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520B1 -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520B1
KR102188520B1 KR1020180173729A KR20180173729A KR102188520B1 KR 102188520 B1 KR102188520 B1 KR 102188520B1 KR 1020180173729 A KR1020180173729 A KR 1020180173729A KR 20180173729 A KR20180173729 A KR 20180173729A KR 102188520 B1 KR102188520 B1 KR 10218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axis
clamp body
teeth
male memb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796A (ko
Inventor
한영숙
이세인
Original Assignee
한영숙
이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숙, 이세인 filed Critical 한영숙
Priority to KR1020180173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5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집게 본체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암의 말단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게 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를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구비하는 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기 또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게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Angle-adjustable Claw for Excavators}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게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집게 본체가 암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는 굴삭기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등에서 땅이나 암석 등을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상부 선회체를 회전시키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붐대를 이용하여 운반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택지조성, 건물기초, 토사적재, 말목박기, 고철적재, 원목적재, 구멍파기, 교량, 암반 등의 건축물 파괴, 도로, 상수도 공사 등의 다양한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은 굴삭기에서는 목재 등의 물체를 운반하기 위한 집게가 구비되기도 하는데, 도 13에는 이러한 종래의 굴삭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굴삭기의 붐대(1)의 선단에는 암 실린더(2)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암(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암(3)의 선단에는 버켓 실린더(4)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버켓(5)이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버켓(5)의 내측에는 상기 암(3)의 내측에 결합되며 집게 실린더(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버켓(5)과 협력하여 물건 등을 집을 수 있는 집게(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집게(7)는, 활처럼 굽어진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도 13)와 상기 암(3)에 근접하는 제2 위치(도 14) 사이에서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집어서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할 경우에는 암 실린더(2) 및 버켓 실린더(4)를 작동시켜, 상기 버켓(5)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집게 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집게(7)를 조작하여 물건을 버켓(5)과 집게(7)의 사이에서 집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집게(7)는, 상기 집게(7)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위치에 배치하는데, 이 경우 상기 집게(7)가 상기 암(3)으로부터 상당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버켓(5)을 사용하는 작업에 상당한 불편이 초래되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증가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집게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집게 본체가 암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도록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집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는, 암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집게 본체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암의 말단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게 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구비하는 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기 또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 유닛은,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피스톤 부재;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를 수밀 가능하게 둘러감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중공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부재의 중공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근접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실린더 부재의 중공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수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집게 본체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각도는 18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잠금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톱니, 제2 톱니, 제3 톱니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제3 톱니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3 톱니 집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3 톱니 집단은, 서로 미리 정한 거리만큼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톱니와 제2 톱니 중 하나는, 상기 제3 톱니 집단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마련된 톱니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유닛이 회전 중심축으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가 상기 집게 본체와 분리 이탈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집게 본체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암의 말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게 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구비하는 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기 또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므로, 상기 집게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 본체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상기 집게 본체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게 본체가 다양한 각도에 위치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게 본체가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수부재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수부재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유닛 및 이송 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수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측면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보강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중앙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집게 본체가 다양한 각도에 위치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게 본체가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100)는,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집어서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시키는 경우에, 굴삭기(Excavator)의 버켓(5)과 협력하여 물건 등을 집을 수 있도록, 굴삭기의 암(3)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Claw)로서, 집게 본체(10)와, 지지 부재(20)와, 잠금 유닛(30)과, 이송 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암(3)의 선단에는 버켓 실린더(4)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버켓(5)이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금속 재질의 막대형 부재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위치한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대체로 직선적 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마련되는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C)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부재(10a)와,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10a)를 서로 연결해주는 중앙 부재(10b)와, 상기 중앙 부재(10b)의 하면에 결합되는 보강 부재(10c)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부재(10a)는, 미리 정한 두께를 가진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측면 부재(10a)의 상단부에는, 도 4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톱(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톱(12)은,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부재(10a)의 일단부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32)의 두께는 L1/2이다.
상기 제2 연결부(32)는, 후술할 제1 연결부(31)와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2 연결부(32)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인 힌지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공(11)은 미리 정한 직경(D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측면 부재(10a)는,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부(32)가 상기 지지 부재(20)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의 수납이 편리한 수납 위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가 각도 고정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사용 위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가 최대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암(3)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된 위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 부재(10a)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단부에는 관통공(15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단부에는 관통공(15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부재(10b)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C)을 따라 연장된 곡면판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부재(10a)의 상단부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도록 굽어져 있다.
