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173B1 -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Google Patents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0173B1 KR101870173B1 KR1020170069078A KR20170069078A KR101870173B1 KR 101870173 B1 KR101870173 B1 KR 101870173B1 KR 1020170069078 A KR1020170069078 A KR 1020170069078A KR 20170069078 A KR20170069078 A KR 20170069078A KR 101870173 B1 KR101870173 B1 KR 1018701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ntral axis
- arm
- pin
- lock
- receiving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0282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06 toe na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09 ir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와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상기 회전 부재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상기 회전 부재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목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등에서 땅이나 암석 등을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상부 선회체를 회전시키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붐대를 이용하여 운반 물체를 이동시키거나 택지조성, 건물기초, 토사적재, 말목박기, 고철적재, 원목적재, 구멍파기, 교량, 암반 등의 건축물 파괴, 도로, 상수도 공사 등의 다양한 작업을 행한다.
이와 같은 굴삭기에서는 목재 등의 물체를 운반하기 위한 집게가 구비되기도 하는데,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굴삭기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굴삭기의 붐대(1)의 선단에는 암 실린더(2)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는 암(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암(3)의 선단에는 버켓 실린더(4)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버켓(5)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버켓(5)의 내측에는 상기 암(3)의 내측에 결합되며 집게 실린더(6)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버켓(5)과 협력하여 물건 등을 집을 수 있는 집게(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집게(7)는, 활처럼 굽어진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도 1)와 상기 암(3)에 근접하는 제2 위치(도 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집어서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할 경우에는 암 실린더(2) 및 버켓 실린더(4)를 작동시켜, 상기 버켓(5)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집게 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집게(7)를 조작하여 물건을 버켓(5)과 집게(7)의 사이에서 집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집게(7)는, 상기 집게(7)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위치에 배치하는데, 이 경우 상기 집게(7)가 상기 암(3)으로부터 상당히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버켓(5)을 사용하는 작업에 상당한 불편이 초래되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증가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어,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도록 구조가 개선된 굴삭기용 집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는, 암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집게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암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집게 본체의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 실린더;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와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잠금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톱니, 제2 톱니, 제3 톱니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유닛이 회전 중심축으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 나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를 구비하는 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나사는, 상기 잠금부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조절 나사는 상기 집게 본체 또는 회전 부재 중 하나와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부재가 상기 집게 본체 및 회전 부재와 분리 이탈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핀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핀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잠금부는, 상기 제1 핀공 및 상기 제2 핀공에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잠금핀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핀 수용공; 상기 잠금핀을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 나사;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일단부를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나사 수용공;을 구비하는 수부재; 상기 잠금핀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핀은 핀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는 나사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잠금핀의 핀 헤드가 수용되는 핀 헤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수용공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나사 헤드가 수용되며, 상기 수부재의 타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잠금핀과 상기 위치 조절 나사가 상기 수부재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나사 헤드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암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상기 회전 부재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게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게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발톱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발톱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결합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1 암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암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1 암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제2 암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2 암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에 도시된 수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수부재가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3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가 집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3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수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수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에 도시된 수부재가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게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집게 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발톱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발톱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발톱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결합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제1 암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암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1 암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된 제2 암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제2 암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3에 도시된 수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수부재가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3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가 집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3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잠금 유닛의 수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수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수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9는 도 25에 도시된 수부재가 해제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집게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 부재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굴삭기용 집게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100)는,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집어서 차량에 적재하거나 하차시키는 경우에, 굴삭기(Excavator)의 버켓(5)과 협력하여 물건 등을 집을 수 있도록, 굴삭기의 암(3)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Claw)로서, 집게 본체(10)와, 회전 부재(20)와, 집게 실린더(30)와, 잠금 유닛(40)과, 발톱 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금속 재질의 막대형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위치한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대체로 직선적 형상을 가지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실린더(30)가 최대한 수축되면 상기 암(3)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고 밀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집게 본체(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마련되는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C)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부재(10a)와,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10a)를 서로 연결해주는 중앙 부재(10b)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 부재(10a)의 상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톱(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부재(10a)의 타단부에는 제1 연결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1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구멍인 제1 힌지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공(12)은 미리 정한 직경(D1)을 가진다.
