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441B1 -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441B1 KR102462441B1 KR1020220060192A KR20220060192A KR102462441B1 KR 102462441 B1 KR102462441 B1 KR 102462441B1 KR 1020220060192 A KR1020220060192 A KR 1020220060192A KR 20220060192 A KR20220060192 A KR 20220060192A KR 102462441 B1 KR102462441 B1 KR 1024624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work table
- gear
- space
- work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곳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퀴가 장착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송장치(10);와 상기 이송장치(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위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20);와 상기 승강장치(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하위치가 견인되며,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30);와 상기 작업대(30) 위에 올라선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며, 상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레이저를 투광하는 제2센서(61)가 구비되는 안전모(60);와 상기 안전모(60)에 구비되며, 제2센서(61)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달되는 제2무선송신부(80);와 상기 이송장치(10) 내부에 구성되며, 제2무선송신부(80)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무선수신부(90);와 이송장치(10) 내부에 구비되고, 무선수신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00);와 이송장치(10) 내부와 승강장치(20)에 구비되어, 무선수신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승강장치(20)의 높낮이와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유압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은 곳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소작업대의 작업대가 상승시 협착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에 물체를 감지하는 안전센서를 구비하여, 안전센서의 설정감지거리 내에 물체가 인식되면 작업대의 상승이 멈추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지키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소작업대란 높은 곳에 작업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를 작업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장치로써, 고소작업대의 상 하강하는 작업대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시 건물의 천장이나 덕트 등의 물체와 작업대 사이에 작업자가 끼여 사망하거나 다치는 협착사고가 일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고소작업대의 종래기술로써 (특허문헌 01, 02)와 같이 작업대 위에 광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성하여 작업대 위의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여, 작업대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협착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고소작업대에서 발생하는 협착사고의 예시도인 도 1과 같이, 작업대 위에 부착된 광센서 또는 리미트 스위치가 물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하여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고소작업대에의 작업대 위에 설치되는 안전센서의 숫자를 늘리게 되면 안전센서가 감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줄어들지만, 안전센서에 작업자나 작업에 필요한 물건 등이 오 감지되어, 작업대 조작의 작업성이 저하됨으로 안전센서의 숫자를 늘리는 것 또한 올바른 대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고소작업대에 구비된 안전센서가 감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물체에 의해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못하여 작업자가 사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고소작업대에 구비된 안전센서를 구성함에 있어, 안전센서의 오감지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도록 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는, 바퀴가 장착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송장치(10);와 상기 이송장치(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위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20);와 상기 승강장치(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하위치가 견인되며,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30);와 상기 작업대(30) 위에 올라선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며, 상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레이저를 투광하는 제2센서(61)가 구비되는 안전모(60);와 상기 안전모(60)에 구비되며, 제2센서(61)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달되는 제2무선송신부(80);와 상기 이송장치(10) 내부에 구성되며, 제2무선송신부(80)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무선수신부(90);와 이송장치(10) 내부에 구비되고, 무선수신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00);와 이송장치(10) 내부와 승강장치(20)에 구비되어, 무선수신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승강장치(20)의 높낮이와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유압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모(60)는 내측에는 작업자가 안전모(60)를 착용하였는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모(60)는 전후좌우 방향에 물체를 감지하는 제3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모(60)와 제어부(100)는 동서남북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센서(61)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센서로 구성되어, 제2센서(61)의 1차 설정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작업대(30)가 상승하는 속도가 줄어들도록 하며, 1차 설정거리 대비 가까운 2차 설정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작업대(30)의 상승이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작업대(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한 곳에 ㄱ자 형태로 구성되고, 작업대(30) 위에 있는 작업자의 상부와 일측면에 위치하여, 이송장치(10)의 전후진 또는 승강장치(20)에 의한 작업대(30)의 상승시 외부 구조물로부터 작업자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제1 안전커버(120);와 작업대(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제1 안전커버(12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1 안전커버(12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안전커버(120');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안전커버(120, 120')는 작업대(30)의 전방 및 후방의 좌우측에 부착되며, ㄱ자 형상을 가지며, 작업대(30) 상측 전후 방향의 꺾임부(121a)와, 