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079A -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079A
KR20120012079A KR1020100073983A KR20100073983A KR20120012079A KR 20120012079 A KR20120012079 A KR 20120012079A KR 1020100073983 A KR1020100073983 A KR 1020100073983A KR 20100073983 A KR20100073983 A KR 20100073983A KR 20120012079 A KR20120012079 A KR 20120012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piral
crane
coupling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상석
Original Assignee
비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에스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에스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2079A/ko
Publication of KR20120012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0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5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상부와 하부 내경에 나선공(111,112)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걸림구(154)의 회전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상태 확인부재(160)가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나선공(111)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2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의 내삽공(120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장착공(122)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고 하단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삽입홈(123)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3)의 타측에는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에 위치한 지지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25)가 구비되는 상부몸체(120)와; 중앙에 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공(112)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되는 다수의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34)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33)의 타측에서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의 지지부(134)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35)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회전 방지부재(140)가 구비되는 하부몸체(130)와; 상기 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공(15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151)에는 고정키(152)가 장착되며 하부 일측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홈(15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태를 갖는 걸림구(154)가 구비되는 고정축(150)을 포함하되,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40)는 상기 하부몸체(13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통공(131)과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141)과; 상기 결합공(141)의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삽공(142a)이 형성되고 전방 내경에는 나선부(142b)가 구비되는 보조몸체(142)와; 상기 내삽공(142a)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53)에 끼워지며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축(143a)이 구비되는 걸림축(143)과; 상기 나선부(142b)와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45a)이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통공(145b)이 구비되는 고정구(145)와; 상기 지지축(143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축(143)과 고정구(145)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44)으로 구성되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통 크레인의 암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축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축의 잠금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잠금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Device locking for tong crane}
본 발명은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 크레인의 잠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고정축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 크레인은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제품(슬래브 또는 코일)을 들어올린 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통 크레인은 제품을 쉽게 들어올려 운반하기에는 적합하나, 제품을 직접 집어서 들어올리기 위한 암의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별도의 잠금수단이 구비되지 않아서 외부충격 및 오작동으로 운반중인 제품이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구조의 잠금장치를 구비한 통 크레인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통 크레인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없으므로 사용효율은 물론 활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작업자의 조작으로 잠금장치를 제어하고 있으나 이는 작업자의 실수 또는 부주의로 인해서 오작동이 유발되므로 결국 통 크레인의 잠금 작업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통 크레인의 정확한 잠금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계적인 수단이 없으므로 작업자의 조작경험에 따라서 잠금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통 크레인의 암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외부충격 또는 작업자의 부주의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축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축의 잠금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잠금 작업의 신뢰성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상부와 하부 내경에 나선공(111,112)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고정키(15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상태 확인부재(160)가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나선공(111)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2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의 내삽공(120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장착공(122)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고 하단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삽입홈(123)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3)의 타측에는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에 위치한 지지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25)가 구비되는 상부몸체(120)와; 중앙에 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공(112)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되는 다수의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34)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33)의 타측에서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의 지지부(134)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35)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회전 방지부재(140)가 구비되는 하부몸체(130)와; 상기 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공(15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151)에는 고정키(152)가 장착되며 하부 일측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홈(15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태를 갖는 걸림구(154)가 구비되는 고정축(150)을 포함하되,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40)는 상기 