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92Y1 - 테이블 리프트 - Google Patents

테이블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92Y1
KR200468792Y1 KR2020130003706U KR20130003706U KR200468792Y1 KR 200468792 Y1 KR200468792 Y1 KR 200468792Y1 KR 2020130003706 U KR2020130003706 U KR 2020130003706U KR 20130003706 U KR20130003706 U KR 20130003706U KR 200468792 Y1 KR200468792 Y1 KR 200468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otor
frame
screw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7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이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63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879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호 filed Critical 이민호
Priority to KR20201300037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Abstract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프레임, 볼스크류부, 모터, 레일 이동부, 테이블, 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하여, 테이블을 한쌍의 프레임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테이블 리프트{Table Lifter}
본 고안은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테이블 위에 올라서서 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작업하는 작업용 테이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 연구소, 실험실, 자재 보관소 등에는 제한된 공간에 많은 자재나 시료 등을 보관/관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하여, 자재 보관소에는 다단 선반을 구비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반도체 제조 공장에서는 오븐 장치 등과 같은 대형 장치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 작업자가 오븐 장치의 높은 곳까지 올라가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다단 선반이나 대형 장치를 관리하는 작업자는 상당한 높이로 설치된 선반이나 장치에서 필요한 물품을 입출하거나 작업 대상물의 상태를 점검할 때, 보통 사다리를 타고 오르 내리면서 작업을 하곤 한다. 그런데, 사다리를 이용한 작업은 불편하기도 하지만 산업 현장에서는 고열이나 화학 약품 등으로 인해서 상당히 위험하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테이블 리프트가 이용되고 있다. 테이블 리프트는 구동방식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 테이블 리프트와 스크류의 회전을 이용하는 기계식 테이블 리프트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구성은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대, 물품 또는 작업자가 올라가는 테이블, 유압 실린더 등의 신축 작용으로 테이블을 상ㆍ하로 승하강시키는 작동 부재 등으로 구성된다.
한국특허공개 2011-0090075호(테이블 리프트)를 보면, 테이블 위의 물품을 싣고 상하 이동시키는 테이블 리프트를 개시하고 있는데, 그 구조를 보면, 테이블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는 개구부, 회전축에 결합되는 모터, 회전축에 결합되는 체인 기어, 체인 기어에 치합되어 개구부를 통해 테이블을 이송시키는 이송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 리프트는 대부분 물품을 실어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작업자가 올라타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특히, 종래의 테이블 리프트는 테이블이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어 테이블 위의 작업자가 큰 위험을 겪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테이블 리프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테이블의 틸트를 자동 보정할 수 있고,
둘째, 작업자의 추락이나 옷끼임 등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셋째, 다른 작업자의 안전도 보장할 수 있는, 테이블 리프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는, 한쌍의 프레임, 볼스크류부, 모터, 레일 이동부, 테이블, 스위치,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쌍의 프레임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프레임은 그 내부에 수직으로 연통하는 연통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프레임은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을 구비한다.
볼스크류부는 프레임의 연통 공간에 구비되고,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된 너트를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모터는 스크류 샤프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킨다.
레일 이동부는 너트와 레일에 결합되어,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할 때 레일을 따라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레일 이동부는 프레임의 대향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테이블은 레일 이동부의 돌출부에 결합되고, 레일 이동부의 상하 이동과 함께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한다.
스위치는 모터의 순방향 회전, 역방향 회전, 정지를 명령하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어부는 스위치로부터 수신하는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킨다. 이를 통해, 제어부는 레일 이동부가 프레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는 펜스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는 테이블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결합된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가 펜스를 포함하는 경우, 테이블에는 펜스가 삽입되는 펜스 삽입구가 구비되고, 펜스는 펜스 삽입구에 삽입되는 펜스 돌출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가 펜스를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은 펜스 돌출부가 펜스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펜스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펜스 감지부로부터 펜스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모터 제어 신호를 수행한다.