상기 제1 힌지공(12)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회전 방지 홈(13)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부재(10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C)을 따라 연장된 곡면판으로서, 상기 측면 부재(10a)의 상단부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도록 굽어져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10a)의 상단부 내측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중앙 부재(10b)는, 상기 집게 실린더(30)의 상측에 배치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제2 위치에서도 상기 집게 실린더(30)와 접촉하지 않는 형상을 구비한다.
상기 회전 부재(20)는, 금속 재질의 막대형 부재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집게 본체(10)의 타단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20)는,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수납이 편리한 위치라는 의미이며,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를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상기 회전 부재(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굽어진 형상을 가지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암(3)으로부터 상당히 돌출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회전 부재(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C)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으로 마련되는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길이 방향(C)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는 측면 부재(20a)와,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20a)를 서로 연결해주는 중앙 부재(20b)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부재(20b)는 상기 회전 부재(20)의 중간부에 마련되어 있는 곡선형 평판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있다.
상기 중앙 부재(20b)에는 상기 집게 실린더(3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인 간섭 방지공(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 부재(20b)의 우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5)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서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측면 부재(20a)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측면 부재(20a)의 상단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복수 개의 발톱(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부재(20a)의 일단부에는,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구멍인 제2 힌지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힌지공(22)은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힌지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동일한 직경(D1)을 가진다.
상기 제2 힌지공(22)의 내주면에는 복수 개의 회전 방지 홈(23)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게 실린더(30)는, 상기 집게 본체(10)를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서, 실린더 본체(31)와 로드(3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 본체(31)의 일단부는, 상기 암(3)의 일측면에 제4 중심축(C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드(32)는, 상기 실린더 본체(31)의 타단부에 수용되는 막대 부재로서, 상기 실린더 본체(31)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 운동 가능하다.
상기 로드(32)의 말단부는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3 중심축(C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잠금 유닛(40)은, 상기 회전 부재(20)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제1 암부재(41)와 제2 암부재(42)와 수부재(43)와 안전핀(4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암부재(41)는,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원판형 부재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43)가 수용되는 수부재 수용부(4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부재 수용부(413)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공간으로서, 하단은 미리 정한 직경(D2)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 수용부(413)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4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톱니(411)는, 20개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18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1)을 가지고, 상기 제2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높이(W)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톱니(411)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4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복수 개의 제1 수용부(411a)가 된다.
상기 제1 암부재(41)의 상단에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2)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나사공(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공(412)은, 상기 제1 암부재(41)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수부재 수용부(413)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 수용부(413)의 바닥에는, 상기 나사공(412)의 주변을 둘러 감싸는 홈부(41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암부재(41)의 하단은, 미리 정한 외경(D1)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힌지공(12)에 삽입된다.
상기 제1 암부재(41)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힌지공(12)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41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14)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힌지공(12)에 형성된 회전 방지 홈(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 방지 돌기(419)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암부재(41)의 측면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제를 투입하기 위하여 형성된 윤활제 투입구(4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윤활제 투입구(416)는, 상기 수부재 수용부(413)와 연통되어 있으며, 그리스 니플(미도시) 등의 부품이 장착될 수 있는 구멍이다.
상기 제1 암부재(41)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전핀(44)이 수납될 수 있는 안전핀 통로(4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 통로(415)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을 '○' 형상이 감싸고 있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핀 통로(415)의 '+' 형상 중심부는 상기 나사공(412)의 일단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 통로(415)의 '○' 형상 부분에는, 상기 안전핀(44)의 일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안전핀 걸이(41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 걸이(417)는 'ㄱ'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안전핀 걸이(417)의 말단부 내면에는 상기 안전핀(44)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안전핀 고정홈(41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 암부재(42)는,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연결부(21)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원판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암부재(4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암부재(42)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43)가 관통할 수 있는 원형의 중공(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424)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관통공으로서, 하단은 미리 정한 직경(D5)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단은 미리 정한 직경(D2)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중공(424)의 상단부 내주면에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4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톱니(421)는, 20개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18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3)을 가지고, 상기 제2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높이(W)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톱니(421)는, 상기 제1 톱니(4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 개의 제2 톱니(421)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4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복수 개의 제2 수용부(421a)가 된다.
