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920A -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920A
KR20150077920A KR1020130166877A KR20130166877A KR20150077920A KR 20150077920 A KR20150077920 A KR 20150077920A KR 1020130166877 A KR1020130166877 A KR 1020130166877A KR 20130166877 A KR20130166877 A KR 20130166877A KR 20150077920 A KR20150077920 A KR 20150077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bar
collision
sensing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6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6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7920A/ko
Publication of KR20150077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구의 종단에 바스켓이 장착되는 대차; 상기 바스켓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각종 버튼 또는 레버가 구비되고, 비상해제버튼이 포함되는 조작부; 및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측부에 설치되며, 구조물과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지지 기구를 하강시키는 완충식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는, 바스켓의 난간 상부에 구조물과 충돌시 완충 역할을 하도록 완충식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바스켓의 난간에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난간은 물론 바스켓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완충식 안전장치의 감지방호바의 상부 가로바가 바스켓의 다른 구성 요소들보다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구조물에 충돌하기 전에 먼저 감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충돌 후에 비상해제 조치가 없는 한 바스켓이 지상으로 내려오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 시에 불가피하게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당하더라도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부상자의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고, 또한, 무선 통신설비를 구축함으로써, 고소 작업차의 위치, 작업자(또는 운전자)의 인적사항은 물론 완충식 안전장치의 동작시 실시간으로 중앙부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업무 효율 향상 및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High-Lift Work Vehicle with Safety System}
본 발명은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차는, 자주식의 대차 위에 구비한 수직 승강식 혹은 신축 붐식으로 이루어진 지지 기구에 바스켓을 설치하고, 바스켓에 작업자를 실어 적소로 이동함으로써, 선박건조 과정에서의 도색, 블라스팅, 용접작업은 물론, 높은 곳에서의 건설공사나 전기통신 공사 등의 각종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는,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가 수직 승강식 혹은 신축 붐식으로 이루어진 지지 기구를 작동시켜 바스켓의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바스켓용 조작부가 마련되며, 작업자의 추락 방지 및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바스켓에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의 고소 작업차는, 바스켓에 탑승한 작업자가 바스켓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시, 작업중인 선박이나 블록, 불규칙한 주위의 구조물 등과 충돌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의 특성상 대부분 고소의 위치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반해, 바스켓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작업자의 상반신이 작업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서, 작업자의 부주의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해 머리, 어깨, 등, 목 등의 신체부위가 구조물과 충돌하거나, 주위의 구조물 및 바스켓용 조작부와의 사이에 작업자의 상반신이 들어가 물리는 등 심각한 부상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충돌로 인해 충격을 받은 작업자는 당황하거나 무의식중에 조작 중이던 조작부의 작동레버를 지속적으로 작동시켜 작업자의 부상을 가중시키거나 심하게는 사망사고에 이르는 등, 안전사고로 인한 산업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며, 이러한 안전사고와 함께 바스켓 등도 손상되거나 파손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이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 20-2009-0002074 호(공개일자: 2009. 03. 04)에 공개되어 있다.