상기 중앙 부재(10b)의 양측단부는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10a)의 상단부 내측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앙 부재(1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 위치에서, 상기 암(3)의 표면에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된다.
상기 중앙 부재(10b)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C)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타원형 중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부재(10b)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돌기부(14c, 14d)와, 복수 개의 관통공(15a, 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c)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c)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10a)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부재(10b)의 하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c)의 일단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부재(10a)에 형성된 제2 연결부(32)와 동일한 형상의 제2 연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연결부(32)의 두께는 L1/2이다.
상기 제2 연결부(32)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인 힌지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c)는,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부(32)가 상기 지지 부재(2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강 부재(10c)의 상단부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4a)와 돌기부(1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14a, 14b, 14c, 14d)와, 관통공(15a, 15b, 15c, 15d)은, 서로 각각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서로 각각 결합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집게 본체(10)는,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부(32)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인 수납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인 사용 위치 사이의 최대 각도가, 상기 집게 본체(10)와 암(3)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한 최대한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80도 이상의 값을 가진다.
상기 지지 부재(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 부재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의 하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의 말단부 하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31)의 두께는 상기 제1 연결부(31)와 동일하게 L1/2이다.
상기 제1 연결부(31)에는,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하는 구멍인 힌지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공(21)은, 상기 측면 부재(10a)와 보강 부재(10c)에 형성된 힌지공(11)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공(21)은 미리 정한 직경(D1)을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의 하단부에는, 미리 정한 깊이로 함몰된 한 쌍의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3)는, 상기 지지 부재(20)의 하단부가 상기 암(3)에 용접될 때 정확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마련되어 상기 측면 부재(10a)와 보강 부재(10c)의 내측면에 각각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0)들 중에, 상기 한 쌍의 보강 부재(10c)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부재(20)들은, 스페이서(22)에 의하여 미리 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22)는, 중공을 가진 원형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 부재(20)의 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22)의 외주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원형 구멍인 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각도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으로서, 제1 수용부(311a)와 제2 수용부(321a)와 수부재(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용부(311a)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20)의 힌지공(21)에 마련되는 복수 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20)의 힌지공(21)에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31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수용부(311a)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톱니(311)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311)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공간부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톱니(311)는, 10개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36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1)을 가지고,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높이(W)를 가진다.
상기 제2 수용부(321a)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부재(10a) 및 보강 부재(10c)의 힌지공(11)에 마련된 복수 개의 부분이다.
상기 제2 수용부(321a)는, 상기 지지 부재(20)에 마련된 제1 수용부(311a)와 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공(11)에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3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수용부(321a)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톱니(321)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321)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공간부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톱니(321)는, 10개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36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1)을 가지고,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높이(W)를 가진다.
상기 수부재(33)는, 도 5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제2 수용부(321a)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지지 부재(20)에 고정하는 원기둥형 부재이다.
상기 수부재(33)는, 상기 제1 중심축(C1)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중공(333)을 구비하는 파이프형 본체(33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33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33)를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후술할 회전 중심축(45)이 통과하게 될 구멍이다.
상기 본체(334)의 외주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33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톱니(331)는,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제2 수용부(321a)와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지지 부재(20)에 고정하는 잠금부(331)에 해당한다.
상기 제3 톱니(331)는,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상기 제2 수용부(321a)와 결합하여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지지 부재(20)에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상기 제2 수용부(321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10)가 상기 지지 부재(20)에 대하여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톱니(331)를 복수 개 포함하는 2개의 제3 톱니 집단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각각의 제3 톱니 집단은, 서로 미리 정한 거리(L1/2)만큼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부재(33)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톱니(311)는, 상기 제3 톱니 집단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마련된 톱니 수용부(33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톱니(331)는, 20개 마련되어 2개의 집단으로 나뉘어 있으며, 서로 36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1)를 가지고, 상기 제1 중심축(C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높이(W)를 가진다.
