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1041A - 굴삭기용 집게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집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1041A
KR20110031041A KR1020090088759A KR20090088759A KR20110031041A KR 20110031041 A KR20110031041 A KR 20110031041A KR 1020090088759 A KR1020090088759 A KR 1020090088759A KR 20090088759 A KR20090088759 A KR 20090088759A KR 20110031041 A KR20110031041 A KR 20110031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ylinder
excavator
axially couple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741B1 (ko
Inventor
김산
Original Assignee
김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산 filed Critical 김산
Priority to KR102009008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74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및 타측암이 상기 일측 및 타측암의 내측 중심부로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일측 및 타측암을 작동시키기 위해 1개의 실린더 등이 구비되는 등 그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초기제조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 또한 크게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 등의 장치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다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몸체, 링크브라켓, 일측암, 타측암, 실린더

Description

굴삭기용 집게장치{GRIPPER FOR A EXCAVATOR}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암이 상기 일측 및 타측암의 내측 중심부로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일측 및 타측암을 작동시키기 위해 1개의 실린더 등이 구비되는 등 그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초기제조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 또한 크게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 등의 장치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다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차도와 사람이 보행하는 보도를 따라 시공되는 도로 시설물인 경계석(境界石)은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여 차량 및 보행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써, 특히 차량이 보도를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도가 차도보다 높게 시공되며, 종래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는 경계석은 콘크리트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도로 미관을 고려하여 화강암 또는 인조 대리석 등의 석재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에서 도로 경계석을 석재로 시공할 경우 석재 경계석은 하중이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가 쉽게 운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노동력이 필요함으로 최근에는 석재 경계석을 시공할 경우 굴삭기용 집게장치나 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경계석의 운반 및 시공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석재 경계석의 운반 및 시공작업에 사용되고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집게발이 굴삭기의 붐(Boom)과 커플링에 장착되고, 상기 한쌍의 집게발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힌지부에서 회동 작동하여 벌어지거나 파지함으로써, 경계석을 물어 운반 및 시공작업을 수행함으로 경계석의 시공작업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사용되고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힌지부에서 회동 작동하여 경계석을 물어 파지하는 양쪽 집게발의 하단부에 뾰족한 원추형상으로 집게날이 장착됨에 따라 경계석을 물어 운반 시공하는 과정에서 집게날에 의해 경계석의 일부분이 파손 및 손상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경계석이 미관상 파손 및 손상되지 않도록 운반시공하는 한편 시공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경계석을 파지하여 운반시공하는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가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633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633호(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는 경계석을 파지하기 위해 2개의 유압실린더 등이 구비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초기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또한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2633호(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1개의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경계석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집게장치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80182호 등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 제10-2005-0080182호(굴삭기용 집게장치) 역시 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시 이를 수리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일측 및 타측암이 상기 일측 및 타측암의 내측 중심부로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일측 및 타측암을 작동시키기 위해 1개의 실린더 등이 구비되는 등 그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초기제조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 또한 크게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린더 등의 장치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다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굴삭기의 붐의 커플링에 장착되는 링크브라켓과;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링크부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일측 파지부와, 상기 일측 파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일측 파지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로 구성되는 일측암과; 상기 몸체의 하부 타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타측 파지부와, 상기 타측 파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타측 파지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 연장부와 축결합되는 타측 연장부로 구성되는 타측암과; 상기 몸체와 일측암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암과 타측암의 하단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하단부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실린더 고정브라켓이 수직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의 하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일측 파지부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수평축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보강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의 상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부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부의 관통공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고정공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보강부는 베일 집게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측암과 타측암의 하단부가 상기 일측암과 타측암의 내측 중심부로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특히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하는 일측암과 타측암을 작동시키기 위해 1개의 실린더 등이 구비되는 등 그 구조가 간단해지게 되기 때문에 초기제조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 또한 크게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 등의 장치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다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실린더 고정브라켓의 상단부와 일측 파지부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수평축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암의 일측 파지부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암의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의 좌우회전이동범위가 보다 더욱 넓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보강부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 내구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보강부의 관통공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고정공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상기 보강부가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보강부가 건초 또는 짚단 등을 원형으로 말아서 비닐로 랩핑한 베일을 파지하는 베일 집게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베일 집게가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베일을 보다 용 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굴삭기용 집게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링크브라켓(30), 일측암(50), 타측암(70) 및 실린더(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본 굴삭기용 집게장치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수직상태인 링크부(11)의 상단부가 축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링크브라켓(3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굴삭기의 붐의 커플링에 장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은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 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일측 파지부(510)와 타측 파지부(710)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암(5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파지부(510)와 일측 연장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상단부는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상기 링크부(11)의 하단부에 축결합된다.