제 20-2009-0002074 호에는, 바스켓의 난간 상부에 골조 구조를 형성하는 안전바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상체를 보호하고, 안정장치를 조작부의 일측에 설치하여 구조물이나 작업자의 신체부위를 안전장치의 와이어를 통해 감지하므로 바스켓의 작동이 비상정지되도록 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제 20-2009-0002074 호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안전바가 난간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구조물과 충돌시 안전바를 통해 충격력이 바스켓의 난간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 난간은 물론 바스켓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 구조물이나 작업자의 신체부위를 최초로 감지하는 와이어가 작업자의 키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작업자가 구조물과 충돌한 후에 안전장치가 신체부위를 감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심각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을 수 있지만,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안전장치에 의해 바스켓의 작동을 비상 정지할 수 있고, 안전장치의 해제버튼으로 작동을 재개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충돌에 의해 의식을 잃는 돌발 상황이 발생 되었을 때, 바스켓이 고소에 위치된 관계로 부상자를 신속하게 응급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과 충돌시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하여 바스켓의 난간에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업자보다 우선하여 충돌을 최초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충돌 후에 비상해제 조치가 없는 한 바스켓이 지상으로 내려오도록 하여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는, 지지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구의 종단에 바스켓이 장착되는 대차; 상기 바스켓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각종 버튼 또는 레버가 구비되고, 비상해제버튼이 포함되는 조작부; 및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측부에 설치되며, 구조물과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지지 기구를 하강시키는 완충식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차는, 상기 바스켓에 작업자를 실어 적소로 이동하는 주행장치가 겸비된 자주식 대차 또는 수동식 대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기구는, 수직 승강식 혹은 신축 붐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식 안전장치의 동작 시에 중앙부서에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식 안전장치는, 상기 바스켓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바스켓의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상기 지지대에 삽입 설치되는 감지방호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방호바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원상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감지방호바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방호바가 충돌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 상기 무선 통신설비에 신호를 전달하는 충돌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감지방호바의 수용 지지하는 관통홀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 또는 추출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방호바는, 상부 가로바; 상기 상부 가로바의 전방측단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스켓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에 삽입 지지가 되는 전방 세로바; 상기 상부 가로바의 후방측단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스켓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에 삽입 지지가 되는 후방 세로바; 및 상기 전후방 세로바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안내하고 상기 전후방 세로바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방호바는, 상기 상부 가로바, 상기 전후방 세로바, 상기 가이드봉이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형성되며, 금속, 비금속, 고강도 플라스틱을 소재로 파이프 형태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방호바는, 상기 전방 세로바와 상기 후방 세로바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체 형상이 대칭 구조의 '∩'형이거나, 상기 전방 세로바와 상기 후방 세로바의 길이가 다르고 전체 형상이 비대칭 구조의 '∩'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완충 스프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상기 후방 세로바 또는 상기 전방 세로바에 설치되는 리미트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바스켓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상기 감지방호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 일측에 조립 설치된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감지방호바의 경계부분과, 상기 바스켓 타측에 조립 설치된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감지방호바의 경계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바스켓 일측 또는 타측 중에서 어느 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충돌 감지부가 설치되는 않은 측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 양측의 상기 감지방호바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바스켓 후방부의 보조난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충돌 감지부의 작동 시에, 상기 지지 기구를 하강시키는 하강 기능을 제외한 모든 조작 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상해제버튼은, 상기 조작부의 모든 조작 기능을 정상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방호바가 구조물과 충돌 시에 상기 충돌 감지부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되면 그 신호를 받아 작동하며, 경보 스피커, 경광등으로 구성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설비는, 서버; 상기 대차에 설치되며, 작업자 또는 운전자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자격증 인식기; 상기 대차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방호바가 구조물과 충돌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되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대차에 설치되며, GPS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자격증 인식기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후, 상기 중앙부서 또는 작업자로부터 위험 해제 통보 신호를 받지 못하면, 긴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프로그램된 매뉴얼에 따라 상기 모니터에 위급 상황임을 표시되게 하고, 작업 정보를 관련 담당자의 휴대폰에 발송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는, 바스켓의 난간 상부에 구조물과 충돌시 완충 역할을 하도록 완충식 안전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바스켓의 난간에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난간은 물론 바스켓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는, 완충식 안전장치의 감지방호바의 상부 가로바가 바스켓의 다른 구성 요소들보다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구조물에 충돌하기 전에 먼저 감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는, 충돌 후에 비상해제 조치가 없는 한 바스켓이 지상으로 내려오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 시에 불가피하게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당하더라도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부상자의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는, 무선 통신설비를 구축함으로써, 고소 작업차의 위치, 작업자(또는 운전자)의 인적사항은 물론 완충식 안전장치의 동작시 실시간으로 중앙부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업무 효율 향상 및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의 완충식 안전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의 완충식 안전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의 무선 통신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의 완충식 안전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의 완충식 안전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의 무선 통신설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1)는, 대차(100), 지지 기구(200), 바스켓(300), 조작부(400), 완충식 안전장치(500), 경보장치(600), 무선 통신설비(700)를 포함한다.
