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486B1 -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486B1
KR101910486B1 KR1020170134391A KR20170134391A KR101910486B1 KR 101910486 B1 KR101910486 B1 KR 101910486B1 KR 1020170134391 A KR1020170134391 A KR 1020170134391A KR 20170134391 A KR20170134391 A KR 20170134391A KR 101910486 B1 KR101910486 B1 KR 10191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holder
coupling device
guide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기
Original Assignee
신한곤도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곤도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한곤도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에 설치되는 개별적인 두 안전장치의 전기적 기계적인 수단들을 통폐합함으로써 중복되는 전선과 리밋스위치의 수를 줄임은 물론 협착 감지대에 부착되는 링크, 복원을 위한 코일 스프링, 베이스 바, 등 여러 부속품을 없앰으로써 리프트의 안전장치를 현저히 단순화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SAFETY DEVICE OF THE LIFT TO PREVENT OVER-RISING AND CRAMPING}
본 발명은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각종 건설 현장에서 리프트를 타고 작업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시설물에 부닥치거나 끼여서 생기는 안전사고 이른바 협착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리프트의 과상승에 의한 협착사고를 방지하고자, 종래의 과상승 방지장치의 리밋과 난간대 협착방지 장치의 리밋을 하나로 묶어 안전장치의 전원을 간결화한 것이다.
각종 시설물을 설치해야 하는 건설 현장은 대부분 작업위치가 높아 이 리프트를 이용하지 않으면 작업이 거의 불가능한 곳이다.
이 리프트는 작업에 필요한 공구는 물론 위생 파이프, 덕트, 전선 트레이. 등 건설자재를 함께 들어 올려야 하므로 일단 작업이 진행되면 작업자가 작업대 난간 대에는 상기 자재를 올리고 작업대 바닥에는 공구나 볼트, 피스, 밴드 등 부속품을 싣기 때문에 작업대가 가득하여 작업자가 몸을 운신하기 어려울 정도로 복잡하다.
이러한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운전자에게는 리프트를 상하 또는 전후로 운전하여 작업을 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운전자는 당연히 주위를 살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실린 자재나 다른 방해물에 가려서 원하는 위치로 운전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리프트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씨저("B")에 의해 기립하는 구조이므로 씨저의 다절점 때문에 어느 정도 상승하면 전후좌우로 요동할 뿐 아니라, 건설현장의 바닥도 고르지 못해서 덜컹거리는 등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로 운전하기란 대단히 어려운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작업 시에 리프트를 운전함에 있어 주의해야 할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리프트의 상승기능을 원하는 위치에서 멈추게 하는 제어 수단인데 작업자가 작업에 몰두하다 보면 작업자가 못 보고 운전단추를 계속 누르다가 과상승하여 시설물에 부닥치거나 잘 안 보이는 방해물과 리프트의 난간대가 부닥쳐 사람의 손이나 팔을 끼이는 안전사고 이른바 협착사고라는 것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대 난간 대 위에 협착장치(200)를 난간대에 부착하여 리프트를 작업위치를 향해 움직일 때 주변에 있는 돌출물에 미리 닿아 작업자의 손이나 팔이 끼이는 사고를 미연에 방치하며, 동시에 작업대 난간대 적당한 위치에 과상승 방지장치(100)를 2개 이상 고정하여 상승 시에 위로부터 다가오는 물체에 미리 감지하여 더 이상의 상승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두 종의 안전장치는 개별로 전기적 리밋스위치를 달아야 하였으므로 가뜩이나 복잡한 작업대를 복잡하게 만들었다.
특히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감지대(202)를 서포트하기 위해 난간대(402)와 베이스 바(201)를 경첩 판(221)과 경첩(222, 222')으로 연결한 후 그 위에 한 쌍의 링크(211, 211')와 코일스프링(212) 및 리밋 스위치(213) 등 협착방지 장치의 부속 수단들을 부착함으로써 보기에도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감지대(202)가 아래로 움직일 때 손이나 손가락이 끼일 공간이 많은 단점이 있었다.
상기 베이스 바(201)와 감지대(202) 사이에 있는 링크 가이드 블록, 리밋 스위치 브라킷, 스프링 고정 브라킷 등 끼이기 쉬운 곳에 손이 못 들어가도록 투명 비닐 커버를 붙이기도 한다.
KR 20-2012-0006585 U KR 10-1547432 B1 KR 20-2009-0004114 U
본 발명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리프트의 개별적인 두 안전장치의 전기적 개폐를 하나의 리밋스위치에 의해 작동되게 함으로써 중복되는 전선과 리밋스위치를 제거함은 물론 협착 감지대에 부착되는 링크, 복원을 위한 코일 스프링, 베이스 바, 등을 없애는 것이다.
