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574B1 -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 Google Patents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574B1
KR102433574B1 KR1020220072393A KR20220072393A KR102433574B1 KR 102433574 B1 KR102433574 B1 KR 102433574B1 KR 1020220072393 A KR1020220072393 A KR 1020220072393A KR 20220072393 A KR20220072393 A KR 20220072393A KR 102433574 B1 KR102433574 B1 KR 102433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disk
tapered
tong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계환
양제원
Original Assignee
양계환
양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계환, 양제원 filed Critical 양계환
Priority to KR1020220072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7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allowing movement, e.g. rotation or translation, of the tool around or along another axis as the movement implied by the boom or arms, e.g. for tilting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과 함께 화물을 파지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부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디스크를 풀면 테이퍼돌기가 제1테이퍼홈과 제2테이퍼홈에서 이탈되어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정밀하게 조절하고, 고정디스크를 체결하면 테이퍼돌기가 제1테이퍼홈과 제2테이퍼홈에 삽입되어 조절된 회전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Rotating Structure of Excavator Tongs.}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과 함께 화물을 파지하는 집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부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디스크를 풀면 테이퍼돌기가 제1테이퍼홈과 제2테이퍼홈에서 이탈되어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 정밀하게 조절하고, 고정디스크를 체결하면 테이퍼돌기가 제1테이퍼홈과 제2테이퍼홈에 삽입되어 조절된 회전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집하장 및 철거현장 등은 작업 대상물의 하중과 부피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노동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하중이 큰 작업 대상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려 놓는 등 취급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건강을 해칠 염려가 있으며, 더욱이 인력으로는 취급하기 어려운 작업 대상물을 처리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인력과 노동력을 줄이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작업 장소에서는 굴삭기를 주로 사용한다. 굴삭기는 토목공사, 건설공사, 건축공사 등에서 땅이나 암석 등 작업 대상물을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등의 굴삭작업을 행하는 건설기계로서, 장비의 상부 선회체를 회전시키거나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붐대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거나 택지조성, 건물기초, 토사적재, 말목박기, 고철적재, 원목적재, 구멍파기, 교량, 암반 등의 건축물 파괴, 도로, 상수도 공사 등의 다양한 작업을 행한다.
굴삭기의 활용성은 무궁무진하여서 단지 굴삭작업만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작업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굴삭기의 버켓 대신에 다른 장치를 부착하여 다른 업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브레이커를 부착하게 되는 경우 브레이커 밸브의 동작에 의하여 브레이커 끝단에 부착된 노미가 전진과 후진을 빠른 속도로 반복하게 됨으로써 골재를 파괴하여 잘게 부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며, 상기 브레이커 대신에 집게를 부착함으로써 집게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또는 부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집게는 굴삭기의 버켓의 안쪽 부분에 장착되어 버켓과 함께 나무나 돌 및 폐콘크리트 등을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 집게를 도시한 것이다. 굴삭기의 붐대(1)의 선단에는 암실린더(3)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암(2)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암(2)의 선단에는 버켓실린더(5)의 작동에 따라 회동되는 버켓(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버켓(4)의 내측에는 상기 회동암(2)의 내측에 결합되며 집게실린더(7)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버켓(4)과 협력하여 물건 등을 집을 수 있는 집게(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집게(6)는 활처럼 굽어진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버켓(4)과 가까이 위치하는 제1위치-도 1(a)-와, 상기 버켓(4)에 떨어진 위치인 제2위치-도 1(b)-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집게(6)를 이용하여서 굴삭기를 통해 고 중량의 목재를 이동시킬 때 목재를 집게(6)로 물어서 옮기게 되는데, 집게(6)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에는 버켓(4)과 집게(6) 사이의 공간이 너무 크게 형성되므로 직경이 작은 통나무는 집을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고, 상기 집게(6)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에는 직경이 작은 통나무는 잡을 수 있으나 집게(6)를 충분히 크게 벌릴 수 없으므로 직경이 큰 통나무를 잡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굴삭기의 폭넓은 활용성을 적극 이용하여 굴삭작업뿐만 아니라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여 운반 등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집게를 더 구비하되, 작업 대상물의 크기와 중량 등을 고려하여 집게의 형태와 구조가 적절히 조절되어 다양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는 굴삭기의 집게 구조의 개발이 대두된다.
