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69Y1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69Y1
KR200469569Y1 KR2020130003676U KR20130003676U KR200469569Y1 KR 200469569 Y1 KR200469569 Y1 KR 200469569Y1 KR 2020130003676 U KR2020130003676 U KR 2020130003676U KR 20130003676 U KR20130003676 U KR 20130003676U KR 200469569 Y1 KR200469569 Y1 KR 200469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in
link
connecting pin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관
Original Assignee
황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관 filed Critical 황규관
Priority to KR2020130003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굴삭기 붐의 측면이 아닌 버켓회동실린더와 면한 측으로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는 상부링크를 설치하고, 상부링크 중간에 버켓회동실린더를 연결하는 한편, 상부링크 하부에는 집게 중간과 연결되는 하부링크를 설치함으로써 집게의 회전 각도가 커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집게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가져 단부의 폭을 최대한 좁혀 운전자의 시야를 최소한으로 가릴 수 있게 되며, 더불어,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 사이로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는 여러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붐의 일측으로 링크가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게를 붐 측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작업 과정에서 주변 장애물에 의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링크부재의 측면이 일자의 형태를 취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집게 장치{Tongs apparatus for excavator}
본 고안은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집하장 및 철거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붐의 하부에 버켓과 연결되는 퀵커플러를 구비하고 링크대를 이용하여 버켓을 회전시켜 버켓의 회전율을 높이는 것과 더불어 붐 일측면에 구비된 브라켓에 상부링크를 연결하고, 이 상부링크에 집게발회동실린더를 연결하고, 상부링크는 하부링크와 연결된 채 하부링크를 집게 중간에 연결함으로써 집게의 회전율을 높이고, 집게의 폭을 최대한 좁게 형성하여 운전자의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집게를 최대한 붐에 밀착시킴으로써 지하 터파기나 덤프트럭 등에 상차시 주변 장애물에 의한 장해를 최소화하도록 한,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집하장 및 철거현장 등은 작업 대상물의 하중과 부피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노동력이 필요함으로써, 최근에는 인력과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굴삭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집하장 및 철거현장 등에 적용되는 굴삭기는 버켓(bucket)의 안쪽 부분에 집게발을 장착하여 나무나 돌 및 폐콘크리트 등을 운반 또는 시공하게 된다.
최근 건설현장ㆍ폐기물 집하장ㆍ철거현장 등에 적용되는 굴삭기는 붐(boom)과 퀵커플러(quick coupler)에 버켓이 장착되고, 상기 버켓의 안쪽 부분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작동하도록 집게발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집게발과 붐 사이에 유압실린더와 피스톤로드가 장착되어 집게발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 적용되고 있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기술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굴삭기용 집게 장치 고정장치"(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1302호, 특허문헌 1)에는 굴삭기의 붐과 링크대에 커플링이 결합되고, 상기 커플링의 하부에 버켓이 장착되는 한편 버켓의 안쪽 방향에서 붐의 하단부 위에 집게발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붐의 상부에 부착된 브라켓과 집게발 사이에 집게발회동실린더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기술은 집게발이 버켓의 안쪽에서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회동 작동하여 버켓과 맞물려서 벌어지거나 또는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설치되므로 나무나 돌 및 폐콘크리트 등의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여 운반 또는 시공작업을 수행하며, 작업 과정에서 여건에 따라 버켓을 이용하여 굴삭작업을 병행할 수 있다.
특히, 특허문헌 1에서는 집게발을 사용하지 않을 때 집게발을 해체하지 않고 붐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이 있도록 한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집게발을 미사용할 시에는 고정장치가 붐과 집게발을 상호 구속하는 장점을 갖으나, 버켓 대신 일명 파쇄기 등을 설치할 때 파쇄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붐에 전달되어 집게발이 고정장치로부터 이탈하고, 실린더의 유압이 미세하게 빠짐에 따라 집게발이 자연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통상적으로 유압실린더는 유압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세하게 유압이 빠져 나가는 현상이 발생함으로 인해 가속화되게 된다.