대차(100)는, 후술할 지지 기구(200)에 설치된 후술할 바스켓(300)에 작업자를 실어 적소로 이동하는 주행장치가 겸비된 자주식 대차일 수 있으며, 수동식 대차도 포함될 수 있다.
지지 기구(200)는, 대차(100)에 설치되며, 종단에 후술할 바스켓(300)이 장착될 수 있다. 지지 기구(200)는, 수직 승강식 혹은 신축 붐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신축 붐식 지지 기구(200)가 도시된다.
바스켓(300)은, 지지 기구(200)의 종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각 형태의 공간을 마련하는 발판(310)과,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판(310)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난간(320)과, 후술할 조작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보조난간(3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스켓(300)은, 후방부에 후술할 조작부(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난간(320)의 양측부에 후술할 완충식 안전장치(500)가 설치될 수 있다. 바스켓(300)의 전방부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도면부호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바스켓(300) 후방부의 보조난간(330)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스켓(300)에 탑승한 작업자가 지지 기구(200)를 작동시켜 바스켓(300)의 상하좌우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각종 버튼 또는 레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비상해제버튼(41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400)는, 후술할 완충식 안전장치(500)의 충돌 감지부(540)의 작동 시에, 지지 기구(200)를 하강시키는 하강 기능을 제외한 모든 조작 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비상해제버튼(410)은, 충돌로 인해 일시 정지된 조작부(400)의 모든 조작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충돌 후에 조작부(400)는 하강 기능을 제외한 모든 조작 기능이 정지되어 지지 기구(200)가 자동적으로 최초 위치인 바닥까지 하강 되는데, 작업자가 부상을 입지 않았거나 장비의 점검이 필요 없다고 판단될 경우, 작업자는 지지 기구(200)가 하강하는 중간에 비상해제버튼(410)을 작동시켜 조작부(400)의 모든 조작 기능이 정상화되도록 할 수 있고, 기능이 정상화된 조작부(400)를 조작하여 곧바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작업자는 지지 기구(200)가 하강하는 중간에 또는 지지 기구(200)가 바닥까지 하강했을 때, 비상해제버튼(410)을 눌러 비상 해제되었음을 후술할 무선 통신설비(700)를 통해 중앙부서에 알림으로써, 중앙부서에서 위험 상황에 대처하는 매뉴얼에 따라 실행되는 추가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추가 상황은, 비상 해제가 되지 않았을 경우 위험 상황이 계속 진행중인 것으로 중앙부서에서 인식하여, 후술할 서버(720)에 프로그램된 매뉴얼에 따라 관련 담당자(예를 들어, 장비를 수리하는 담당자 또는 사고 처리 담당자 등)에게 비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비상 사태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식 안전장치(500)는, 바스켓(300)의 난간(320) 양측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충돌 시에 바스켓(300)의 손상 방지는 물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지지대(510), 감지방호바(520), 탄성부재(530), 충돌 감지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510)는, 바스켓(300)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감지방호바(520)의 전후방 세로바(522, 523)를 수용 지지하면서 상하 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통홀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 후술할 탄성부재(530)를 삽입 또는 추출이 용이하도록 일부 절개된 삽입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510) 각각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스켓 난간(320) 부분에 볼팅 또는 용접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상단부가 적어도 난간(320)으로부터 상부쪽으로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방호바(520)는, 구조물과 충돌 시에 최초로 구조물과 접촉되어 감지하는 역할과 함께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스켓(300)의 양측부에서 지지대(510)에 지지가 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스켓(300)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설치되는 감지방호바(520) 각각은, 상부 가로바(521)와, 상부 가로바(521)의 전방측단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바스켓(300)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10)에 삽입 지지가 되는 전방 세로바(522)와, 상부 가로바(521)의 후방측단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바스켓(300)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지지대(510)에 삽입 지지가 되는 후방 세로바(523)와, 전후방 세로바(522, 523)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후술할 탄성부재(530)를 안내하는 가이드봉(5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가로바(521), 전후방 세로바(522, 523), 가이드봉(524)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비금속, 고강도 플라스틱 등을 소재로 파이프 형태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세로바(522)와 후방 세로바(523)는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다르게 형성할 수 있는데, 길이가 동일할 경우에 상부 가로바(521)는 수평을 이룰 것이고, 길이가 다를 경우에 상부 가로바(521)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기를 가질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후방 세로바(522, 523)의 길이는 작업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지방호바(520)의 전체 형상은 대칭 구조의 '∩'형 또는 비대칭 구조의 '∩'형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감지방호바(520)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전방부 쪽으로 기울기를 갖는 비대칭 구조의 '∩'형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선박 건조시에 곡 블록이 많이 사용되며, 곡 블록의 상향으로 가까이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가이드봉(524)은, 탄성부재(5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대(510)의 삽입홈(511)에 삽입되는 후술할 탄성부재(5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감지방호바(52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할 수 있게 한다.
