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847B1 - 굴삭기용 집게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847B1
KR101383847B1 KR1020130013311A KR20130013311A KR101383847B1 KR 101383847 B1 KR101383847 B1 KR 101383847B1 KR 1020130013311 A KR1020130013311 A KR 1020130013311A KR 20130013311 A KR20130013311 A KR 20130013311A KR 101383847 B1 KR101383847 B1 KR 10138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excavator
rotation support
hinge shaft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
Priority to KR1020130013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부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가 신축할 때 굴삭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의 암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삭기의 버킷과 쌍을 이루어 물체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지지부;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연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집게 장치{Apparatus for forefinger of an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부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가 신축할 때 굴삭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등에서 땅이나 암석 등을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상부 선회체를 회전시키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붐대를 이용하여 운반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택지조성, 건물기초, 토사적재, 말목박기, 고철적재, 원목적재, 구멍파기, 교량, 암반 등의 건축물 파괴, 도로, 상수도 공사 등의 다양한 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굴삭기는 주로 무한궤도식과 타이어방식으로 형성되는 하부주행체 상에 운전자의 탑승공간을 형성하는 캐빈과 유공압 발생시키는 유압장치와 이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붐, 암, 버킷 등의 작업장치 등이 탑재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굴삭기는 통상 굴삭작업을 위하여 암의 단부에 버킷을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작업의 종류에 따라 암석패쇄를 위한 브레이커, 건물 등의 해체나 철거작업을 위한 크러셔, 바위나 목재 등을 옮기기 위한 집게 등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통상 집게발이라 불리는 집게 장치는 버킷과 쌍을 이루어 목재나 바위 등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굴삭기에 별도로 장착되어 사용되며, 실린더를 통해 굴삭기의 암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집게 장치는 실린더를 통해 암에서 회전하게 되는데, 실린더가 직접 연결되어 그 회전반경이 작아 물체의 파지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실린더가 완전하게 신장하면 암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0554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208774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파지부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가 신축할 때 굴삭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삭기의 버킷과 쌍을 이루어 물체를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지지부;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 및 일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연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 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 및 타단부에 힌지브래킷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암에 결합되는 장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 지지부와 상기 암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댐퍼부재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파지부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부재; 상기 측판부재의 일단부를 상기 암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 축; 및 상기 측판부재의 중앙부를 상기 연동부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한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를 상기 힌지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3 힌지 축;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부, 상기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연동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4 힌지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암 또는 상기 장착부재에 구비되는 스톱퍼; 및 상기 스톱퍼의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는 고정홀로 이루어진 회전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의하면, 파지부의 회전 각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가 신축할 때 굴삭기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린더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동부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암(10)에는 버킷(20)과 쌍을 이루어 암석이나 목재 등과 같은 중량물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집게 장치(1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집게 장치(100)는 암(10)에서 회전하는 회전 각도를 보다 크게 하여 운반물의 파지효과를 향상시키고 암(10)에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100)는 암(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킷(20)과 쌍을 이루어 물체를 파지하는 파지부(110)와, 이 파지부(110)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 지지부(120), 연동부(130) 및 실린더 부재(14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100)는 실린더 부재(140)와 회전 지지부(120)를 암(10)에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재(150)와, 회전 지지부(120)의 충돌을 방지하는 댐퍼부재(160) 및 파지부(110)를 암(10)에 고정하기 위한 회전 방지부(17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굴삭기용 집게 장치(100)는 실린더 부재(140)가 신축함에 따라 회전 지지부(120) 및 연동부(130)를 작동되어 연동부(130)에 연결된 파지부(110)가 암(10)에서 회전하게 된다.
파지부(110)는 연동부(1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부재(111)와, 이 측판부재(111)를 암(10)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 축(113) 및 연동부(130)와 측판부재(111)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 축(115)을 포함한다.
또한, 파지부(110)는 측판부재(111)의 일단부가 제1 힌지 축(111)을 통해 암(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물체의 원활한 파지를 위한 발톱부(111a)가 측판부재(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파지부(110)는 측판부재(111) 사이에 회전 지지부(120) 및 연동부(130)가 위치한다.
측판부재(111)는 일단부가 제1 힌지 축(113)을 통해 암(10)의 외측에서 암(10)에 힌지 결합되도록 연결판부재(111a)에 의해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측판부재(111)는 제2 힌지 축(115)을 통해 연동부(130)가 중앙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즉, 측판부재(111)는 일단부가 제1 힌지 축(113)을 통해 암(10)에 힌지 결합되고, 제2 힌지 축(115)을 통해 중앙부 내측에 연동부(130)가 힌지 결합된다.
회전 지지부(120)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크부재(121), 이 링크부재(121)의 일단부를 장착부재(150)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3 힌지 축(123)과, 링크부재(121)의 타단부를 실린더 부재(140) 및 연동부(13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4 힌지 축(125)을 포함한다.
