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441B1 -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1441B1 KR101691441B1 KR1020160078417A KR20160078417A KR101691441B1 KR 101691441 B1 KR101691441 B1 KR 101691441B1 KR 1020160078417 A KR1020160078417 A KR 1020160078417A KR 20160078417 A KR20160078417 A KR 20160078417A KR 101691441 B1 KR101691441 B1 KR 1016914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olley
- hook
- support
- vertical direction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4—Safety gear for preventing collisions, e.g. between cranes or trolleys operating on the same tra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11)의 중앙 위치에 하부방향을 바라보도록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감지부재(110)를 설치하고, 훅크(14)의 일측에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감지부재(110)가 훅크(14)의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반사판 또는 인식판과 같은 측정부재(120)를 마련하며, 상기 감지부재(110)와 연결하여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트롤리(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30)로 이루어지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120)는 상기 훅크(14)의 일측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121)의 하부에 상기 측정부재(120)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중량체(122)를 설치하여 훅크(14)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재(120)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트롤리와 훅크의 수직위치를 정렬시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 및 스내그 현상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훅크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측정부재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트롤리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동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크레인의 트롤리와 훅크의 수직위치를 정렬시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 및 스내그(snag)를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크레인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량물(A)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량물(A)을 운반할 경우 흔들림 및 일측으로 쏠리는 스내그(Snag)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자 또는 주변설비와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아울러 최근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롤리(11)의 중앙 위치에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감지부재(110)를 설치하고, 훅크(14)의 일측에 상기 감지부재(110)가 훅크(14)의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반사판 또는 인식판과 같은 측정부재(120)를 설치하며, 상기 감지부재(110)와 연결하여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트롤리(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30)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부재(120)가 외부충격 또는 훅크(14)의 각도에 따라서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경우 감지부재(110)가 측정부재(120)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결과적으로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없는 기능상의 한계를 갖게 되었다.
여기서 감지부재(110)가 측정부재(120)의 정확한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트롤리(11)의 오작동으로 인해 작업효율 저하는 물론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트롤리(11)와 훅크(14)의 사이에 연결하는 로프(13)가 일측으로 이동하거나 흔들릴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으므로 작동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트롤리와 훅크의 수직위치를 정렬시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훅크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측정부재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감지부재가 측정부재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 및 감지할 수 있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의 흔들림 및 스내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는,
트롤리(11)의 중앙 위치에 하부방향을 바라보도록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감지부재(110)를 설치하고, 훅크(14)의 일측에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감지부재(110)가 훅크(14)의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반사판 또는 인식판과 같은 측정부재(120)를 마련하며, 상기 감지부재(110)와 연결하여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트롤리(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30)로 이루어지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120)는 상기 훅크(14)의 일측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121)의 하부에 상기 측정부재(120)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중량체(122)를 설치하여 훅크(14)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재(120)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롤리(11)의 하부 양측에 트롤리(11)와 훅크(14)의 사이에 연결하는 로프(13)가 일측으로 이동하거나 흔들릴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140)는 상기 트롤리(11)의 하부에 설치하는 몸체(141); 상기 몸체(141)의 하부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42); 상기 제1지지대(142)의 하부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43); 상기 보조몸체(143)의 중앙에 삽입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축(144); 상기 이동축(144)의 전방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몸체(145); 상기 지지몸체(145)의 전방에 형성하되 전방 내측에 로프(13)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간(146a)을 마련하는 받침구(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간(146a)의 내측면에 내마모부(146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몸체(143)의 일측에 브라켓(147)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47)의 후방 일측에 상기 이동축(144)의 후방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몸체(141)와 제1지지대(142)의 사이에 제1힌지축(141a)을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대(142)와 보조몸체(143)의 사이에 제2힌지축(142a)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축(144)과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제3힌지축(144a)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몸체(143)와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스프링(144b)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몸체(145)와 받침구(146)의 사이에 제4힌지축(145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트롤리와 훅크의 수직위치를 정렬시켜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흔들림 및 스내그 현상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훅크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측정부재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하여 