상기 제2 암부재(42)의 상단부 외측면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힌지공(22)이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4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422)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공(22)에 형성된 회전 방지 홈(2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 방지 돌기(423)가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424)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수부재(43)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42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4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암부재(41) 및 상기 제2 암부재(42)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원기둥형 부재이다.
상기 수부재(43)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와 회전 부재(20)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암부재(41) 및 상기 제2 암부재(4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
상기 수부재(43)의 외주면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4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톱니(431)는, 20개 마련되어 있으며 서로 18도만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4)를 가지고, 상기 제2 중심축(C2)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반경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높이(W)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톱니(431)이, 상기 제1 수용부(411a) 및 제2 수용부(421a)와 동시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와 회전 부재(20)를 고정하는 잠금부(431)에 해당한다.
상기 제3 톱니(431)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톱니(411) 사이에 형성된 제1 수용부(411a) 및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톱니(421) 사이에 형성된 제2 수용부(421a)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톱니(411) 및 제2 톱니(4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3 톱니(431)는 상기 제1 톱니(411) 및 제2 톱니(421)의 길이(L1, L3)보다 더 긴 길이(L4)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톱니(431)의 길이(L4)는 상기 제1 톱니(411)의 길이(L1)과 상기 제2 톱니(421)의 길이(L3)를 합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수부재(43)의 외주면 하단부에는, 상기 제2 암부재(42)의 걸림턱(425)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437)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43)에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중공(4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공(432)에는, 위치 조절 나사(438)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는, 나사 헤드(438a)와, 상기 나사 헤드(438a)로부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연장된 수나사부(438b)와, 상기 수나사부(438b)의 말단부에 형성된 핀공(438c)을 구비한다.
상기 수나사부(438b)는, 상기 수부재(43)의 상단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L6)만큼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암부재(41)의 나사공(412)에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나사 헤드(438a)는, 상기 중공(432)의 하단부에 형성된 헤드 수용공(435)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상기 중공(432)의 중간부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 헤드(438a)가 걸려서 더 이상 전진할 수 없도록 구속하는 나사 걸림턱(4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 수용공(435)의 하단에는, 상기 나사 헤드(438a)가 걸려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도록 구속하는 나사 이탈 방지 부재(434)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 이탈 방지 부재(434)는 구멍용 스냅 링(snap ring)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 헤드(438a)가 상기 헤드 수용공(435)의 내부에서 회전하더라도 상기 헤드 수용공(435)로부터 분리 이탈하지 않으며,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수부재(43)와 상기 제1 암부재(41)의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회전시키면, 상기 수부재(43)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위치 조절 나사(438)의 최대 조절 거리는 대략 상기 나사공(412)의 길이(L2)와 같다.
상기 나사 헤드(438a)에는, 육각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육각형 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43)의 상단부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암부재(41)의 홈부(413a)에 삽입될 수 있는 돌출부(4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36)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미리 정한 길이(L5)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홈부(413a)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상대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제 위치에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가 상기 나사공(412)의 일정 영역(L7)에 걸리게 되면, 상기 수부재(43)의 돌출부(436)가 상기 제1 암부재(41)의 수부재 수용부(413)의 내주면에 일정 영역(L5)만큼 걸린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잠금 유닛(40)이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 중심축(C2)으로 기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는, 상기 수부재(43)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암부재(41)와 나사 결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부재(43)가 상기 제1 암부재(41) 및 상기 제2 암부재(42)와 분리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안전핀(44)은, 상기 수부재(43)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나사부(438b)의 핀공(438c)에 삽입되는 핀으로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가 상기 제1 암부재(41)의 나사공(412)로부터 풀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발톱 부재(50)는, 상기 회전 부재(20)의 타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발톱 부재(50)는 발톱 부재 본체(51)와 발톱(52)과 결합홈(53)과 관통공(54)을 구비한다.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형 부재로서, 내구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상기 발톱(52)은,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집게의 파지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결합홈(53)은, 상기 회전 부재(20)의 돌출부(25)를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홈으로서,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의 하면에 마련된다.