특히, 통상적으로 붐이 지면과 수직한 상태에 위치할 때 집게발은 붐과 평행하지 못하고 기울어져 있는 형상을 취하는 바 충격의 발생에 따른 고정장치가 해체될 경우 경사에 의해 유압이 미세하게 빠져나가면서 집게발이 자유 낙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굴삭기용 집게발"(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2673호, 특허문헌 2)에서는 집게발이 전체적으로 "3"자와 같은 형상을 취하도록 하고, 붐의 하부 일측과 집게발회동실린더가 수용되는 홈들을 형성함으로써 집게발을 상향 회전시킬 때 최대한 붐 측으로 밀착시켜 지면과 경사지지 않고 수직항 형태를 취하도록 하여 미세하게 유압이 빠져나가는 과정에서 집게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2는 집게발의 구동은 집게발을 회동시키는 집게발회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조절되며, 이 집게발회동실린더는 집게발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집게발의 하향 회전 각도가 짧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게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버켓과 마찬가지로 링크대를 붐 측면에 설치하여 링크대에 의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링크대가 굴절된 형태를 취해야 하는데, 이러한 링크대를 굴절 가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일정한 굴절율을 갖도록 하기 어렵고, 굴절 작업에 의해 링크대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집게는 그 폭이 좁으면 좁을수록 운전자의 시야를 최소한으로 가리게 되는 바, 폭을 좁혀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부각될 수 밖에 없다.
즉, 종래의 기술로는 집게의 폭을 최소화하면서 집게의 회전 각도를 높이고, 링크대 등의 변형 방지 및 강도 저하 등을 방지하는 여러 복합적인 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집게는 최대한 붐 측에 밀착시키며, 집게의 회전 각도를 높여 일의 효율성을 높임과 더불어 부품들의 가공을 최소화하고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KR 20-0451302 (2010.12.02) KR 20-2013-0002673 (2013.05.03)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 붐의 측면이 아닌 버켓회동실린더와 면한 측으로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는 상부링크를 설치하고, 상부링크 중간에 버켓회동실린더를 연결하는 한편, 상부링크 하부에는 집게 중간과 연결되는 하부링크를 설치함으로써 집게의 회전 각도가 커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집게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가져 단부의 폭을 최대한 좁혀 운전자의 시야를 최소한으로 가릴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 사이로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는 여러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붐의 일측으로 링크가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게를 붐 측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작업 과정에서 주변 장애물에 의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링크부재의 측면이 일자의 형태를 취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굴삭기의 붐(1)의 상부 일측에 버켓회동실린더(2)가 설치되어 있고, 붐(1)의 상부 타측에 집게발회동실린더(3)가 설치되어 있으며, 붐(1)의 하부에는 회전핀(4)에 의해 퀵커플러(5) 상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퀵커플러(5)의 상부 타측은 링크대(6)에 의하여 버켓회동실린더(2)에 연결된 채 하측이 버켓(7)과 연결되어 있어 버켓(7)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대(6)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붐(1)의 집게발회동실린더(3)를 향한 면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부(11)와,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부(11)에 고정된 채 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본 채 이격되어 위치하는 두 개의 돌출부(12)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돌출부(1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1연결핀(20)과; 상기 제1연결핀(20)에 돌출부(12)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는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3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두 상부링크부재(31) 중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핀(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상부링크부재(31) 단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핀(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게발회동실린더(3)의 로드(3a)가 상기 제2연결핀(32)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링크(30)와; 일측이 상기 제3연결핀(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는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41)로 이루어져 있고, 타측에는 두 하부링크부재(41)를 연결하는 제4연결핀(42)이 연결되어 있는 하부링크(40)와; 일측이 상기 회전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중간에 붐삽입공간부(51a)가 형성되어 상기 붐(1) 하부가 붐삽입공간부(51a)로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분기부(51)와, 상기 분기부(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부(51)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제1절곡부(52)와, 상기 제1절곡부(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연결핀(42)이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연결부(53)와, 상기 연결핀연결부(5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핀연결부(43)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제2절곡부(54)와, 상기 제2절곡부(5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버켓(7)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취하며, 