KR 2009-0061357 (A) 2009.06.16. KR 20-0490551 (Y1) 2019.11.22.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프레임과 회전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집게부가 파지하고자 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회전프레임이 메인프레임의 제1디스크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집게부의 형상과 구조를 다양한 화물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하여 파지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또는 회동각을 고정하도록 상호 간에 맞물리는 제1테이퍼홈, 제2테이퍼홈 및 테이퍼돌기가 방사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정밀하게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돌기가 삽입되는 제1테이퍼홈 및 제2테이퍼홈이 굽힘강도 및 면압강도를 고려하여 방사상으로 그 두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집게를 이용한 작업 대상물의 파지시에 큰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테이퍼홈 및 제2테이퍼홈에 삽입되는 테이퍼돌기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부드러운 동작으로 끼울 수 있으면서도, 테이퍼돌기의 삽입동작 완료후에는 유격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집게의 사용시에 마찰소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불쾌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디스크에 구비된 구리스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구리스는 집게부의 회전마찰이 발생하는 부위에 도포되므로 중량의 회전프레임을 적은 힘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어 부드럽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정볼트의 핀홈에 삽입되는 안전핀이 핀고정부를 가로질러 고정볼트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삽입되어 진동 등에 의한 고정볼트의 탈락을 방지하며, 안전핀의 헤드에 구비된 핀링이 핀고정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므로 안전핀이 핀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4)과 함께 화물을 파지하기 위한 집게부(10)에 있어서, 굴삭기의 집게실린더(7)의 신축이동에 따라 회동하며, 일정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홈(130)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크홈(130)에 끼워지는 제1돌출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210)의 바깥면에 다수의 제1테이퍼홈(2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디스크(2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크홈(130)과 맞닿는 제2디스크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회전프레임(300);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2디스크홈(310)에 끼워지는 제2돌출부(410)가 형성되되 상기 제2돌출부(410)의 바깥면에 다수의 제2테이퍼홈(4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디스크(400); 및 안쪽 면에 다수의 테이퍼돌기(520)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디스크(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디스크(200)의 외측 직경은 상기 제1디스크홈(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디스크(400)의 외측 직경은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디스크홈(13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디스크(4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중심홈(420)의 내부로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돌출부(210)의 제1테이퍼홈(211)과 상기 제2돌출부(410)의 제2테이퍼홈(411)은 직선으로 상호 연통되며, 상기 제1테이퍼홈(211)이 내측에 제2테이퍼홈(411)이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중심홈(510)에 고정볼트(530)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볼트(530)는 상기 제1디스크(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중심홈(220)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고정볼트(530)가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중심홈(2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이탈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볼트(530)에는 상기 고정볼트(530)의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핀홈(5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 면보다 더 돌출된 상기 핀홈(531)에 삽입되는 안전핀(532)은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핀고정부(230)를 가로지르며, 상기 안전핀(532)에는 상기 핀고정부(230)를 외측방향에서 감싸는 핀링(533)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테이퍼돌기(520)의 길이는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의 개별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을 합한 길이보다 같거나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테이퍼홈(211), 제2테이퍼홈(411) 및 테이퍼돌기(520)는 안쪽의 폭이 좁고 바깥쪽의 폭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는 메인프레임과 회전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집게부가 파지하고자 하는 화물의 크기에 따라 회전프레임이 메인프레임의 제1디스크홈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집게부의 형상과 구조를 다양한 화물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하여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프레임이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또는 회동각을 고정하도록 상호 간에 맞물리는 제1테이퍼홈, 제2테이퍼홈 및 테이퍼돌기가 방사형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정밀하게 회동각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돌기가 삽입되는 제1테이퍼홈 및 제2테이퍼홈이 굽힘강도 및 면압강도를 고려하여 방사상으로 그 두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집게를 이용한 작업 대상물의 파지시에 큰 부하가 가해지더라도 손상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테이퍼홈 및 제2테이퍼홈에 삽입되는 테이퍼돌기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부드러운 동작으로 끼울 수 있으면서도, 테이퍼돌기의 삽입동작 완료후에는 유격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여 집게의 사용시에 마찰소음의 발생을 방지하여 불쾌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디스크에 구비된 구리스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구리스는 집게부의 회전마찰이 발생하는 부위에 도포되므로 중량의 회전프레임을 적은 힘으로도 회동시킬 수 있어 부드럽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의 핀홈에 삽입되는 안전핀이 핀고정부를 가로질러 고정볼트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삽입되어 진동 등에 의한 고정볼트의 탈락을 방지하며, 안전핀의 헤드에 구비된 핀링이 핀고정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므로 안전핀이 핀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 집게를 나타낸 것으로, (a)는 버켓과 집게가 오므려진 상태의 측면도, (b)는 버켓과 집게가 벌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에 따른 집게부가 장착된 