상기 관통공(54)은,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를 상하로 관통하는 원형 구멍으로서 복수 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54)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25)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발톱 부재(50)를 상기 회전 부재(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굴삭기용 집게(100)를 사용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암부재(41)의 제1 톱니(411)와 상기 제2 암부재(42)의 제2 톱니(421)가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43)를 상기 제2 암부재(42)의 중공(424)에 삽입하면, 상기 수부재(43)의 제3 톱니(431)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2 톱니(421) 사이에 형성된 제2 수용부(421a)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서서히 조이면 상기 수부재(43)가 상기 제1 암부재(41) 측으로 점점 전진하게 되며, 상기 수부재(43)의 제3 톱니(431)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제1 톱니(411) 사이에 형성된 제1 수용부(411a)에 삽입되고, 상기 수부재(43)의 돌출부(436)는 상기 제1 암부재(41)의 홈부(413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렇게 상기 수부재(43)를 상기 제1 암부재(41)의 수부재 수용부(413)에 완전히 삽입한 후, 상기 안전핀(44)의 일단부를 상기 수나사부(438b)의 핀공(438c)에 삽입하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핀(44)의 타단부를 상기 안전핀 걸이(417)의 안전핀 고정홈(418)에 장착하면, 상기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100)의 사용 준비가 완료된다.
이렇게 상기 집게 본체(10)와 회전 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32)가 상기 실린더 본체(31)로부터 돌출되어 나오게 되면, 상기 집게 본체(10) 및 회전 부재(20)가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집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로드(32)를 상기 실린더 본체(31)의 내부로 최대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1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으로부터 거의 돌출되지 않고 밀착되는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어서, 상기 안전핀(44)을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서서히 풀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부재(43)를 후진시키면,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집게 본체(10)에 대하여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상기 회전 부재(20)를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회전 부재(20)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 후,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서서히 조여서 상기 수부재(43)를 전진시키면,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안전핀(44)을 상기 핀공(438c)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20)의 수납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20)는 상기 암(3)에 최대한 밀착되어 접혀진 상태로 상기 제2 위치에 고정된다.
상술한 구성의 굴삭기용 집게(100)는, 암(3)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제1 중심축(C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3)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10); 상기 암(3)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3)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집게 본체(1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부재(20); 상기 집게 본체(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암(3)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3 중심축(C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 실린더(30); 상기 회전 부재(20)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40);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40)은,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집게 본체(1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411a); 상기 제1 수용부(411a)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2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C2)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421a); 상기 제1 수용부(411a) 및 상기 제2 수용부(421a)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10)와 회전 부재(20)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411a) 및 상기 제2 수용부(421a)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431);를 포함하므로, 상기 회전 부재(2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암(3)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밀착될 수 있어, 상기 회전 부재(20)가 주변 물체와 물리적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바, 버켓(5)만을 사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고 전체적인 작업 시간이 감소하며 안전 사고의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잠금부(431)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따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잠금부(43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단순한 조작을 통하여 상기 회전 부재(20)를 상기 집게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시키거나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제1 수용부(411a)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411)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41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수용부(421a)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421)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42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잠금부(431)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431)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431)가 상기 제1 수용부(411a) 및 상기 제2 수용부(421a)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톱니(411), 제2 톱니(421), 제3 톱니(43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회전 부재(20)가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톱니(411, 421, 431)들이 그 충격을 분담하게 되는바 더 큰 하중 내지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감당할 수 있으며, 회전 중심축(C2)으로서도 기능하는 상기 잠금 유닛(40)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유닛(40)이 회전 중심축(C2)으로 기능하므로, 상기 잠금 유닛(40)이 장착된 지점과 다른 지점에 별도의 회전 