또한,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가 펜스를 포함하는 경우, 펜스는 그 하부에 발빠짐 커버를 소정 높이로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서, 프레임은 테이블의 상부 또는 하부의 정지 위치에서 테이블을 감지하는 테이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가 테이블 감지부로부터 테이블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모터를 제어하여 테이블 틸트 보정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서, 테이블은 하부면에 작업자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가 작업자 감지부로부터 작업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는 모터를 정지시킨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서, 모터와 스크류 샤프트를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기어와 체인을 이용하여 간접 결합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든, 스크류 샤프트 또는 기어에는 파워록 장치를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서, 프레임은 대향 방향에 형성되는 슬릿을 커버하는 슬릿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 의하면, 작업 중에 테이블의 틸트를 검사하여 보정함으로써 테이블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 의하면, 테이블 리프트에 작업자의 옷이 끼이거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낙상 등의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에 의하면, 다른 작업자가 테이블 아래에 있는지를 체크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모터와 스크류 샤프트의 구동 관계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레일 이동부가 상하 이동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 리프트는 프레임(111,113), 볼스크류부(120), 모터(130), 레일 이동부(140), 테이블(150), 스위치(160), 제어부(17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1,113)은 한 쌍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단 또는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바(115a~115d)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프레임(111,113)의 일측을 오븐 장치 등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어 지지바(115a~115d)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111,113)은 내부에 수직으로 연통하는 연통 공간을 형성하고, 마주보는 방향으로는 상하로 절결되는 슬릿(S1,S2)을 포함한다.
프레임(111,113)의 내측 면에는 U자형의 레일(R1,R2)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레일(R1,R2)의 양측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할 수 있다.
볼스크류부(120)는 프레임(111,113)의 연통 공간에 구비된다. 볼스크류부(120)는 스크류 샤프트(121), 너트(123), 다수의 볼 등으로 구성된다. 스크류 샤프트(121)는 나선형의 외주홈이 형성된 나사축으로서, 그 일단은 프레임(111,113)의 하단에 결합되고, 그 타단은 프레임(111,113)의 상단에 결합된다. 너트(123)는 그 내부에 스크류 샤프트(121)의 나선형 외주홈에 대응되는 나선형 내주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스크류 샤프트(121)의 외부면에 나사 결합된다. 다수의 볼은 스크류 샤프트(121)의 외주홈과 너트(123)의 내주홈 사이에 삽입되어 ㄱ구름 운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볼스크류부(120)는 스크류 샤프트(121)의 회전할 때 너트(123)가 스크류 샤프트(121)의 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모터(130)는 스크류 샤프트(12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연결되어, 스크류 샤프트(121)를 회전시킨다.
레일 이동부(140)는 일측이 볼스크류부(120)에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111,113)의 내측 슬릿(S1,S2)을 관통하여 프레임(111,113) 사이에 구비되는 테이블(150)에 결합되어 테이블(150)을 지지한다.
테이블(150)은 작업자가 그 상부면에 올라서서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으로서, 레일 이동부(140)의 일측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그 결과, 테이블(150)은 레일 이동부(140)의 상하 이동과 함께 프레임(111,113)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테이블(150)은 평면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통공이나 돌기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미끄러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스위치(160)는 작업자가 손에 쥘 수 있게 구성하며, 모터(130)의 순방향 회전, 역방향 회전, 정지를 명령하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여기서, 스위치(160)는 프레임(111,113)의 각각 구비되는 모터(130)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모터(130)는 각 프레임(111,113)에 하나씩 구비된다.
제어부(170)는 프레임(111,113)의 일측에 구비되며, 스위치(160)로부터 수신하는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모터(130)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킨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11,113)의 일측에 테이블 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테이블 감지부는 예를들어 프레임(111,113)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영점 보정 스위치(D1,D2)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레일 이동부(140)의 일측에 영점 보정 스위치(160)를 트리거하는 트리거 바(T)를 구비한다. 트리거 바(T)는 레일 이동부(140)가 프레임(111,113)의 하단 종점 또는 상단 종점에 이르는 위치에서 영점 보정 스위치(D1,D2)를 터치한다. 영점 보정 스위치(D1,D2)가 터치되면, 영점 보정 스위치(D1,D2)는 제어부(170)로 테이블 감지 신호인 영점 보정 명령을 전송한다. 제어부(170)가 영점 보정 명령을 수신하면, 모터(130)를 제어하여 테이블(150)의 틸트를 보정한다.