탄성부재(530)는, 지지대(510)의 삽입홈(511)을 통해 지지대(51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봉(524)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감지방호바(520)가 압박을 받을 시에 충격을 흡수하거나 압박된 감지방호바(520)를 원상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530)는, 완충 스프링일 수 있다.
지지대(510)가 관통홀을 갖는 파이프 형상이므로, 삽입된 탄성부재(530)가 밑으로 빠질 수 있으므로, 지지대(510) 하단부를 막을 수 있는 마개(531)가 구비될 수 있다. 마개(531)는 지지대(510)의 관통홀에 볼팅되는 볼트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지지대(510)의 하부 관통홀 내주면은 볼트 형상의 마개(531)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531)는 가이드봉(524)이 출입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전후방 세로바(522, 523)를 탄성부재(530)가 장착된 지지대(510)에 삽입하면, 가이드봉(524)이 탄성부재(530) 및 지지대(510)의 하단부에 결합된 마개(531)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데, 가이드봉(524)의 돌출부에 너트(525)를 끼워 탄성부재(530)에 의해 일정한 가압이 느껴질 때까지 조임으로써, 감지방호바(520)가 지지대(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부재(530)의 가압에 의해 감지방호바(52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봉(524)은 너트(525)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충돌 감지부(540)는, 지지대(510)와 감지방호바(520)의 경계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감지방호바(520)가 구조물과 충돌되는 것을 감지하여, 조작부(400), 후술할 경보장치(600), 후술할 무선 통신설비(700)에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충돌 감지부(540)는, 리미트 스위치(541), 리미트바(5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541)는, 설치편(541a), 볼트(541b), 너트(541c)를 사용하여 지지대(5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리미트바(542)의 하강에 의해 스위치 온(ON) 되어, 조작부(400)의 하강 기능을 제외한 모든 조작 기능이 정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경보장치(600) 및 후술할 무선 통신설비(7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리미트바(542)는, 리미트 스위치(541)와 접촉되도록 후방 세로바(523) 또는 전방 세로바(522)에 '∪'형 볼트(542a)와 너트(542b)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감지방호바(520)가 구조물과 충돌시에 감지방호바(520)와 함께 하강하여 리미트 스위치(541)가 스위치 온 되게 한다.
이러한 충돌 감지부(540)는, 바스켓(30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감지방호바(5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바스켓(300) 일측에 조립 설치된 지지대(510)와 감지방호바(520)의 경계부분과, 바스켓(300) 타측에 조립 설치된 지지대(510)와 감지방호바(520)의 경계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스켓(300)의 양측에 충돌 감지부(540)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충돌 감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느 하나가 오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하나가 대신해 줄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충돌 감지부(540)는, 바스켓(300) 일측 또는 타측 중에서 어느 한 측에만 충돌 감지부(540)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바스켓(300) 양측의 감지방호바(520)를 연결하는 연결바(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충돌 감지부(540)가 설치되는 않은 측의 감지방호바(520)가 구조물과 충돌할 때, 연결바를 통해 충돌 감지부(540)가 설치된 측의 감지방호바(520)를 압박할 수 있게 하여, 충돌을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돌 감지부(540)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바스켓(300)의 전방부보다는 조작부(400)가 설치된 바스켓(300)의 후방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충돌 감지부(540)의 리미트 스위치(541)를 작업중에 실수로 누를 수 있기 때문이다.
