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138A -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 Google Patents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138A
KR20210152138A KR1020200068803A KR20200068803A KR20210152138A KR 20210152138 A KR20210152138 A KR 20210152138A KR 1020200068803 A KR1020200068803 A KR 1020200068803A KR 20200068803 A KR20200068803 A KR 20200068803A KR 20210152138 A KR20210152138 A KR 20210152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tamper
grip part
shaft
heavy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철
안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안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안문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떠블유아이
Priority to KR1020200068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2138A/ko
Publication of KR20210152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12Packing sleepers,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Compacting track-carrying ballast
    • E01B27/13Packing sleepers,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06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 E01B27/10Renewing or cleaning the ballast in situ,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without taking-up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7/00Placing, renewing, working, cleaning, or taking-up the ballast,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Devices therefor; Packing sleepers
    • E01B27/12Packing sleepers, with or without concurrent work on the track; Compacting track-carrying ballast
    • E01B27/20Compacting the material of the track-carrying ballastway, e.g. by vibrating the track, by surface vib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04Cleaning or reconditioning ballast or ground beneat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2Tamp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3/00Devices for working the railway-superstructure
    • E01B2203/14Way of locomotion or support
    • E01B2203/141Way of locomotion or support on the track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갈궤도의 탬핑을 위한 탬퍼에 집게형태의 그립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를 이용하여 침목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그립부에 진동을 주어 자갈궤도의 탬핑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다른 장비와 연결을 위한 커플러(10)와; 커플러(10)에 구성되며 회전 모터(21)가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20)와; 회전 조인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부(30)와; 상단부가 몸체부(30)의 하부에 각각 축(41)으로 고정되어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집게 형태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그립부(40)와; 양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30)와 그립부(40)에 축(51)으로 고정되어 그립부(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50)와; 몸체부(30)에 구성되며 진동 모터(61)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는 진동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Tamper}
본 발명은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갈궤도의 탬핑을 위한 탬퍼에 집게형태의 그립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를 이용하여 침목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그립부에 진동을 주어 자갈궤도의 탬핑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자갈궤도구간에서는 반복적인 열차하중의 작용으로 인하여 점진적인 궤도침하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궤도침하는 열차 통과 시 충격을 가중시키게 되며, 승차감을 불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열차 안전운행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발생된 선형틀림을 보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형틀림의 연장, 가용자원, 유지보수 시간 등을 고려하여 대형장비작업(MTT등) 또는 인력 탬핑 작업을 시행하게 된다.
그러나 인력을 이용한 탬핑의 경우에는 작업 능률이 오르지 않아 많은 작업인원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얻을 수 없고, 대형장비를 이용한 작업의 경우에는 레일이 구성된 구간에만 레일을 따라 가면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탬핑작업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침목 등을 집어 올리거나 이동하는 위치를 침목을 놓을 자리에 갖다 놓는 작업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04442호 "철로 주행이 가능한 멀티 타이탬퍼"(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한 쌍의 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주행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주행부, 상기 한 쌍의 레일에 안착된 주행부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동력연결소켓, 상기 연결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동력전달소켓끼리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연결프레임의 중앙부분에 