굴삭기에서 버켓과 집게부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회전프레임이 메인프레임과 평행한 상태의 측면도, (b)는 회전프레임이 회동되어 집게부에 곡률이 형성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에 따른 집게부의 일측면의 구성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집게부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에 따른 집게부에서 메인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을 생략하고 고정디스크와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만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제1디스크 및 제2디스크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b)는 제1디스크의 제1돌출부가 제2디스크의 제2중심홈에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1테이퍼홈, 제2테이퍼홈 및 테이퍼돌기의 단면을 도시하기 위해 제1디스크, 제2디스크 및 고정디스크를 단면처리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에 따른 고정디스크 구성을 생략한 집게부의 일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안쪽 방향이란 도 6에서 지시한 방향과 같이,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맞물려 치합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바깥쪽 방향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서 테이퍼돌기(520)가 이탈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는 굴삭기의 버켓(4)과 함께 집게부(10)가 화물을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의 집게실린더(7)의 신축이동에 따라 회동하며, 일정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홈(130)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크홈(130)에 끼워지는 제1돌출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210)의 바깥면에 다수의 제1테이퍼홈(2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디스크(2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크홈(130)과 맞닿는 제2디스크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회전프레임(300);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2디스크홈(310)에 끼워지는 제2돌출부(410)가 형성되되 상기 제2돌출부(410)의 바깥면에 다수의 제2테이퍼홈(411)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디스크(400); 및
안쪽 면에 다수의 테이퍼돌기(520)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디스크(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굴삭기를 이용하여 굴삭작업뿐만 아니라 화물을 파지하여 이송하기 위한 집게부(10)가 더 구비되어서 굴삭기의 활용성을 확장할 수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의 구조와 집게(6)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굴삭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붐대(1)에 회동암(2)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암(2)이 암실린더(3)에 의해 회동된다. 상기 회동암(2)의 끝단부에는 굴삭작업을 위한 버켓(4)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버켓(4)을 회동시키기 위한 버켓실린더(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회동암(2)의 끝단부에는 집게(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집게(6)를 집게실린더(7)를 통해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버켓(4)과 집게(6)의 사이에 화물을 위치시키고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종래의 집게(6)는 형상과 구조가 고정되어 있어 어느 일정의 화물 크기만을 파지할 수 있고 집게(6)의 곡률에 비하여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화물의 경우, 버켓(4)과 집게(6) 사이에 위치하여도 집게(6)가 파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물을 파지하기 위한 집게부(10)에 있어서, 다양한 크기의 화물이 버켓(4)과 집게부(10) 사이에 수용되고 파지될 수 있도록 파지하고자 하는 화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작업자가 집게부(10)의 곡률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집게부(10)의 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집게부(10)는 메인프레임(100)이 회동암(2)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집게실린더(7)에 의해 메인프레임(100)이 회동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1디스크홈(130)의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회전프레임(300)이 결합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안쪽에 배치되는 제1디스크(200)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바깥쪽에 구비되는 제2디스크(400)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1디스크(200) 및 제2디스크(400)에 각각 형성되는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는 고정디스크(500)가 회전프레임(300)을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디스크(50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서 이탈되면 회전프레임(300)은 회동이 이루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경사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회전프레임(300)의 조절이 끝난 후 다시 고정디스크(500)를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끼워 넣어 회전프레임(300)이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조절을 통해 도 2(a)에 도시된 집게부(10)가 거의 곡률지지 않는 형태와 구조로 이루어져 작은 크기의 화물이 버켓(4)과 집게부(10) 사이에 수용되고 밀착될 수 있어 파지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집게부(10)는 곡률이 형성되게 회전프레임(300)을 회동시킨 상태로서, 상기 버켓(4)과 집게부(10) 사이의 공간을 크게 형성하여 큰 크기의 화물도버켓(4)과 집게부(10) 사이에 수용되고 파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게부(10)는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어느 하나의 일측의 결합 구조는 타측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기에,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느 하나의 일측 결합 구조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메인프레임(100)과, 제1디스크(200)와, 회전프레임(300)과, 제2디스크(400) 및 고정디스크(500)의 결합관계를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회동암(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디스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안쪽 방향으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된 제1디스크홈(130)에 삽입된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바깥쪽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제2디스크홈(310)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1디스크홈(130)과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2디스크(400)는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바깥쪽으로부터 상기 제2디스크홈(310)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디스크(400)의 내부에 상기 