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357A -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 Google Patents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357A
KR20090061357A KR1020070128343A KR20070128343A KR20090061357A KR 20090061357 A KR20090061357 A KR 20090061357A KR 1020070128343 A KR1020070128343 A KR 1020070128343A KR 20070128343 A KR20070128343 A KR 20070128343A KR 20090061357 A KR20090061357 A KR 20090061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tage
double
tongs
force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재
Original Assignee
정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재 filed Critical 정영재
Priority to KR1020070128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357A/ko
Publication of KR2009006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레인에 부착하여 동작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레인의 끝 부분에 바가지 또는 집게의 형태로 부착되어 실린더의 힘으로 동작함으로써 각종 작업 즉 지면을 굴삭 하거나 물건을 들어 옮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동작반경을 변형하여 물체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으로 변형 동작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집게를 달성하기 위하여, 집게로 활용하여 물건을 잡을 때 하나의 집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 집게, 상기 베이스 집게와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의 구조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동작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이단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이단집게의 결합부위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동작집게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상기 이단 집게와 연결되어 결합 되고 이단 집게를 동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단 블레이드 집게의 특정위치에 결합 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반대쪽 베이스 집게와 고정되어 결합 되는 집게 고정부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크레인, 실린더, 블레이드, 이단 블레이드, 고정구