안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수단, 상기 동력연결소켓의 각각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동력연결소켓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미리 설정된 거리까지 유연하게 휘어져 전달하는 플렉시블 연결라인, 및 상기 플렉시블 연결라인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연결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다짐을 수행하는 탬핑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탬핑기구는 상기 플렉시블 연결라인에 의해 진동을 발생하는 편심추, 및 상기 편심추에 의해 발생된 진동으로 다짐을 수행하는 타이바를 포함하며, 상기 탬핑기구는 상기 편심추의 회전축이 일부 삽입되며 상기 플렉시블 연결라인에 결합되어 상기 플렉시블 연결라인과 함께 회전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에 키홈이 형성되는 클러치부재, 상기 클러치부재에 삽입된 상기 편심추의 회전축에서 출몰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탬핑기구의 외력에 의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회전축에서 돌출되어 상기 키홈에 걸쳐지는 형태로 상기 클러치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동력단속키, 및 상기 클러치부재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동력단속키가 상기 키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도록 상기 동력단속키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키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로 주행이 가능한 멀티 타이탬퍼'를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레일이 구성된 구간에만 레일을 따라 가면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탬핑작업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침목 등을 집어 원하는 위치에 놓는 작업 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8849호는 '굴삭기나 철도작업 차량의 암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일측에 구비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철도 침목을 파지하는 집게와;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굴삭작업을 하는 버켓과;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버켓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집게와 버켓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집게는 상기 프레임의 저면 중앙에 36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와; 회전대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에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암과; 상기 지지벽에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좌측암과 함께 철도침목을 파지하는 우측암과; 일단이 상기 좌측암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우측암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좌측암과 우측암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유압실린더와; 양쪽 끝부분이 상기 좌측암과 우측암의 양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한쪽 끝부분은 어느 한 회동핀의 위쪽에 위치되고 다른 쪽 끝부분은 다른 회동핀의 아래쪽에 위치되며, 그 형태가 일정한 곡률로라운드지게 형성된 곡선링크로 구성되고, 상기 버켓에는 굴삭 작업시 철로가 삽입되는 철로삽입홈이 형성된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버켓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철도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 버켓장치는 집게와 버켓이 프레임에 일체화되어 있어 버켓과 집게를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과 교체에 수반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신속하게 침목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안전성도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침목을 이동하고 철도레일 도상에 자갈을 위치하는 것은 편리하지만 자갈을 다지는 템핑작업은 별도의 탬핑기계를 사용하여 철도레일에 깔려 있는 자갈을 다져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04442호 '철로 주행이 가능한 멀티 타이탬퍼'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38849호는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버켓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에태치먼트를 자갈궤도의 탬핑을 위한 탬퍼에 집게형태의 그립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를 이용하여 침목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그립부에 진동을 주어 침목 밑으로 자갈을 모으면서 자갈궤도의 탬핑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에태치먼트에 있어서 다른 장비와 연결을 위한 커플러(10)와; 커플러(10)에 구성되며 회전 모터(21)가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20)와; 회전 조인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부(30)와; 상단부가 몸체부(30)의 하부에 각각 축(41)으로 고정되어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집게 형태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그립부(40)와; 양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30)와 그립부(40)에 축(51)으로 고정되어 그립부(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50)와; 몸체부(30)에 구성되며 진동 모터(61)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는 진동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몸체부(30)의 하부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6)가 구성되고, 그립부(40)의 축(41)의 양단부는 고정 플레이트(3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진동기(60)는 고정 플레이트(36)에서 축(41)의 하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그립부(40)의 하단부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파지용 