중심축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잠금부(431)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 나사(438)를 구비하므로, 간단한 나사 조작만으로 상기 잠금 유닛(40)을 작동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잠금부(431)를 구비하는 수부재(43)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는 상기 잠금부(431)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부재(43)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431)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는 상기 집게 본체(10) 또는 회전 부재(20) 중 하나와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부재(43)가 상기 집게 본체(10) 및 회전 부재(20)와 분리 이탈되지 않으므로, 상기 수부재(43)의 분실 또는 파손 위험이 없으며, 상기 잠금 유닛(40)이 회전 중심축(C2)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회전 부재(20)의 타단부에, 암석이나 목재 등의 물건을 쉽게 집을 수 있도록 형성된 발톱 부재(5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상기 발톱 부재(50)가 파손된 경우에는 쉽게 분리하여 수리 내지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용 집게(100)는, 상기 발톱 부재(50)가. 발톱 부재 본체(51);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는 발톱(52); 상기 회전 부재(20)의 타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에 형성된 결합홈(53); 상기 발톱 부재 본체(5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54);을 포함하므로, 상기 발톱 부재(50)와 상기 회전 부재(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암부재(4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나, 주조나 절삭 가공을 통하여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암부재(4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연결부(21)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으나, 주조나 절삭 가공을 통하여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연결부(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43)가 상기 제1 암부재(41) 및 상기 제2 암부재(42)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수부재(43)를 완전히 분리시켜서, 상기 수부재(43) 및 상기 회전 부재(20)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5에는 상기 잠금 유닛(40)의 제2 실시예인 잠금 유닛(14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잠금 유닛(140)은 상기 잠금 유닛(40)의 구성 및 효과와 대부분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구비하므로 이하에서는 양자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잠금 유닛(140)은, 제1 핀공(411a)과 제2 핀공(421a)과 잠금핀(431)과 수부재(141)와 커버 부재(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핀공(411a)은, 도 25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구멍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핀공(411a)은,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411a)에 해당한다.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에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나사공(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핀공(421a)은, 도 25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연결부(21)에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구멍이다.
상기 제2 핀공(421a)의 직경은 상기 제1 핀공(411a)과 동일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핀공(421a)은,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421a)에 해당한다.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연결부(21)에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중공(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핀(431)은, 상기 제1 핀공(411a) 및 상기 제2 핀공(421a)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는 원형 핀으로서, 상기 잠금부(431)에 해당한다.
상기 잠금핀(431)의 일단부에는 주변보다 직경이 더 큰 핀 헤드(43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141)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심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판형 부재이다.
상기 수부재(141)의 중심에는, 상기 제2 중심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나사 수용공(1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 수용공(146)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나사 헤드(438a)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나사 수용공(146)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나사 헤드(438a)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자리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 수용공(146)의 직경은 상기 제2 연결부(21)에 형성된 중공(424)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수나사부(438b)는, 상기 제1 연결부(11)에 형성된 상기 나사공(412)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141)에는, 상기 잠금핀(431)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핀 수용공(145)가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수용공(145)의 하단에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431)의 핀 헤드(431a)를 수용할 수 있는 핀 헤드 수용부(14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헤드 수용부(145a)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431)의 핀 헤드(431a)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자리파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핀(431)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141)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141)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부재(142)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중심축(C2)을 원의 중심으로 하는 원판형 부재로서, 상기 수부재(141)의 타면에 고정 나사(143)에 의하여 나사 결합된다.
상기 고정 나사(143)의 헤드에는 육각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 부재(142)는, 상기 잠금핀(431)과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가 상기 수부재(141)의 타면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부재이다.
상기 커버 부재(142)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나사 헤드(438a)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형의 관통공(1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44)의 직경은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나사 헤드(438a)의 직경보다 작으나 육각 렌치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마련된다.