상기 꺾임부(121a)에서 작업대(3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부(121b)가 형성되는 지지대(121);와 상기 각 중심부(121b)에 일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단 외주면에 제1 기어(122a)가 형성되는 제1 축(122);과 상기 꺾임부(121a)에 양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 양단 외주면에 제2 기어(123a)가 형성되는 제2 축(123);과 작업대(30) 전후방향 아래의 좌우 측에는 구비되는 베어링부재(124);와 상기 베어링부재(124)에 양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 양단 외주면에 제3 기어(125a)가 형성되는 제3 축(125);과 상기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제3 기어(125a)의 외주면에 걸쳐져 2개소 구성되는 체인(126);과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126)의 상측면에 좌우측 2개의 체인(126)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보호대(127);와 제2 기어(123a)와 제3 기어(125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126)의 외측면에 좌우측 2개의 체인(126)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후보호대(128);와 작업대(30)의 전후방향 아래에 위치하는 모터(129);와 상기 모터(129)의 동력을 제3 축(125)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보호대(127)와 전후보호대(128)의 바깥방향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며 구성되는 2단 센서(140);를 더 포함하되,
상기 2단 센서(140)는 내부에 공간(141a)을 가지고, 일측단에 공간(141a)과 연통되며, 공간(141a)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개방구(141b)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141);과 상기 공간(141a)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제1단(142a)과, 상기 제1단(142a)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개방구(141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단(142b)이 형성되고, 제2단(142b)의 내부에는 공간(142b1)이 형성되고, 제2단(142b)의 일측 단부에는 공간(142b1)과 연통되는 개방구(142b2)가 형성되는 2단 핀(142);과 상기 공간(142b1)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제3단(143a)과, 상기 제3단(143a)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개방구(142b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단(143b)이 형성되는 1단 핀(143);과 하우징(141)의 공간(141a)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142a)과 접하여,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단(142a)을 개방구(141b)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주는 제1스프링(144);과 2단 핀(142)의 공간(142b1) 내부에 삽입되고, 제3단(143a)과 접하여,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단(143a)을 개방구(143b2)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주는 제2스프링(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1)은 개방구(141b) 방향의 외면에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1단자(141c);와 제1단자(141c)에서 개방구(141b) 반대 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141d);를 포함하고,
상기 2단 핀(142)은 제1단(142a)과 제2단(142b)의 일부분에는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3단자(142c);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143a)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센서(61)는 작업자의 안전모(60)에 부착되어 작업대(30) 위에서 이동하는 작업자를 따라다니게 됨으로써, 작업자나 작업물품에 제2센서(61)가 오 감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종래의 고소작업대에 구성된 안전센서가 감지하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위치한 물체에 의해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못하여 작업자가 사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의 머리 위에 제1 및 제2 안전커버(120, 120')를 구성하여, 낙하하는 물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소작업대에서 발생하는 협착사고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하여 구성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작동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작동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압부의 유압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하여 안전모의 전후좌우 방향에 제3센서가 구성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하여 제1 및 제2안전커버(120)와 2단 센서(140)가 구비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상부보호대(127)가 전후 방향으로 이송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확대도.
도 12는 도 9에서 지지대(121)를 숨긴 정면도.
도 13은 도 10에서 지지대(121)를 숨긴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2단 센서(140)의 사시 단면도.
도 15은 2단 센서(140)의 사용상태도.
도 16은 실시예 4에 의한 작동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의하여 구성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작동시스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의 작동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압부의 유압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하여 안전모의 전후좌우 방향에 제3센서가 구성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하여 제1 및 제2안전커버(120)와 2단 센서(140)가 구비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상부보호대(127)가 전후 방향으로 이송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확대도.
도 12는 도 9에서 지지대(121)를 숨긴 정면도.
도 13은 도 10에서 지지대(121)를 숨긴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이 제시하는 2단 센서(140)의 사시 단면도.
도 15은 2단 센서(140)의 사용상태도.
도 16은 실시예 4에 의한 작동시스템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는 도 2 내지 5와 같이, 바퀴가 장착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송장치(10);와 상기 이송장치(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위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20);와 상기 승강장치(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하위치가 견인되며,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30) 상측에는 작업자가 이송장치(10)와 승강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장치(50); 및 위쪽을 향하여 레이저를 투광하는 제1센서(40);가 1개소 이상 구비된다.
위의 조작장치(50)와 제1센서(40)에서 감지된 신호는 작업대(30) 상측에 구비된 제1무선송신부(70);로 전달되고, 제1무선송신부(70)에서 상기 이송장치(10) 내부에 구성되는 무선수신부(90);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한다.