경보장치(600)는, 감지방호바(520)가 구조물과 충돌 시에 충돌 감지부(540)의 리미트 스위치(541)가 온 되면, 그 신호를 받아 작동하여 작업자 또는 작업장 주위의 다른 작업자에게 소리 또는 불빛으로 위험을 경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보장치(600)는 경보 스피커(610), 경광등(620)으로 구성될 수 있고, 대차(100)에 설치될 수 있다.
무선 통신설비(700)는, 고소 작업차(1)의 위치, 작업자(또는 운전자)의 인적사항은 물론 완충식 안전장치(500)의 동작시 실시간으로 중앙부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설비로서, 통신부(710), 서버(720), 모니터(730)를 포함하여 구축될 수 있다.
통신부(710)는, 대차(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 정보를 중앙부서의 서버(720)에 전송하거나 서버(72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자격증 인식기(711), 단말기(712), 안테나(7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격증 인식기(711)는, 대차(100)에 구비되는 자격증 비치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자 또는 운전자의 자격증이 비치되면 인적사항 등이 자동으로 인식되어 중앙부서의 서버(720)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단말기(712)는, 대차(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작업중에 작업 정보를 중앙부서의 서버(720)와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감지방호바(520)가 구조물과 충돌하여 리미트 스위치(541)가 온 되었을 때, 고소 작업차의 번호, 작업자, 위치, 상태 등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서버(720)에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안테나(713)는, 대차(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GPS 신호를 감지하고, 자격증 인식기(711) 또는 단말기(712)로부터의 정보를 서버(720)에 전송하거나, 서버(720)로부터의 정보를 단말기(712)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720)는, 작업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자격증 인식기(711) 또는 단말기(712)로부터 신호를 받아 중앙부서의 모니터(730)로 송출하고, 중앙부서의 지시 사항 또는 자체 프로그램된 매뉴얼에 따른 정보를 단말기(712)로 송출할 수 있다.
서버(720)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중앙부서 또는 작업자로부터 위험 해제 통보 신호를 받지 못할 경우, 예를 들어, 작업자로부터 위험 상황에 대해 유무선으로 보고를 받지 못하여 중앙부서에서 어떠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던지, 작업자가 비상해제버튼(410)을 작동하지 않았을 경우, 서버(720)에서는 긴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프로그램된 매뉴얼에 따라 모니터(730)에 위급 상황임을 표시되게 하고, 작업장 위치, 고소 작업차 번호, 작업자 인적사항 등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관련 담당자(예를 들어, 장비를 수리하는 담당자 또는 사고 처리 담당자 등)의 휴대폰(740)에 문자로 발송되게 하여,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모니터(730)는, 서버(720)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면에 정보가 표시되며, 위급 상황 즉, 감지방호바(520)가 구조물과 충돌되었을 때, 번쩍거림과 동시에 위험 상태를 알리는 신호음이 울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바스켓(300)의 난간(320) 상부에 구조물과 충돌시 완충 역할을 하도록 완충식 안전장치(500)를 구비함으로써, 난간(320)에 충격력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난간(320)은 물론 바스켓(300)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경제적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완충식 안전장치(500)의 감지방호바(520)의 상부 가로바(521)가 바스켓(300)의 다른 구성 요소들보다 최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구조물에 충돌하기 전에 먼저 감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충돌 후에 비상해제 조치가 없는 한 바스켓(300)이 지상으로 내려오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돌 시에 불가피하게 작업자가 심각한 부상을 당하더라도 신속하게 응급조치를 할 수 있어, 부상자의 2차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무선 통신설비(700)를 구축함으로써, 고소 작업차의 위치, 작업자(또는 운전자)의 인적사항은 물론 완충식 안전장치(500)의 동작시 실시간으로 중앙부서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업무 효율 향상 및 긴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안전바가 난간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구조물과 충돌시 안전바를 통해 충격력이 바스켓의 난간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어, 난간은 물론 바스켓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또한 구조물이나 작업자의 신체부위를 최초로 감지하는 와이어가 작업자의 키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작업자가 구조물과 충돌한 후에 안전장치가 신체부위를 감지할 수 있어, 작업자의 심각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을 수 있지만,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고, 또한 안전장치에 의해 바스켓의 작동을 비상 정지할 수 있고, 안전장치의 해제버튼으로 작동을 재개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충돌에 의해 의식을 잃는 돌발 상황이 발생 되었을 때, 바스켓이 고소에 위치된 관계로 부상자를 신속하게 응급조치할 수 없는 종래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고소 작업차 100: 대차