상기 잠금 유닛(140)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서서히 풀어서 상기 수부재(141)를 후진시키면, 상기 잠금핀(431)이 상기 집게 본체(10)에 형성된 제1 핀공(411a)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집게 본체(10)에 대하여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서서히 조이면 상기 수부재(141)가 상기 제1 연결부(11) 측으로 점점 전진하게 되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핀(431)이 상기 제1 핀공(411a) 및 제2 핀공(421a)에 동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집게 본체(10)와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잠금 유닛(140)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수용부(411a)가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핀공(411a)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수용부(421a)는 상기 제2 중심축(C2)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핀공(421a)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잠금부(431)는, 상기 제1 핀공(411a) 및 상기 제2 핀공(421a)에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잠금핀(431)을 포함하므로, 상기 복수 개의 톱니(411, 421, 431)들을 구비하는 잠금 유닛(40)에 비하여, 비교적 부품 조달이 용이하고 부품 개수가 적으며, 부품 가공이 단순하여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감소하고, 하중 감당 능력이 비교적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140)은, 상기 잠금핀(431)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핀 수용공(145); 상기 잠금핀(431)을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 나사(438);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일단부를 상기 제2 중심축(C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나사 수용공(146);을 구비하는 수부재(141); 상기 잠금핀(431)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141)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141)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게 본체(10)의 제1 연결부(11)에 직접 상기 제1 핀공(411a)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 부재(20)의 제2 연결부(21)에 직접 상기 제2 핀공(421a)을 형성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 유닛(40)의 제1 암부재(41) 및 제2 암부재(42)와 같은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유닛(140)은, 상기 잠금핀(431)이 핀 헤드(431a)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는 나사 헤드(438a)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141)의 타면에는 상기 잠금핀(431)의 핀 헤드(431a)가 수용되는 핀 헤드 수용부(14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수용공(146)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사의 나사 헤드(438a)가 수용되며, 상기 수부재(141)의 타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잠금핀(431)과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가 상기 수부재(141)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커버 부재(142)를 포함하므로, 상기 잠금핀(431)과 위치 조절 나사(438)를 상기 수부재(141)에 장착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 유닛(140)은, 상기 커버 부재(142)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의 나사 헤드(438a)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공(1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를 돌리기 위한 육각 렌치의 삽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잠금부(431)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조절 나사(438)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위치 조절 나사(438) 대신에 임의의 위치 조절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잠금부(431)의 위치를 점진적으로 조절하지 않고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2개의 위치에만 상기 잠금부(431)가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위치 조절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부재(141)가 상기 제1 연결부(11)와 상기 제2 연결부(21)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 수부재(141)를 완전히 분리시켜서, 상기 수부재(141) 및 상기 회전 부재(20)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집게 본체(1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의 말단부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3)의 말단부에 장착되는 소위 퀵 커플러(Q)에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굴삭기용 집게
1: 붐대
2: 암 실린더
3: 암
4: 버켓 실린더
5: 버켓
6: 집게 실린더
7: 집게
10: 집게 본체
10a: 측면 부재
10b: 중앙 부재
11: 제1 연결부
12: 제1 힌지공
13: 회전 방지 홈
14: 발톱
20: 회전 부재
20a: 측면 부재
20b: 중앙 부재
21: 제2 연결부
22: 제2 힌지공
23: 회전 방지 홈
24: 발톱
25: 돌출부
26: 간섭 방지공
30: 집게 실린더
31: 실린더 본체
32: 로드
40: 잠금 유닛
41: 제1 암부재
42: 제2 암부재
43: 수부재
44: 안전핀
50: 발톱 부재
51: 발톱 부재 본체
52: 발톱
53: 결합홈
54: 관통공
411: 제1 톱니
412: 나사공
413: 수부재 수용부
413a: 홈부
414: 걸림턱
415: 안전핀 통로
416: 윤활제 투입구
417: 안전핀 걸이
418: 안전핀 고정홈
419: 회전 방지 돌기