하부몸체(13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통공(131)과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141)과; 상기 결합공(141)의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삽공(142a)이 형성되고 전방 내경에는 나선부(142b)가 구비되는 보조몸체(142)와; 상기 내삽공(142a)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53)에 끼워지며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축(143a)이 구비되는 걸림축(143)과; 상기 나선부(142b)와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45a)이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통공(145b)이 구비되는 고정구(145)와; 상기 지지축(143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축(143)과 고정구(145)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삽공(142a)과 걸림축(143)은 헛돌지 않도록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잠금상태 확인부재(16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통공(161a)이 관통되는 삽입브라켓(161)과;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에는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게 되며 후방에는 감지바(162a)가 형성되는 감지구(162)와;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후방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감지바(162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163a)이 형성되는 커버(163)와; 상기 감지바(162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감지구(162)와 커버(163)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62b)과;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결합공(164a)이 형성되는 브라켓(164)과; 상기 결합공(164a)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바(162a)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6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 크레인의 암을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축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고정축의 잠금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잠금 작업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역회전 방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잠금상태 확인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역회전 방지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잠금상태 확인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상부와 하부 내경에 나선공(111,112)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고정키(15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상태 확인부재(160)가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나선공(111)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2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의 내삽공(120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장착공(122)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고 하단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삽입홈(123)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3)의 타측에는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에 위치한 지지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25)가 구비되는 상부몸체(120)와; 중앙에 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공(112)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되는 다수의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34)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33)의 타측에서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의 지지부(134)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35)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회전 방지부재(140)가 구비되는 하부몸체(130)와; 상기 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공(15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151)에는 고정키(152)가 장착되며 하부 일측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홈(15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태를 갖는 걸림구(154)가 구비되는 고정축(150)을 포함하되,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40)는 상기 하부몸체(13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통공(131)과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141)과; 상기 결합공(141)의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삽공(142a)이 형성되고 전방 내경에는 나선부(142b)가 구비되는 보조몸체(142)와; 상기 내삽공(142a)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53)에 끼워지며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축(143a)이 구비되는 걸림축(143)과; 상기 나선부(142b)와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45a)이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통공(145b)이 구비되는 고정구(145)와; 상기 지지축(143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축(143)과 고정구(145)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30)가 각각 나선결합된 상태로 내부에는 상기 고정축(15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키(15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상태 확인부재(160)의 삽입브라켓(161)이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공(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13)은 상기 고정키(152)의 측면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30)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150)을 90°회전시켜 통 크레인(10)의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즉, 상기 고정축(150)은 통 크레인(10)의 삽입홈(A)에 내삽된 상태에서 90°회전하면서 걸림턱(B)과 맞닿게 되어 상부방향으로 이탈을 방지하여 통 크레인(10)의 제1암(11)과 제2암(13)의 작동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홈(123,133)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키(152)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유도하여 고정하고, 상기 지지부(124,134)는 상기 고정키(152)가 일측으로 회전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유도하며, 상기 경사부(125,135)는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은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고정축(150)을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A)의 내부에 상기 걸림구(154)가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키(152)가 삽입홈(133)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와 상부몸체(120) 및 하부몸체(13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경사부(125)를 따라서 상기 고정키(152)가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축(150)을 일측으로 자연스럽게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축(150)은 상기 경사부(125)와 삽입홈(133)의 형성각도에 따라서 90°회전되지 않고 대략 45°회전된다.
마지막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와 상부몸체(120) 및 하부몸체(130)가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경사부(135)가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아 상기 고정축(150)을 대략 45°회전시켜 상기 걸림구(154)가 전체적으로 초기위치에서 90°회전되어 걸림턱(B)과 맞닿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10)와 상부몸체(120) 및 하부몸체(130)가 상하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고정축(150)을 90°회전시켜 통 크레인(10)의 잠금작업이 완료된다.
