着型の高所作業用ゴンドラ装置
CN220310743U (zh) 桥梁喷涂装置
AU2013284354A1 (en) Crane arrangement
CN221051415U (zh) 一种塔式起重机
CN214656395U (zh) 一种高处作业施工平台
CN114873481B (zh) 一种用于救援的随车吊及使用方法
CN215886271U (zh) 一种施工升降机安装拆卸用维修平台
CN218754666U (zh) 一种移动吊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