421: 제2 톱니
422: 걸림턱
423: 회전 방지 돌기
424: 중공
425: 걸림턱
431: 제3 톱니
432: 중공
433: 나사 걸림턱
434: 나사 이탈 방지 부재
435: 헤드 수용공
436: 돌출부
437: 걸림턱
438a: 나사 헤드
438b: 수나사부
438: 위치 조절 나사
438c: 핀공
140: 잠금 유닛
141: 수부재
142: 커버 부재
143: 고정 나사
144: 관통공
145: 핀 수용공
145a: 핀 헤드 수용부
146: 나사 수용공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C4: 제4 중심축
100: 굴삭기용 집게
1: 붐대
2: 암 실린더
3: 암
4: 버켓 실린더
5: 버켓
6: 집게 실린더
7: 집게
10: 집게 본체
10a: 측면 부재
10b: 중앙 부재
11: 제1 연결부
12: 제1 힌지공
13: 회전 방지 홈
14: 발톱
20: 회전 부재
20a: 측면 부재
20b: 중앙 부재
21: 제2 연결부
22: 제2 힌지공
23: 회전 방지 홈
24: 발톱
25: 돌출부
26: 간섭 방지공
30: 집게 실린더
31: 실린더 본체
32: 로드
40: 잠금 유닛
41: 제1 암부재
42: 제2 암부재
43: 수부재
44: 안전핀
50: 발톱 부재
51: 발톱 부재 본체
52: 발톱
53: 결합홈
54: 관통공
411: 제1 톱니
412: 나사공
413: 수부재 수용부
413a: 홈부
414: 걸림턱
415: 안전핀 통로
416: 윤활제 투입구
417: 안전핀 걸이
418: 안전핀 고정홈
419: 회전 방지 돌기
421: 제2 톱니
422: 걸림턱
423: 회전 방지 돌기
424: 중공
425: 걸림턱
431: 제3 톱니
432: 중공
433: 나사 걸림턱
434: 나사 이탈 방지 부재
435: 헤드 수용공
436: 돌출부
437: 걸림턱
438a: 나사 헤드
438b: 수나사부
438: 위치 조절 나사
438c: 핀공
140: 잠금 유닛
141: 수부재
142: 커버 부재
143: 고정 나사
144: 관통공
145: 핀 수용공
145a: 핀 헤드 수용부
146: 나사 수용공
C1: 제1 중심축
C2: 제2 중심축
C3: 제3 중심축
C4: 제4 중심축
Claims (10)
- 암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집게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암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집게 본체의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 실린더;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와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를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 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부를 구비하는 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 나사는, 상기 잠금부와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부재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부가 상기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위치 조절 나사는 상기 집게 본체 또는 회전 부재 중 하나와 결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수부재가 상기 집게 본체 및 회전 부재와 분리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중심축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제2 수용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톱니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 톱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상기 잠금부는, 미리 정한 각도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3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위치에서 상기 잠금부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제1 톱니, 제2 톱니, 제3 톱니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집게 본체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유닛이 회전 중심축으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삭제
- 삭제
- 삭제
- 암의 말단부에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로서,
상기 제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암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집게 본체;
상기 암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암에 미리 정한 거리 이내로 근접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부재;
상기 집게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암에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집게 본체의 제3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집게 실린더;
상기 회전 부재를,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집게 본체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중심축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집게 본체와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2 수용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집게 본체와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한 복수 개의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 수용부는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핀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중심축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핀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잠금부는, 상기 제1 핀공 및 상기 제2 핀공에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잠금핀을 포함하며,
상기 잠금핀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핀 수용공; 상기 잠금핀을 상기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는 위치 조절 나사;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일단부를 상기 제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나사 수용공;을 구비하는 수부재;