제1디스크(200)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디스크(200)에 형성된 제1테이퍼홈(211)이 상기 제2디스크(400)에 형성된 제2테이퍼홈(411)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고정디스크(500)는 상기 제2디스크(400) 중심부 쪽에 수용되되 안쪽과 바깥쪽 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상기 고정디스크(500)가 바깥쪽을 향하여 이동되면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서 이탈되어 회전프레임(300)을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디스크(500)가 안쪽을 향하여 이동되면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회전프레임(300)이 회동되지 못하게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굴삭기의 회동암(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단부에는 상기 회동암(2)과 결합되기 위한 암결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암결합홈(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중간부에는 실린더결합홈(120)이 형성되어 집게실린더(7)가 상기 실린더결합홈(120)에 결합된다. 상기 집게실린더(7)의 신축이동에 따라 메인프레임(100)이 상기 암결합홈(11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단부에는 제1디스크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디스크홈(130)은 후술할 제1디스크(200)가 삽입되는 홈이며, 회전프레임(300)이 회동하는 중심축이 된다. 상기 제1디스크홈(130)의 가장자리에는 제1스플라인홈(131)이 형성되고, 제1디스크(200)에 형성되는 제1스플라인(212)이 상기 제1스플라인홈(131)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1디스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1디스크홈(130)에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크(200)가 메인프레임(100)에 회전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스플라인 구성을 차용하였고 도면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볼트결합, 용접 등 다양한 결합수단을 차용할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실린더결합홈(120)에 형성된 부위를 기점으로 한번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암결합홈(110)에서 실린더결합홈(120)까지 이은 직선과 실린더결합홈(120)에서 제1디스크홈(130)까지 이은 직선은 평행하지 않고 일정 각도로 교차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1디스크홈(130)에 결합되는 제1디스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안쪽에 배치되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디스크(200)의 외측 직경은 상기 제1디스크홈(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디스크홈(130)을 관통할 수 없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디스크(200)의 중심부에는 제1중심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중심홈(220)은 후술할 고정볼트(530)가 관통되는 홈이다. 고정볼트(530)의 일단부는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보다 더 안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고정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핀고정부(230)는 고정볼트(530)의 핀홈(531)에 끼워지는 안전핀(532)이 관통하는 홈이 다수 형성된다. 안전핀(532)은 고정볼트(530)의 핀홈(531)에 삽입될 시에 상기 핀고정부(230)의 홈을 두개이상 가로지르게 되고, 상기 안전핀(532)에 구비된 핀링(533)이 상기 핀고정부(230)를 감싸도록 놓인다. 상기 안전핀(532)이 고정볼트(530)의 핀홈(531)에서 이탈되려고 하더라도 핀링(533)이 상기 핀고정부(230)에 걸리게 되므로 안전핀(532)이 고정볼트(530)의 핀홈(5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디스크(20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돌출부(210)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디스크홈(130)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디스크홈(13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작게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0)의 외주면에는 제1스플라인(212)이 다수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플라인(212)은 상기 제1디스크홈(130)에 형성된 제1스플라인홈(13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디스크(200)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제1돌출부(210)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두께와 회전프레임(300)의 두께를 더한 값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21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1디스크홈(130)을 관통하고, 또한 회전프레임(300)의 제2디스크홈(310)을 통과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210)의 바깥면에는 제1테이퍼홈(211)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테이퍼홈(211)은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삽입되는 홈이다. 상기 제1테이퍼홈(211)은 요철(凹凸)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제2테이퍼홈(411)과 테이퍼돌기(520)도 요철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서로 맞물리며 치합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은 오목한 홈으로 표현하였고 테이퍼돌기(520)는 돌출된 돌기로 표현하였으나, 실제 구조는 제1테이퍼홈(211), 제2테이퍼홈(411) 및 테이퍼돌기(520)는 각각 요철구조가 반복된 형상이며 서로 맞물려 치합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300)은 일단부에 제2디스크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디스크홈(310)이 상기 제1디스크홈(130)과 맞닿게 배치된다. 상기 제1디스크홈(130)과 제2디스크홈(310)은 중공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라 상호간에 맞닿는다는 표현은 상호 연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상기 제2디스크홈(31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된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회동됨에 따라서 본 발명의 집게부(10)가 이루는 곡률이 조절된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도 2(a)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주요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조절되면 버켓(4)과 집게부(10)에서 작은 크기의 화물을 파지하기에 유리하며,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상기 버켓(4)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되면 집게부(10)는 도 2(b)와 같이 곡률이 형성되어 상기 버켓(4)과 집게부(10) 사이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큰 크기의 화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파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2디스크홈(310)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제2스플라인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플라인홈(311)은 제2디스크(400)에 형성되는 제2스플라인(412)이 결합되는 홈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제2디스크(4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디스크(400)의 외측 직경은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디스크홈(310)을 통과할 수 없다.
