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4673B1 - 이송용 집게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용 집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4673B1
KR102444673B1 KR1020220054445A KR20220054445A KR102444673B1 KR 102444673 B1 KR102444673 B1 KR 102444673B1 KR 1020220054445 A KR1020220054445 A KR 1020220054445A KR 20220054445 A KR20220054445 A KR 20220054445A KR 102444673 B1 KR102444673 B1 KR 10244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auxiliary
main
rotatably coupled
g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이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훈 filed Critical 이태훈
Priority to KR102022005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02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 E02F3/404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the loading thereof, e.g. conveyors comprising two parts movable relative to each other, e.g. for g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중장비의 붐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 및 상기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를 회동시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송용 집게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송용 집게 장치{GRAPP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용 집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작업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들은 인력으로 진행할 경우 작업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회전집게와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다.
회전집게는 굴삭기의 붐과 커플링에 굴삭용 버켓 대신 장착되며, 한 쌍의 집게를 포함하여 집게를 통해 작업대상물을 파지하고 운반한다.
종래 조경작업이나 석축작업 및 철거작업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집게장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277112호와, 특허출원 제10-2003-0083396호, 제10-2004-0069271호 등이 있다.
개시된 회전집게는 통상적으로 굴삭기의 붐과 커플링에 장착되는 링크브라켓이 구비되고, 그 하측부에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쌍의 집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집게의 회전을 통해 작업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집게의 회전 구동은 각각의 집게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중장비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작동하는 이송용 집게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집게 장치는 중장비의 붐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 및 상기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를 회동시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집게부는,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메인 집게; 및 제1 고정 핀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집게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보조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게부는,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메인 집게; 및 제2 고정 핀을 통해 상기 제2 메인 집게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 바디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작업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상기 실린더 바디로 인입되는 경우,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를 당겨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작업 대상물을 놓을 수 있도록 작동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고,
직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에 각각 설치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의 내측,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의 외측, 상기 제1 메인 집게 및 상기 제2 메인 집게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플레이트;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접속구; 및 상기 접속구에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의 수조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접속구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주입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세척액이 분사되어 상기 작업 대상물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동로드에 의해 작업대상물의 하부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어 운반 과정 중 작업 대상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작업대상물을 파지 및 운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집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파지부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파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집게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집게 장치(100)는 고정부(110), 굴삭기의 붐에 고정되는 고정부(110), 제1 집게부(120), 제2 집게부(130), 구동부(140) 및 파지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중장비의 붐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110)는 굴삭기, 크레인 등의 각종 중장비의 붐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는 고정부(110)에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아 작업 대상물을 운반할 수 있다.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는 고정부(110)에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집게부(120)는 제1 메인 집게(121), 제1 보조 집게(122) 및 제1 고정 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집게(121)는 상단이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보조 집게(122)는 제1 고정 핀(123)을 통해 제1 메인 집게(12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집게부(130)는 제2 메인 집게(131), 제2 보조 집게(132) 및 제2 고정 핀(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인 집게(131)는 상단이 고정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보조 집게(132)는 제2 고정 핀(133)을 통해 제2 메인 집게(13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를 회전시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도록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유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140)는 고정부(110)에 지지되는 실린더 바디와 실린더바디로부터 인출 및 인입 가능하도록 설치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š, 실린더 로드가 인출되면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게 되고, 실린더 로드가 인입되면 제1 보조 집게(122) 및 제2 보조 집게(132)를 당겨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파지한 작업 대상물을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지부(150)는 작업 대상물을 집기 위한 것으로,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15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의 상호 마주하는 방향인 내측에 설치되거나,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파지부(15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보조 집게(122) 및 제2 보조 집게(132) 부분에만 설치되거나, 제1 보조 집게(122) 및 제1 메인 집게(121), 제2 보조 집게(132) 및 제2 메인 집게(131)에 걸쳐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파지부(150)가 제2 집게부(130)의 내측에만 설치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술한 것처럼 파지부(150)는 제1 집게부(120) 및 제2 집게부(13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지부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직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보조 집게(132)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직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보조 집게(132) 및 제2 메인 집게(131) 부분에 걸쳐 전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파지부(150)보다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제2 보조 집게(132) 및 제2 메인 집게(131)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에 의해 들뜨는 공간을 방지하면서 제2 집게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진 철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복수 개 마련되어 제2 집게부(130)에 전체적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집게부(13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굴곡진 철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복수 개 마련되어 제2 집게부(130)에 전체적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복수 개 마련되어 제2 집게부(130)에 전체적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철판 형태로 형성되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파지부(150)는 제2 집게부(130)에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가로 방향의 길이가 조절됨으로써 제2 집게부(130)의 내측면에 밀착 설치될 것이다.
이와 같이 파지부(150)는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의 내측,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의 외측, 상기 제1 메인 집게 및 상기 제2 메인 집게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작업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파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150)는 진동 플레이트(151), 접속구(152) 및 주입 호스(15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151)는 파지부(15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접속구(152)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진동 플레이트(151)의 일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주입 호스(153)는 접속구(152)에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의 수조 탱크와 연결되어 접속구(152)로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지부(150)는 접속구(152)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액이 진동 플레이트(151)를 따라 흘러내려 작업 대상물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설치부(160)는 고정부(110)를 중장비의 붐에 설치할 수 있다.
설치부(160)는 설치 플레이트(161), 설치 바아(163) 및 탄성 스프링(162)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 플레이트(161)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통해 중장비의 붐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 바아(163)는 설치 플레이트(161)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 스프링(162)은 양단이 각각 설치 플레이트(161) 및 고정부(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부(110)로 가해지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부(160)는 고정부(110)로 가해지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여 안정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이송용 집게 장치
110: 고정부
120: 제1 집게부
130: 제2 집게부
140: 구동부
150: 파지부

