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483B1 - 크레인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483B1
KR101153483B1 KR1020110091726A KR20110091726A KR101153483B1 KR 101153483 B1 KR101153483 B1 KR 101153483B1 KR 1020110091726 A KR1020110091726 A KR 1020110091726A KR 20110091726 A KR20110091726 A KR 20110091726A KR 101153483 B1 KR101153483 B1 KR 101153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afety
crane
guid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재
Original Assignee
노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윤재 filed Critical 노윤재
Priority to KR1020110091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타단은 크레인의 하부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일단은 개방되는 안내케이스;와,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안내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안전케이스;와, 상기 안전케이스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안전케이스가 눌러져 상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는 지지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되는 크레인의 하부와 이송레일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크레인의 하부에 접촉되어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크레인이 서로 충돌하여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안전케이스의 완충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크레인의 충돌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안전장치{A crane safety device}
본 발명은 크레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되는 크레인의 하부와 이송레일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크레인의 하부에 접촉되어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크레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인양기구를 통하여 하중물을 들어올린 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중장비이다.
이러한, 크레인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하중물을 들어올려 이송시키는 고정식 크레인과,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하중물을 들어올려 이송시키는 이동식 크레인으로 구분된다.
특히, 이동식 크레인으로는 지면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타고 전?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겐츄리 크레인(gantry crane)이 널리 애용되어 왔다.
이러한, 겐츄리 크레인은 지면에 설치된 이송레일을 타고 이동되는 특성상 이송하는 겐츄리 크레인의 하부와 이송레일을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여 사용의 문제가 제기되어왔다.
따라서, 겐츄리 크레인의 사용에 있어서 상기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대형 작업장에서는 하나의 이송레일에 다수의 겐츄리 크레인이 동시에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겐츄리 크레인이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따라서, 겐츄리 크레인이 서로 충돌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안정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되는 크레인의 하부와 이송레일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크레인의 하부에 접촉되어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크레인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크레인이 서로 충돌하여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안전케이스의 완충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크레인의 충돌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크레인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는 타단은 크레인의 하부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일단은 개방되는 안내케이스;와,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안내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안전케이스;와, 상기 안전케이스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안전케이스가 눌러져 상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안전케이스의 일단 면에 형성되는 완충구멍;과, 상기 안내케이스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케이스가 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완충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이송레일을 타고 이송되는 크레인의 하부와 이송레일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크레인의 하부에 접촉되어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통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크레인이 서로 충돌하여 안전케이스가 안내케이스 내부로 이송되면,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가 안전케이스의 완충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크레인의 충돌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A-A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A-A 단면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용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00)는 안내케이스(10)와, 안전케이스(20)와, 지지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케이스(10)는 타단은 크레인(1)의 하부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일단은 개방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케이스(10)는 크레인(1)의 하부 일면과 볼트(3)결합을 통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레인용 안전장치(100)의 안내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케이스(20)는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안전케이스(20)는 작업자와 접촉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동시에 상기 안내케이스(10)에 안내되어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점차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하면서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더욱이,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케이스(20)가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크레인(1)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감지센서(50)를 더 포함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안정적으로 보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레인용 안전장치(100)의 감지센서(50)로는 리미트 스위치가 사용되며 상기 안전케이스(20)의 이송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여 설치 사용하는 것은 물로 아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안전케이스(20)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안전케이스(20)가 눌러져 상가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케이스(10)의 타단 면 및 크레인(1)의 하부 일면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31)과, 상기 안내구멍(31)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케이스(10) 및 안전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단은 상기 안전케이스(20)에 볼트(3)결합을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구멍(31)을 관통하여 상기 안전케이스(20)를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봉(32)과, 상기 안내봉(32)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봉(32)이 상기 안내구멍(31)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볼트(33)와, 내부에 상기 안내봉(32)이 관통하되, 일단은 상기 안전케이스(20)가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안내케이스(10)가 접촉되어 상기 안전케이스(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구멍(31)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케이스(10)에 볼트(3)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는 관통되어 상기 안내봉(32)이 관통되도록 하는 안내가이드(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안내봉(32)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30)은 작업자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으로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삽입 안내되는 상기 안전케이스(20)를 안정적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안전케이스(2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동시에 부드러운 이송을 유도하여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크레인용 안전장치(100)는 이송레일(2)을 타고 이송되는 크레인(1)의 하부와 이송레일(2)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끼이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크레인(1)의 하부에 접촉되어 상기 안전케이스(20)가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50)를 통해 크레인(1)의 작동을 정지시켜 더욱 안정적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케이스(20)의 일단 면에 형성되는 완충구멍(61)과, 상기 안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케이스(20)가 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완충구멍(61)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부재(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62)는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하고 상기 안내케이스(10)에 볼트(3)결합을 통해서 고정 설치되도록 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1)이 서로 충돌하여 상기 안전케이스(20)가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이송되면, 충격을 완화하는 상기 완충부재(62)가 상기 안전케이스(20)의 완충구멍(61)을 통해 외부로 노출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크레인(1)의 충돌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용 안전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본 발명의 크레인용 안전장치(100)가 설치된 크레인(1)이 이송레일(2)을 타고 이송중에 작업자와 충돌하여 안전케이스(20)에 충격이 가해지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케이스(20)는 충돌한 작업자를 안정적으로 받치는 동시에 안내케이스(10)에 안내되어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점차 삽입되어 충격을 완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지지수단(30)의 탄성 스프링(34)의 탄성력에 의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안전케이스(20)의 충격을 완화하면서 상기 안전케이스(20)의 부드러운 이송을 유도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한다.
더욱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케이스(20)가 이송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센서(50)로 인해 상기 크레인(1)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작업자의 안정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크레인(1)이 서로 충돌하여 상기 안전케이스(20)가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이송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을 완화하는 상기 완충부재(62)가 상기 안전케이스(20)의 완충구멍(61)을 통해 외부로 노출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크레인(1)의 충돌로 인한 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크레인 2. 이송레일
3. 볼트
10. 안내케이스 20. 안전케이스
30. 지지수단 31. 안내구멍
32. 안내봉 33. 이탈방지볼트
34. 탄성 스프링 40. 안내가이드
50. 감지센서 61. 완충구멍
62. 완충부재
100. 크레인용 안정장치

