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199A -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199A
KR20160076199A KR1020140186092A KR20140186092A KR20160076199A KR 20160076199 A KR20160076199 A KR 20160076199A KR 1020140186092 A KR1020140186092 A KR 1020140186092A KR 20140186092 A KR20140186092 A KR 20140186092A KR 20160076199 A KR20160076199 A KR 20160076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racket
fork
carria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046B1 (ko
Inventor
이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40186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포크의 위치를 확인하는 카메라를 슬라이딩 타입으로 장착하여, 카메라의 화각을 증대시키고 카메라가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의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운전석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하단에 카메라(30)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슬롯(31a)이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31)과, 가이드 부재(35)에 의해 상기 카메라 브라켓(31)과 슬라이딩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브라켓(32)과, 상기 카메라 브라켓(31)과 가이드 브라켓(32)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Fork Camera Mounting Structure of Forklift}
본 발명은 포크 카메라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지의 하단에 설치되어 포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를 슬라이딩 타입으로 장착하여 카메라가 포크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의 화각을 증대시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카메라가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실내/실외 작업장이나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하물을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시킬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마스트 조립체가 승/하강 작용만 하는 카운터밸런스 타입 (Counterbalance Type)의 지게차와, 마스트 조립체가 전, 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리치 타입(Reach Type) 지게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지게차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구동원이 장착되는 차체 프레임(1)과, 상기 차체 프레임(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3)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4)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5)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6)가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1)의 상부에는 운전석(7)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8)가 설치되어 있고, 지게차의 전방에는 전륜(10)이 후방에는 후륜(11)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밸런스 타입의 지게차는 상기 후륜(11)의 상부에 카운터웨이트 (Counterweight)(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카운터웨이트(9)는, 차체의 전방에 집중되는 하물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하물을 안정적으로 운송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리치 타입 지게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웨이트를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고, 대신 차체(21)의 양쪽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아웃트리거(Outrigger)(21a)에 의해 차량의 안정을 유지하면서 작업을 한다.
상기 리치 타입 지게차의 아웃트리거의 안쪽에는, 한 쌍의 포크(26)가 전후방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지게차에서 하물을 높은 곳에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포크(26)에 실린 하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게 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의 물류창고와 같이 높은 곳에 위치한 랙(Rack)(50)에 하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높은 곳에 위치한 랙(50) 및 포크(26)의 정확한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지게차의 캐리지 하단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운전석에 구비된 모니터를 통해 포크의 상승높이 및 랙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 일례로서,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00864호의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1)와 아웃트리거(21a)를 구비하며, 전방에는 전륜(27)이, 후방에는 후륜(28)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21)의 전방에는 마스트 조립체(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마스트 조립체(22)는 아우터 마스트(Outer Nast)(22a)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2a)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하는 다단의 이너 마스트(InnerMast)(22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 마스트(22b)에는 캐리지(24)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이너 마스트(22b)와 캐리지(24)는 리프트 실린더(2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캐리지(24)에는 한 쌍의 포크(2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포크(26)의 하부에는 카메라(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석에는 포크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하면, 포크(26)가 높이 상승될 경우 운전자가 모니터(40)를 통해 포크(26) 및 랙(50)의 위치를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높은 곳에 하물을 적재할 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30)가 캐리지(24)의 후방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카메라의 화각(畵角)을 가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포크(26)에 하물이 실리게 되면 카메라(30)의 화각은 더욱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하물을 높은 곳에 위치한 랙(Rack)(50)에 적재할 때, 포크(26) 및 랙(50)의 정확한 위치 확인이 곤란하여 작업 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카메라(30) 및 모니터(40)를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소 작업시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00864호(2007. 01. 03. 공개)
