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714B1 - 중장비용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714B1
KR101446714B1 KR1020140104503A KR20140104503A KR101446714B1 KR 101446714 B1 KR101446714 B1 KR 101446714B1 KR 1020140104503 A KR1020140104503 A KR 1020140104503A KR 20140104503 A KR20140104503 A KR 20140104503A KR 101446714 B1 KR101446714 B1 KR 101446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oupler
hook
pin
arc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filed Critical 정진호
Priority to KR102014010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를 통한 작업시 상기 퀵 커플러의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판스프링 타측에 탄설되는 유동축이 계속해서 이동 후크를 밀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판스프링 일측의 고정축이 호형 록킹편 및 그 단부의 호형 연결구를 밀어주어 퀵 커플러의 고정 후크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의 전면핀을 감싸서 록킹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 몸체로부터 이탈되어 인명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퀵 커플러로부터 작업 장치의 탈거 또는 교체시 상기 이동 후크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퀵 커플러로부터 안전하게 탈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한 중장비용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커플러 몸체(110)의 고정 후크(160)와 이동 후크(170) 사이에는 판스프링(210)이 체결핀(211)을 통해 탄설되며,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 및 타측에는 고정축(220)과 유동축(230)이 각각 연설되고,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220)은 제2 핀(P2)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220)의 단부는 고정 후크(160) 상측에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240)의 제3 핀(P3)과 접촉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240)을 판스프링(210)의 탄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호형 록킹편(240)은 상기 고정 후크(180) 일측의 회전핀(241)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하며, 상기 호형 록킹편(24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 후크(180)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을 감싸서 록킹토록 호형 연결구(242)가 연설토록 되고, 상기 판스프링(210)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토록 설치되는 유동축(230)의 단부는 이동 후크(170)를 밀어 고정토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이동 후크(17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 후크(170)의 개방시 상기 유동축(230)이 걸려 고정토록 걸림턱(171)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후방 단부는 상기 호형 록킹편(240)과 회전핀(250)을 개재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240)이 좌우 회전토록 연설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퀵 커플러{Quick coupler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로는 중장비를 통한 작업시 상기 퀵 커플러의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판스프링 타측에 탄설되는 유동축이 계속해서 이동 후크를 밀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판스프링 일측의 고정축이 호형 록킹편 및 그 단부의 호형 연결구를 밀어주어 퀵 커플러의 고정 후크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의 전면핀을 감싸서 록킹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 몸체로부터 이탈되어 인명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퀵 커플러로부터 작업 장치의 탈거 또는 교체시 상기 이동 후크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퀵 커플러로부터 안전하게 탈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한 중장비용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굴삭기등과 같은 중장비는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건설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삭작업과,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작업, 그랩(Grab)을 이용한 고철 및 암석 운반작업, 클람셀 버킷(Clamshell bucket)을 이용한 수직갱 및 상하수도 건축 기초공사 작업등을 수행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중장비인 굴삭기는, 이동 역할을 하는 주행체와 주행체에 탑재되어 360도 회전하는 상부 선회체 및 작업 장치로 구성되어, 작업의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작업 장치를 교체하면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이때 작업의 용도에 알맞도록 커플러를 굴삭기의 아암이나 붐에 장착하고, 상기 커플러를 이용하여 작업 장치를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퀵 커플러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굴삭기용 퀵 커플러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1410167호에 알려져 있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작업 장치를 연결하는 퀵 커플러(10)는 커플러 몸체(11)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형성된 핀홀(12)을 이용하여 굴삭기의 아암(13)과 푸시 링크(14)에 각각 핀(15)으로 체결되어 결합 되도록 하며, 상기 커플러 몸체(11)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커플러 몸체(11)와 일체로 연설되는 고정후크(16)와, 상기 커플러 몸체(11)의 타측에 핀(P)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이동형의 유동후크(17)가 각각 설치되고, 이때 상기 고정후크(16)와 유동후크(17)에는 작업 장치(18)의 전면핀(19)과 후면핀(20)이 각각 계지되는 형태로 결합 됨으로서, 상기 작업 장치(18)가 상기 퀵 커플러(10)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플러 몸체(11)의 하부 타측에 핀(P)을 개재하여 설치되는 이동형의 유동후크(17)에는 유압 실린더(21)의 피스톤로드(22)가 핀(23)을 개재하여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굴삭기에 설치되는 퀵 커플러(10)의 고정후크(16)에 작업 장치(18)의 전면핀(19)을 계지한 후, 유압 실린더(21)의 작동에 의해 유동후크(17)가 좌우로 회전하여 작업 장치(18)의 후면핀(20)을 걸어주는 동작에 의해, 상기 퀵 커플러(10)에는 작업 장치(18)가 쉽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굴삭기의 퀵 커플러(10)에서 작업 장치(18)를 