위와 같이 무선수신부(90)에 전해진 신호는 이송장치(1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00)에 전달되고, 이송장치(10) 내부와 승강장치(20)에 구비되는 유압부(11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여, 승강장치(20)의 높낮이와 작동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특히, 제1센서(40)는 작업대(30) 위의 천장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하며, 설정 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유압부(110)로 하여금 승강장치(20)의 상승 동작이 멈추도록 하여, 작업자의 협착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위의 제1센서(40)의 수량이 늘어나면 감지되는 범위가 늘어나 작업자의 협착사고에 대한 안전이 강화되지만, 작업자의 몸이나 작업물품에 제1센서(40)가 감지되면 승강장치(20)가 멈추어 작업성이 저하가 되는 문제를 가진다.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작업대(30) 위에 올라선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안전모(60);가 구성되며, 상기 안전모(60)의 상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레이저를 투광하는 제2센서(61);가 구비된다.
위의 제2센서(61)는 제1센서(40)와 같이 작업자 위쪽에 있는 천장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하여, 설정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승강장치(20)의 상승 동작이 멈추도록 하여, 작업자의 협착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위처럼 제2센서(61)는 작업자의 안전모(60)에 부착되어 작업대(30) 위에서 이동하는 작업자를 따라다니게 됨으로써, 작업자나 작업물품에 제2센서(61)가 오 감지 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 머리 위의 물체를 감지하게 되어, 작업자의 협착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모(60) 내측에는 작업자가 안전모(60)를 착용하였는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안전모(60)를 착용하지 않았을 시에는 이송장치(10)와 승강장치(20)의 작동이 이루어 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위의 제2센서(61)와 인체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안전모(60)에 구비된 제2무선송신부(80);에 전달하게 되고, 제2무선송신부(80)에서 상기 무선수신부(90)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위와 같이 무선수신부(90)에 전해진 신호는 이송장치(1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00)에 전달되고, 이송장치(10) 내부와 승강장치(20)에 구비되는 유압부(11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여, 승강장치(20)의 높낮이와 작동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특히, 제2센서(61)는 작업대(30) 위의 천장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하며, 설정 거리내에 물체가 감지될 경우 유압부(110)로 하여금 승강장치(20)의 상승 동작이 멈추도록 하여, 작업자의 협착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위의 유압부(110)는 도 7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20)에 연결되어 헤드의 전 후진으로 승강장치(20)의 상하높낮이 조절을 수행하는 1개소 이상의 유압실린더(111);와 제어부(100)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실린더(111)에 공급되는 유압유의 방향과 유량을 제어하는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와 상기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유압펌프(113);와 제어부(100)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유압펌프(113)에 연결되어 유압펌프(113)를 작동시키는 구동모터(114);와 이송장치(10)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유압펌프(113)로 공급되는 유압유가 저장되는 유압탱크(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에서 유량은 솔레노이드로 입력 전류를 변환시켜 제어하고, 방향은 2개의 솔레노이드 중 어느쪽에 전류를 통과시키느냐에 의해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11)의 작동방향과 헤드의 작동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승강장치(20)의 상하강 작동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와 유압펌프(1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에는 체크밸브(116);를 구성하여, 유압펌프(113)에서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 방향으로 흐르는 유압유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체크밸브(116)와 유압펌프(1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와 연결되도록 릴리프밸브(117);를 구성하여, 체크밸브(116)와 유압펌프(113)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 내의 유압이 설정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유로 내의 유압유가 릴리프밸브(117)를 경유하여 유압탱크(115)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 및 유압실린더(111)에 설정압력을 넘어선 유압유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고소작업대에서 일어나는 사고는 승강장치(20)의 상 하강시 일어나는 협착뿐만 아니라 이송장치(10)의 전후좌우 이동중 덕트와 같은 돌출구조물과 작업자의 머리가 충돌하는 사고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는 도 8과 같이, 실시예 1의 구성에서 안전모(60)의 전후좌우 방향에 제3센서;가 1개소 이상 더 구비되어, 이송장치(10)에 의해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중에 제3센서의 설정 감지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될 시 신호가 제2무선송신부(80)와 무선수신부(90), 제어부(10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제어부(100)에서 이송장치(10)의 작동을 멈추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송장치(10)의 전후좌우 작동 중 작업자의 