Claims (5)

  1. 하부가 바닥에 설치된 이송레일(2)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송하는 크레인(1:crane)에 있어서,
    타단은 크레인(1)의 하부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일단은 개방되는 안내케이스(10);
    타단은 개방되어 상기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되, 일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안전케이스(20); 및
    상기 안전케이스(20)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안전케이스(20)가 눌러져 상가 안내케이스(10)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도록 하는 지지수단(30);
    상기 안전케이스(20)의 일단 면에 형성되는 완충구멍(61); 및
    상기 안내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케이스(20)가 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완충구멍(61)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완충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10091726A 2011-09-09 2011-09-09 크레인용 안전장치 KR10115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726A KR101153483B1 (ko) 2011-09-09 2011-09-09 크레인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1726A KR101153483B1 (ko) 2011-09-09 2011-09-09 크레인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483B1 true KR101153483B1 (ko) 2012-06-11

Family

ID=4660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726A KR101153483B1 (ko) 2011-09-09 2011-09-09 크레인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997A (ko) 2013-12-11 2015-06-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갠트리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33U (ko) * 1995-06-13 1997-01-21 크레인 스토퍼의 충격흡수장치
KR200366334Y1 (ko) * 2004-07-21 2004-11-04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크레인의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33U (ko) * 1995-06-13 1997-01-21 크레인 스토퍼의 충격흡수장치
KR200366334Y1 (ko) * 2004-07-21 2004-11-04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크레인의 완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7997A (ko) 2013-12-11 2015-06-1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갠트리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839B1 (ko)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철강 코일 그립퍼
CN205442548U (zh) 一种叉车货物保护装置
JP5226816B2 (ja) クレーン
KR101153483B1 (ko) 크레인용 안전장치
KR100784618B1 (ko) 기중기 주행 레일의 스토퍼 장치
CN204310629U (zh) 一种电梯断绳检测装置
CN105073617A (zh) 超程制动装置上的一体化抓卡装置
CN203821271U (zh) 一种路桥限载保护装置
CN203903380U (zh) 一种用于胶带机的撕带信号发生器
CN102515060A (zh) 一种安全防撞堆垛车
KR20100118034A (ko)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KR101948540B1 (ko) 화물차용 아대 설치기구
KR101167221B1 (ko) 텐션대차용 파손방지장치
KR101627534B1 (ko)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
KR102119639B1 (ko) 갠트리 그리퍼의 소재 위치 확인 장치
KR101651566B1 (ko)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CN113460875B (zh) 伸缩机构防撞装置和吊具
JP2018080015A (ja) フォークリフト装着用保護具
CN216588615U (zh) 隧道衬砌养护台车
CN102976181A (zh) 一种电梯补偿链断链保护装置
JP6246103B2 (ja) ゲート装置
KR20120012079A (ko)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KR101848809B1 (ko) 지게차용 포크 유닛
CN203076302U (zh) 一种防碰撞安全保护装置
KR20140023478A (ko) 크레인의 주행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