상기 제3 톱니(331)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톱니(311) 사이에 형성된 제1 수용부(311a) 및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톱니(321) 사이에 형성된 제2 수용부(321a)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톱니(311) 및 제2 톱니(3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톱니(331)는 상기 제1 톱니(311) 및 제2 톱니(321)의 길이(L1/2)보다 더 긴 길이(L1)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톱니(331)의 길이(L1)는 상기 제1 톱니(311)의 길이(L1/2)과 상기 제2 톱니(321)의 길이(L1/2)를 합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수부재(33)의 제3 톱니(331) 말단부가 이루는 가상의 원의 최대 직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공(11) 및 힌지공(21)의 직경(D1)과 동일하다.
상기 수부재(3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직선적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다.
상기 수부재(33)의 상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마개 부재(43)가 수용될 수 있는 마개 부재 수용부(3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 부재 수용부(335)의 하단에는, 상기 마개 부재(43)가 걸려서 안착될 걸림턱(337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상기 수부재(33)는 상기 마개 부재(43)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게 본체(10)와 분리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수부재(33)의 마개 부재 수용부(335)의 하방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44)가 수용될 수 있는 탄성 부재 수용부(3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 수용부(336)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 부재(44)가 걸려서 안착될 걸림턱(33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33)의 본체(334) 하단에는, 후술할 피스톤 부재(41)가 걸려서 안착될 걸림턱(337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33)의 본체(334)의 상단 외부면에는, 상기 측면 부재(10a)의 힌지공(11)의 테두리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337d)이 있다.
상기 이송 유닛(40)은, 전기 또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유닛으로서,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위치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 유닛(40)은, 유압에 의하여 작동하며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시키기 위한 유닛이다.
상기 이송 유닛(40)은, 피스톤 부재(41)와 실린더 부재(42)와 마개 부재(43)와 탄성 부재(44)를 포함하다.
상기 피스톤 부재(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중공(411)을 가진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는, 상기 회전 중심축(45)의 중간부에 삽입된 상태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 부재(41)의 중공(411)과 상기 회전 중심축(45)의 외주면은 오링(R)에 의하여 수밀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는, 서로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근접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위치로 위치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 부재(42)는, 원형의 중공(421)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를 오링(R)에 의하여 수밀 가능하게 둘러감싸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부재(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 부재(41)와 상기 스페이서(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외주면에는, 작동유가 외부로부터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된 오일 출입구(4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출입구(4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2)에 형성된 관통공(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마개 부재(43)는, 상기 수부재(33)의 마개 부재 수용부(335)에 오링(R)에 의하여 수밀 가능하게 수용되는 원기둥형 부재로서, 상기 마개 부재 수용부(335)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차되어 있다.
상기 마개 부재(43)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45)에 형성된 수나사부(452)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44)는,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는 탄성 부재로서,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44)는, 상단부는 상기 마개 부재(43)에 의하여 구속되고 하단부는 상기 수부재(33)의 걸림턱(337b)에 의하여 구속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 부재(44)는 외부로부터 압축력을 받고 있다.
상기 회전 중심축(45)은, 양단부에 수나사부(452)가 형성된 원형 막대 부재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회전 중심축(45)은, 상기 수부재(33)와 상기 피스톤 부재(41)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전 중심축(45)의 중간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유가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된 오일 유로(4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 유로(451)는,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의 일단부에 유입된 작동유를 상기 중공(421)의 타단부로 신속히 이동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33)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가 서로 이격되면서 상기 이격 위치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피스톤 부재(41)가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33)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에 주입된 유압이 제거되면,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가 상기 근접 위치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부재(44)가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굴삭기용 집게(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수부재(3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20)의 제1 톱니(311)는, 상기 제3 톱니 집단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마련된 톱니 수용부(33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10)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집게 본체(10)의 회전 중심축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해제 위치에서, 작업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실린더(2)나 버켓 실린더(4)를 움직여서 상기 집게 본체(10)를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암(3)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중력을 이용하여 상기 집게 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를 수납 위치에 위치시키고 싶다면, 버켓(5)을 최대한 안쪽으로 굽혀서 상기 버켓(5)이 상기 집게 본체(10)를 밀어 올려 최대한 암(3)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작업자가 원하는 각도에 상기 집게 본체(10)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 유닛(40)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기 피스톤 부재(41)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33)가 잠금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집게 본체(10)의 각도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3 톱니(331)는,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제2 수용부(321a)와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지지 부재(20)에 고정시킨다.