충돌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위의 제3센서가 안전모(60)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90도 간격으로 각 1개소씩 구성된다고 할 때, 안전모(60)의 전방에 위치한 제3센서에 물체가 감지되면, 이송장치(10)가 멈추게 되고, 작업자가 조작장치를 작동하여 후진으로 갈 수 있도록 하되 전방으로 이동은 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안전모(60)의 제3센서에서 감지된 물체의 방향과 이송장치(10)의 전방부가 위치한 방향을 서로 매칭시키도록 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안전모(60)와 이송장치(10)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00)에는 동서남북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가 구비되고, 제어부(100)에서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모(60)에서 바라보는 방향과 이송장치(10)가 전후 작동하는 방향을 매칭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구성에서 제1 및 제2센서(40, 61)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센서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센서(40, 61)의 1차 설정거리 내(예:3m)에 물체가 감지되면, 작업대(30)가 상승하는 속도가 줄어들도록 하며, 1차 설정거리 대비 가까운 2차 설정거리 내(예:1m)에 물체가 감지되면 작업대(30)의 상승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작업대(30)가 상승하는 속도가 줄어들면, 작업자가 구조물이 가까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주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김으로 사고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4는 도 9 내지 16과 같이, 실시예 1의 구성에서 작업대(30)의 상측에 제1 및 제2안전커버(120, 1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 안전커버(120)는 작업대(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한 곳에 ㄱ자 형태로 구성되고, 작업대(30) 위에 있는 작업자의 상부와 일측면에 위치하여, 이송장치(10)의 전후진 또는 승강장치(20)에 의한 작업대(30)의 상승시 외부 구조물로 부터 작업자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안전커버(120')는 작업대(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제1 안전커버(12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1 안전커버(12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제1 및 제2 안전커버(120, 120')는 작업대(30)의 전방 및 후방의 좌우측에 부착되며, ㄱ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12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1)는 작업대(30) 상측 전후 방향의 꺾임부(121a)와, 상기 꺾임부(121a)에서 작업대(3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부(12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중심부(121b)에 일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축(122);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축(122)의 일단 외주면에 제1 기어(12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꺾임부(121a)에 양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축(123);이 1개소 이상 더 구비되며, 상기 제2 축(123)의 각 양단 외주면에 제2 기어(123a)가 형성된다.
작업대(30) 전후방향 아래의 좌우 측에는 베어링부재(124);가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부재(124)에 양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제3 축(125);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축(125)의 각 양단 외주면에 제3 기어(125a)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제3 기어(125a)의 외주면에 걸쳐지는 체인(126)이 2개소 구비되며, 이때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에 걸쳐진 체인(126)과, 제2 기어(123a)와 제3 기어(125a)에 걸쳐진 체인은 직각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위의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126)의 상측면에는 좌우측 2개의 체인(126)이 연결되도록 상부보호대(127)가 더 구비되며, 상기 상부보호대(127)는 작업자 머리 위로 떨어지는 낙하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기어(123a)와 제3 기어(125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126)의 외측면에는 좌우측 2개의 체인(126)이 연결되도록 전후보호대(128)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전후보호대(128)는 이송장치(10)가 전후진시, 작업대(30) 전후방의 물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부보호대(127)와 전후보호대(128)의 양측에는 상부보호대(127)와 전후보호대(128)의 상하면과 양측면을 감싸주는 ㄷ자 형태의 가이드 판넬(131)이 구비되어, 이송장치(10) 또는 승강장치(20)가 작동시 상부보호대(127)와 전후보호대(128)가 흔들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부보호대(127)가 작업자의 머리 위에 위치할 때에는 안전모(60)의 제2센서(61)와 제1센서(4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하여, 제1 및 제2센서(40, 61)가 상부보호대(127)에 오감지 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작업대(30) 위의 작업자가 건물 천장의 전등을 교체하거나 할 시에, 작업자 머리 위에 위치한 상부보호대(127)는 작업의 방해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업대(30)의 전후방향 아래에 위치하는 모터(129);와, 상기 모터(129)의 동력을 제3 축(125)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30);이 구비된다.
모터(129)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력 전달수단(130)에 의해 제3 축(125)과 제3 기어(125a)가 회전하게 되며, 제1 내지 제3 축(122, 123, 125)에 걸쳐진 체인(126)이 움직이게 된다.