전항에서 설명하였듯이 건설작업 시에는 배관. 관부속품, 전선, 잡철물 및 볼트 등 금구들을 각종 작업공구와 함께 리프트에 실어 올려야 하므로 리프트의 안전장치의 내구성과 단순성을 개선하는 일은 참으로 중요하다.
불필요한 하나의 수단을 없애면 리프트의 좁은 직업공간이 그만큼 넓어지고 간단하고 단순해진 만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도 편하게 해주므로 그만큼 안전사고의 요인이 감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조자는 부단히 개선하여야 하는 것이 그들의 의무이다.
본 발명은 이런 측면에서 리프트의 두 안전장치 승상승리밋과 협착방지 장치를 개선하여 열악한 건설현장에서 일하는 리프트 운전자들에게 보다 안전한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감지높이 다단조절식 과상승 리밋스위치(등록특허 20-04445916)의 지지구조에 협착방지장치의 감지대를 연결하여 과상승 또는 협착 어느 쪽이 감지되더라도 리밋스위치가 리프트의 전원을 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프트의 개별적인 두 안전장치의 전기적 개폐를 하나의 리밋스위치에 의해 작동되게 하여 중복되는 전선과 리밋스위치를 제거함은 물론 협착 감지대를 난간대에 부착하기 위해 필요한 링크, 복원을 위한 코일 스프링, 베이스 바, 등을 없앰으로써 리프트의 안전장치를 현저히 단순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승리밋 장치와 협착방지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대 조립체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다단조절식 상승리밋 장치에 대한 외관도와 부분 해부도.
도 5는 종래의 협착 감지대의 상세구조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난간대와 감지대가 결합장치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장치의 상세구조를 다양한 시점에서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은 리프트에 설치되는 종래의 두 안전장치, 즉 협착방지 장치와 과상승방지 장치가 개별로 설치되는 것을 전기적 기계적인 수단들을 통폐합하는 것으로 그 구성과 구성품들의 작용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결론부터 말하면 본 발명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중복되는 전선과 리밋스위치의 수를 줄임은 물론 협착 감지 대에 부착되는 링크, 복원을 위한 코일 스프링, 베이스 바, 등 여러 부속품을 없앰으로써 복잡한 작업대를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자에게는 보다 편한 리프트를 제공하고 안전장치의 성능은 더욱 업그레이드하는 것이다.
따라서 협착방지 장치와 상승리밋을 우선 기계적 수단들을 간단하게 하려면 상승리밋의 상승기능을 이용하여 협착 감지대를 상하운동을 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안한 것이 도 7에 보인 결합장치(300)인데, 이 결합장치(300)는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의 상하운동 수단들보다 크기가 작아서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작업대 조립체(400)를 현저히 단순하게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장치로서 "가"는 난간대(402) 밖에서 안으로 본 사시도이며, "나"는 난간대(402) 안에서 밖으로 본 사시도, "다"는 자재적재시 열어젖힌 상태도이다.
다시 말하면 도 2 및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는 감지대(202)에 상하 방향의 운동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베이스 바(201)와 그 위에 한 조의 경사 링크(211, 211'), 복원을 위한 코일 스프링(212) 등으로 구성되고 물체에 밀려 하향으로 소정의 거리까지 내려가야 리밋 스위치(213)를 치게 되는 것이다.
협착방지 장치(200)의 감지대(202)는 그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자재를 난간대에 올릴 때에는 협착장치가 방해되므로 난간대 바깥으로 열어젖힐 수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길이가 길고 넓은 경첩 판(221)과 한 조의 경첩1(222)과 경첩2(222')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는 또한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작업대 조립체(400)에 설치된 상태를 보면 부품 수가 많고 작업대는 그만큼 더 복잡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불합리하고 안전에 역효과를 제공하는 요인들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의 대신에 그보다 간단하고 크기가 작은 결합장치(300)를 만들어 도 6과 같이 작업대 조립체(400)의 난간대(402)에 조립하는 것이다. 결합장치(300)에 의해 감지대(202)가 과상승 방지장치(100)에 결합되며, 과상승 방지장치(100)는 난간대(402)에 고정된 상태에서 동작한다.
결합장치(300)는 상부의 감지대 홀더(304)가 측단면의 모양이 ㄷ자이기 때문에 개방된 일측에서 감지대(202)가 삽입된다. 감지대 홀더(304)의 하부에는 원통형 모양의 가이드 파이프(310)가 상하로 연장된다. 감지대 홀더(304)의 하부 일측에는 가이드 파이프(310)와 평행하게 스프링 포켓(303)이 상하로 연장된다.