(특허문헌 2)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2-0070304호(2012. 06. 29.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캐리지에 카메라를 슬라이딩 타입으로 장착함으로써 고소 작업시 카메라가 항상 포크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리지 및 하물에 의해 카메라의 화각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카메라의 화각을 증대시킴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물을 높은 곳에 적재할 때 포크 및 랙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최대한 지면에 가깝게 설치하면서도 지면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크가 지면에서 상승하기 시작하면 카메라가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의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운전석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하단에 카메라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과,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카메라 브라켓과 슬라이딩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카메라 브라켓과 가이드 브라켓을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브라켓의 하부에, 카메라 브라켓의 하단이 지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은, 캐리지의 하단의 수평 빔과 조립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에, 카메라 브라켓에 형성된 슬롯을 따라 가이드 브라켓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카메라 브라켓의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와 가이드 브라켓에 구비된 연결부재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텐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탄성부재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조절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가 캐리지의 하방에서 슬라이딩 타입으로 장착되므로 고소 작업시 카메라가 항상 포크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가 포크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물에 의해 카메라의 화각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카메라의 화각을 증대시켜, 고소 작업시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포크 및 랙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높은 곳에 하물을 적재할 때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를 최대한 지면에 가깝게 설치하면서도 지면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크가 지면에서 상승하면 카메라가 원래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운터밸런스 타입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리치 타입 지게차의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리치 타입 지게차에서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는 카운터밸런스 타입과 리치 타입 지게차 모두에 적용될 수 있지만, 편의상 리치 타입 지게차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포크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리치 타입 지게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21)와, 상기 차체(2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조립체(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2)는, 아우터 마스트(22a)와, 상기 아우터 마스트(22a)의 내부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이너 마스트(22b)와, 마스트 레일(Mast Rail)과, 상기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Carriage) (24)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24) 및 이너 마스트(22b)는, 리프트 실린더(29)의 승강 작용에 의해 상하로 승강한다.
또한, 상기 캐리지의 전방(24)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26)가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24)의 하단에는 포크(26)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30)가 장착되어 있고, 운전석에는 이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모니터(40)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는, 지게차 차체(21)와, 상기 차체(21)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22)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의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24)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26)와,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30)와, 운전석에 설치되는 모니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하단에 카메라(30)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슬롯(31a)이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31)과, 가이드 부재(35)에 의해 상기 카메라 브라켓(31)과 슬라이딩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브라켓(32)과, 상기 카메라 브라켓(31)과 가이드 브라켓(32)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4)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26)로 하물을 들어올릴 때 카메라(30)가 항상 캐리지 및 포크(26)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물에 의해 카메라(30)의 화각(畵角)이 가려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카메라(30)의 화각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하물을 높은 곳의 랙(Rack)에 적재할 경우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카메라 브라켓(31)의 양측면에는 측면부재(31c)가 카메라(30)의 하단보다 아래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브라켓(31)의 하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브라켓(31)의 하단이 지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33)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30)를 포크(26)의 하방에 배치하면서도 카메라(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스톱퍼(33)에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33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메라 브라켓(31)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카메라 브라켓(31)이 상기 스톱퍼(33)에 접촉된 이후에도, 캐리지의 수평 빔(24a)과 조립된 가이드 브라켓(32)은 지면을 향해 더 하강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4)의 신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32)은 계속 하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 브라켓(32)과 수평 빔(24a)으로 조립된 캐리지(24)가 계속 하강하게 되므로, 포크(26)가 최대 한도까지 하강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브라켓(32)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의 하단의 수평 빔(24a)과 조립되는 수평부재(32a)와, 상기 수평부재(32a)의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32b)와, 상기 수직부재(32b)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연결부재(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3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리브(32d)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라켓(32)에는, 카메라 브라켓(31)에 형성된 슬롯(31a)을 따라 가이드 브라켓(3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35)가 조립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브라켓(31)에 형성된 슬롯(3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메라 브라켓(31)의 슬라이딩 동작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카메라 브라켓(31)의 슬라이딩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4)는, 상기 카메라 브라켓(31)의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31b)와 가이드 브라켓(32)에 구비된 연결부재(32c) 사이에 조립된다.