예컨대, 작업자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를 고정한 후에는, 버켓(5)을 작동시키면, 상기 집게 본체(10)가 버켓(5)과 협력하여 물건 등을 집을 수 있는 집게로 기능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의 굴삭기용 집게(100)는, 암(3)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10);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3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30)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311a); 상기 제1 수용부(31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게 본체(1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321a);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상기 제2 수용부(321a)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상기 제2 수용부(321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10)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331)를 구비하는 수부재(33);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33)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기 또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유닛(40);을 포함하므로, 종래와 달리 집게 본체(10)의 회동을 위한 집게 실린더(6)가 필요하지 않으며, 중력이나 버켓(5)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집게 본체(10)를 임의의 각도로 위치시켜 고정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집게 본체(10)가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3)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상기 집게 본체(10)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5)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이송 유닛(40)이,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41)를 수밀 가능하게 둘러감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연장된 중공(421)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부재(42);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부재(41)가 상기 근접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가능하므로, 굴삭기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유압을 사용하여 간단히 상기 잠금 유닛(30)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이송 유닛(40)이,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부재(41)가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부재(33)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는 탄성 부재(44)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유압은 상기 수부재(33)를 해제 위치로 위치시킬때만 사용하고, 상기 실린더 부재(42)의 중공(421)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항상 상기 수부재(33)를 잠금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어, 의도하지 않게 상기 수부재(33)가 해제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각도는 180도 이상이므로, 종래의 굴삭기용 집게와 달리,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제1 수용부(311a)가,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311)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3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수용부(321a)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321)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3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잠금부(331)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331)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331)가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상기 제2 수용부(321a)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톱니(311), 제2 톱니(321), 제3 톱니(33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집게 본체(10)가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톱니(311, 321, 331)들이 그 충격을 분담하게 되는바 더 큰 하중 내지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당할 수 있으며, 회전 중심축(C1)으로서도 기능하는 상기 잠금 유닛(30)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복수 개의 제3 톱니(331)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3 톱니 집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3 톱니 집단은, 서로 미리 정한 거리만큼 상기 제1 중심축(C1)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톱니(311)와 제2 톱니(321) 중 하나는, 상기 제3 톱니 집단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마련된 톱니 수용부(33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잠금 유닛(30)이 회전 중심축(C1)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1개의 제3 톱니 집단을 구비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큰 하중 내지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10)가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유닛(30)이 회전 중심축(C1)으로 기능하므로, 상기 잠금 유닛(30)이 장착된 지점과 다른 지점에 별도의 회전 중심축(C1)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잠금부(331)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집게 본체(10)와 분리 이탈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부재(33)의 분실 또는 파손 위험이 없으며, 상기 잠금 유닛(30)이 회전 중심축(C1)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제2 수용부(321a)가 상기 지지 부재(20), 측면 부재(10a), 보강 부재(10c)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1 수용부(311a) 및 제2 수용부(321a)가 별도의 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공(11) 및 힌지공(21)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제3 톱니(331)를 복수 개 포함하는 2개의 제3 톱니 집단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4개의 지지 부재(20)와 2개의 측면 부재(10a)와, 2개의 보강 부재(10c)를 구비하고 있으나, 3개 이상의 제3 톱니 집단과 그에 대응하는 더 많은 개수의 지지 부재(20), 측면 부재(10a) 및 보강 부재(10c)를 구비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에 의해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44)에 의해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이나, 유압에 의해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탄성 부재(44)에 의해 상기 수부재(33)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반대의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기 탄성 부재(44)를 사용하지 않고 유압만에 의해 상기 수부재(33)가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에서는 상기 집게 본체(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의 말단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나, 상기 집게 본체(10)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소위 퀵 커플러(Q)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굴삭기용 집게