링크부재(121)는 제4 힌지 축(125)을 통해 연동부(130)의 외측에서 힌지 결합되도록 이격되게 구비된다. 이는 파지부(110)를 암(10)측으로 회전할 때 연동부(130)와 중첩될 수 있도록 하여 파지부(110)와 암(10)이 보다 근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링크부재(121)는 실린더 부재(140)가 완전하게 수축하면 댐퍼부재(160)에 접촉되어 파지부(110) 또는 연동부(130)가 암(10)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링크부재(121)에는 댐퍼부재(160)에 접촉하는 돌출부(121a)가 형성된다.
제4 힌지 축(125)은 링크부재(121), 연동부(130) 및 실린더 부재(140)의 실린더 로드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연동부(130)는 실린더 부재(140)의 신장 및 수축하였을 때 암(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파지부(110)의 회전 각도를 더 크게 확보하도록 일단부가 제2 힌지 축(115)에 의해 파지부(110)의 측판부재(11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4 힌지 축(125)에 의해 회전 지지부(120)의 링크부재(121)에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연동부(130)는 일단부에 부시(131)를 통해 파지부(110)에 안정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링크부재(121)의 내측에 의치하도록 링크부재(121)와 결합된다.
실린더 부재(140)는 일단부가 장착부재(150)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로드가 제4 힌지 축(125)을 통해 회전 지지부(120)와 연동부(130)와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실린더 부재(140)는 실린더 로드의 신장을 통해 파지부(110)를 암(10)의 하측으로 회전시키고, 실린더 로드의 수축을 통해 파지부(110)를 암(10)측으로 회전시킨다.
장착부재(150)는 실린더 부재(140) 및 회전 지지부(12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 및 타단부에 힌지브래킷(151)이 각각 형성되어 암(10)의 일면에 볼트체결방식 또는 용접결합방식을 통해 결합된다.
하단의 힌지브래킷(151)은 제3 힌지 축(123)을 통해 링크부재(121)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실린더 부재(140)가 수축하면 연동부(130)가 힌지브래킷(151)의 내부로 중첩 가능하므로, 파지부(110)를 암(10)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장착부재(150)에는 회전 지지부(120)와 암(10)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댐퍼부재(160)가 결합된다.
회전 방지부(170)는 장착부재(150)에 구비되는 스톱퍼(171)와, 이 스톱퍼(171)가 삽입되도록 파지부(110)에 형성되는 고정홀(173)을 포함한다.
스톱퍼(171)에는 고정홀(173)에 선택적으로 삽입 또는 이탈하는 고정핀(171a)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집게 장치(110)는 파지부(1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실린더 부재(140)를 수축시킨다. 그러면, 파지부(110)와 회전 지지부(120) 및 연동부(130)가 중첩되도록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파지부(110)가 암(10)에 밀착된다.
더하여, 실린더 부재(140)의 파손이나 오작동에 의해 파지부(1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핀(171a)을 고정홀(173)에 삽입하여 파지부(110)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후, 파지부(110)를 사용할 때에는 고정핀(171a)을 고정홀(173)에서 이탈시킨 후, 실린더 부재(140)를 신장하면 회전 지지부(120), 연동부(130)가 일자 형태로 펴지면서 파지부(110)를 회전시켜 버킷과 쌍을 이루어 물체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집게 장치(110)는 회전 지지부(120) 및 연동부(130)에 의해 파지부(110)의 회전 각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부(110)를 보다 유연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더하여, 회전 지지부(120)가 댐퍼부재(16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므로, 집게 잦치(110)가 암(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 장치는 도 5 및 도 6 연동부(130)를 파지부(110)의 회전 각도를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동부(130)는 제4 힌지 축(125)에 힌지 결합되는 제1 결합부(135)와, 이 제1 결합부(135)에서 절곡되어 제2 힌지 축(115)에 힌지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7)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동부(130)는 실린더 부재(140)가 완전하게 신장하면 제1 결합부(135)에서 절곡 형성되는 제2 결합부(137)에 의해 제2 힌지 축(115)이 굴삭기 암(10)의 내측으로 더 많이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파지부(110)의 회전 각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연동부(130)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연동부(13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집게 장치 110 : 파지부
111 : 측판부재 113 : 제1 힌지 축
115 : 제2 힌지 축 120 : 회전 지지부
121 : 링크부재 123 : 제3 힌지 축
125 : 제4 힌지 축 130 : 연동부
140 : 실린더 부재 150 : 장착부재
160 : 댐퍼부재 170 : 회전 방지부

Claims (6)

  1. 굴삭기의 암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굴삭기의 버킷과 쌍을 이루어 물체를 파지하는 파지부(110)와,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지지부(120)와, 일단부 및 타단부가 상기 파지부 및 상기 회전 지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부(130)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 및 상기 연동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140)와, 상기 실린더 부재 및 상기 회전 지지부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단부 및 타단부에 힌지브래킷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암에 결합되는 장착부재(150)와, 상기 회전 지지부와 상기 암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착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댐퍼부재(160)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링크부재(121);