아울러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40)는 고정축(150)이 정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40)는 상기 고정축(150)이 외부충격 및 과부하로 인해서 역방향으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몸체(130)의 하부 일측에는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홈(15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맞닿고 있는 상기 고정축(150)이 정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에는 개방되고 타측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므로, 결국 상기 고정축(15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직각방향의 타측과 맞닿아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내삽공(142a)과 걸림축(143)은 헛돌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걸림축(143)이 고정홈(153)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스프링(144)은 탄성력을 유발하여 항상 상기 걸림축(143)의 선단이 상기 고정홈(153)가 맞닿도록 유도하여 상기 고정축(15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144)은 항상 상기 걸림축(143)을 선단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인장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143a)은 상기 고정축(150)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걸림축(143)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키(152)는 승하강하는 상기 경사부(125,135)와 맞닿아 상기 고정축(150)을 자연스럽게 회전시키면서 통 크레인(10)의 잠금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때 상기 걸림구(154)는 삽입홈(A)에 내삽된 상태에서 회전각도에 따라서 걸림턱(B)과 맞닿아 잠금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상태 확인부재(160)는 통 크레인(10)의 잠금 작업을 진행하는 상기 고정키(152)의 위치를 감지하여 잠금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잠금상태 확인부재(160)는 90°회전하는 상기 고정키(152)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잠금상태 확인부재(160)의 구성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통공(161a)이 관통되는 삽입브라켓(161)과;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에는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게 되며 후방에는 감지바(162a)가 형성되는 감지구(162)와;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후방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감지바(162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163a)이 형성되는 커버(163)와; 상기 감지바(162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감지구(162)와 커버(163)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62b)과;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결합공(164a)이 형성되는 브라켓(164)과; 상기 결합공(164a)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바(162a)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65)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삽입브라켓(16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113)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감지구(162)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이동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감지구(162)는 상기 고정키(152)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직접 맞닿게 되어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감지구(162)의 선단부는 회전하는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반원형 또는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감지바(162a)는 상기 감지구(162)가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을 경우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감지센서(165)가 이를 감지하여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63)는 상기 스프링(162b)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감지구(162)의 설치 및 교환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한다.
특히 상기 스프링(162b)은 탄성력을 유발하여 항상 상기 감지구(162)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회전하는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도록 유도하고, 반대로 상기 감지구(162)와 고정키(152)가 서로 맞닿게 되면 압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162b)은 인장스프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내경 선단에는 상기 감지구(162)가 전방으로 더이상 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감지센서(165)는 상기 고정키(152)의 위치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감지바(162a)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서 근접센서 등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10: 통 크레인
11: 제1암 12: 힌지축
13: 제2암 14: 회동축
100: 본 발명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110: 몸체 111,112: 나선공
113: 결합공
120: 상부몸체 120a: 내삽공
121: 나선부 122: 장착공
123: 삽입홈 124: 지지부
125: 경사부
130: 하부몸체 131: 통공
132: 나선부
133: 삽입홈 134: 지지부
135: 경사부
140: 역회전 방지부재 141: 결합공
142: 보조몸체 142a: 내삽공
142b: 나선부 143: 걸림축
143a: 지지축 144: 스프링
145: 고정구 145a: 나선축
145b: 통공
150: 고정축 151: 결합공
152: 고정키 153: 고정홈
154: 걸림구
160: 잠금상태 확인부재 161: 삽입브라켓
161a: 통공 162: 감지구
162a: 감지바 162b: 스프링
163: 커버 163a: 통공
164: 브라켓 164a: 결합공
165: 감지센서
A: 삽입홈 B: 걸림턱

Claims (3)