위와 같은 체인(126)의 작동으로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사이에 위치한 상부보호대(127)를 제2 기어(123a)와 제3 기어(125a) 사이로 이동시키도록 하게되면, 작업자 머리 위룰 상부보호대(127)가 가리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건물 천장관련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부보호대(127)가 작업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안전모(60)의 제2센서(61)와 제1센서(40)의 작동하도록 하여, 실시예 1과 같이 작업대(30)가 과상승하는 것을 막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보호대(127)와 전후보호대(128)의 바깥방향의 일면에는 2단 센서(140)가 일정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며, 작업대(30)의 설정거리 내에 외부구조물이 감지되면, 이송장치(10)와 승강장치(20)의 전후 및 상하강 작동속도가 감속되게 하거나, 작동이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단 센서(140)는 제1하우징(141)과 2단 핀(142), 1단 핀(143a), 제1스프링(144), 제2스프링(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하우징(141)은 내부에 공간(141a)을 가지고, 일측단에 공간(141a)과 연통되며, 공간(141a)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개방구(141b)가 형성된다.
2단 핀(142)은 상기 공간(141a)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제1단(142a)과, 상기 제1단(142a)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개방구(141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단(14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위의 제2단(142b)의 내부에는 공간(142b1)이 형성되고, 제2단(142b)의 일측 단부에는 공간(142b1)과 연통되는 개방구(142b2)가 형성된다.
1단 핀(143)은 상기 공간(142b1)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제3단(143a)과, 상기 제3단(143a)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개방구(142b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단(143b)이 형성된다.
제1스프링(144)은 하우징(141)의 공간(141a)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142a)과 접하여, 제1스프링(14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단(142a)을 개방구(141b)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준다.
그리고 제2스프링(145)은 2단 핀(142)의 공간(142b1) 내부에 삽입되고, 제3단(143a)과 접하여, 제2스프링(14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단(143a)을 개방구(143b2)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준다.
위 2단 센서(140)의 구성에서 1단 핀(143)의 단부가 외부 물체에 맞닿아 2단 핀(142) 내부의 공간(142b1)으로 들어가게 되면, 이송장치(10) 및 승강장치(20)의 작동속도가 감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1단 핀(143)이 외부물체에 가압 되어, 1단 핀(143)의 전 부위가 2단 핀(14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2단 핀(142)이 외부물체와 맞닿아 가압되어, 2단 핀(142)이 하우징(141) 내부로 들어가, 이송장치(10) 및 승강장치(20)의 작동이 멈추도록 한다.
위와 같은 작동을 위한 구성으로 하우징(141)은 개방구(141b) 방향의 외면에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1단자(141c)가 형성되고, 제1단자(141c)에서 개방구(141b) 반대 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141d)가 형성된다.
그리고 2단 핀(142)에서 제1단(142a)과 제2단(142b)의 일부분에는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3단자(142c)가 형성되며, 1단 핀(143)의 제3단(143a)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로 이루어진다.
위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2단 센서(140)의 상세한 작동 구성을 살펴보면, 제1 내지 제3단자(141c, 141d, 142c), 제3단(143a)을 제외한 하우징(141)과 2단 핀(142) 및 1단 핀(143)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외부 물체에의해 1단 핀(143)이 가압 되지 않을 시에는, 제1단자(141c)와 제3단자(142c)가 접촉된 상태이되, 제3단(143a)은 제3단자(142c)와 접촉하지 않아 제1 및 제2 단자(141c, 141d)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위 상태에서 1단 핀(143)의 단부가 외부 물체에 맞닿아 2단 핀(142) 내부의 공간(142b1)으로 일정 깊이 들어가게 되면, 제3단자(142c)가 제3단(143a)과 접촉하게 되고, 전기가 제1단자(141c)와 제3단자(142c). 제3단(143a)을 경유하여 흐르게 되어, 제1단자(141c)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1단 핀(143)이 외부물체에 가압 되어, 1단 핀(143)의 전 부위가 2단 핀(142)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고 난 후, 2단 핀(142)이 외부물체와 맞닿아 가압되면, 제1단자(141c)와 접촉해 있던 제3단자(142c)가 제1스프링(144)이 위치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단자(141c)의 전원이 꺼지고, 제3단자(142c)가 제2단자(141d)와 접촉하여 전원이 제2단자(141d)와 제3단자(142c), 제3단(143a)을 경유하여 흐르게 되어, 제2단자(141d)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제1스프링(144)과 접촉하는 제1단(142a)의 일부분과 제2스프링(145)과 접촉하는 제3단(143a)의 일부분은 절연체(F)로 구성하여, 스프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위의 제1 및 제2단자(141c, 141d)의 신호를 전달받는 입력부(150)가 작업대(30) 어느 한 곳에 구비되며, 입력부(150)에서 제2무선송신부(80)로 2단 센서(140)의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실시예1과 같이 제2무선송신부(80), 무선수신부(90), 제어부(100)를 거쳐 이송장치(10) 및 유압부(110)의 속도 감속 및 작동정지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제1단자(141c)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송장치(10) 및 유압부(110)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제2단자(141d)에 전원이 인가되면 이송장치(10)의 전후 작동을 멈추거나, 유압부(110)로 하여금 승강장치(20) 상승 작동을 멈추도록 한다.