Claims (3)

  1. 중장비의 붐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1 집게부 및 제2 집게부;
    상기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를 회동시켜 작업 대상물을 파지하거나 놓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1 집게부 및 상기 제2 집게부에 각각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집게부는,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메인 집게; 및
    제1 고정 핀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집게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보조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게부는,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메인 집게; 및
    제2 고정 핀을 통해 상기 제2 메인 집게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조 집게;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의 내측, 상기 제1 보조 집게 및 상기 제2 보조 집게의 외측, 상기 제1 메인 집게 및 상기 제2 메인 집게의 내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파지부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플레이트;
    복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 플레이트의 일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접속구; 및
    상기 접속구에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의 수조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접속구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주입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접속구로부터 상기 진동 플레이트로 세척액이 분사되어 상기 작업 대상물에 의해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이송용 집게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054445A 2022-05-02 2022-05-02 이송용 집게 장치 KR10244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45A KR102444673B1 (ko) 2022-05-02 2022-05-02 이송용 집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445A KR102444673B1 (ko) 2022-05-02 2022-05-02 이송용 집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673B1 true KR102444673B1 (ko) 2022-09-16

Family

ID=834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445A KR102444673B1 (ko) 2022-05-02 2022-05-02 이송용 집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67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140A (ja) * 1997-02-21 1998-09-08 Tagawa Kogyo Kk 構築物破砕機の噴射散水装置
KR100803689B1 (ko) * 2007-07-09 2008-02-20 김명구 진동 기능을 갖는 집게장치
KR20110021425A (ko) * 2009-08-26 2011-03-04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스톤그랩
KR20110031041A (ko) * 2009-09-18 2011-03-24 김산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150142192A (ko) * 2014-06-11 2015-12-22 (유) 주현 굴삭기용 스톤그립
KR102080262B1 (ko) * 2019-12-12 2020-02-21 (유) 태영건설산업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KR20210152138A (ko) *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8140A (ja) * 1997-02-21 1998-09-08 Tagawa Kogyo Kk 構築物破砕機の噴射散水装置
KR100803689B1 (ko) * 2007-07-09 2008-02-20 김명구 진동 기능을 갖는 집게장치
KR20110021425A (ko) * 2009-08-26 2011-03-04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스톤그랩
KR20110031041A (ko) * 2009-09-18 2011-03-24 김산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150142192A (ko) * 2014-06-11 2015-12-22 (유) 주현 굴삭기용 스톤그립
KR102080262B1 (ko) * 2019-12-12 2020-02-21 (유) 태영건설산업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KR20210152138A (ko) * 2020-06-08 2021-12-15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265A (en) Grapple assembly
US4475604A (en) Mobile machine for subterranean installation of piping and the like
KR200451302Y1 (ko) 굴삭기용 집게발 고정장치
CN107965043B (zh) 下水道疏通清洗车
US5918923A (en) Pipe laying attachment for hydraulic equipment
KR102444673B1 (ko) 이송용 집게 장치
KR102025327B1 (ko) 붐 길이 조절되는 파이프 레이어
US5141387A (en) Apparatus for handling drums
JPH0610371A (ja) 掘削機のブームシステム
US20170370071A1 (en) Strongarm device for use with a hydro excavation hose
KR100789707B1 (ko) 포크레인용 회전버켓
KR101353244B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101442165B1 (ko) 클램프장착형 굴삭기용 집게장치
KR200476754Y1 (ko) 굴삭기용 착탈식 집게장치
KR20110021425A (ko) 스톤그랩
JP5367645B2 (ja) 作業機
JPH05280666A (ja) パイプ処理装置
JP2002194774A (ja)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脱着方法及びその装置
US4392774A (en) Clam bucket attachment
KR20090061357A (ko) 이중 블레이드 포크레인
JP3784105B2 (ja) 開閉式作業具
JP2013057336A (ja) 建設機械のシリンダ装置
CN220467285U (zh) 一种适用于钢筋混凝土钢承口管的便捷型吊具
KR20120136598A (ko) 굴삭기용 스톤 그립
KR200337286Y1 (ko) 수직갱도 굴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