Description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EXCAVATOR WITH DOUBLE BLADE}
본 발명은 포크레인에 부착하여 동작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레인의 끝 부분에 바가지 또는 집게의 형태로 부착되어 실린더의 힘으로 동작함으로써 각종 작업 즉 지면을 굴삭 하거나 물건을 들어 옮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동작반경을 변형하여 물체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으로 변형 동작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포크레인용 블레이드는 일차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야로는 지변을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용도의 가장 큰 사용 분야는 건설 측면에서 고층 아파트나 빌등을 건설할 때 건물의 효율적인 이용과 안정성을 위하여 지하로 수 미터 내지는 수십 미터 이상 파 내려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한 후 건물을 지탱하기 위한 베이스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베이스를 시작으로 지하층을 시작함으로써 지상과 지하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층 건물이 건설되게 되는 것이다.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지하려 수십 미터 이상 파 내려가기 위해서는 인력을 이용하여 굴삭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필수적으로 기계적인 힘을 동원하여 굴삭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때 이용하는 것이 굴삭기 즉 포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포크레인은 단지 굴삭작업만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아니고 때에 따라 포크레인 바가지 대신에 다른 장치를 부착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브레이커를 부착하게 되는경우 브레이커 밸브의 동작에 의하여 브레이커 끝단에 부착된 노미가 전진과 후진을 빠른 속도로 반복하게 됨으로써 골재 즉 돌산을 파괴하여 잘게 부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상기 브레이커 대신에 집게를 부착함으로써 집게를 이용하여 물건을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물건을 부수는 대표적인 예로는 먼저 고층 아파트를 올릴 때 아파트가 건설되는 지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로 전보대와 유사한 콘크리트 파일을 수십 미터 이상 박게 되는데, 그 방법으로는 항타기를 이용하여 물리력을 이용하여 때려서 박는 방법도 있고 지하를 상기 콘트리트 파일과 유사한 직경으로 깊이 굴삭하고 콘트리트 파일을 삽입한 후 그 외부를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도 있는데, 상기 콘트리트 파일이 지상으로 나와 있는 길이가 항상 일정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파일을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부분만을 남겨두고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때 콘크리트 파일의 강도가 너무 강해 파일을 인위적으로 파손한후에 남은 잔재를 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인위적으로 파손하는 작업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 이 포크레인에 부착된 집게로 상기 집게는 유압으로 동작하여 콘트리트 파일의 일정 높이 이상을 잘게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포크레인에 부착된 집게는 단순히 파손을 위해 사용되는 것 뿐만 아니라 물건을 집어서 옮기는데도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고 중량의 목재를 이동시킬 때 목재를 집게로 물어서 옮기게 되는데 집게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에는 집게와 집게 사이에 너무 큰 공간이 형성되므로 직경이 작은 통나무는 집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집게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통나무는 잡을 수 있으나 직경이 너무 큰 나무는 상기 직경 만큼 집게를 벌릴 수 없으므로 직경이 큰 통나무를 잡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집게의 동작범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함으로써 다각도로 적응할 수 있는 이중 블레이드를 갖는 집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포크레인에 부착하여 동작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레인의 끝 부분에 바가지 또는 집게의 형태로 부착되어 실린더의 힘으로 동작함으로써 각종 작업 즉 지면을 굴삭 하거나 물건을 들어 옮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동작반경을 변형하여 물체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으로 변형 동작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집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게의 동작범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집게로 활용하여 물건을 잡을 때 하나의 집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 집게, 상기 베이스 집게와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의 구조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동작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이단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이단집게의 결합부위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동작집게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상기 이단 집게와 연결되어 결합 되고 이단 집게를 동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단 블레이드 집게의 특정위치에 결합 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반대쪽 베이스 집게와 고정되어 결합 되는 집게 고정부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집게의 동작범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개방도로서 블레이드 집게의 동작 반경을 조절하여 물체를 잡거나 파손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블레이드 집게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의 구조에서 사용되고 있는 베이스 집게(10)가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집게로 포크레인에서 사용하는 바가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동작 집게(20) 또는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21)를 결합한 형상의 구조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베이스 집게를 고정하기 위한 집게 고정구(30)의 설치가 필요한데 상기 고정구의 역할은 베이스 집게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집게가 동작할 때 고정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힘의 동작을 받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며, 때에 따라 상기 고정구와 베이스 집게의 고정상태가 완전 고정이 아닌 실린더를 이용하여 베이스 집게를 동작할 수 있도록 링크형으로 고정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고정구를 설치하지 않고 베이스 링크(32)만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베이스 링크의 역할은 일차적으로 집게 고정구와 연결되거나 베이스 집게와 연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집게와 베이스 집게와 연결된 여타 집게가 회전가능하면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도록 링크의 구조를 갖는게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집게 고정구가 없는 경우의 동작은 상기 베이스 링크를 중심으로 베이스 집게를 동작하기 위한 실린더를 설치할 수도 있고 베이스 집게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집게와 연결된 집게만을 동작하기 위한 실린더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집게의 동작을 위해서는 최소 두 개의 실린더가 필요한데 일차적으로 동작집게(20)을 고정하기 위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60)가 필요하고, 이단집게(21)를 동작시키기 위한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50)가 필요하다,
여기에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는 포크레인의 암과 연결되어 동작하는 실린더로 구성되어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이중 블레이드 링 크(40)와 연결됨으로써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를 반으로 접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가 서로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의 구조로 구성된 이중 블레이드 링크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가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가 링크로 연결된 상태에서 특정 위치에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만을 동작하여 동작집게는 움직이지 않고 이단 집게만을 동작하여 회전 반경이 작은 집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는 먼저 집게 고정구의 특정 위치에 일정 부분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형으로 설치되는 이중 블레이드 베이스(31)와 실린더의 끝 부분이 고정되고 다른 끝 부분은 이단 집게의 특정위치에 설치되는 이중 블레이드 동작 베이스(22)와 연결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이중 블레이드 동작 베이스(22)는 링크의 구조로 구성되어 실린더가 동작하여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내관(51)이 돌출되어 동작할 때 일정부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동작도로서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먼저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60)가 동작하여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 사이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여야 하고 추가로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의 동작 과정을 통해 이단 집게만을 동작함으로써 동작 반경이 작은 상태에서 집게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겠다.
동작 과정에서의 특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가 동작 하는 과정에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내관이 동작하면 항상 일정한 공간상에서 동작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와 연결되는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 사이에 형성되는 이중 블레이드 링크는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의 동작과정의 특징을 살펴보면 상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의 한쪽 끝 부분과 연결되는 이중 블레이드 베이스 또는 베이스 링크 역시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내관의 동작에 따라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가 지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링크형으로 구성하여 일정부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의 다른 한쪽 끝과 연결되는 이중 블레이드 동작 베이스 역시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내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와 이단 집게가 이루는 각도가 항상 일정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변화하게 되므로 링크형으로 구성하여 일정부분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일단 개방도로서 기본적인 개념은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는 고정된 상태에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만을 동작하여 집게의 동작 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큰 물체를 잡거나 파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만을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동작 반경과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의 동작 반경이 다르기 때문에 상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또한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동작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도록 일정부분 동작하여야 할 것이다.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를 주축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를 주축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동작 반경이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큰 물체를 쉽게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나 때에 따라 상기 이러한 큰 물체를 잡기에 좋은 구조는 작은 물체를 잡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 블레이드 방식이 필요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일단 동작도로서 개방되어 있던 블레이드가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베이스 집게와 이단 집게의거리가 가까워짐을 알 수 있고,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가 동작할 때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또한 일부 동작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와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중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이며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는 보조적으로 동작하여 동작 집게와 이단 집게의 중간 부분이 절곡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이중 블레이드가 아닌 일반적인 블레이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포크레인에 부착하여 동작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레인의 끝 부분에 바가지 또는 집게의 형태로 부착되어 실린더의 힘으로 동작함으로써 각종 작업 즉 지면을 굴삭 하거나 물건을 들어 옮기는 역할을 수행하는 블레이드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물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 조건을 달리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동작반경을 변형하여 물체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중으로 변형 동작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집게를 달성하기 위하여, 집게로 활용하여 물건을 잡을 때 하나의 집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 집게, 상기 베이스 집게와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의 구조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동작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이단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이단집게의 결합부위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동작집게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상기 이단 집게와 연결되어 결합 되고 이단 집게를 동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단 블레이드 집게의 특정위치에 결합 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반대쪽 베이스 집게와 고정되어 결합 되는 집게 고정부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비된 각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화하여 생산하게 될 경우 국 내외적으로 수입대체효과 및 수출효과에 있어서 큰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는바 크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개방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일단 개방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블레이드 집게 일단 동작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집게
20: 동작 집게
21: 이단 집게
22: 이중 블레이드 동작 베이스
30: 집게 고정구
31: 이중 블레이드 베이스
32: 베이스 링크
40: 이중 블레이드 링크
50: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51: 이중 블레이드 실린더 내관
60: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61: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내관