위와 같이 2단 센서(140)에 의한 이송장치(10) 및 승강장치(20)의 감속 및 정지 동작을 단계별로 구현하여, 2단 센서(140)에 외부물체가 감지될 시 이송장치(10)와 승강장치(20)가 급정지하지 않고 부드럽게 멈출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송장치(10) 승강장치(20)
작업대(30) 제1센서(40)
조작장치(50)
안전모(60) 제2센서(61)
제1무선송신부(70) 제2무선송신부(80)
무선수신부(90) 제어부(100)
유압부(110) 유압실린더(111)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
유압펌프(113) 구동모터(114)
유압탱크(115) 체크밸브(116)
릴리프밸브(117)
제1 안전커버(120) 제2 안전커버(120')
지지대(121) 꺾임부(121a)
중심부(121b)
제1 축(122) 제1 기어(122a)
제2 축(123) 제2 기어(123a)
베어링부재(124)
제3 축(125) 제3 기어(125a)
체인(126) 상부보호대(127)
전후보호대(128) 모터(129)
구동력 전달수단(130) 가이드 판넬(131)
2단 센서(140) 하우징(141)
공간(141a) 개방구(141b)
제1단자(141c) 제2단자(141d)
2단 핀(142) 제1단(142a)
공간(142b1) 개방구(142b2)
제2단(142b) 제3단자(142c)
1단 핀(143) 제3단(143a)
제4단(143b)
제1스프링(144) 제2스프링(145)
입력부(150)
작업대(30) 제1센서(40)
조작장치(50)
안전모(60) 제2센서(61)
제1무선송신부(70) 제2무선송신부(80)
무선수신부(90) 제어부(100)
유압부(110) 유압실린더(111)
비례전자식 방향&유량제어밸브(112)
유압펌프(113) 구동모터(114)
유압탱크(115) 체크밸브(116)
릴리프밸브(117)
제1 안전커버(120) 제2 안전커버(120')
지지대(121) 꺾임부(121a)
중심부(121b)
제1 축(122) 제1 기어(122a)
제2 축(123) 제2 기어(123a)
베어링부재(124)
제3 축(125) 제3 기어(125a)
체인(126) 상부보호대(127)
전후보호대(128) 모터(129)
구동력 전달수단(130) 가이드 판넬(131)
2단 센서(140) 하우징(141)
공간(141a) 개방구(141b)
제1단자(141c) 제2단자(141d)
2단 핀(142) 제1단(142a)
공간(142b1) 개방구(142b2)
제2단(142b) 제3단자(142c)
1단 핀(143) 제3단(143a)
제4단(143b)
제1스프링(144) 제2스프링(145)
입력부(150)
Claims (8)
- 바퀴가 장착되어 위치이동이 가능한 이송장치(10);
상기 이송장치(10)의 상측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작업위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20);
상기 승강장치(20)의 상단에 구성되어, 승강장치(20)에 의해 상하위치가 견인되며, 작업자가 올라가는 작업대(30);
상기 작업대(30) 상측에 1개소 이상 구비되어 위쪽을 향하여 레이저를 투광하는 제1센서(40);
상기 작업대(30) 상측에 1개소 이상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송장치(10)와 승강장치(20)를 작동시킬 수 있는 조작장치(50);
상기 작업대(30) 위에 올라선 작업자가 머리에 착용하며, 상부에는 위쪽을 향하여 레이저를 투광하는 제2센서(61)가 구비되는 안전모(60);
상기 작업대(30) 상측에 구비된 제1무선송신부(70);
상기 안전모(60)에 구비되며, 제2센서(61)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달되는 제2무선송신부(80);
상기 이송장치(10) 내부에 구성되며, 제1무선송신부(70)와 제2무선송신부(80) 중 하나 이상으로 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무선수신부(90);
이송장치(10) 내부에 구비되고, 무선수신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00); 및
이송장치(10) 내부와 승강장치(20)에 구비되어, 무선수신부(9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승강장치(20)의 높낮이와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유압부(110);
를 포함하고,
작업대(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한 곳에 ㄱ자 형태로 구성되고, 작업대(30) 위에 있는 작업자의 상부와 일측면에 위치하여, 이송장치(10)의 전후진 또는 승강장치(20)에 의한 작업대(30)의 상승시 외부 구조물로부터 작업자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제1 안전커버(120);
작업대(30)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제1 안전커버(120)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1 안전커버(12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2 안전커버(12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안전커버(120, 120')는,
작업대(30)의 전방 및 후방의 좌우측에 부착되며, ㄱ자 형상을 가지며, 작업대(30) 상측 전후 방향의 꺾임부(121a)와, 상기 꺾임부(121a)에서 작업대(30)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심부(121b)가 형성되는 지지대(121);
상기 각 중심부(121b)에 일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일단 외주면에 제1 기어(122a)가 형성되는 제1 축(122);
상기 꺾임부(121a)에 양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 양단 외주면에 제2 기어(123a)가 형성되는 제2 축(123);
작업대(30) 전후방향 아래의 좌우 측에는 구비되는 베어링부재(124);
상기 베어링부재(124)에 양단이 지지 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각 양단 외주면에 제3 기어(125a)가 형성되는 제3 축(125);
상기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제3 기어(125a)의 외주면에 걸쳐져 2개소 구성되는 체인(126);