200: 지지 기구 300: 바스켓
310: 발판 320: 난간
330: 보조난간 400: 조작부
410: 비상해제버튼 500: 완충식 안전장치
510: 지지대 511: 삽입홈
520: 감지방호바 521: 상부 가로바
522: 전방 세로바 523: 후방 세로바
524: 가이드봉 525: 너트
530: 탄성부재 531: 마개
540: 충돌 감지부 541: 리미트 스위치
541a: 설치편 541b: 볼트
541c: 너트 542: 리미트바
542a: '∪'형 볼트 542b: 너트
600: 경보장치 610: 경보 스피커
620: 경광등 700: 무선 통신설비
710: 통신부 711: 자격증 인식기
712: 단말기 713: 안테나
720: 서버 730: 모니터
740: 휴대폰

Claims (18)

  1. 지지 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구의 종단에 바스켓이 장착되는 대차;
    상기 바스켓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기구를 작동시키는 각종 버튼 또는 레버가 구비되고, 비상해제버튼이 포함되는 조작부; 및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측부에 설치되며, 구조물과의 충돌을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지지 기구를 하강시키는 완충식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는,
    상기 바스켓에 작업자를 실어 적소로 이동하는 주행장치가 겸비된 자주식 대차 또는 수동식 대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는,
    수직 승강식 혹은 신축 붐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식 안전장치의 동작 시에 중앙부서에 비상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식 안전장치는,
    상기 바스켓의 사각 모서리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바스켓의 일측부와 타측부에서 상기 지지대에 삽입 설치되는 감지방호바;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삽입되며, 상기 감지방호바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원상 복귀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감지방호바의 경계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방호바가 충돌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조작부, 상기 무선 통신설비에 신호를 전달하는 충돌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감지방호바의 수용 지지하는 관통홀을 갖는 파이프로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 또는 추출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방호바는,
    상부 가로바;
    상기 상부 가로바의 전방측단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스켓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에 삽입 지지가 되는 전방 세로바;
    상기 상부 가로바의 후방측단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바스켓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지대에 삽입 지지가 되는 후방 세로바; 및
    상기 전후방 세로바의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탄성부재를 안내하고 상기 전후방 세로바를 고정시키는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방호바는,
    상기 상부 가로바, 상기 전후방 세로바, 상기 가이드봉이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형성되며, 금속, 비금속, 고강도 플라스틱을 소재로 파이프 형태 또는 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방호바는,
    상기 전방 세로바와 상기 후방 세로바의 길이가 동일하고 전체 형상이 대칭 구조의 '∩'형이거나, 상기 전방 세로바와 상기 후방 세로바의 길이가 다르고 전체 형상이 비대칭 구조의 '∩'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완충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되도록 상기 후방 세로바 또는 상기 전방 세로바에 설치되는 리미트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바스켓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2개의 상기 감지방호바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 일측에 조립 설치된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감지방호바의 경계부분과, 상기 바스켓 타측에 조립 설치된 상기 지지대와 상기 감지방호바의 경계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 감지부는,
    상기 바스켓 일측 또는 타측 중에서 어느 한 측에 설치되고,
    상기 충돌 감지부가 설치되는 않은 측의 충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스켓 양측의 상기 감지방호바를 연결하는 연결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바스켓 후방부의 보조난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충돌 감지부의 작동 시에, 상기 지지 기구를 하강시키는 하강 기능을 제외한 모든 조작 기능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해제버튼은,