상기 제2디스크(400)에는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부(41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돌출부(410)의 직경은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410)의 외주면에는 제2스플라인(412)이 다수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플라인(412)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제2스플라인홈(311)에 끼워져 상기 제2디스크(400)가 회전프레임(300)에 고정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디스크(400)를 회전프레임(300)에 결합하는 수단으로 스플라인을 차용하고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볼트결합 및 용접 등 여러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제2디스크(400)와 회전프레임(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돌출부(410)의 바깥면에는 제2테이퍼홈(411)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테이퍼홈(411)은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요철(凹凸)구조가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즉, 제1테이퍼홈(211)의 오목한 부분이 제2테이퍼홈(411)의 오목한 부분과 맞닿고, 제1테이퍼홈(211)의 볼록한 부분이 제2테이퍼홈(411)의 볼록한 부분과 맞닿아 서로 연통된다.
도 5(a) 및 도 7과 같이, 상기 제2디스크(400)의 중심부는 제2중심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중심홈(420)은 제1디스크(200)의 제1돌출부(210)를 내부에 수용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게부(10)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고정디스크(50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쪽면에 테이퍼돌기(520)가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돌기(520)는 방사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어 결합구조를 이룬다.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면 체결이 완료되어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제2디스크홈(310)을 중심축으로 회동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없고,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서 이탈되어야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제2디스크홈(310)을 중심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중심부에는 고정중심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중심홈(51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53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고정중심홈(510)에는 리테이너(511)의 수용을 위한 링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511)가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중심홈(510)을 관통하고 리테이너(511)의 안쪽에 배치되는 고정볼트(530)는 상기 고정디스크(5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도면 상에는 고정볼트(530)가 고정중심홈(510)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고정볼트(530)는 고정중심홈(5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제1중심홈(220)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볼트(530)는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중심홈(220)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고정볼트(530)가 깊숙히 삽입되어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중심홈(220)에 체결되면 상기 고정디스크(500)는 안쪽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어 치합된 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볼트(530)를 상기 제1중심홈(220)에서 이탈시키면 상기 고정디스크(500)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서 분리된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상기 고정볼트(53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볼트(530)의 축방향과 직각으로 형성되는 핀홈(531)이 형성되고, 상기 핀홈(531)에 안전핀(532)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530)가 상기 제1중심홈(220)을 관통하면서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보다 더 돌출되고, 상기 핀홈(531)도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까지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핀(532)을 상기 핀홈(531)에 삽입하면 상기 안전핀(532)은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에 배치된다.