단부에 포크(55a)가 설치되어 있는 만곡부(55)와, 마주보는 두 연결핀연결부(53)로부터 두 만곡부(55)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링크(30)가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너비를 갖는 링크수용홈(56)으로 이루어진 집게(50)와; 상기 붐(1)의 측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고리(61)와, 상기 만곡부(55)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고리(6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고정핀(62)으로 구성된 집게고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링크(30)는 제1연결핀(20)과 제2연결핀(32)의 사이 외주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취하는 볼록곡선부(3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볼록곡선부(34)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곡선부(3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연결핀(32)과 제3연결핀(33) 사이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2오목곡선부(3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링크(40)는 상측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3오목곡선부(4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3오목곡선부(43)의 하부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4오목곡선부(44)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집게(50)가 붐(1) 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55)는 붐(1)과 0.1 ~ 5cm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3오목곡선부(43) 내측으로 상기 제1연결핀(20) 및 브라켓(10)의 돌출부(12)가 삽입되며, 상기 제4오목곡선부(44)에 제2연결핀(32)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만곡부(55)는 상기 붐(1)과 동일한 너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링크(30)와 하부링크(40)는 각각 측면에서 일직선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부(51)는 퀵커플러(5)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핀(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해, 굴삭기 붐의 측면이 아닌 버켓회동실린더와 면한 측으로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는 상부링크를 설치하고, 상부링크 중간에 버켓회동실린더를 연결하는 한편, 상부링크 하부에는 집게 중간과 연결되는 하부링크를 설치함으로써 집게의 회전 각도가 커지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집게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가져 단부의 폭을 최대한 좁혀 운전자의 시야를 최소한으로 가릴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 사이로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상부링크와 하부링크에는 여러 오목한 부분과 볼록한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붐의 일측으로 링크가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게를 붐 측으로 최대한 밀착시켜 작업 과정에서 주변 장애물에 의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링크부재의 측면이 일자의 형태를 취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집게를 붐 측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집게를 벌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집게를 붐 측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집게를 붐 측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종래에 집게의 회전각도를 높이기 위해 제조한 링크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1)의 상부 일측에 버켓회동실린더(2)가 설치되어 있고, 붐(1)의 상부 타측에 집게발회동실린더(3)가 설치되어 있으며, 붐(1)의 하부에는 회전핀(4)에 의해 퀵커플러(5) 상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퀵커플러(5)의 상부 타측은 링크대(6)에 의하여 버켓회동실린더(2)에 연결된 채 하측이 버켓(7)과 연결되어 있어 버켓(7)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는 크게 브라켓(10), 제1연결핀(20), 상부링크(30), 하부링크(40), 집게(50), 집게고정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1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11)와 두 개의 돌출부(12)로 이루어져 있다.
플레이트부(1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크대(6)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붐(1)의 집게발회동실린더(3)를 향한 면에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부(11)는 볼팅이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붐(1)에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12)는 용접 등에 의해 일측이 플레이트부(11)에 일체로 고정된 채 타측이 외측 즉, 집게발회동실린더(3)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12)는 플레이트부(11)의 양측에 서로 이격된 채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제1연결핀(20)이 끼워지도록 홀가공 되어 있다.
제1연결핀(2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0)의 돌출부(1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양단이 돌출부(12)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부링크(3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31)와, 이들을 연결하는 제2연결핀(32) 및 제3연결핀(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31)는 상기 제1연결핀(20)에 돌출부(12)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제2연결핀(32)는 상기 두 상부링크부재(31) 중간을 연결하며, 제3연결핀(33)은 두 상부링크부재(31) 단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집게발회동실린더(3)의 로드(3a)는 상기 제2연결핀(32)에 연결되어 있다.