상기 일측 연장부(530)는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상단부에서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암(7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타측 파지부(710)와 타측 연장부(730)로 구성된다.
상기 타측 파지부(710)는 상기 몸체(10)의 하부 타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된다.
상기 타측 연장부(730)는 상기 타측 파지부(710)의 상단부에서 상기 타측 파지부(7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타측 연장부(730)는 상기 일측 연장부(530)와 축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린더(90)는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의 하단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실린더(90)로써, 유압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린더(9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와 일측암(5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도 2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의 하단부를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의 내외측 즉,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하단부가 상기 몸체(10)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실린더 고정브라켓(10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1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링크부(11)의 상단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90)의 상단부는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100)의 상단부 내측에 축결합되는 수평축(101)의 중심부 하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90)의 하단부는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상부 내측에 축결합되는 수평축(511)의 중심부 상측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9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100)의 상단부와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수평축(101, 511)에 각각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일측암(50)의 일측 파지부(510)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암(70)의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의 좌우회전이동범위가 보다 더욱 넓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90)의 길이가 늘어날 시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100)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의 상기 링크부(11)의 하단부는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외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상단부에서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일측 연장부(531)는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단부가 상기 링크부(11)의 하단부에 축결합된 상태의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하단부는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내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90)의 길이가 늘어날 시 상기 일측 연장부(531)와 축결합된 상태의 상기 타측 연장부(730)는 상기 일측 연장부(531)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는 상기 타측 파지부(710)의 내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도 2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90)의 길이가 줄어들 시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100)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의 상기 링크부(11)의 하단부는 즉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내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상단부에서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일측 연장부(531)는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상단부가 상기 링크부(11)의 하단부에 축결합된 상태의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하단부는 상기 일측 파지부(510)의 외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90)의 길이가 줄어들 시 상기 일측 연장부(531)와 축결합된 상태의 상기 타측 연장부(730)는 상기 일측 연장부(531)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회전이 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는 상기 타측 파지부(710)의 외측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90)의 작동으로 인해 상기 일측암(50)의 일측 파지부(510)와 타측암(70)의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가 상기 일측 파지부(510)와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 내측 중심부방향으로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일측 파지부(510)와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에 보강부(15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보강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50)의 상부 양측에는 관통공(151)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5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상태의 수용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보강부(15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부재(170)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70)는 상기 보강부(150)의 관통공(151)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710)의 고정공(130)을 수평으로 통과하는 볼트(171)와; 상기 볼트(171)의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에 상기 보강부(15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 내구성이 보다 강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150)의 관통공(151)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고정공(130)을 통과하는 상기 체결부재(170)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에 상기 보강부(150)가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일측 파지부(510)와 타측 파지부(710)의 하단부에 베일집게(190)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강부(150)는 건초 또는 짚단 등을 원형으로 말아서 비닐로 랩핑한 베일을 파지하는 베일 집게(19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일 집게(190)는 프레임(191)과; 상기 프레임(191)의 내측 중심부에 형성되는 수직부(193)와; 상기 프레임(191)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부(19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수평부(1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부(150)는 상기 베일 집게(190)의 수평부(195)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일 집게(190)의 수평부(195)에 형성된 보강부(150)는 상기 체결부재(170)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150)가 건초 또는 짚단 등을 원형으로 말아서 비닐로 랩핑한 베일을 파지하는 상기 베일 집게(190)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베일 집게(190)가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510, 710)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베일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의 하단부가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의 내측 중심부로 정확하게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고, 특히, 경계석 등의 대상물을 파지하는 상기 일측암(50)과 타측암(70)을 작동시키기 위해 1개의 상기 실린더(90) 등이 구비되는 등 그 구조가 간단해지기 때문에 초기제조비용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시간 또한 크게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실런더(90) 등의 장치에 고장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다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굴삭기용 집게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측 파지부와 타측 파지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측 파지부와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보강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일측 파지부와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베일 집게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링크부,
30; 링크브라켓, 50; 일측암,
510; 일측 파지부, 511, 101; 수평축,
530; 일측 연장부, 70; 타측암,
710; 타측 파지부, 730; 타측 연장부,
90; 실린더, 100; 실린더 고정브라켓,
130; 고정공, 150; 보강부,
151; 관통공, 170; 체결부재,
171; 볼트, 173; 너트,
190; 베일 집게, 191; 프레임,
193; 수직부, 195; 수평부.