제1 기어(122a)와 제2 기어(123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126)의 상측면에 좌우측 2개의 체인(126)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보호대(127);
제2 기어(123a)와 제3 기어(125a) 사이에 형성되는 체인(126)의 외측면에 좌우측 2개의 체인(126)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전후보호대(128);
작업대(30)의 전후방향 아래에 위치하는 모터(129); 및
상기 모터(129)의 동력을 제3 축(125)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60)는
내측에는 작업자가 안전모(60)를 착용하였는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인체감지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60)는
전후좌우 방향에 물체를 감지하는 제3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60)와 제어부(100)는
동서남북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2센서(61)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변위센서로 구성되어, 제2센서(61)의 1차 설정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작업대(30)가 상승하는 속도가 줄어들도록 하며, 1차 설정거리 대비 가까운 2차 설정거리 내에 물체가 감지되면 작업대(30)의 상승이 멈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호대(127)와 전후보호대(128)의 바깥방향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며 구성되는 2단 센서(14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2단 센서(140)는
내부에 공간(141a)을 가지고, 일측단에 공간(141a)과 연통되며, 공간(141a)의 단면보다 작은 크기의 개방구(141b)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141);
상기 공간(141a)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제1단(142a)과, 상기 제1단(142a)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개방구(141b)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단(142b)이 형성되고, 제2단(142b)의 내부에는 공간(142b1)이 형성되고, 제2단(142b)의 일측 단부에는 공간(142b1)과 연통되는 개방구(142b2)가 형성되는 2단 핀(142);
상기 공간(142b1) 내측면에 밀착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제3단(143a)과, 상기 제3단(143a)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개방구(142b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4단(143b)이 형성되는 1단 핀(143);
하우징(141)의 공간(141a) 내부에 삽입되고, 제1단(142a)과 접하여,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단(142a)을 개방구(141b)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주는 제1스프링(144);
2단 핀(142)의 공간(142b1) 내부에 삽입되고, 제3단(143a)과 접하여, 자체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단(143a)을 개방구(143b2)가 위치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주는 제2스프링(14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1)은
개방구(141b) 방향의 외면에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1단자(141c);
제1단자(141c)에서 개방구(141b) 반대 방향으로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2단자(141d);
를 포함하고,
상기 2단 핀(142)은
제1단(142a)과 제2단(142b)의 일부분에는 음극과 양극으로 이루어진 제3단자(142c);
를 포함하며,
상기 제3단(143a)은 전기가 흐르는 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0192A KR102462441B1 (ko) | 2022-05-17 | 2022-05-17 |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60192A KR102462441B1 (ko) | 2022-05-17 | 2022-05-17 |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2441B1 true KR102462441B1 (ko) | 2022-11-03 |
Family
ID=8404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60192A KR102462441B1 (ko) | 2022-05-17 | 2022-05-17 |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44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6542B1 (ko) * | 2023-02-10 | 2023-05-30 | 주식회사 시큐독 | 위험 신호 출력이 가능한 리프트 제어 장치 |
KR102588253B1 (ko) * | 2023-04-19 | 2023-10-12 | 주식회사 시큐독 | 테이블 리프트의 위험 신호 출력 장치 |
KR102645359B1 (ko) * | 2023-06-14 | 2024-03-11 |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 양중 시스템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0686U (ko) * | 2010-07-19 | 2012-02-02 | 주식회사 파인시스 |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