상기 안전핀(532)이 상기 핀홈(531)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디스크(200)의 핀고정부(230)를 지름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어 상기 고정볼트(530)가 바깥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전핀(532)이 상기 핀홈(5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안전핀(532)의 헤드부에 구비된 핀링(533)이 상기 핀고정부(230)를 가장자리 외측에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안전핀(532)이 상기 핀고정부(230)의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핀홈(531)에서 빠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도 5는 상기 제1디스크(200)가 상기 제2디스크(400)의 제2중심홈(420)에 삽입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는 메인프레임(100)과 회전프레임(30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b)와 같이,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돌출부(210)가 상기 제2디스크(400)의 제2중심홈(420)에 삽입된다. 상기 제1돌출부(210)의 외주연은 상기 제2돌출부(410)의 내주면 -상기 제2중심홈(420)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 상기 제2돌출부(410)의 외주면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제2디스크홈(310)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도 5(b),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은 상호 연통되어 통일된 테이퍼홈을 형성하며, 통일된 테이퍼홈에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삽입된다. 상기 테이퍼돌기(520)는 제1디스크(200)와 제2디스크(400)를 동시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은 직선으로 상호 연통되고, 상호 연통된 상태에서는 제1테이퍼홈(211)이 내측에 배치되고 제2테이퍼홈이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내측이란 원의 중심을 향한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이랑 원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테이퍼돌기(520)의 길이는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의 개별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돌기(520)의 길이는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작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제2디스크(400)에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제2디스크(400)가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회전프레임(300)도 회동하지 않는다.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2디스크(400)가 회전하려고 해도 상기 제1테이퍼홈(211)에 끼워져 고정된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에 의하여 상기 제2테이퍼홈(411)도 고정되므로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고정볼트(530)를 풀어서 상기 제1중심홈(220)에서 이탈되면, 상기 고정디스크(500)는 바깥쪽으로 이탈될 수 있고,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을 결속시키는 테이퍼돌기(520)가 이탈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2디스크(40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410)의 내주면-제2중심홈(420)의 내주면-은 상기 제1돌출부(21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면서 회전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5(b)와 같이, 상기 제2중심홈(420)에 제1돌출부(210)가 삽입되어 있기에 상기 제2디스크(400)는 제1디스크(200)에 의해 지지받고, 상기 제2디스크(400)와 회전프레임(300)이 고정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고정디스크(500)가 완전히 제거되면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바깥쪽으로 이동하여서 메인프레임(100)에서 분리될 수 있기에,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고정볼트(530)가 상기 제1중심홈(220)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서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만 고정볼트(530)를 조금 푸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와, 제1디스크(200)의 제1테이퍼홈(211) 및 제2디스크(400)의 제2테이퍼홈(411)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는 테이퍼돌기(520)는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형성된다. 각각의 테이퍼돌기(520)가 이격되는 각은 회전프레임(300)이 회동하여 조절될 수 있는 각이 된다.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촘촘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회동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 그리고 테이퍼돌기(520)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의 테이퍼구조로 형성된다.
도 6에서 지시한 방향을 참고하여, 상기 테이퍼돌기(52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인하여 그 폭이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테이퍼돌기(520)의 안쪽 폭은 좁고 바깥쪽 폭은 넓다. 그리고,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은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바깥쪽 폭은 넓게 형성되나 안쪽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게 형성된다. 즉, 제1테이퍼홈(211), 제2테이퍼홈(411) 및 테이퍼돌기(520)는 안쪽 폭이 좁고 바깥쪽 폭이 넓은 형상이다.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는 동작을 구분하여 살펴보면, 폭이 좁은 안쪽의 테이퍼돌기(520)는 폭이 넓은 바깥쪽의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기 시작할 때에 수월하고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점점 깊이 들어감에 따라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의 폭이 점차 좁아지므로 상기 테이퍼돌기(520)는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의 경사에 의해 삽입동작이 가이드된다.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테이퍼돌기(520)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이 유격없이 완전히 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집게부(10)를 이용하여 화물의 파지시에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 그리고 테이퍼돌기(520) 상호간에 유격이 없어 덜렁거리지 않으며, 마찰로 인한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어 불쾌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 그리고 테이퍼돌기(520)는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원의 중심측(내측)에서 가장자리(외측)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두꺼워진다. 집게부(10)를 이용한 화물의 파지작업시에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과 테이퍼돌기(520) 상호간에 강한 힘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호간에 접촉된 면적에 강한 힘이 발생하더라도 가장자리(외측)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두께로 인해 버틸 수 있는 굽힘강도 및 면압강도가 강해지므로 쉽게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된다.
즉,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 그리고 테이퍼돌기(520)는 사다리꼴 형상의 테이퍼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프레임(300)의 정밀한 회동각 조절이 가능하고, 삽입동작이 가이드되면서 상호간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강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견딜 수 있는 굽힘강도 및 면압강도가 증대되어 손상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이다.
도 7은 메인프레임(100)과, 제1디스크(200)와, 회전프레임(300) 및 제2디스크(400)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1디스크(200)의 일측에는 구리스주입구(240)가 구비되며, 상기 구리스주입구(240)를 통해서 구리스를 주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된 구리스는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회전프레임(300)이 접촉하는 면인 제1접촉면(A)에 도포된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메인프레임(100)에 대하여 제2디스크홈(310)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할 시에, 회전프레임(300)과 메인프레임(10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접촉면(A)에 구리스를 도포하여 이러한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제1디스크(200)와 제2디스크(400)가 접촉되는 면인 제2접촉면(B)에서도 상호간에 상대이동이 발생하면서 마찰력이 발생되기에 상기 제2접촉면(B)에도 구리스가 도포되며, 메인프레임(100)과 제2디스크(400)가 접촉되는 면인 제3접촉면(C)에도 구리스가 도포된다.