10: 집게 본체
10a: 측면 부재
10b: 중앙 부재
10c: 보강 부재
11: 힌지공
12: 발톱
13: 타원형 중공
14a, 14b, 14c, 14d: 돌기부
15a, 15b, 15c, 15d: 관통공
20: 지지 부재
21: 힌지공
22: 스페이서
23: 홈부
30: 잠금 유닛
31: 제1 연결부
32: 제2 연결부
33: 수부재
40: 이송 유닛
41: 피스톤 부재
42: 실린더 부재
43: 마개 부재
44: 탄성 부재
45: 회전 중심축
221: 관통공
311a: 제1 수용부
311: 제1 톱니
321a: 제2 수용부
321: 제2 톱니
331: 제3 톱니
332: 톱니 수용부
333: 중공
334: 본체
335: 마개 부재 수용부
336: 탄성 부재 수용부
337a, 337b, 337c, 337d: 걸림턱
411: 중공
421: 중공
422: 오일 출입구
431: 암나사부
451: 오일 유로
452: 수나사부
1: 붐대
2: 암 실린더
3: 암
4: 버켓 실린더
5: 버켓
6: 집게 실린더
7: 집게
C1 : 제1 중심축
C2 : 제2 중심축

Claims (8)

  1. 암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집게 본체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암의 말단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집게 본체의 일단부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구비하는 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전기 또는 유공압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잠금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톱니, 제2 톱니, 제3 톱니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제3 톱니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제3 톱니 집단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3 톱니 집단은, 서로 미리 정한 거리만큼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톱니와 제2 톱니 중 하나는, 상기 제3 톱니 집단이 서로 이격된 공간에 마련된 톱니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서로 근접하는 근접 위치와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는 이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피스톤 부재;
    상기 한 쌍의 피스톤 부재를 수밀 가능하게 둘러감싸도록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중공을 구비한 파이프 형상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부재의 중공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근접 위치와 상기 이격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실린더 부재의 중공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 부재가 상기 이격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수부재가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잠금 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는 탄성 부재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가 상기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 본체의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각도는 18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가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유닛이 회전 중심축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가 상기 집게 본체와 분리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KR1020180173729A 2018-12-31 2018-12-31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KR10218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29A KR102188520B1 (ko) 2018-12-31 2018-12-31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729A KR102188520B1 (ko) 2018-12-31 2018-12-31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96A KR20200082796A (ko) 2020-07-08
KR102188520B1 true KR102188520B1 (ko) 2020-12-08

Family

ID=7160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729A KR102188520B1 (ko) 2018-12-31 2018-12-31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5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209B1 (ko) 2022-04-28 2022-09-16 오동열 굴삭기 집게 조립체
KR20220146259A (ko) 2021-04-23 2022-11-01 김명구 굴삭기용 집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458A1 (en) 2016-03-23 2017-09-28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KR101846217B1 (ko) * 2017-03-29 2018-04-06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101870173B1 (ko) * 2017-06-02 2018-06-22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5445A (ja) * 1995-11-01 1997-05-13 Machikawa Shokai:Kk バックホウ型パワーショベル
SE9701887D0 (sv) * 1997-05-21 1997-05-21 Accima Ab Anordning för lösbar sammankoppling av ett arbetsredskap och en grävmaskins manövera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61458A1 (en) 2016-03-23 2017-09-28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KR101846217B1 (ko) * 2017-03-29 2018-04-06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101870173B1 (ko) * 2017-06-02 2018-06-22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259A (ko) 2021-04-23 2022-11-01 김명구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2444209B1 (ko) 2022-04-28 2022-09-16 오동열 굴삭기 집게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796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520B1 (ko)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US9677245B2 (en) Coupler
US10190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 work tool to an arm assembly of a machine
US9015968B2 (en) Thumb for an excavator machine with structure support
KR101870173B1 (ko)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EP31735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work tool to a machine
KR102118498B1 (ko) 회전 운동 브레이크 장치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US99762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work tool to a machine
KR101945030B1 (ko)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
KR200356045Y1 (ko) 굴절부와 안전판이 구비된 굴삭기
AU2014100573A4 (en) A Coupler
KR200245906Y1 (ko) 굴삭기
KR102618698B1 (ko) 틸트 전용 링크
KR102433574B1 (ko)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KR102382424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2353173B1 (ko) 굴착기용 틸트커플러
KR102108431B1 (ko) 회전 기능을 갖는 실린더 구조
KR101652090B1 (ko) 굴삭기 집게용 보조포크
KR20210022388A (ko) 크라샤와 결합가능한 굴삭기 집게장치
NZ579987A (en) A coupler having a locking mechanism preventing movement of the jaws if the jaw actuator fails
KR20160006540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