스프링 포켓(303)의 하부에는 밑면이 개방된 난간대 홀더(301)가 형성된다. 난간대 홀더(301)는 위에서 난간대(202)를 끼우면서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난간대(402)에 난간대 홀더(301)를 먼저 결합한 다음에 장공(311)에 볼트를 끼워 견고히 조립한 후, 그 위를 지나가는 협착방지 장치(200)의 감지대(202)를 측단면이 ㄷ자 모양인 감지대 홀더(304)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볼트 홀(312)에 볼트를 끼워 견고히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협착방지 장치(200)의 감지대(202)를 감지대 홀더(304)에 결합시키기 전에 결합장치(300)의 가이드 파이프(310)에 걸리는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가이드 봉(103)을 임시 빼내는 것이 순서이다.
결합장치(300)의 가이드 파이프(310)가 가이드 슬리브(105) 상단 중심에 맞춰 결합장치(300)를 난간대(402)와 감지대(202)에 완전히 조립한 다음에 빼내었던 가이드 봉(103)을 다시 제자리에 꽂고 나비 너트(106)를 완전히 조여 잠근다.
따라서 상기 결합장치(300)가 종래 협착방지 장치(200)의 상하동작을 수행하므로 그것의 전기적인 리밋 스위치(213) 등의 전기적 수단은 더 이상 불필요하게 된 것이다.
종래의 감지대(202)는 도 5와 같이 링크(211, 211')의 레버 길이(LL)가 길어 하향으로 움직여 응답하는 시간이 긴 것 역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상기 응답 시간이 길다는 것은 리밋이 작동하기 전에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한편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응답시간을 보면 도 4 "나"에 보인 바와 같이 스트로크(S1)가 짧아 응답이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의 것보다 길지 않다.
따라서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밀대(102)가 움직이는 수직 스트로크(S1)와 같도록 도 7의 "나"에 보인 바와 같이 결합장치(300)의 스프링 포켓(303)에 장공(311)을 마련하여 상대적으로 더 긴 스트로크(S2)를 갖게 하는 것이다.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의 감지대(202)의 상하 이동 스트로크에 대해 좀 더 설명하면,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링크1(211)은 감지대(202)와 베이스 바(201)를 연결해야 하므로 구조상 긴 길이(LL)가 요구된다.
즉 이 링크1(211)에 의해 감지하는 스토로크가 겸용하는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스트로크(S1)보다 길 뿐만 아니라, 더욱이 불필요한 수평 변위가 생긴다는 것이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소하지만 안전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결함이므로, 전항에서 설명하였듯이 건설작업 시에는 배관, 관부속품, 전선, 잡철물 및 볼트 등 금구들을 이 리프트를 이용하여 위로 올려야 하므로 언제 어떤 상황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리프트의 안전장치의 내구성과 단순성을 개선하는 일은 참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조자는 부단히 개선하여야 하는 것이 그들의 의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협착방지 장치(200)의 감지대(202)를 결합장치(300)의 감지대 홀더(304)와 결합하고, 동시에 가이드 파이프(310)가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가이드 봉(103)이 관통하는 가이드 슬리브(105) 상단을 누르게 함으로써 오직 수직 운동만 허용할 뿐만 아니라 구조상 그 스트로크(S2)가 짧아 스위치(108)의 응답시간이 종래의 협착방지 장치(200)의 응답시간보다 짧아지는 특징이 있다.
하나의 불필요한 수단을 없애면 리프트의 좁은 작업공간이 그만큼 넓어지고 간단하며 단순해진 만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도 편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그 만큼안전사고의 요인이 줄어드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런 측면에서 리프트의 두 안전장치 상승리밋과 협착방지 장치를 크게 개선함으로써 열악한 건설현장의 리프트 운전자들에게 종래의 것보다 안전한 리프트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기타 구성품들에 관한 설명은 부호의 명칭과 첨부도면으로 대체한다.