즉, 집게발회동실린더(3)의 유압 작동에 따라 로드(3a) 단부가 상승 하강, 즉, 실린더몸체 밖으로 돌출된 로드(3a)의 길이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는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연결핀(20)을 기준으로 상부링크(30)가 상하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링크(30)의 상부링크부재(31)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연결핀(20)과 제2연결핀(32)의 사이 외주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취하는 볼록곡선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상기 볼록곡선부(34)의 내주면 즉, 집게(50)가 붐(1)에 밀착된 상태에서 붐(1)의 외측을 향한 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 제1오목곡선부(3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핀(32)과 제3연결핀(33) 사이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2오목곡선부(3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오목곡선부(35)와 제2오목곡선부(36) 사이의 제2연결핀(32)이 위치한 부분은 제1오목곡선부(35) 및 제2오목곡선부(36)의 반대가 되는 볼록한 형상을 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부링크(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41)와, 제4연결핀(42)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41)는 각각 일측이 상기 제3연결핀(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4연결핀(42)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는 두 하부링크부재(41) 사이가 막혀 있는 것으로 도시도어 있으나, 그 사이는 이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하부링크부재(41)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측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3오목곡선부(4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3오목곡선부(43)의 하부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4오목곡선부(4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3오목곡선부(43)와 제4오목곡선부(44) 사이는 이들과 반대로 볼록한 형상을 취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상과 같이 상부링크(30)를 구성하는 상부링크부재(31)와, 하부링크(40)를 구성하는 하부링크부재(41)의 형상을 한정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집게(50)가 붐(1) 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집게(50)의 만곡부(55)는 붐(1)과 0.1 ~ 5cm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 즉, 최대로 밀착한 상태가 된다.
더불어,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제3오목곡선부(43) 내측으로 상기 제1연결핀(20) 및 브라켓(10)의 돌출부(12)가 삽입된 형태가 되며, 상기 제4오목곡선부(44)에 제2연결핀(32)이 삽입된 형태가 된다.
즉, 상부링크(30)에 대해 하부링크(40)가 회전할 때, 하부링크(40)가 상부링크(30)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집게(50)의 만곡부(55)가 최대한 붐(1)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는 하부링크(40)가 회전할 때, 일측이 제2연결핀(32) 및 제1연결핀(20), 브라켓(10)의 돌출부(12)에 의해 방해받는 것을 최소화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가능해지는 것이다.
결국, 붐(1)의 측면으로 두 개의 링크가 돌출된 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집게(50)를 붐(1)에 밀착시켜, 집게(50)의 회전율을 높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장애물에 의한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집게(50)는 크게 분기부(51), 제1절곡부(52), 연결핀연결부(53), 제2절곡부(54), 만곡부(55), 링크수용홈(56)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기부(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회전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중간에 붐삽입공간부(51a)가 형성되어 상기 붐(1) 하부가 붐삽입공간부(51a)로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분기부(51)는 퀵커플러(5)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핀(4)에 연결되어 있어 집게(50)의 회동시 퀵커플러(5)나 버켓(7)에 의해 덜 제한받으면서 보다 자유로운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절곡부(52)는 상기 분기부(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부(51)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이때, 제1절곡부(52)의 내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뉘어져 있는 분기부(51)가 서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연결핀연결부(53)는 상기 제1절곡부(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연결핀(42)이 양측을 서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때, 연결핀연결부(53)는 상기 두 하부링크부재(41) 외측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절곡부(54)는 상기 연결핀연결부(5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핀연결부(43)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만곡부(55)는 상기 제2절곡부(5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버켓(7)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취하며, 단부에 포크(55a)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마주보는 두 연결핀연결부(53)로부터 두 만곡부(55) 사이에는 상기 상부링크(30)가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너비를 갖는 링크수용홈(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만곡부(5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너비가 상기 붐(1)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어 운전자의 시야 가림과, 작업중의 장애물에 의한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집게(5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문헌 2보다 두 번에 걸쳐 절곡됨으로써 절곡 가공시 절곡율이 적어져 집게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집게고정장치(60)는 상기 붐(1)의 측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고리(61)와, 상기 만곡부(55)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고리(6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고정핀(62)으로 구성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집게(50)가 상향 회전한 상태에서 집게(5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링크(30) 및 하부링크(40),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링크부재(31) 및 하부링크부재(41)는 각각 측면에서 일직선상으로 구성되어 종래에 비해 우수한 강도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굴삭기용 집게 장치는 집게(50)를 상향 회전시킬 때,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링크(30) 및 하부링크(40)가 집게발회동실린더(3) 측으로 돌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게(50)의 만곡부(55)가 붐(1)에 최대한 밀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링크(40)의 형상이 제2연결핀(32) 및 제1연결핀(20), 돌출부(12)에 걸리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부링크(30)의 형상이 붐(1) 측에 최대한 밀착되는 볼록한 형상을 취함과 더불어, 집게(50)에 제1절곡부(52)가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집게 작동시 집게발회동실린더(3)가 상부링크(30)에 연결되고, 상부링크(30)가 하부링크(40)에 연결됨과 더불어, 하부링크(40)가 집게(5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가져 종래에 비해 집게(50)의 회전 각도가 붐(1)과 평행한 방향을 지나 버켓(7)이 있는 측으로 더욱 회전 가능하게 되어 보다 다양하면서도 어려운 작업까지 가능해지게 된다.