상기 잠금핀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타단부는 상기 수부재의 일면으로부터 미리 정한 길이만큼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은 핀 헤드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조절 나사는 나사 헤드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의 타면에는 상기 잠금핀의 핀 헤드가 수용되는 핀 헤드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 수용공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나사 헤드가 수용되며,
상기 수부재의 타면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기 잠금핀과 상기 위치 조절 나사가 상기 수부재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에는 상기 위치 조절 나사의 나사 헤드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078A KR101870173B1 (ko) | 2017-06-02 | 2017-06-02 |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078A KR101870173B1 (ko) | 2017-06-02 | 2017-06-02 |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70173B1 true KR101870173B1 (ko) | 2018-06-22 |
Family
ID=6276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078A KR101870173B1 (ko) | 2017-06-02 | 2017-06-02 |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017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551Y1 (ko) * | 2019-09-03 | 2019-11-28 | 유제록 |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
CN110561476A (zh) * | 2019-09-11 | 2019-12-13 |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 一种夹子装置及其使用方法 |
KR20200082796A (ko) * | 2018-12-31 | 2020-07-08 | 한영숙 |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
KR102433574B1 (ko) * | 2022-06-14 | 2022-08-18 | 양계환 |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170A (ko) * | 2002-01-26 | 2003-07-31 | 주식회사 매직캔 | 절첩사다리용 힌지 |
KR20090061357A (ko) * | 2007-12-11 | 2009-06-16 | 정영재 |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
-
2017
- 2017-06-02 KR KR1020170069078A patent/KR1018701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4170A (ko) * | 2002-01-26 | 2003-07-31 | 주식회사 매직캔 | 절첩사다리용 힌지 |
KR20090061357A (ko) * | 2007-12-11 | 2009-06-16 | 정영재 |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2796A (ko) * | 2018-12-31 | 2020-07-08 | 한영숙 |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
KR102188520B1 (ko) * | 2018-12-31 | 2020-12-08 | 한영숙 |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
KR200490551Y1 (ko) * | 2019-09-03 | 2019-11-28 | 유제록 |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
CN110561476A (zh) * | 2019-09-11 | 2019-12-13 | 江西合力泰科技有限公司 | 一种夹子装置及其使用方法 |
KR102433574B1 (ko) * | 2022-06-14 | 2022-08-18 | 양계환 |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0173B1 (ko) |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
ES2937248T3 (es) | Miembro de desgaste para equipo de excavación | |
US6487800B1 (en) | Manually operated coupler for work tools | |
NO318687B1 (no) | Lasesammensetning, slitedel, boss og las for feste til en gravekant pa en ekskavator | |
US20060242865A1 (en) | Quick-coupling device for tools on diggers or similar machines | |
ES2876441T3 (es) | Tapa para unirla de forma extraíble a un cabezal de un elemento de sujeción y sistema de retención de herramienta que comprende una mordaza y un conjunto de cuña que incluye dicha tapa | |
US20180142447A1 (en) | Modular ground engagement tooling system | |
RU2700136C2 (ru) | Зажим для системы фиксации рабочего орудия | |
US5621987A (en) | Implement coupling assembly for excavator machines and the like | |
CN107532412B (zh) | 工具保持系统 | |
KR20200082796A (ko) |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 |
KR101576854B1 (ko) | 굴삭기용 보조 집게 | |
US10414633B1 (en) | Grappling assembly for use with utility equipment | |
KR20150142192A (ko) | 굴삭기용 스톤그립 | |
KR101254193B1 (ko) | 중장비 작업기의 퀵체인지 구조 | |
KR101777364B1 (ko) | 쟁기날이 구비된 굴삭기용 집게장치 | |
KR101846217B1 (ko) |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 |
KR101739779B1 (ko) | 굴삭기의 스마트 집게용 처짐방지장치 | |
JP7208295B2 (ja) | ポケット付きウェッジを有する工具保有システム | |
KR101566493B1 (ko) | 굴착기용 집게장치 | |
KR20160040755A (ko) | 수목 굴취장치 | |
KR101945030B1 (ko) |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 | |
KR101652090B1 (ko) | 굴삭기 집게용 보조포크 | |
KR101728831B1 (ko) | 굴착기용 집게발의 안전 고정 장치 | |
KR102087971B1 (ko) | 굴삭기 집게발 안전핀 스토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