  1. 내부가 비어있는 중공형태로 상부와 하부 내경에 나선공(111,112)이 각각 구비되고 일측에는 고정키(15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잠금상태 확인부재(160)가 설치되는 몸체(110)와; 상기 나선공(111)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21)가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의 내삽공(120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장착공(122)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고 하단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된 다수의 삽입홈(123)이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23)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23)의 타측에는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에 위치한 지지부(124)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25)가 구비되는 상부몸체(120)와; 중앙에 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공(112)과 나선결합될 수 있도록 중간 외경에 나선부(132)가 구비되며 상부에는 방사상으로 절개되는 다수의 삽입홈(13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33)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부(134)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홈(133)의 타측에서 왼쪽방향 또는 오른쪽방향의 지지부(134)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경사부(135)가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회전 방지부재(140)가 구비되는 하부몸체(130)와; 상기 통공(131)을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공(15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공(151)에는 고정키(152)가 장착되며 하부 일측 외경에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고정홈(15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평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태를 갖는 걸림구(154)가 구비되는 고정축(150)을 포함하되, 상기 역회전 방지부재(140)는 상기 하부몸체(130)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통공(131)과 관통되도록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공(141)과; 상기 결합공(141)의 내부에 고정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삽공(142a)이 형성되고 전방 내경에는 나선부(142b)가 구비되는 보조몸체(142)와; 상기 내삽공(142a)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53)에 끼워지며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축(143a)이 구비되는 걸림축(143)과; 상기 나선부(142b)와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45a)이 후방에 형성되고 중앙에는 통공(145b)이 구비되는 고정구(145)와; 상기 지지축(143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축(143)과 고정구(145)의 사이에 장착되는 스프링(1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공(142a)과 걸림축(143)은 헛돌지 않도록 측면상태에서 보았을 때 다각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상태 확인부재(16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113)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통공(161a)이 관통되는 삽입브라켓(161)과;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선단에는 상기 고정키(152)와 맞닿게 되며 후방에는 감지바(162a)가 형성되는 감지구(162)와; 상기 삽입브라켓(161)의 후방에 결합되며 중앙에는 상기 감지바(162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공(163a)이 형성되는 커버(163)와; 상기 감지바(162a)의 외경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감지구(162)와 커버(163)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162b)과;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결합공(164a)이 형성되는 브라켓(164)과; 상기 결합공(164a)에 장착되어 상기 감지바(162a)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6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KR1020100073983A 2010-07-30 2010-07-30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KR20120012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83A KR20120012079A (ko) 2010-07-30 2010-07-30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983A KR20120012079A (ko) 2010-07-30 2010-07-30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079A true KR20120012079A (ko) 2012-02-09

Family

ID=4583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983A KR20120012079A (ko) 2010-07-30 2010-07-30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20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66B1 (ko) * 2015-09-22 2017-01-10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통스크레인의 다단 분리형 통키
KR102605438B1 (ko) * 2023-08-21 2023-11-22 최현철 오픈 타입 통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466B1 (ko) * 2015-09-22 2017-01-10 주식회사 성진이앤아이 통스크레인의 다단 분리형 통키
KR102605438B1 (ko) * 2023-08-21 2023-11-22 최현철 오픈 타입 통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298B1 (en) Lift device for vehicle
CN106660477B (zh) 用于集装箱的联锁装置
KR20120012079A (ko) 통 크레인용 잠금장치
CN102897011B (zh) 电动汽车电池箱用锁定装置
CN112302424A (zh) 保护结构的保护方法和保管柜的保护方法
US9670041B2 (en) Remote activation of scissor lift cylinder prop
JP6340020B2 (ja) コイルリフター
KR101074160B1 (ko) 통스크레인의 통키 제어장치
KR102188520B1 (ko)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EP2692681A1 (en) Hoisting device provided with a mechanical interlocking system
WO2013012128A1 (ko) 강제해제를 방지할 수 있는 도어록
CN104085772B (zh) 用于集装箱吊运的吊具
KR102193760B1 (ko) 통키
CN202508803U (zh) 机构运动限位检测装置及应用该检测装置的起重机
CN103253601A (zh) 起重机
KR101153483B1 (ko) 크레인용 안전장치
TWI496655B (zh) Track operating mechanism with automatic compensation function
CN107109857A (zh) 用于安装在窗、门或诸如此类的扇和固定框之间的配件以及具有这种配件的窗、门或诸如此类
KR20170142021A (ko) 안전성능 향상 및 잠금 부하를 저감시킨 통키 잠금 구조물
CN102601802A (zh) 煤矿探测机器人自动回弹式探测机构
CN103993838B (zh) 旋挖钻机三角变幅机构
KR101691441B1 (ko)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CN205772878U (zh) 一种集装箱岸桥用新型小车锚定装置
CN210195792U (zh) 一种液压支架操纵阀限位装置
CN106058713B (zh) 一种应用在巡线机器人上的地线夹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