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014B1 -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 Google Patents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014B1
KR102638014B1 KR1020210175657A KR20210175657A KR102638014B1 KR 102638014 B1 KR102638014 B1 KR 102638014B1 KR 1020210175657 A KR1020210175657 A KR 1020210175657A KR 20210175657 A KR20210175657 A KR 20210175657A KR 102638014 B1 KR102638014 B1 KR 102638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detection sensor
detection signal
unit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7061A (ko
Inventor
임경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호테크
Priority to KR1020210175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0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8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은 고소 작업대에 설치되고 탑승한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하는 탑승함으로, 상기 고소 작업대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 상기 난간의 꼭지점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감지센서부; 상기 난간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감지센서부; 상기 난간의 모서리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3 감지센서부; 및 상기 작업자에게 장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부, 제2 감지센서부 및 제3 감지센서부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Movable worktable with hazard alarm function}
본 발명은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승함은 고소 작업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비로서, 전기공사, 덕트, 미장 공사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탑승함은 승강수단이 구비된 고소 작업대에 설치되어, 고소 작업대에 의해 고소 작업을 위한 위치를 이동한 다음, 탑승함에 작업을 위한 장비 등을 싣고 작업자가 탑승한 후,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탑승함이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승강수단의 작동에 의해 탑승함이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탑승함이 상승하였을 때의 높이가 탑승함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10M 내외의 높이만큼 상승하게 되며, 그 높은 위치에 올라선 작업자는 탑승함의 사방에 있을지 모를 장애물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작업자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5496호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작업자에게 장애물이 접근되는 위험을 경보함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은 고소 작업대에 설치되고 탑승한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하는 탑승함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 상기 난간의 꼭지점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감지센서부; 상기 난간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감지센서부; 상기 난간의 모서리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3 감지센서부; 및 상기 작업자에게 장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부, 제2 감지센서부 및 제3 감지센서부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상기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간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난간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2 감지센서부가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서리에서 상기 작업자에게 가까운 위치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가 2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모서리를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스마트 밴드로 마련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부, 제2 감지센서부 및 제3 감지센서부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작업자에게 진동을 통해 위험을 경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은 제1 감지센서부, 제2 감지센서부 및 제3 감지센서부를 통해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알림부를 통해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은 제2 감지센서부가 이동부에 설치되고, 이동부는 제어부에 의해 작업자가 위치한 지점측으로 이동되므로, 제2 감지센서부가 작업자의 위치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이 설치된 고소 작업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10)은 고소 작업대(20)에 설치되어 고소 작업에 이용될 수 있고, 탑승한 작업자(HM)에게 장애물(WG)의 접근에 따른 위험을 경보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고소 작업대(20)는 차량 탑재형 고소 작업대, 보행자 제어식 고소작업대, 시저형 자체 추진 고소 작업대, 자주식 자체 추진 고소 작업대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시저형 자체 추진 고소 작업대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10)은 지지판(100), 난간(200), 제1 감지센서부(G1), 제2 감지센서부(G2), 제3 감지센서부(G3), 알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00)은 고소 작업대(20)에 연결되고 작업자(HM)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판(100)은 고소 작업대(20)에 의해 전방, 후방, 좌측방향,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판(100)은 고소 작업대(20)에 의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난간(200)은 지지판(10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작업자(HM)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부(G1)는 난간(200)의 꼭지점(200b)에 각각 설치되고 꼭지점으로부터 지지판(100)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WG)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센서부(G1)는 제1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제2 감지센서부(G2)는 난간(200)의 모서리(200a)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지지판(100)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WG)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지센서부(G2)는 제2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제3 감지센서부(G3)는 난간(200)의 모서리(200a)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지지판(100)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WG)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감지센서부(G3)는 제3 감지신호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알림부(300)는 작업자(HM)에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300)는 제1 감지센서부(G1), 제2 감지센서부(G2) 및 제3 감지센서부(G3)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작업자(HM)에게 위험을 경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알림부(300)는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HM)에게 위험을 경보할 수 있다.
또한, 알림부(300)는 스마트 밴드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300)는 제1 감지센서부(G1), 제2 감지센서부(G2) 및 제3 감지센서부(G3)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작업자(HM)에게 진동 및/또는 소리를 통해 위험을 경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알림부(300)는 스마트폰 및 진동 밴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폰은 제1 감지센서부(G1), 제2 감지센서부(G2) 및 제3 감지센서부(G3)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은 진동 밴드로 진동신호를 송신하여 진동 밴드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HM)에게 진동을 통해 위험을 경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알림부(300)는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10)은 레일(400), 이동부(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400)은 난간(200)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레일(400)은 난간(200)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동부(500)는 레일(400)에 각각 연결되고 난간(200)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며 제2 감지센서부(G2)가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이동부(500)는 레일(400)을 따라 이동되므로, 난간(200)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이동부(500)에 설치되고 위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이동부(500)를 제어하여 모서리에서 작업자(HM)에게 가까운 위치로 이동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부(5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작업자(HM)가 위치한 지점측으로 이동되므로, 제2 감지센서부(G2)가 작업자(HM)의 위치로 접근되는 장애물(WG)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탑승함(10)에 작업자(HM)가 2명 이상 탑승하여 알림부(300)가 2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600)는 이동부(500)를 제어하여 이동부(500)가 난간(200)의 모서리를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10)은 제1 감지센서부(G1), 제2 감지센서부(G2) 및 제3 감지센서부(G3)를 통해 접근되는 장애물(WG)을 감지하여 알림부(300)를 통해 작업자(HM)에게 위험을 경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10)은 제2 감지센서부(G2)가 이동부(500)에 설치되고, 이동부(5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작업자(HM)가 위치한 지점측으로 이동되므로, 제2 감지센서부(G2)가 작업자(HM)의 위치로 접근되는 장애물(WG)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탑승함
100 : 지지판 200 : 난간
300 : 알림부 400 : 레일
500 : 이동부 600 : 제어부
G1 : 제1 감지센서부 G2 : 제2 감지센서부
G3 : 제3 감지센서부
20 : 고소 작업대