1 : 붐 2 : 버켓회동실린더
3 : 집게발회동실린더 3a : 로드
4 : 회전핀 5 : 퀵커플러
6 : 링크대 7 : 버켓
8 : 집게발 10 : 브라켓
11 : 플레이트부 12 : 돌출부
20 : 제1연결핀 30 : 상부링크
31 : 상부링크부재 32 : 제2연결핀
33 : 제3연결핀 34 : 볼록곡선부
35 : 제1오목곡선부 36 : 제2오목곡선부
40 : 하부링크 41 : 하부링크부재
42 : 제4연결핀 43 : 제3오목곡선부
44 : 제4오목곡선부 50 : 집게
51 : 분기부 51a : 붐삽입공간부
52 : 제1절곡부 53 : 연결핀연결부
54 : 제2절곡부 55 : 만곡부
55a : 포크 56 : 링크수용홈
60 : 집게고정장치 61 : 고정고리
62 : 고정핀

Claims (5)

  1. 삭제
  2.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있어서,
    굴삭기의 붐(1)의 상부 일측에 버켓회동실린더(2)가 설치되어 있고, 붐(1)의 상부 타측에 집게발회동실린더(3)가 설치되어 있으며, 붐(1)의 하부에는 회전핀(4)에 의해 퀵커플러(5) 상부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퀵커플러(5)의 상부 타측은 링크대(6)에 의하여 버켓회동실린더(2)에 연결된 채 하측이 버켓(7)과 연결되어 있어 버켓(7)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대(6)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붐(1)의 집게발회동실린더(3)를 향한 면에 설치되어 있는 플레이트부(11)와, 일측이 상기 플레이트부(11)에 고정된 채 타측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본 채 이격되어 위치하는 두 개의 돌출부(12)로 구성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돌출부(1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 제1연결핀(20)과;
    상기 제1연결핀(20)에 돌출부(12)의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는 두 개의 상부링크부재(3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두 상부링크부재(31) 중간을 연결하는 제2연결핀(3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두 상부링크부재(31) 단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핀(3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집게발회동실린더(3)의 로드(3a)가 상기 제2연결핀(32)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링크(30)와;
    일측이 상기 제3연결핀(3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는 두 개의 하부링크부재(41)로 이루어져 있고, 타측에는 두 하부링크부재(41)를 연결하는 제4연결핀(42)이 연결되어 있는 하부링크(40)와;
    일측이 상기 회전핀(4)에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중간에 붐삽입공간부(51a)가 형성되어 상기 붐(1) 하부가 붐삽입공간부(51a)로 삽입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분기부(51)와,
    상기 분기부(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분기부(51)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제1절곡부(52)와,
    상기 제1절곡부(5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연결핀(42)이 양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연결부(53)와,
    상기 연결핀연결부(5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핀연결부(43)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제2절곡부(54)와,
    상기 제2절곡부(5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버켓(7)을 향해 만곡된 형상을 취하며, 단부에 포크(55a)가 설치되어 있는 만곡부(55)와,
    마주보는 두 연결핀연결부(53)로부터 두 만곡부(55)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링크(30)가 내측으로 수용 가능한 너비를 갖는 링크수용홈(56)으로 이루어진 집게(50)와;
    상기 붐(1)의 측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고리(61)와, 상기 만곡부(55)의 측면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고리(6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고정핀(62)으로 구성된 집게고정장치(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링크(30)는 제1연결핀(20)과 제2연결핀(32)의 사이 외주면이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취하는 볼록곡선부(3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볼록곡선부(34)의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1오목곡선부(3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2연결핀(32)과 제3연결핀(33) 사이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2오목곡선부(3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부링크(40)는 상측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3오목곡선부(43)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3오목곡선부(43)의 하부는 내주면이 내측으로 오목한 제4오목곡선부(44)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집게(50)가 붐(1) 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만곡부(55)는 붐(1)과 0.1 ~ 5cm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3오목곡선부(43) 내측으로 상기 제1연결핀(20) 및 브라켓(10)의 돌출부(12)가 삽입되며, 상기 제4오목곡선부(44)에 제2연결핀(32)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55)는 