탈거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동시키면, 상기 퀵 커플러(10)로부터 작업 장치(18)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굴삭기용 퀵 커플러의 경우에는, 작업 장치(18)의 작동에 따른 충격에 의해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21)의 고장등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퀵 커플러(10)의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21)의 고장 등에 의해 작업 장치(18)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 체크 밸브(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유동후크(17)가 이완되어 버킷등과 같은 작업 장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버킷 풀림 방지 볼트가 체결되어 있으나, 이와같은 안전장치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하더라도 상기 안전장치들이 느슨하게 결착되어 작업 장치(18)가 전면핀(19)과 후면핀(20)으로부터 이탈되어 인명사고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410167호(공개일 : 2014년 06월 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장비를 통한 작업시 상기 퀵 커플러의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판스프링 타측에 탄설되는 유동축이 계속해서 이동 후크를 밀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판스프링 일측의 고정축이 호형 록킹편 및 그 단부의 호형 연결구를 밀어주어 퀵 커플러의 고정 후크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의 전면핀을 감싸서 록킹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 몸체로부터 이탈되어 인명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퀵 커플러로부터 작업 장치의 탈거 또는 교체시 상기 이동 후크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퀵 커플러로부터 안전하게 탈거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굴삭기 등과 같은 작업 장치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로 구성되는 퀵 커플러는 커플러 몸체의 상부 몸체 앞쪽 및 뒤쪽에 각각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핀홀에는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 링크에 각각 체결핀으로 체결되어 결합토록 되고, 상기 커플러 몸체의 하부 몸체 일측에는 상기 커플러 몸체와 일체로 연설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하부 몸체의 타측에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어 핀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이동 후크가 각각 설치되며, 이때 상기 고정 후크와 이동 후크에는 버킷등과 같은 작업 장치의 전면핀과 후면핀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퀵 커플러에 설치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와 이동 후크 사이에 체결핀을 통해 탄설되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연설되 고정축과 유동축;
상기 판스프링 일측 고정축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후크 일측의 회전핀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및 고정 후크를 록킹토록 상기 고정 후크 상측으로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토록 설치되는 유동축의 단부는 상기 이동 후크를 밀어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후방 단부는 상기 호형 록킹편과 회전핀을 개재하여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호형 록킹편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 후크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의 전면핀을 감싸서 록킹토록 호형 연결구가 연설토록 되며, 이때 상기 호형 록킹편의 단부에 연설되는 호형 연결구는, 상기 호형 록킹편과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작업 장치의 전면핀 외면을 감싸서 록킹 및 고정 후크를 개방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동 후크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 후크의 개방시 상기 유동축이 걸려 고정토록 걸림턱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은 제2 핀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의 단부는 고정 후크 상측에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의 제3 핀과 접촉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을 판스프링의 탄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판스프링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의 상측인 하부몸체에는 상기 고정축의 지나친 상부 이동을 방지토록 제1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하는 유동축의 상부 및 하부인 하부 몸체에는 상기 유동축의 지나친 좌우 회전을 방지토록 제2 스토퍼 및 제3 스토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중장비용 퀵 커플러에 의하면, 중장비를 통한 작업시 상기 퀵 커플러의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판스프링 타측에 탄설되는 유동축이 계속해서 이동 후크를 밀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판스프링 일측의 고정축이 호형 록킹편 및 그 단부의 호형 연결구를 밀어주어 퀵 커플러의 고정 후크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의 전면핀을 감싸서 록킹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작업 장치가 퀵 커플러 몸체로부터 이탈되어 인명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퀵 커플러로부터 작업 장치의 탈거 또는 교체시 상기 이동 후크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 장치를 퀵 커플러로부터 안전하게 탈거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굴삭기 등과 같은 작업 장치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굴삭기용 퀵 커플러의 측면 구조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퀵 커플러의 요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퀵 커플러와 작업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작업 장치와 결합되는 퀵 커플러의 개방상태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작업 장치와 결합되는 퀵 커플러의 결합상태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퀵 커플러의 개방상태 측면 요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퀵 커플러의 결합상태 측면 요부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인 중장비용 퀵 커플러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용 퀵 커플러와 작업 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작업 장치와 결합되는 퀵 커플러의 개방상태 절결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작업 장치와 결합되는 퀵 커플러의 