    상기 링크부재의 일단부를 상기 힌지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3 힌지 축(123);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단부, 상기 실린더 부재 및 상기 연동부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4 힌지 축(125)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121)에는 상기 댐퍼부재(160)에 접촉하는 돌출부(121a)가 형성되고;
    하단의 상기 힌지브래킷(151)은 상기 제3 힌지 축(123)을 통해 상기 링크부재(121)가 외측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이격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측판부재(111);
    상기 측판부재의 일단부를 상기 암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 축(113); 및
    상기 측판부재의 중앙부를 상기 연동부와 힌지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 축(1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 또는 상기 장착부재에 구비되는 스톱퍼(171); 및 상기 스톱퍼의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파지부에 형성되는 고정홀(173);을 구비하는 하는 회전 방지부(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1020130013311A 2013-02-06 2013-02-06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101383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11A KR101383847B1 (ko) 2013-02-06 2013-02-06 굴삭기용 집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311A KR101383847B1 (ko) 2013-02-06 2013-02-06 굴삭기용 집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847B1 true KR101383847B1 (ko) 2014-04-10

Family

ID=50657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311A KR101383847B1 (ko) 2013-02-06 2013-02-06 굴삭기용 집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8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101B1 (ko) * 2018-10-02 2019-02-18 김수철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KR101956515B1 (ko) * 2018-10-02 2019-03-11 김수철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KR200490551Y1 (ko) * 2019-09-03 2019-11-28 유제록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KR20210056069A (ko) 2019-11-08 2021-05-18 안성준 굴삭기용퀵커플러
KR20220117660A (ko) *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경원테크 안정 고정 장치
KR20220130418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이지락 굴삭기 부착형 집게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140A (ja) * 1996-08-28 1998-03-10 Kobelco Kenki Eng Kk 作業アタッチメント
KR200356045Y1 (ko) * 2004-04-21 2004-07-12 송은배 굴절부와 안전판이 구비된 굴삭기
US20090077840A1 (en) * 2007-09-21 2009-03-26 Zeno Joseph R Progressive linkage for excavator thumb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8140A (ja) * 1996-08-28 1998-03-10 Kobelco Kenki Eng Kk 作業アタッチメント
KR200356045Y1 (ko) * 2004-04-21 2004-07-12 송은배 굴절부와 안전판이 구비된 굴삭기
US20090077840A1 (en) * 2007-09-21 2009-03-26 Zeno Joseph R Progressive linkage for excavator thumb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101B1 (ko) * 2018-10-02 2019-02-18 김수철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KR101956515B1 (ko) * 2018-10-02 2019-03-11 김수철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KR200490551Y1 (ko) * 2019-09-03 2019-11-28 유제록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KR20210056069A (ko) 2019-11-08 2021-05-18 안성준 굴삭기용퀵커플러
KR20220117660A (ko) * 2021-02-17 2022-08-24 주식회사 경원테크 안정 고정 장치
KR102521611B1 (ko) * 2021-02-17 2023-04-18 주식회사 경원테크 안정 탈착 장치
KR20220130418A (ko) * 2021-03-18 2022-09-27 주식회사 이지락 굴삭기 부착형 집게 장치
KR102522198B1 (ko) * 2021-03-18 2023-04-14 주식회사 이지락 굴삭기 부착형 집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847B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US20150275460A1 (en) Vibratory apparatus for forcing members into and out of a material
KR200469088Y1 (ko) 굴삭기용 집게발
US6347464B1 (en) Self-cleaning hydraulic clam bucket
JP2016117989A (ja) 作業用走行機体における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KR200382844Y1 (ko) 집게를 구비한 굴삭기용 버킷 어셈블리
KR200492231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KR100945083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0528564B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101846231B1 (ko)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JP2014020012A (ja) 建設機械の作業装置
KR102044346B1 (ko) 선회체와 무관하게 버켓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포크레인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JP3730551B2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JP3212769U (ja) 建設機械の作業アタッチメント及び建設機械
KR101131524B1 (ko) 굴삭기용 집게발 안전장치
KR200245906Y1 (ko) 굴삭기
KR20110031041A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446714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820033B1 (ko) 트랙터 로우더용 붐
KR101459242B1 (ko) 굴삭기용 니퍼 겸용 집게 장치
JP3602770B2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建設機械
KR200312802Y1 (ko) 굴삭기 버킷과 집게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