상기 붐(1)과 동일한 너비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링크(30)와 하부링크(40)는 각각 측면에서 일직선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51)는 퀵커플러(5)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핀(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2020130003676U 2013-05-09 2013-05-09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200469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76U KR200469569Y1 (ko) 2013-05-09 2013-05-09 굴삭기용 집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76U KR200469569Y1 (ko) 2013-05-09 2013-05-09 굴삭기용 집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569Y1 true KR200469569Y1 (ko) 2013-10-22

Family

ID=5073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76U KR200469569Y1 (ko) 2013-05-09 2013-05-09 굴삭기용 집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6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323B1 (ko) * 2019-02-08 2019-07-18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KR102044346B1 (ko) * 2019-02-26 2019-11-15 장성교 선회체와 무관하게 버켓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포크레인
KR200490551Y1 (ko) * 2019-09-03 2019-11-28 유제록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KR20220053798A (ko) 2020-10-23 2022-05-02 정경래 굴착기
KR20230097622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경원테크 굴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072B1 (en) * 1999-05-06 2001-09-11 James Wasilas Precision grapple
US20090077840A1 (en) * 2007-09-21 2009-03-26 Zeno Joseph R Progressive linkage for excavator thumb
KR200451302Y1 (ko) * 2008-12-31 2010-12-08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KR20130002673U (ko) * 2011-10-25 2013-05-03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072B1 (en) * 1999-05-06 2001-09-11 James Wasilas Precision grapple
US20090077840A1 (en) * 2007-09-21 2009-03-26 Zeno Joseph R Progressive linkage for excavator thumb
KR200451302Y1 (ko) * 2008-12-31 2010-12-08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KR20130002673U (ko) * 2011-10-25 2013-05-03 황규관 굴삭기용 집게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323B1 (ko) * 2019-02-08 2019-07-18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퀵커플러용 장핀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용 집게발
KR102044346B1 (ko) * 2019-02-26 2019-11-15 장성교 선회체와 무관하게 버켓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포크레인
KR200490551Y1 (ko) * 2019-09-03 2019-11-28 유제록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KR20220053798A (ko) 2020-10-23 2022-05-02 정경래 굴착기
KR20230097622A (ko) 2021-12-24 2023-07-03 주식회사 경원테크 굴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JP5135328B2 (ja) クイックカプラ
JP4806049B2 (ja) 2部材連結装置
EP2960378B1 (en) Pipe support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2005504198A (ja) 重機用アタッチメントカップリング装置
JP2004116008A (ja) 旋回作業機の掘削装置
CN103958786A (zh) 用于动臂回转式挖掘机的液压管路固定装置
CN105351444A (zh) 链条和联接链节
KR200469088Y1 (ko) 굴삭기용 집게발
KR101383847B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JP5665790B2 (ja) 作業機の作業装置
JP6158049B2 (ja) 建設機械のアーム
KR200490551Y1 (ko)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US20170233979A1 (en) Dipper handle cross member
JPH11193542A (ja) 建設機械用フロント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ブーム並びにその組立方法
KR200492231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102188520B1 (ko)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KR200493426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200356045Y1 (ko) 굴절부와 안전판이 구비된 굴삭기
KR101820033B1 (ko) 트랙터 로우더용 붐
JP2004108055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FI64213C (fi) Anordning vid skopaggregat
KR101752597B1 (ko) 버킷 연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