트롤리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로프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동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크레인의 중량물 운반과정을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종래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서 훅크의 기울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서 훅크의 기울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종래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종래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서 훅크의 기울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서 훅크의 기울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서 훅크의 기울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차단부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롤리(11)의 중앙 위치에 하부방향을 바라보도록 센서 또는 카메라와 같은 감지부재(110)를 설치하고, 훅크(14)의 일측에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감지부재(110)가 훅크(14)의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반사판 또는 인식판과 같은 측정부재(120)를 마련하며, 상기 감지부재(110)와 연결하여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트롤리(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30)로 이루어지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120)는 상기 훅크(14)의 일측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121)의 하부에 상기 측정부재(120)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중량체(122)를 설치하여 훅크(14)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재(120)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부재(110)는 설치환경 및 작업여건에 따라서 적외선 및 초음파 등을 이용하는 광센서는 물론 3D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측정부재(120)는 상기 감지부재(110)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반사할 수 있는 반사판 또는 3D 카메라가 촬영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인식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감지부재(110)가 측정부재(120)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동부(12)를 작동시켜 트롤리(1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12)는 감속기 및 모터의 조합으로 상기 트롤리(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30)는 인버터 및 엔코더, 콘트롤러, 중앙처리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정부재(120)는 종래와 같이 외부충격 또는 훅크의 각도에 따라서 일측으로 기울어질 경우 상기 감지부재(110)가 측정부재(120)를 정확하게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회동축(121)은 훅크(14)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상기 측정부재(120)가 무게중심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22)는 상기 회동축(121)의 하부에 상기 측정부재(120)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설치한 상태로 하부방향으로 무게 중심이 집중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크(14)가 기울어지더라도 무게중심을 하부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측정부재(120)를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감지부재(110)가 측정부재(120)를 정확하게 감지 또는 측정하여 중량물(A)을 운반할 경우 흔들림 및 스내그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체(122)는 일정중량을 갖는 다수개의 중량물을 조립한 상태로 상기 측정부재(120)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작업자가 중량물을 추가 또는 분리시켜 중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트롤리(11)의 하부 양측에 트롤리(11)와 훅크(14)의 사이에 연결하는 로프(13)가 일측으로 이동하거나 흔들릴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차단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차단부재(1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롤리(11)의 하부에 설치하는 몸체(141); 상기 몸체(141)의 하부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42); 상기 제1지지대(142)의 하부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43); 상기 보조몸체(143)의 중앙에 삽입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축(144); 상기 이동축(144)의 전방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몸체(145); 상기 지지몸체(145)의 전방에 형성하되 전방 내측에 로프(13)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간(146a)을 마련하는 받침구(146);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41)는 트롤리(11)의 하부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상기 차단부재(140)의 구성들에 대한 하중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 몸체(141)와 제1지지대(142)의 사이에 제1힌지축(141a)을 형성하여 상기 제1지지대(142)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142)와 보조몸체(143)의 사이에 제2힌지축(142a)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몸체(143)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몸체(143)는 중앙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비어 있는 상태로 상기 이동축(144)이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히 상기 다수개의 지지몸체(145)는 상기 받침구(146)의 후방 상부 및 하부에 설치한 상태로 로프(13)가 상기 받침구(146)와 맞닿을 경우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144)과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제3힌지축(144a)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몸체(145)와 받침구(146)의 사이에 제4힌지축(145a)을 형성하여 로프(13)가 상기 받침구(146)와 맞닿을 경우 상기 다수개의 지지몸체(145)를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143)와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스프링(144b)을 형성하여 평소에 상기 받침구(146)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로프(13)가 상기 받침구(146)와 맞닿을 경우 받침구(146)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압축복원력을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144b)은 상기 이동축(144)의 외경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보조몸체(143)와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삽입공간(146a)의 내측면에 로프(13)와 맞닿을 경우 발생하는 마모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세라믹 또는 캐스타블 등과 같은 내마모재질의 내마모부(146b)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몸체(143)의 일측에 브라켓(147)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47)의 후방 일측에 상기 이동축(144)의 후방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48)를 구비함으로써 로프(13)가 상기 받침구(146)와 맞닿을 경우 상기 이동축(144)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감지센서(148)가 이를 감지하여 동시에 구동부(12)를 작동시켜 트롤리(11)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148)는 상기 제어부(130)와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1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지부재(110)가 측정부재(120)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트롤리(11)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훅크(14)를 이용하여 중량물(A)을 이동시킴으로써 흔들림 및 스내그 현상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차단부재(140)를 이용하여 로프(13)의 흔들림 및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동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하다.