상기 탄성부재(34)는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2c)에는 카메라(3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조절공(3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조절공(32e)에 텐션 스프링의 일단을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카메라(30)를 적절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브라켓(31)이 탄성부재(24)를 통해 캐리지의 수평 빔(24a)과 조립되어 승강하는 가이드 브라켓(32)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26)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카메라(30)가 항상 포크(2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포크(26)에 하물이 올려지더라도 카메라의 화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시 운전자가 포크(26) 및 랙(50)의 정확한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종래의 카메라 장착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크에 하물이 실리게 되면 카메라의 화각이 가려지게 되어, 고소 작업시 포크 및 랙의 위치를 확인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물류 창고와 같이 높은 곳에 하물을 적재할 경우, 카메라를 장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일정 높이 이상일 경우, 즉, 카메라 브라켓(31)이 스톱퍼(33)와 접촉하지 않게 되는 시점이 되면, 카메라(30)는 항상 포크(2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포크에 하물을 싣더라도 카메라의 화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특히 고소작업시 포크(26) 및 랙(50)의 위치를 운전자가 모니터를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이로써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대형의 물류창고에서 높은 곳에 하물을 적재할 때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의 작용 효과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포크(26)가 일정 높이 이상일 경우, 즉, 카메라 브라켓(31)이 스톱퍼(33)에 밀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포크(26)에 하물이 실리더라도 카메라(30)가 항상 포크(2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카메라(30)의 화각이 가려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포크(26) 및 랙(50)(도 2 참조)의 위치를 모니터(50)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고소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가 있다.
한편, 포크(26)를 지면을 향해 하강시킬 경우에는, 카메라 브라켓(31)의 측면부재(31c)가 먼저 스톱퍼(33)에 닿게 된다.
이때 스톱퍼(33)에 구비된 완충부재(33a) 및 탄성부재(34)의 탄성에 의해, 카메라 브라켓(31)은 스톱퍼(33)에 부드럽게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크(26)의 하강에 의해 카메라(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상태에서 포크(26)를 계속 하강시키면, 카메라 브라켓(31)은 스톱퍼(33)에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캐리지의 하부 수평 빔(24a)과 연결된 가이드 브라켓(32)이 카메라 브라켓(31)의 슬롯(31a)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34)인 텐션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가이드 브라켓(32)이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되므로, 이와 연결된 캐리지의 하부 빔(24a) 및 포크(26)가 최대 하강지점까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포크(26)가 최대 하강 지점까지 하강한 경우, 포크(26)에 실린 하물에 의해 카메라(30)의 화각이 어느 정도 가려지게 되는 것은 피할 수가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모니터를 보는 대신 지면에 있는 포크(26) 및 하물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30)의 화각이 가려지더라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텐션 스프링은 포크(26)를 최대한 지상으로 하강시켰을 경우, 카메라 브라켓(31)이 지면에서 상승하지 않는 길이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브라켓(32)의 연결부재(32c)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 스프링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수의 조절공(32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조절공(32e)에 의해 텐션 스프링의 장력 및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30)를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가 있다.
다시 포크(26)를 상승시키면 초기에는 카메라 브라켓(31)이 그 자중에 의해 스톱퍼(3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텐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카메라 브라켓(31)이 자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를 캐리지의 하단에 슬라이딩 타입으로 장착함으로써 카메라의 화각을 최대한 증대시킬 수가 있고, 카메라를 포크의 하방에 배치하면서도 카메라가 지면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고가의 카메라 장치를 구비하였음에도 화각이 가려지게 되어 고소 작업시 그 역할을 제대도 수행하지 못하던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은 상술한 리치 타입 지게차 뿐만 아니라 카운터밸런스 타입 지게차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1: 차체 프레임(Frame)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리프트 체인(Lift Chain) 6: 포크(Fork)
7: 운전석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10: 전륜
11: 후륜
21: 차체 21a: 아웃트리거(Outrigger)
22: 마스트 조립체 22a: 아우터 마스트(Outer Mast)
22b: 이너 마스트(Inner Mast) 24: 캐리지
24a: 수평 빔(Beam) 26: 포크
27: 전륜 28: 후륜
29: 리프트 실린더(Lift Cylinder)
30: 카메라 31: 카메라 브라켓(Camera Bracket)
31a: 슬롯(Slot) 31b: 돌출부재
31c: 측면부재 32: 가이드 브라켓(Guide Bracket)
32a: 수평부재 32b: 수직부재
32c: 연결부재 32d: 보강 리브(Rib)
32e: 조절공 33: 스톱퍼(Stopper)
33a: 완충부재 34: 탄성부재
35: 가이드 부재 40: 모니터(Monitor)
50: 랙(Rack)

Claims (9)

  1. 지게차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와, 상기 마스트 조립체의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와, 상기 캐리지의 하부에 구비되어 포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운전석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에 있어서,