돌기(46)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커플러(10)와 회전 조인트(20)의 연결부에는 별도의 진동흡수장치(2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는 자갈궤도의 탬핑을 위한 탬퍼에 집게형태의 그립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를 이용하여 침목 등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그립부에 진동을 주어 침목 밑으로 자갈을 모으면서 자갈궤도의 탬핑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그립부가 침목을 잡은 것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부로 템핑작업하는 것을 보인 작동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그립부가 침목을 잡은 것을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그립부로 템핑작업하는 것을 보인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어태치먼트인 멀티 탬퍼(1)는 진동기(60)에 의한 진동을 이용하여 자갈궤도에서 탬핑작업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부에 집게처럼 작동하는 한 쌍의 그립부(40)가 구성되어 철도에서 침목(70) 등을 파지하여 이동하거나 시공 및 시공오차 보정 등을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 기능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멀티 탬퍼(1)는 다른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커플러(10)와; 커플러(10)에 구성되며 회전 모터(21)가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20)와; 회전 조인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부(30)와; 상단부가 몸체부(30)의 하부에 각각 축(41)으로 고정되어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집게 형태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그립부(40)와; 양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30)와 그립부(40)에 축(51)으로 고정되어 그립부(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50)와; 몸체부(30)에 구성되며 진동 모터(61)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는 진동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플러(10)는 다른 장비와의 연결을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차나 작업자 등이 작업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플러(10)의 하부에는 회전 조인트(20)가 구성되어 하부에 구성되는 몸체부(30) 및 그립부(4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회전 조인트(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회전 모터(21)가 별도로 구성되고, 이 회전 모터(21)에 의하여 회전 조인트(20)의 하부에 구성되는 몸체부(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커플러(10)와 회전 조인트(20)의 연결부에는 공지의 다양한 진동흡수장치(26)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로 침목을 잡아 이동과정이나 탬핑작업을 시행하기 위한 진동기(6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작업자나 다른 장비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회전 조인트(20)의 하부에 연결되며, 몸체부(30) 자체가 회전 모터(21)에 의해 회전되게 되며, 이에 따라 몸체부(30)에 구성되는 그립부(4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그립부(40)를 회전하게 함으로써, 침목(70) 등의 파지나 이동 및 설치 등이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철도레일의 자갈궤도에서 자갈(b)의 내부로 그립부(40)를 삽입하고 진동기(6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그립부(40)로 전달하여 자갈(b)의 탬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진동기(60)의 진동이 그립부(40)로 전달되어 그립부의 단부는 수평운동하게 되는데 상기 그립부 단부의 수평운동과 진동으로 철도레일도상에 놓여 있던 자갈(b)의 탬핑작업을 함과 동시에, 본 발명에서는 그립부(40)를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자갈(b)이 밀집되고 크기가 다른 자갈(b)이 고르게 섞여 철도레일의 자갈궤도에 있던 자갈(b)과 자갈(b)사이가 빽빽하게 되면서 자갈(b)의 내부에 공간을 없애주도록 할 수 있어 반복되는 열차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립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마주보고 작동하여 집게 형태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부가 몸체부(30)의 하부에 각각 축(41)으로 고정되어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집게 형태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그립부(40)의 작동은 별도의 실린더(50)를 구성하여 실린더(50)를 작동함으로써 한 쌍의 그립부(4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립부(40)의 작동을 위한 실린더(50)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그립부(40)에 구성되어 각각 그립부(40)를 작동시키도록 하며, 양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30)와 그립부(40)에 축(51)으로 고정되어 한 쌍의 그립부(40)의 하단부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립부(40)는 축(4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데,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몸체부(30)의 하부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6)가 구성되도록 하고, 그립부(40)의 축(41)의 양단부는 고정 플레이트(36)에 고정되도록 하여, 그립부(40)의 상단부가 축(41)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그립부(40)의 하단부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파지용 돌기(46)가 돌출되어 구성되어, 침목(70) 등의 파지시에 침목(70)의 이탈이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그립부(40)로 침목(70)의 이동이나 시공 및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부가적으로 그립부(40)를 이용하여 철도레일의 자갈궤도에서의 자갈(b)을 고루 섞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침목을 사이에 두고 멀티탬퍼의 그립부의 단부를 자갈(b)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진동기(60)를 