KR20150077920A (ko) * | 2013-12-30 | 2015-07-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
KR20160003632U (ko) * | 2016-09-05 | 2016-10-19 | 박길수 | 고소작업대용 협착 및 충돌 방지 안전모 |
KR20170090375A (ko) * | 2017-07-17 | 2017-08-07 | 한국렌탈주식회사 |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감지장치 |
KR101812231B1 (ko) | 2017-01-13 | 2017-12-2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
KR20180095254A (ko) * | 2017-02-17 | 2018-08-27 |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 발광 안전모 |
KR102299163B1 (ko) | 2020-01-16 | 2021-09-06 | 김연한 |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
-
2022
- 2022-05-17 KR KR1020220060192A patent/KR1024624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00686U (ko) * | 2010-07-19 | 2012-02-02 | 주식회사 파인시스 | 협착 방지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
KR20150077920A (ko) * | 2013-12-30 | 2015-07-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안전 시스템이 구비된 고소 작업차 |
KR20160003632U (ko) * | 2016-09-05 | 2016-10-19 | 박길수 | 고소작업대용 협착 및 충돌 방지 안전모 |
KR101812231B1 (ko) | 2017-01-13 | 2017-12-2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
KR20180095254A (ko) * | 2017-02-17 | 2018-08-27 | 학교법인 순천성심학원 | 발광 안전모 |
KR20170090375A (ko) * | 2017-07-17 | 2017-08-07 | 한국렌탈주식회사 | 고소 작업용 리프트의 감지장치 |
KR102299163B1 (ko) | 2020-01-16 | 2021-09-06 | 김연한 |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6542B1 (ko) * | 2023-02-10 | 2023-05-30 | 주식회사 시큐독 | 위험 신호 출력이 가능한 리프트 제어 장치 |
KR102588253B1 (ko) * | 2023-04-19 | 2023-10-12 | 주식회사 시큐독 | 테이블 리프트의 위험 신호 출력 장치 |
KR102645359B1 (ko) * | 2023-06-14 | 2024-03-11 |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 양중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62441B1 (ko) | 협착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 |
US9238573B2 (en) | Protecting device for a user of an aerial lift and aerial lift comprising such a device | |
EP2096078B1 (en) | Aerial lift with safety device | |
KR101941915B1 (ko) | 안전 시스템이 설치된 지게차 | |
AU2014301264B2 (en) | Aerial lift with secure control console | |
ES2819673T3 (es) | Dispositivo antiatrapamiento para elevadores de tijera | |
CN108367903B (zh) | 篮筐式空中升降机 | |
CN110436287B (zh) | 电梯警报系统 | |
US10875456B2 (en) |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 |
KR100903578B1 (ko) | 잉크헤드의 충돌 보호 장치 및 방법 | |
KR20160076199A (ko) |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 |
KR20200066796A (ko) | 개선된 기능을 갖는 고소 작업대 | |
KR20240115467A (ko) | 고소작업대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과상승방지와 협착방지를 수행하는 장치 | |
KR20210092492A (ko) | 고소작업대용 리미트스위치 | |
KR102416753B1 (ko) | 홀 센서를 이용한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건설현장 중장비 차량용 안전벨트 관제 시스템 | |
KR102352438B1 (ko) | 산업장비 피엘씨 직접제어 시스템 | |
CN212152895U (zh) | 一种用于圆刀裁剪机的安全防护装置 | |
KR20180114506A (ko) | 지게차용 포크 유닛 | |
EP3260172A1 (en) | Security gear adapted to be worn by an operator to be secured from falling off an aerial work platform | |
KR20240017177A (ko) | 자율 주행 지게차용 작업자 안전을 위한 안전 감지 범퍼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자율 주행 지게차 | |
IT202000019618A1 (it) | Macchina con sistema di sicurezza. | |
KR102643530B1 (ko) | 건설현장 중장비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 |
CN111170216A (zh) | 一种起重铲车 | |
KR102638014B1 (ko) |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 |
KR20200101181A (ko) | 지게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