결합상태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퀵 커플러의 개방상태 측면 요부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인 퀵 커플러의 결합상태 측면 요부 구조도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인 중장비용 퀵 커플러(100)의 커플러 몸체(110)는, 상부 몸체(110a) 및 하부 몸체(110b)로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 몸체(110)의 상부 몸체(110a) 앞쪽 및 뒤쪽에 각각 핀홀(120)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핀홀(120)에는 굴삭기등과 같은 중장비의 아암(130)과 푸시 링크(140)에 각각 체결핀(150)으로 체결되어 결합토록 되고, 상기 커플러 몸체(110)의 하부 몸체(110b) 일측에는 상기 커플러 몸체(110)와 일체로 연설되는 고정후크(160)와, 상기 하부 몸체(110b)의 타측에는 유압 실린더(200)의 피스톤 로드(201)가 연결되어 제1 핀(P1)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이동 후크(170)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몸체(110b) 양측의 고정 후크(160)와 이동 후크(170)에는 버킷등과 같은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과 후면핀(190b)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업 장치(180)가 상기 퀵 커플러(100)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 후크(160)와 이동 후크(170) 사이에는 판스프링(210)이 체결핀(211)을 통해 탄설되며,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 및 타측에는 고정축(220)과 유동축(230)이 각각 연설된다.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220)은 제2 핀(P2)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220)의 단부는 고정 후크(160) 상측에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240)의 제3 핀(P3)과 접촉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240)을 판스프링(210)의 탄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호형 록킹편(240)은 상기 고정 후크(180) 일측의 회전핀(241)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하며, 상기 호형 록킹편(240)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 후크(180)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을 감싸서 록킹토록 호형 연결구(242)가 연설토록 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10)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토록 설치되는 유동축(230)의 단부는 이동 후크(170)를 밀어 고정토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이동 후크(17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 후크(170)의 개방시 상기 유동축(230)이 걸려 고정토록 걸림턱(171)이 일체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후방 단부는 상기 호형 록킹편(240)과 회전핀(250)을 개재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240)이 좌우 회전토록 연설되며,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220)의 상측인 하부몸체(110b) 상측에는 상기 고정축(220)의 지나친 상부 이동을 방지토록 제1 스토퍼(S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10)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하는 유동축(230)의 상부 및 하부 인 하부 몸체(110b)에는 상기 유동축(230)의 지나친 좌우 회전을 방지토록 제2 스토퍼(S2) 및 제3 스토퍼(S3)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굴삭기등과 같은 중장비의 버킷(Bucket)등의 작업 장치(180)를 상부 몸체(110a) 및 하부 몸체(110b)로 구성되는 퀵 커플러(100)에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 또는 탈거할 경우, 상기 굴삭기등과 같은 중장비에 설치되는 퀵 커플러(100)의 상부 몸체(110a) 앞쪽 및 뒤쪽에 각각 형성되는 핀홀(120)에 굴삭기의 아암(130)과 푸시 링크(140)가 각각 체결핀(150)으로 체결되어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커플러 몸체(110)의 하부 몸체(110b) 일측에 일체로 연설되는 고정후크(160)에는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을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커플러 몸체(110)의 하부 몸체(110b) 타측에 제1 핀(P1)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이동 후크(170)에는 작업 장치(180)의 후면핀(190b)을 결합하여, 상기 작업 장치(180)가 퀵 커플러(100)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플러 몸체(110)에 설치되는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201)가 상기 이동 후크(170)를 밀어주는 동작으로 상기 이동 후크(170)는 회전하면서 작업 장치(180)의 후면핀(190b)을 걸어주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에따라 상기 퀵 커플러(100)에는 작업 장치(180)가 쉽게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퀵 커플러(100)에서 작업 장치(180)를 탈거할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반대로 작동시키면, 상기 퀵 커플러(100)로부터 작업 장치(180)를 손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플러 몸체(110)의 하부 몸체(110b)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 후크(160)와 이동 후크(170) 사이에는 판스프링(210)이 체결핀(211)을 통해 탄설되는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 및 타측에는 고정축(220)과 좌우 회전하는 유동축(230)이 각각 연설토록 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201)와 연결된 이동 후크(170)를 밀어 작업 장치(180)를 고정 시킬 경우, 상기 판스프링(210) 역시 팽창하여 이에 탄설된 유동축(230)이 판스프링(210)의 장력에 의해 상기 이동 후크(170)의 일측면을 강하게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중장비를 통한 작업중 상기 퀵 커플러(100)의 유압 배관의 파손 또는 유압 실린더(200)의 고장이 발생하게 되더라도, 상기 판스프링(210)의 타측에 탄설되는 유동축(230)은 계속해서 이동 후크(170)를 밀어 고정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180)가 퀵 커플러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210)의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220)은 제2 핀(P2)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축(220)의 단부는 고정 후크(160) 상측에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240)의 제3 핀(P3)과 접촉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240)을 판스프링(210)의 탄력으로 강하게 밀어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호형 록킹편(240)은 상기 고정 후크(180) 일측에 체결된 회전핀(241)을 통하여 좌우 회전토록 하는 상태에서, 상기 호형 록킹편(240)의 단부에는 호형 연결구(242)가 일체로 연설토록 된다.