Claims (5)

  1. 고소 작업대에 설치되고 탑승한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하는 탑승함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대에 연결되고 상기 작업자를 지지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
    상기 난간의 꼭지점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지지판의 중심부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1 감지센서부;
    상기 난간의 모서리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2 감지센서부;
    상기 난간의 모서리의 상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지지판 방향으로 접근되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제3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3 감지센서부;
    상기 작업자에게 장착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부, 제2 감지센서부 및 제3 감지센서부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업자에게 위험을 경보하는 알림부 - 상기 알림부는 위치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상기 위치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포함함 -;
    상기 난간의 모서리에 각각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난간의 모서리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2 감지센서부가 설치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모서리에서 상기 작업자에게 가까운 위치로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가 2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부가 상기 모서리를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스마트 밴드로 마련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부, 제2 감지센서부 및 제3 감지센서부로부터 제1 감지신호, 제2 감지신호 및/또는 제3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작업자에게 진동을 통해 위험을 경보하는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KR1020210175657A 2021-12-09 2021-12-09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KR102638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657A KR102638014B1 (ko) 2021-12-09 2021-12-09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657A KR102638014B1 (ko) 2021-12-09 2021-12-09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061A KR20230087061A (ko) 2023-06-16
KR102638014B1 true KR102638014B1 (ko) 2024-02-19

Family

ID=8694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657A KR102638014B1 (ko) 2021-12-09 2021-12-09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0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5105A1 (en) * 2018-09-20 2020-03-26 Oshkos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a lift device
JP2020083483A (ja) * 2018-11-15 2020-06-04 首都高技術株式会社 作業者保護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483A (ko) * 2000-03-02 2001-09-13 박종섭 후방 충돌 경보 장치
KR101224416B1 (ko) 2010-08-12 2013-01-22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특장차용 고소작업대
KR20200071195A (ko) * 2018-12-10 2020-06-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운전자 졸음 인식 경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5105A1 (en) * 2018-09-20 2020-03-26 Oshkos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a lift device
JP2020083483A (ja) * 2018-11-15 2020-06-04 首都高技術株式会社 作業者保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061A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9461B2 (en) Safety device
US20160304326A1 (en) Overhead crane safety awareness lighting system and method
KR101769897B1 (ko) 횡단보도 보행자의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JP6274665B2 (ja) 高所作業車用上部衝突防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衝突防止方法
KR102430256B1 (ko) 무인 타워크레인의 원격 조종을 위한 정보 제공 시스템
CN103998367A (zh) 起重机控制
JP6654995B2 (ja) 高所作業車用安全具
KR100962299B1 (ko) 고소작업대의 자동제동장치
KR20180001335U (ko) 높이 조절 가능한 레이더 마스트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N106744549A (zh) 防止持续非自愿操作的工作平台
JP2011095848A (ja) 事故防止監視制御システム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638014B1 (ko)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JP2013052949A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6217568B2 (ja) エレベータの注意喚起システム
US11649146B2 (en) Safety system
KR20140000033U (ko) 협착방지장치가 설치된 고소작업대
CN114195057B (zh) 用于作业平台的防碰撞系统及作业平台
AU2018202543A1 (en) Proximity Detection and Alert System for Elevated Work Platforms
KR102152456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20190099664A (ko) 중장비 사각지대 해결을 위한 무선 근접 경고 장치
CN111119529B (zh) 一种基于人员运动动态的智能防坠落舞台系统及工作方法
KR200497900Y1 (ko)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3178701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