    하단에 카메라(30)를 구비하고 수직방향으로 슬롯(31a)이 형성된 카메라 브라켓(31)과,
    가이드 부재(35)에 의해 상기 카메라 브라켓(31)과 슬라이딩되도록 조립되는 가이드 브라켓(32)과,
    상기 카메라 브라켓(31)과 가이드 브라켓(32)을 연결하는 탄성부재(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31)의 하부에, 카메라 브라켓(31)의 하단이 지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33)에 고무재질의 완충부재(3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32)은,
    캐리지의 하단의 수평 빔(24a)과 조립되는 수평부재(32a)와,
    상기 수평부재(32a)의 일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부재(32b)와,
    상기 수직부재(32b)에 구비되는 연결부재(32c)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5. 상기 가이드 브라켓(32)에, 카메라 브라켓(31)에 형성된 슬롯(31a)을 따라 가이드 브라켓(32)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35)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35)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4)는, 카메라 브라켓(31)의 상부에 구비된 돌출부재(31b)와 가이드 브라켓(32)에 구비된 연결부재(32c)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4)는 텐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2c)에 탄성부재(3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조절공(32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KR1020140186092A 2014-12-22 2014-12-22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KR10229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92A KR102299046B1 (ko) 2014-12-22 2014-12-22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092A KR102299046B1 (ko) 2014-12-22 2014-12-22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199A true KR20160076199A (ko) 2016-06-30
KR102299046B1 KR102299046B1 (ko) 2021-09-06

Family

ID=5635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092A KR102299046B1 (ko) 2014-12-22 2014-12-22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05B1 (ko) 2018-10-24 2019-08-21 주식회사 영신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220153756A (ko) * 2021-05-12 2022-11-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포크 리프트
KR20220161899A (ko)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399U (ja) * 1983-01-24 1984-08-06 日立造船株式会社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
US5586620A (en) * 1995-05-12 1996-12-24 Crown Equipment Corporation Remote viewing apparatus for fork lift trucks
JP2002241094A (ja) * 2001-02-16 2002-08-28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におけるカメラ昇降装置
KR20070000864A (ko) 2005-06-28 2007-01-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70304A (ko) 2010-12-21 2012-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20140005809U (ko) * 2013-05-07 2014-11-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399U (ja) * 1983-01-24 1984-08-06 日立造船株式会社 フオ−クリフトトラツク
US5586620A (en) * 1995-05-12 1996-12-24 Crown Equipment Corporation Remote viewing apparatus for fork lift trucks
JP2002241094A (ja) * 2001-02-16 2002-08-28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におけるカメラ昇降装置
KR20070000864A (ko) 2005-06-28 2007-01-03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
KR20120070304A (ko) 2010-12-21 2012-06-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KR20140005809U (ko) * 2013-05-07 2014-11-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705B1 (ko) 2018-10-24 2019-08-21 주식회사 영신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전방 모니터링 장치
KR20220153756A (ko) * 2021-05-12 2022-11-21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포크 리프트
KR20220161899A (ko)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지게차의 전방 충돌 위험 감지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046B1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839B1 (ko)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강 코일 그립퍼
KR20130129453A (ko) 자동 창고
EP3313773B1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102299046B1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CN111170217A (zh) 无人叉车
KR101457439B1 (ko) 높이보정수단을 가지는 리프팅 장치
KR200468792Y1 (ko) 테이블 리프트
CN210236997U (zh) 一种新型叉车
KR101910289B1 (ko) 구조 변형 저감을 위한 위성체 접근 장치
JP5182565B2 (ja) 物品搬送装置
JP5854444B1 (ja) マスト装置、及び、該マスト装置を備えるフォークリフト
JP6808522B2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該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のフォークへの装着方法
JP3160700U (ja) 自動倉庫
KR200405942Y1 (ko) 시야확보가 가능한 지게차의 마스트 조립체
KR102481565B1 (ko) 가동 케이블 텐션 유지를 위한 사이드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지게차
EP3208175A1 (en) Pallet truck with retractable side-loading system
KR102133833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CN220245466U (zh) 搬运装置
CN212127421U (zh) 无人叉车
KR101153483B1 (ko) 크레인용 안전장치
CN219906888U (zh) 一种托盘识别定位机构及叉车
CN219469614U (zh) 一种叉车护顶架
CN213679649U (zh) 一种安装于叉车门架底部的安全摄像头结构及其叉车
JP2012201432A (ja) 把持装置
KR200484609Y1 (ko)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