상기 구리스주입구(240)를 통해 주입된 구리스는 틈새를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제3접촉면(C)에 도포되며, 상기 제3접촉면(C)과 연통되는 제1접촉면(A) 및 제2접촉면(B)에도 구리스가 이동하여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상대적인 회전이동이 발생하는 제1접촉면(A), 제2접촉면(B) 및 제3접촉면(C)에 구리스를 도포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크게 감소시키고,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회동하는 동작을 매우 수월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므로, 고중량의 회전프레임(300)을 수동으로도 회동시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프레임(300)의 회동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초기의 상태는 회전프레임(300)이 메인프레임(100)과 일자로 이어져 집게부(10)의 형태가 거의 곡률이 없는 형태로 가정한다.
크기가 큰 화물을 파지하기 위하여 버켓(4)과 집게부(10) 사이의 공간을 크게 확보해야하는 경우, 상기 회전프레임(300)을 회동시켜서 집게부(10)가 곡률이 있는 형태로 조절하여야 한다.
고정볼트(530)의 핀홈(531)에 삽입된 안전핀(532)을 제거하고, 상기 고정볼트(530)를 풀어서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이탈되도록 상기 고정디스크(500)를 바깥쪽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테이퍼홈(411)이 테이퍼돌기(520)에 의해 제1테이퍼홈(211)에 결속되지 않은 상태로 되고, 상기 회전프레임(300)이 회동이 가능해진다.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프레임(300)을 회동하여서 집게부(10)의 곡률을 조절한다. 이때, 테이퍼돌기(520)의 간격이 원주방향으로 촘촘히 형성되기에 정밀한 곡률 조절이 가능하다.
이후, 다시 고정볼트(530)를 조여서 제1중심홈(220)에 깊숙히 삽입한다. 그러면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다시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고, 제2테이퍼홈(411)은 테이퍼돌기(520)에 의해 제1테이퍼홈(211)에 결속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고정된다.
핀홈(531)에 안전핀(532)을 삽입하고, 집게부(10)를 이용해 화물을 파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테이퍼돌기(520)는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여서 유격이 없고 마찰과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아 불쾌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는 원주방향으로 촘촘히 형성되는 방사형상의 테이퍼돌기(520)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회전프레임(300)의 회동각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돌기(520)와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이 사다리꼴 형상의 테이퍼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테이퍼돌기(520)의 삽입동작이 경사에 의해 가이드되어 부드럽고 수월하게 삽입되며, 접촉되는 면에 강한 힘이 발생하더라도 굽힘강도와 면압강도가 증대되어 손상과 파손이 발생하지 않고 내구성이 강해진다.

1:붐대 2:회동암 3:암실린더
4:버켓 5:버켓실린더 6:집게 7:집게실린더
10:집게부
100:메인프레임
110:암결합홈 120:실린더결합홈 130:제1디스크홈 131:제1스플라인홈
200:제1디스크
210:제1돌출부 211:제1테이퍼홈 212:제1스플라인
220:제1중심홈 230:핀고정부 240:구리스주입구
300:회전프레임
310:제1디스크홈 311:제2스플라인홈
400:제2디스크
410:제2돌출부 411:제2테이퍼홈 412:제2스플라인 420:제2중심홈
500:고정디스크
510:고정중심홈 511:리테이너 520:테이퍼돌기
530:고정볼트 531:핀홈 532:안전핀 533:핀링

Claims (8)

  1. 굴삭기의 버켓(4)과 함께 화물을 파지하기 위한 집게부(10)에 있어서,
    굴삭기의 집게실린더(7)의 신축이동에 따라 회동하며, 일정 직경을 가지는 제1디스크홈(130)이 형성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안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크홈(130)에 끼워지는 제1돌출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돌출부(210)의 바깥면에 다수의 제1테이퍼홈(2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디스크(200);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1디스크홈(130)과 맞닿는 제2디스크홈(3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회전프레임(300);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2디스크홈(310)에 끼워지는 제2돌출부(410)가 형성되되 상기 제2돌출부(410)의 바깥면에 다수의 제2테이퍼홈(411)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2디스크(400); 및
    안쪽 면에 다수의 테이퍼돌기(520)가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테이퍼돌기(520)가 상기 제1테이퍼홈(211)과 제2테이퍼홈(411)에 동시에 삽입되는 고정디스크(500);를 포함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200)의 외측 직경은 상기 제1디스크홈(13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디스크(400)의 외측 직경은 상기 제2디스크홈(31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돌출부(210)는 상기 제1디스크홈(130)을 관통하여 상기 제2디스크(4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제2중심홈(420)의 내부로 끼워지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210)의 제1테이퍼홈(211)과 상기 제2돌출부(410)의 제2테이퍼홈(411)은 직선으로 상호 연통되며, 상기 제1테이퍼홈(211)이 내측에 제2테이퍼홈(411)이 외측에 배치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중심부에 형성된 고정중심홈(510)에 고정볼트(530)가 배치되며,