11: 트롤리 12: 구동부
13: 로프 14: 훅크
110: 감지부재 120: 측정부재
121: 회동축 122:중량체
130: 제어부
140: 차단부재 141: 몸체
141a: 제1힌지축 142: 제1지지대
142a: 제2힌지축 143: 보조몸체
144: 이동축 144a: 제3힌지축
144b: 스프링 145: 지지몸체
145a: 제4힌지축 146: 받침구
146a: 삽입공간 146b: 내마모부
147: 브라켓 148: 감지센서
A: 중량물
13: 로프 14: 훅크
110: 감지부재 120: 측정부재
121: 회동축 122:중량체
130: 제어부
140: 차단부재 141: 몸체
141a: 제1힌지축 142: 제1지지대
142a: 제2힌지축 143: 보조몸체
144: 이동축 144a: 제3힌지축
144b: 스프링 145: 지지몸체
145a: 제4힌지축 146: 받침구
146a: 삽입공간 146b: 내마모부
147: 브라켓 148: 감지센서
A: 중량물
Claims (6)
- 트롤리(11)의 중앙 위치에 하부방향을 바라보도록 센서 또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감지부재(110)를 설치하고, 훅크(14)의 일측에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감지부재(110)가 훅크(14)의 위치를 감지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반사판 또는 인식판을 포함하는 측정부재(120)를 마련하며, 상기 감지부재(110)와 연결하여 트롤리(11)와 훅크(14)가 수직방향으로 서로 중심이 일치하도록 트롤리(11)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부(130)로 이루어지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120)는 상기 훅크(14)의 일측에 형성하는 회동축(121)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121)의 하부에 상기 측정부재(120)와 수직방향으로 일치하도록 중량체(122)를 설치하여 훅크(14)가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측정부재(120)가 항상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트롤리(11)의 하부 양측에 트롤리(11)와 훅크(14)의 사이에 연결하는 로프(13)가 일측으로 이동하거나 흔들릴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140)를 포함하되, 상기 차단부재(140)는 상기 트롤리(11)의 하부에 설치하는 몸체(141); 상기 몸체(141)의 하부에 설치하는 제1지지대(142); 상기 제1지지대(142)의 하부에 형성하는 보조몸체(143); 상기 보조몸체(143)의 중앙에 삽입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이동축(144); 상기 이동축(144)의 전방에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몸체(145); 상기 지지몸체(145)의 전방에 형성하되 전방 내측에 로프(13)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공간(146a)을 마련하는 받침구(1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146a)의 내측면에 내마모부(146b)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143)의 일측에 브라켓(147)을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147)의 후방 일측에 상기 이동축(144)의 후방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1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41)와 제1지지대(142)의 사이에 제1힌지축(141a)을 형성하고, 상기 제1지지대(142)와 보조몸체(143)의 사이에 제2힌지축(142a)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축(144)과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제3힌지축(144a)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몸체(143)와 지지몸체(145)의 사이에 스프링(144b)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몸체(145)와 받침구(146)의 사이에 제4힌지축(145a)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417A KR101691441B1 (ko) | 2016-06-23 | 2016-06-23 |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8417A KR101691441B1 (ko) | 2016-06-23 | 2016-06-23 |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1441B1 true KR101691441B1 (ko) | 2016-12-30 |
Family
ID=5773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8417A KR101691441B1 (ko) | 2016-06-23 | 2016-06-23 |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144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26220A (zh) * | 2019-02-15 | 2019-04-16 | 河南省东风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地铁施工的出渣机 |
CN114148923A (zh) * | 2021-11-25 | 2022-03-08 | 南京龙潭铁路有限公司 | 港口码头集装箱用的龙门吊安全防护用自动刹车防滑装置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7564A (ja) * | 1993-12-27 | 1995-07-25 | Honda Motor Co Ltd | クレーンにおけるセンター合わせ装置 |
JPH08295487A (ja) * | 1995-04-28 | 1996-11-12 | Toshiba Eng Co Ltd | 天井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ガイド装置 |
KR970020933A (ko) | 1995-10-30 | 1997-05-28 | 유상부 | 크레인의 권상물체 흔들림 및 자세측정장치 |