테이블(150)의 틸트 보정은 프레임(111,113)의 특정 위치에 센서를 부착하고, 테이블(150)의 하단면이 센서에 의해 센싱될 때가지 모터(130)를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모터(130)를 제어하여 스크류 샤프트(121)의 특정 지점까지 너트(123)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는 프레임(111,113)의 슬릿(S1,S2)을 커버하는 슬릿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릿 커버는 슬릿(S1,S2)의 양단에서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슬릿(S1,S2)을 전부 덮는 형태일 수도 있다. 특히, 탄성 재질로 슬릿(S1,S2)을 전부 덮는 형태일 경우, 탄성 재질의 중앙부를 상하로 절결한 절결부를 두어 레일 이동부(140)의 일부가 슬릿(S1,S2)을 따라 상하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는 테이블(150)의 하부면에 작업자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작업자 감지부는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가 작업자 감지부로부터 작업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모터(130)를 즉시 정지시킨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 리프트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의 테이블 리프트는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전방 또는 후방에 펜스(2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펜스(210)를 테이블(150)의 후방에서 상방으로 결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테이블 리프트가 펜스(210)를 구비하는 경우, 테이블(150)의 측면 또는 상면의 가장 자리에 펜스(210)의 하단이 삽입되는 펜스 삽입구(151a~151c)가 구비된다. 이 경우, 펜스(210)에는 펜스 삽입구(151a~151c)에 삽입되는 펜스 돌출부를 구비한다. 펜스 삽입구(151a~151c)와 펜스 돌출부는 대응 형상으로 구성되며, 예를들어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펜스 돌출부의 측부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소정 높이의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는데, 스토퍼의 하단이 펜스 삽입구(151a~151c)의 개구 상단에 걸리게 된다.
테이블 리프트가 펜스(210)를 포함하는 경우, 프레임(111,113)은 펜스 돌출부가 펜스 삽입구(151a~151c)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펜스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펜스 감지부로부터 펜스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모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펜스(210)는 테이블(150)의 바닥면과 접하는 경계선에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로 발빠짐 커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모터와 스크류 샤프트의 구동 관계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30)와 스크류 샤프트(121)의 연결은 모터(130)와 스크류 샤프트(121)에 각각 모터 기어(131)와 스크류 기어(125)를 각각 결합하고, 모터 기어(131)와 스크류 기어(125)를 체인(133)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기어(131) 또는 스크류 기어(125)에는 파워록 장치(127)를 결합하여, 모터(13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3은, 모터(130)와 스크류 샤프트(121)를 기어와 체인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모터(130)를 스크류 샤프트(121)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파워록 장치(127)는 스크류 샤프트(121)에 구비된다.
도 4는 레일 이동부가 상하 이동하는 관계를 보여주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 이동부(140)는 볼스크류부(120)에 결합되는 볼스크류부 결합부(143), 프레임(111,113)의 레일(R1,R2)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141), 프레임(111,113)의 내측 슬릿(S1,S2)을 관통하여 프레임(111,113) 내측으로 돌출되는 테이블 결합부(145) 등으로 구성된다.
볼스크류부 결합부(143)는 볼스크류부(120)의 너트(123)와 나사, 용접 등으로 결합하는 지지 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레일 결합부(141)는 플레이트와 돌출부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일측은 볼스크류부 결합부(143)에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111,113)의 레일(R1,R2)에 삽입된다. 레일 결합부(141)의 타측은 U자형 레일(R1,R2)에 삽입되어 이탈되지 않게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레일 결합부(141)는 레일(R1,R2)을 따라 프레임(111,113)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한다.
테이블 결합부(145)는 일측이 프레임(111,113)의 슬릿(S1,S2)을 관통하여 레일 결합부(141)에 결합되고, 타측은 프레임(111,113)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돌출부의 상부에는 테이블(150)의 양 측단의 하부면과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여러 실시예는 본 고안을 예증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사상을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11,113 : 프레임 120 : 볼스크류부
121 : 스크류 샤프트 123 : 너트
125 : 스크류 기어 130 : 모터
131 : 모터 기어 133 : 체인
140 : 레일 이동부 141 : 레일 결합부
143 : 볼스크류 결합부 145 : 테이블 결합부
150 : 테이블 151a~151c : 펜스 삽입구
160 : 스위치 170 : 제어부
S1,S2 : 슬릿 R1,R2 : 레일

Claims (9)

  1. 테이블 리프트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에 상하로 연통하는 연통 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레일을 가지며, 대향 방향에 상하로 형성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을 커버하는 상하 절결의 슬릿 커버를 포함하는 한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연통 공간에 구비되고,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된 너트를 상기 프레임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부;
    상기 스크류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너트와 상기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할 때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프레임의 대향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돌출부를 갖는, 레일 이동부;
    양 측단의 하부면이 상기 플레이트 돌출부의 상면에 면결합되고, 상기 레일 이동부의 이동과 함께 상기 프레임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전방 또는 후방에 상방으로 결합되는 펜스;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의 위치를 감지하는 테이블 감지부;
    상기 모터의 순방향 회전, 역방향 회전, 정지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모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레일 이동부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테이블 감지부로부터 테이블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테이블 틸트 보정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는 상기 펜스가 삽입되는 펜스 삽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펜스는 상기 펜스 삽입구에 삽입되는 펜스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펜스 돌출부가 상기 펜스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펜스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펜스 감지부로부터 펜스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상기 모터 제어 신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는
    하부 일측에 소정 높이의 발빠짐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하부면에 작업자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자 감지부로부터 작업자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스크류 샤프트는 기어 및 체인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 또는 기어에 파워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 리프트.