    상기 고정볼트(530)는 상기 제1디스크(200)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1중심홈(220)에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고정볼트(530)가 상기 제1디스크(200)의 제1중심홈(2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디스크(500)의 테이퍼돌기(520)가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이탈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530)에는 상기 고정볼트(530)의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핀홈(53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 면보다 더 돌출된 상기 핀홈(531)에 삽입되는 안전핀(532)은 상기 제1디스크(200)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핀고정부(230)를 가로지르며,
    상기 안전핀(532)에는 상기 핀고정부(230)를 외측방향에서 감싸는 핀링(533)이 구비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돌기(520)의 길이는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의 개별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테이퍼홈(211) 및 제2테이퍼홈(411)을 합한 길이보다 같거나 작은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이퍼홈(211), 제2테이퍼홈(411) 및 테이퍼돌기(520)는 안쪽의 폭이 좁고 바깥쪽의 폭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KR1020220072393A 2022-06-14 2022-06-14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KR102433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93A KR102433574B1 (ko) 2022-06-14 2022-06-14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393A KR102433574B1 (ko) 2022-06-14 2022-06-14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3574B1 true KR102433574B1 (ko) 2022-08-18

Family

ID=831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393A KR102433574B1 (ko) 2022-06-14 2022-06-14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35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194A (ko) * 2007-11-28 2009-06-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용 버켓 고정 구조
KR20090061357A (ko) 2007-12-11 2009-06-16 정영재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KR101846217B1 (ko) * 2017-03-29 2018-04-06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101870173B1 (ko) * 2017-06-02 2018-06-22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US20190119878A1 (en) * 2016-03-23 2019-04-25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KR200490551Y1 (ko) 2019-09-03 2019-11-28 유제록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194A (ko) * 2007-11-28 2009-06-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용 버켓 고정 구조
KR20090061357A (ko) 2007-12-11 2009-06-16 정영재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US20190119878A1 (en) * 2016-03-23 2019-04-25 Ami Attachments Inc. Robust multi-tool assembly for hydraulic excavators
KR101846217B1 (ko) * 2017-03-29 2018-04-06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101870173B1 (ko) * 2017-06-02 2018-06-22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200490551Y1 (ko) 2019-09-03 2019-11-28 유제록 굴삭기용 안전 집게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3678B1 (en) Grapple bucket device
CA2683749C (en) Ripper excavation tool
JP2012132218A (ja) 地中障害物の撤去方法とこれに用いる地中障害物の撤去用吊上げ装置
US9015968B2 (en) Thumb for an excavator machine with structure support
US20150275460A1 (en) Vibratory apparatus for forcing members into and out of a material
US20150013197A1 (en) Wear collar for tool retention system
KR20080096149A (ko) 포크레인용 회전버켓
KR102433574B1 (ko) 굴삭기 집게의 회전 구조
WO2019236675A1 (en) Pin and retainer locking system
KR101638849B1 (ko)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 버켓장치
KR101870173B1 (ko)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KR200469569Y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US20090290966A1 (en) Thumb Accessory for Extendable Dipper Stick
KR100789707B1 (ko) 포크레인용 회전버켓
KR102118498B1 (ko) 회전 운동 브레이크 장치
KR102188520B1 (ko) 각도 조절형 굴삭기용 집게
CN214497665U (zh) 一种挖掘机液压拇指夹
KR20120072741A (ko) 피로 균열 발생을 억제하는 암 센터 보스
JP7004981B2 (ja) アースドリル用バケット装置
KR100956998B1 (ko) 건설기계용 버켓 고정 구조
AU2021242898A1 (en) Tunnel excavation device
US11976436B2 (en) Excavator thumb with structural support
US20240068198A1 (en) Hitch assembly for bucket
KR102444209B1 (ko) 굴삭기 집게 조립체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