JPH11106186A (ja) * | 1997-10-03 | 1999-04-20 | Meidensha Corp | ホイストのロープガイド機構 |
KR100230574B1 (ko) | 1997-11-14 | 1999-11-15 | 김성년 | 크레인 이송 운반물의 흔들림각 측정방법 및 장치 |
KR200310815Y1 (ko) | 1998-11-24 | 2003-09-19 | 주식회사 포스코 | 크레인후크흔들림각도측정장치 |
KR100425394B1 (ko) | 2002-04-27 | 2004-03-3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토크리미터를 이용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내그 파손방지장치 |
KR20090076448A (ko) | 2008-01-09 | 2009-07-13 | 현대로템 주식회사 |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균형장치 |
KR101129176B1 (ko) | 2004-12-24 | 2012-03-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천정크레인의 위치 및 흔들림 제어방법 |
KR101237038B1 (ko) | 2010-08-20 | 2013-02-25 | 김병규 | 크레인의 제어장치 |
KR101618531B1 (ko) | 2015-11-04 | 2016-05-04 | 정진혁 | 천장 크레인 시스템 |
-
2016
- 2016-06-23 KR KR1020160078417A patent/KR1016914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7564A (ja) * | 1993-12-27 | 1995-07-25 | Honda Motor Co Ltd | クレーンにおけるセンター合わせ装置 |
JPH08295487A (ja) * | 1995-04-28 | 1996-11-12 | Toshiba Eng Co Ltd | 天井クレーンのワイヤロープガイド装置 |
KR970020933A (ko) | 1995-10-30 | 1997-05-28 | 유상부 | 크레인의 권상물체 흔들림 및 자세측정장치 |
JPH11106186A (ja) * | 1997-10-03 | 1999-04-20 | Meidensha Corp | ホイストのロープガイド機構 |
KR100230574B1 (ko) | 1997-11-14 | 1999-11-15 | 김성년 | 크레인 이송 운반물의 흔들림각 측정방법 및 장치 |
KR200310815Y1 (ko) | 1998-11-24 | 2003-09-19 | 주식회사 포스코 | 크레인후크흔들림각도측정장치 |
KR100425394B1 (ko) | 2002-04-27 | 2004-03-30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토크리미터를 이용한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내그 파손방지장치 |
KR101129176B1 (ko) | 2004-12-24 | 2012-03-28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천정크레인의 위치 및 흔들림 제어방법 |
KR20090076448A (ko) | 2008-01-09 | 2009-07-13 | 현대로템 주식회사 |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균형장치 |
KR101237038B1 (ko) | 2010-08-20 | 2013-02-25 | 김병규 | 크레인의 제어장치 |
KR101618531B1 (ko) | 2015-11-04 | 2016-05-04 | 정진혁 | 천장 크레인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26220A (zh) * | 2019-02-15 | 2019-04-16 | 河南省东风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地铁施工的出渣机 |
CN109626220B (zh) * | 2019-02-15 | 2023-09-26 | 河南省东风起重机械有限公司 | 一种用于地铁施工的出渣机 |
CN114148923A (zh) * | 2021-11-25 | 2022-03-08 | 南京龙潭铁路有限公司 | 港口码头集装箱用的龙门吊安全防护用自动刹车防滑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20475B2 (ja) | スタッカクレーン | |
JP6483298B1 (ja) | 容器反転機 | |
JP4840256B2 (ja) | カウンタバランス型クレーン | |
KR101691441B1 (ko) | 천정크레인의 안전사고 방지장치 | |
KR101053931B1 (ko) | 물품 이송용 플렉시블 드라이빙 장치 | |
KR101344315B1 (ko)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
JP5019770B2 (ja) | クレーンのフックブロック振れ角検出装置 | |
KR102021196B1 (ko) |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 |
US20230391588A1 (en) | Lifting gear, and method for determining slack rope on the lifting gear | |
KR101344317B1 (ko) | 연속식 하역장치 | |
JP6143630B2 (ja) | 索状体の異常検出装置 | |
JP4873262B2 (ja) | スタッカークレーン | |
JP6106620B2 (ja) | クレーンの振れ検出装置 | |
JPWO2021038731A5 (ko) | ||
KR20120072479A (ko) | 벨트컨베이어 장치 | |
JPWO2019177008A1 (ja) | クローラ式クレーン | |
KR101887271B1 (ko) | 연속하역장비용 비상 제동장치 | |
KR101344310B1 (ko) |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 |
JP6648247B2 (ja) |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 |
KR101928172B1 (ko) | 충돌 방지형 연속식 하역장치 | |
KR101277166B1 (ko) | 픽업 크레인 | |
KR101257462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 |
JP6980193B2 (ja) | 物品保管装置、及び物品移動装置 | |
KR102224869B1 (ko) |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휠 감지장치 | |
KR101368265B1 (ko) | 연속하역기용 비상 정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