    상기 조작부의 모든 조작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방호바가 구조물과 충돌 시에 상기 충돌 감지부의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되면 그 신호를 받아 작동하며, 경보 스피커, 경광등으로 구성되는 경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설비는,
    서버;
    상기 대차에 설치되며, 작업자 또는 운전자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자격증 인식기;
    상기 대차에 설치되며, 상기 감지방호바가 구조물과 충돌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온 되면, 정보를 자동적으로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단말기;
    상기 대차에 설치되며, GPS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자격증 인식기 또는 상기 단말기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서버로부터의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서버로부터 신호를 받아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비상 상황이 발생한 후, 상기 중앙부서 또는 작업자로부터 위험 해제 통보 신호를 받지 못하면, 긴급 상황으로 인식하여, 프로그램된 매뉴얼에 따라 상기 모니터에 위급 상황임을 표시되게 하고, 작업 정보를 관련 담당자의 휴대폰에 발송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1020130166877A 2013-12-30 2013-12-30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KR20150077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877A KR20150077920A (ko) 2013-12-30 2013-12-30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6877A KR20150077920A (ko) 2013-12-30 2013-12-30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920A true KR20150077920A (ko) 2015-07-08

Family

ID=53790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6877A KR20150077920A (ko) 2013-12-30 2013-12-30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792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22U (ko) 2017-05-17 2018-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리프트 장치
KR101987914B1 (ko) * 2017-12-15 2019-06-11 염길동 무정전 활선작업지시서의 지시내역을 실시간 반영하는 활선버킷트럭 및 활선작업시스템
KR20200002236U (ko) * 2019-04-03 2020-10-14 오정환 신축 가능한 벽체를 구비하는 리프트용 작업대
KR102462441B1 (ko)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2588253B1 (ko) * 2023-04-19 2023-10-12 주식회사 시큐독 테이블 리프트의 위험 신호 출력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322U (ko) 2017-05-17 2018-1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고소작업용 리프트 장치
KR101987914B1 (ko) * 2017-12-15 2019-06-11 염길동 무정전 활선작업지시서의 지시내역을 실시간 반영하는 활선버킷트럭 및 활선작업시스템
KR20200002236U (ko) * 2019-04-03 2020-10-14 오정환 신축 가능한 벽체를 구비하는 리프트용 작업대
KR102462441B1 (ko) * 2022-05-17 2022-11-03 이대형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2588253B1 (ko) * 2023-04-19 2023-10-12 주식회사 시큐독 테이블 리프트의 위험 신호 출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7920A (ko)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WO2018201743A1 (zh) 一种可自动恢复的防撞报警型公路护栏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KR200475143Y1 (ko) 고소 작업대용 협착 방지수단
CN210064823U (zh) 一种用于电梯的缓冲保护装置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1629707B1 (ko) 고소작업대의 분리형 안전장치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20090002074U (ko) 선박 작업용 고소차의 안전장치
KR100784618B1 (ko) 기중기 주행 레일의 스토퍼 장치
KR20090062780A (ko) 고소작업대의 협착 방지장치
KR101933198B1 (ko) 승강기의 추락 완충장치
CN210918150U (zh) 一种高空作业平台装置
KR102039508B1 (ko) 고소작업대의 협착방지 구조
CN213738468U (zh) 一种工作栏及高空作业平台
CN210127004U (zh) 一种电梯防溜车保护装置
CN211113301U (zh) 一种具有车辆缓冲功能的智能限高架
KR20160003632U (ko) 고소작업대용 협착 및 충돌 방지 안전모
CN108137269A (zh) 电梯设备
CN218708392U (zh) 升降系统
KR102672980B1 (ko) 고소작업장치의 제어방법
JP2009051662A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CN205419385U (zh) 一种建筑施工电梯紧急防坠安全设备
CN218491232U (zh) 一种电梯安装调试用防护装置
CN219585795U (zh) 用于高空作业车辆的防碰撞系统及高空作业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