작동시키면 진동기(60)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그립부(40)로 전달하여 철도레일도상에 깔려 있던 자갈(b)이 그립부의 진동으로 인해 자갈(b)들이 침목(70)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작은 자갈(b)은 큰 자갈(b)사이로 들어가 자갈(b)이 빽빽하게 되어 침목(70)하부에도 자갈(b)의 탬핑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탬핑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진동기(60)는 고정 플레이트(36)에서 축(41)의 하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이 용이하게 그립부(4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는 자갈궤도의 탬핑을 위한 탬퍼에 집게형태의 그립부가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그립부를 이용하여 자갈(b)을 골고루 섞을 수 있는 동시에 침목(70)을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으면서도 그립부에 진동을 주어 자갈궤도의 탬핑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멀티 탬퍼 10 : 커플러
20 : 회전 조인트 21 : 회전 모터
30 : 몸체부 40 : 그립부
41 : 축 50 : 실린더
51 : 축 60 : 진동기
61 : 진동 모터 70 : 침목

Claims (5)

  1.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에태치먼트에 있어서
    다른 장비와 연결을 위한 커플러(10)와;
    커플러(10)에 구성되며 회전 모터(21)가 구성되는 회전 조인트(20)와;
    회전 조인트(20)의 하부에 연결되는 몸체부(30)와;
    상단부가 몸체부(30)의 하부에 각각 축(41)으로 고정되어 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집게 형태로 파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그립부(40)와;
    양측 단부가 각각 몸체부(30)와 그립부(40)에 축(51)으로 고정되어 그립부(4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실린더(50)와;
    몸체부(30)에 구성되며 진동 모터(61)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는 진동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부(30)의 하부에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36)가 구성되고,
    그립부(40)의 축(41)의 양단부는 고정 플레이트(3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진동기(60)는 고정 플레이트(36)에서 축(41)의 하부에 구성되어 진동을 그립부(40)에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그립부(40)의 하단부의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파지용 돌기(46)가 돌출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플러(10)와 회전 조인트(20)의 연결부에는 별도의 진동흡수장치(2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KR1020200068803A 2020-06-08 2020-06-08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KR202101521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03A KR20210152138A (ko) 2020-06-08 2020-06-08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03A KR20210152138A (ko) 2020-06-08 2020-06-08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38A true KR20210152138A (ko) 2021-12-15

Family

ID=7886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803A KR20210152138A (ko) 2020-06-08 2020-06-08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21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673B1 (ko) * 2022-05-02 2022-09-16 이태훈 이송용 집게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49B1 (ko) 2015-08-31 2016-07-12 주식회사 우진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 버켓장치
KR102004442B1 (ko) 2018-12-28 2019-07-26 프라임씰(주) 철로 주행이 가능한 멀티 타이탬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849B1 (ko) 2015-08-31 2016-07-12 주식회사 우진 철도 침목 교체를 위한 일체형 집게 및 각도 조절 버켓장치
KR102004442B1 (ko) 2018-12-28 2019-07-26 프라임씰(주) 철로 주행이 가능한 멀티 타이탬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4673B1 (ko) * 2022-05-02 2022-09-16 이태훈 이송용 집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95267B1 (pl) Zespol narzedziowy maszyny jezdnej do podbijania torow
KR20210152138A (ko) 중장비에 조립사용하는 그립부가 구비된 멀티 탬퍼
MX9206047A (es) Equipo bateador para maquinas bateadoras de vias
CA1088375A (en) High speed production tamper compactor
US3465688A (en) Railway track ballast tamping machine
CN210657820U (zh) 一种岔区镐窝回填小车
EA039948B1 (ru) Шпалоподбивочный агрегат для подбивки шпал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CN110291251B (zh) 用于捣固轨道的轨枕的捣固机组
CS222670B2 (en) Packing machine for packing the rail sleepers
CN105803877A (zh) 高铁路基沉降治理工程中底座板抬升装置
CN1214391A (zh) 捣固机组
PL161363B1 (pl) Maszyna jezdna z ukladem plugów do ciaglego podbijania podkladów toru PL
US3901159A (en) Tamping tool head
US4062292A (en) Utility tamper workhead
JPH0135962B2 (ko)
JP7186968B2 (ja) バックホウ用タイタンパー
KR102004442B1 (ko) 철로 주행이 가능한 멀티 타이탬퍼
CN208104984U (zh) 一种混凝土滑模筑路机
US1351106A (en) Tamping-machine
CN219951572U (zh) 液压捣固装置
EP0298049B1 (en) Ridging device for earthing up the ballast of a railway by vibro-compression
JPH055003B2 (ko)
KR102517553B1 (ko) 노후 자갈도상 급속 제거를 위한 굴삭기 전용 장비
JPS6347401A (ja) 作業機械
JP2023034526A (ja) 軌道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