Claims (2)

  1. 집게로 활용하여 물건을 잡을 때 하나의 집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베이스 집게;
    상기 베이스 집게와 회전할 수 있도록 링크의 구조로 연결되어 결합되는 동작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연결되어 설치되고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결합되는 이단 집게;
    상기 동작 집게와 이단집게의 결합부위에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 동작 집게를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단 블레이드 실린더;
    상기 이단 집게와 연결되어 결합 되고 이단 집게를 동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단 블레이드 집게의 특정위치에 결합 되는 이단 블레이드 실린더의 반대쪽 베이스 집게와 고정되어 결합 되는 집게 고정부의 어느 위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KR1020070128343A 2007-12-11 2007-12-11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KR20090061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43A KR20090061357A (ko) 2007-12-11 2007-12-11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343A KR20090061357A (ko) 2007-12-11 2007-12-11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357A true KR20090061357A (ko) 2009-06-16

Family

ID=40990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343A KR20090061357A (ko) 2007-12-11 2007-12-11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3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173B1 (ko) * 2017-06-02 2018-06-22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20180110428A (ko) * 2017-03-29 2018-10-10 한영숙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
KR102433574B1 (ko) 2022-06-14 2022-08-18 양계환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KR20230166215A (ko) 2022-05-30 2023-12-07 김성회 오링 이탈방지 구조의 힌지부를 갖는 굴삭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0428A (ko) * 2017-03-29 2018-10-10 한영숙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
KR101870173B1 (ko) * 2017-06-02 2018-06-22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20230166215A (ko) 2022-05-30 2023-12-07 김성회 오링 이탈방지 구조의 힌지부를 갖는 굴삭기
KR102433574B1 (ko) 2022-06-14 2022-08-18 양계환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02Y1 (ko)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KR20090061357A (ko)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KR20110116866A (ko) 굴삭기의 집게장치
KR20120090700A (ko) 굴삭기 작업구
JP4606973B2 (ja) 地中基礎杭用解体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る地中基礎杭の解体工法
CN105332376A (zh) 液压式机械手拔桩夹紧装置及拔桩机
KR200476754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101092741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KR100528564B1 (ko) 굴삭기용 작업집게
CN212054548U (zh) 一种吊环摆动装置
KR101459242B1 (ko) 굴삭기용 니퍼 겸용 집게 장치
KR200404947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
CN101643180A (zh) 液压抓斗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KR100990884B1 (ko) 굴삭기용 집게장치
CN201363104Y (zh) 夹持钻杆的机械手臂总成
CN103696721A (zh) 孔底孤石抓取装置及旋挖钻机
CN205638291U (zh) 一种水平定向钻机的夹钳机构
CN205224136U (zh) 一种液压式抓钳器
CN216583768U (zh) 一种旋挖机钻头生产用的吊板机构
CN204781049U (zh) 一种新型钻孔抓杆器
KR101727635B1 (ko) 건설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9980067570U (ko) 굴삭기 장착용 그라브
CN203922526U (zh) 一种装载机起吊装置
US10414633B1 (en) Grappling assembly for use with utilit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