100 : 과상승 방지장치
101 : 베이스 펀 102 : 밀대 103 : 가이드 봉
104 : 감지 원판 105 : 가이드 슬리브 106 : 나비 너트
107 : 코일스프링 108 : 스위치 109 : 윗 덮개
110 : 아래 덮개 111 : 옆 덮개
200 : 협착방지 장치
201 : 베이스 바 202 : 감지대 211 : 링크1
211' : 링크2 212 : 코일스프링 213 : 리밋 스위치
221 : 경첩 판 222 : 경첩1 222' : 경첩2
223 : 볼트 홀
300 : 결합장치
301 : 난간대 홀더 302 : 스프링 받침대 303 : 스프링 포켓
304 : 감지대 홀더 305 : 스토퍼 306 : 코일 스프링
307 : 경첩 308 : 핀 보쓰1 308' : 핀 보쓰2
309 : 고정 핀 310 : 가이드 파이프 311 : 장공
400 : 작업대 조립체
401 : 바닥 402 : 난간대 403 : 조종간
'A' : 대차 'B' : 씨저 S1 : 스트로크
S2 : 스트로크 LL : 레버 길이

Claims (2)

  1. 리프트가 과상승하여 작업자가 천장에 협착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리프트의 난간대(402)와 감지대(202)를 결합하기 위해, 난간대 홀더(301), 감지대 홀더(304), 가이드 파이프(310), 스프링 포켓(303)으로 결합장치(300)를 구성하고,
    결합장치(300)의 하부에 형성된 난간대 홀더(301)를 난간대(402)의 위에 결합한 다음 볼트 홀에 볼트를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난간대 홀더(301)의 위쪽에 있는 감지대(202)를 결합장치(300)의 상부에 형성된 감지대 홀더(304)에 넣고 볼트 홀(312)에 볼트를 끼워 고정시키며,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절연체 가이드 봉(103)을 임시 빼낸 후, 상기 결합장치(300)의 가이드 파이프(310)를 가이드 슬리브(105) 상단 중심에 맞춰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봉(103)이 상기 가이드 파이프(310)를 관통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나비 너트(106)로 상기 가이드 봉(103)을 고정시키며,
    상기 감지대(202)가 방해물과의 접촉을 상기 과상승 방지장치(100) 하부에 있는 스위치(108)에 전달하기 위해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밀대(102)의 수직 이동 스트로크(S1)와 같도록 결합장치(300)의 스프링 포켓(303)에 스트로크(S2)를 갖는 장공(311)을 상하 방향으로 마련하며,
    상기 감지대(202)가 상기 결합장치(300)의 감지대 홀더(304)와 결합하여 가이드 파이프(310)가 과상승 방지장치(100)의 가이드 봉(103)이 관통하는 가이드 슬리브(105)의 상단을 누르게 함으로써 상기 스위치(108)에는 수직으로 누르는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며,
    상기 결합장치(300)가 상기 감지대(202)의 상하 이동 동작을 하부의 스위치(108)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장치(300)는
    측단면이 ㄷ자이며, 개방된 일측으로 상기 감지대(202)가 삽입 고정되는 상부의 감지대 홀더(304)와;
    상기 감지대 홀더(304)의 하부에 상하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가이드 파이프(310)와;
    상기 감지대 홀더(304)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 파이프(310)와 평행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스프링 포켓(303)과;
    상기 스프링 포켓(303)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난간대(402)를 위에서 끼워서 고정시키는 난간대 홀더(301);를 포함하는,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20170134391A 2017-10-17 2017-10-17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KR101910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91A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7-10-17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91A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7-10-17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486B1 true KR101910486B1 (ko) 2018-10-24

Family

ID=6413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391A KR101910486B1 (ko) 2017-10-17 2017-10-17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0005A (zh) * 2019-03-21 2019-07-05 温州市鹿城建设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市政维护工具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60B1 (ko) 2006-04-06 200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4-11-07 김연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101629707B1 (ko) 2015-06-25 2016-06-13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60B1 (ko) 2006-04-06 2006-12-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200475143Y1 (ko) 2013-12-11 2014-11-07 김연한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KR101629707B1 (ko) 2015-06-25 2016-06-13 한국종합렌탈 주식회사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0005A (zh) * 2019-03-21 2019-07-05 温州市鹿城建设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市政维护工具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8536B2 (en) Scaffold system
KR200465878Y1 (ko) 고소작업대의 다단조절식 상한 리밋스위치
JP5962473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628068A (zh) 用于无机房电梯的轿厢的顶部安全扶栏
KR20090118467A (ko) 고소작업대의 천장협착방지장치
KR101910486B1 (ko) 리프트의 협착과 과상승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
JP2013523565A (ja) 低オーバヘッドエレベータの可倒式ストップ
KR101629707B1 (ko)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KR100656960B1 (ko)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JP6145078B2 (ja) 昇降台装置
WO2006010785A8 (en) Mounting base for an elevator machine
JP6090202B2 (ja)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時の安全装置
JP3012961B2 (ja) 墜落防止装置を有する伸縮はしご及び安全器
KR101953817B1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JP2011153012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装置
KR102447770B1 (ko) 락 다운 장치 유지 공구 및 균형차 장치의 위치 조정 방법
KR20090006716U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장치
KR101581881B1 (ko) 모니터 자동수납 책상
JPH09124297A (ja) 高所作業車の障害物検出装置
KR200408504Y1 (ko) 이동식 작업대
JP2004244188A (ja) エレベータかご
JP2019099149A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JPH063014Y2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作業安全装置
JP6432920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把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