Claims (5)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굴삭기의 붐의 커플링에 장착되는 링크브라켓과;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링크부의 하단부에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일측 파지부와, 상기 일측 파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일측 파지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연장부로 구성되는 일측암과;
    상기 몸체의 하부 타측에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타측 파지부와, 상기 타측 파지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타측 파지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 연장부와 축결합되는 타측 연장부로 구성되는 타측암과;
    상기 몸체와 일측암 사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일측암과 타측암의 하단부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하단부가 상기 몸체의 하부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실린더 고정브라켓이 수직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의 하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실린더 고정브라켓의 상단부와 상기 일측 파지부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수평축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보강부가 구비되고,
    상기 보강부의 상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의 내부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보강부의 관통공과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고정공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일측 및 타측 파지부의 하단부에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베일 집게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20090088759A 2009-09-18 2009-09-18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109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759A KR101092741B1 (ko) 2009-09-18 2009-09-18 굴삭기용 집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759A KR101092741B1 (ko) 2009-09-18 2009-09-18 굴삭기용 집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41A true KR20110031041A (ko) 2011-03-24
KR101092741B1 KR101092741B1 (ko) 2011-12-09

Family

ID=4393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759A KR101092741B1 (ko) 2009-09-18 2009-09-18 굴삭기용 집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7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069A (zh) * 2019-03-11 2019-06-18 李成份 一种煤矿采煤设备
KR102444673B1 (ko) * 2022-05-02 2022-09-16 이태훈 이송용 집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207B1 (ko) 2015-10-06 2017-11-20 길소연 건설중장비용 절단 겸용 집게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4105A (en) 1975-09-11 1977-03-15 Mitsubishi Motors Corp Stratified charge combus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022064Y2 (ja) * 1982-11-19 1985-07-01 千葉工業株式会社 フオ−クグラブ
JPS59179876U (ja) 1983-05-20 1984-12-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フインガクランプ装置用搬送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069A (zh) * 2019-03-11 2019-06-18 李成份 一种煤矿采煤设备
KR102444673B1 (ko) * 2022-05-02 2022-09-16 이태훈 이송용 집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741B1 (ko) 201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2127B (zh) 一种隧道施工用的拱架安装设备
AU2012200496B2 (en) Rope shovel with curved boom
CN202001026U (zh) 隧道施工拱架安装设备的工件夹取装置
KR101695438B1 (ko) 굴삭기용 회전가능한 퀵 커플러
KR20090118866A (ko) 매달림식 그래플의 유압호스의 처리장치
KR101092741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0457804Y1 (ko) 유압식원목집게구조
CN105386769A (zh) 多功能巷道修复机
KR102025327B1 (ko) 붐 길이 조절되는 파이프 레이어
KR101068130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용 자동 장착식 멀티 그래플
CN208531649U (zh) 隧道钢拱架安装机械手和机械手工作平台
KR20090027364A (ko) 굴삭기용 반자동 회전식 집게장치
KR20090002633U (ko) 굴삭기용 경계석 집게장치
CN219061695U (zh) 一种拱架机械手臂抓举装置
CN204982988U (zh) 建筑机械的作业臂构造
KR200476754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20090061357A (ko)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JP2008133630A (ja) 作業用フロントの着脱装置および着脱方法
JP3788481B1 (ja) 傾斜地用土木作業設備及び傾斜地に対する土木作業方法
CN205330176U (zh) 下端开口式混凝土吊桶
CN202116207U (zh) 抓木机
JP5287554B2 (ja) 傾斜地作業設備
KR200460628Y1 (ko) 굴삭기의 집게부
JP4042907B2 (ja) 作業機用フロント装置と作業機
JP2018012925A (ja) 傾斜地用土木作業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