  9. 삭제
KR2020130003706U 2013-05-10 2013-05-10 테이블 리프트 KR200468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706U KR200468792Y1 (ko) 2013-05-10 2013-05-10 테이블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706U KR200468792Y1 (ko) 2013-05-10 2013-05-10 테이블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792Y1 true KR200468792Y1 (ko) 2013-09-04

Family

ID=51396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706U KR200468792Y1 (ko) 2013-05-10 2013-05-10 테이블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6172A (zh) * 2017-05-16 2017-09-19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图书馆用升降车
KR20200145293A (ko) * 2019-06-21 2020-12-30 이현정 리프트 장치
CN113463904A (zh) * 2021-07-12 2021-10-01 宁波亿润建设有限公司 一种脚手架连墙装置
KR20220025357A (ko) *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113Y1 (ko) * 1996-06-14 1998-12-01 천경수 계단이 부설된 승강장치
KR100361454B1 (ko) * 2000-03-16 2002-11-21 후성정공 주식회사 비철금속 수직연속주조용 구동장치
KR20060024271A (ko) * 2004-09-13 2006-03-16 조미동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KR101165389B1 (ko) * 2010-01-14 2012-07-12 주식회사 한미엘에스 실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113Y1 (ko) * 1996-06-14 1998-12-01 천경수 계단이 부설된 승강장치
KR100361454B1 (ko) * 2000-03-16 2002-11-21 후성정공 주식회사 비철금속 수직연속주조용 구동장치
KR20060024271A (ko) * 2004-09-13 2006-03-16 조미동 안전기능이 구비된 리프트 장치
KR101165389B1 (ko) * 2010-01-14 2012-07-12 주식회사 한미엘에스 실험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6172A (zh) * 2017-05-16 2017-09-19 江苏食品药品职业技术学院 一种图书馆用升降车
KR20200145293A (ko) * 2019-06-21 2020-12-30 이현정 리프트 장치
KR102251804B1 (ko) 2019-06-21 2021-05-13 이현정 리프트 장치
KR20220025357A (ko) * 2020-08-24 2022-03-0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KR102398081B1 (ko) 2020-08-24 2022-05-13 (주)성암이앤씨 테이블 리프터
CN113463904A (zh) * 2021-07-12 2021-10-01 宁波亿润建设有限公司 一种脚手架连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792Y1 (ko) 테이블 리프트
KR101878436B1 (ko) 전동 모빌랙
US9738500B2 (en) Lockable lift device and method
CN106604886B (zh) 具有光学货物感测结构的叉车
CA2838259C (en) Scaffold system
US7093691B1 (en) Portable scissor-lift-assembly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US20160297643A1 (en) Locking actuator with a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a lift
JP5160555B2 (ja) 航空機用ローダのための仕切装置
CN107161916B (zh) 一种前移式叉车的自动调平装置和方法
KR100656960B1 (ko) 시져스 리프터의 협착사고 방지장치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632485B1 (ko) 작업용 승강기
KR102195604B1 (ko) 전동드라이버 안내장치
KR200489936Y1 (ko) 테이블 리프트
KR101761260B1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0792206B1 (ko) 지능형 리프트
CN216154654U (zh) 货物搬运机器人
US10400510B2 (en) Automated step devic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EP4355618A1 (en) Rotary telescopic boom lift
CN111824651B (zh) 拣货料架
US20200384905A1 (en) Self-lifting automated guidied vehicle
KR20170135756A (ko) 승강로 하부피트에 설치되어지는 안전장치
WO2017153724A1 (en) Elevat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910

Effective date: 201505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