이에따라, 상기 판스프링(210)의 장력으로 고정축(220)을 밀어줄 경우, 상기 고정축(220)의 단부가 호형 록킹편(240)을 밀어주게 되고, 이때 상기 호형 록킹편(240)은 고정 후크(180) 일측에 체결된 회전핀(241)을 통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호형 록킹편(240) 단부의 호형 연결구(242)가 상기 고정 후크(180)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을 감싸서 록킹 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후크(180)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이 호형 록킹편(240) 단부의 호형 연결구(242)에 록킹토록 되어, 작업 장치(180)가 퀵 커플러(100)로부터 이탈됨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호형 록킹편(240) 및 그 단부의 호형 연결구(242)는 판스프링(210)의 장력 및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 후크(180)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180)의 전면핀(190a)을 계속해서 감싸서 록킹 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작업 장치(180)가 퀵 커플러 몸체(110)로부터 이탈되어 인명사고 등과 같은 산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판스프링(210)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220)의 상측인 하부몸체(110b) 상측에는 제1 스토퍼(S1)가 설치되어, 상기 고정축(220)이 지나치게 상부로 유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판스프링(210)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하는 유동축(230)의 상부 및 하부 인 하부 몸체(110b)에는 제2 스토퍼(S2) 및 제3 스토퍼(S3)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유동축(230)의 지나친 좌우(상,하부)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이동 후크(170)의 일측면에는 걸림턱(171)이 일체로 돌출 설치토록 됨으로써, 상기 유압 실린더(200)의 작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의 후진(수축)동작시 상기 이동 후크(170)가 개방된 후, 상기 이동 후크(170)의 일측면에 돌출된 걸림턱(171)에 상기 유동축(230)의 일단부가 걸려 상기 이동 후크(170)를 고정시키게 되며, 따라서 상기 퀵 커플러(100)로부터 작업 장치(180)의 탈거 또는 교체시 상기 이동 후크(170)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작업 장치(180)를 퀵 커플러로부터 안전하게 탈거 또는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퀵 커플러 110...커플러 몸체
110a...상부 몸체 110b...하부 몸체
120...핀홀 130...아암
140...푸시 링크 150...체결핀
160...고정 후크 170...이동 후크
180...작업 장치 190a, 190b...전면핀 및 후면핀
200...유압 실린더 201...피스톤 로드
210...판스프링 211...체결핀
220...고정축 230...유동축
240...호형 록킹편 241...회전핀
242...호형 연결구 250...회전핀
P1, P2, P3...핀
S1, S2, S3...제1, 제2, 제3 스토퍼

Claims (7)

  1.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로 구성되는 퀵 커플러는 커플러 몸체의 상부 몸체 앞쪽 및 뒤쪽에 각각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핀홀에는 굴삭기의 아암과 푸시 링크에 각각 체결핀으로 체결되어 결합토록 되고, 상기 커플러 몸체의 하부 몸체 일측에는 상기 커플러 몸체와 일체로 연설되는 고정후크와, 상기 하부 몸체의 타측에는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어 핀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이동 후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 후크와 이동 후크에는 버킷등과 같은 작업 장치의 전면핀과 후면핀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업 장치가 상기 퀵 커플러에 설치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크와 이동 후크 사이에 체결핀을 통해 탄설되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연설되 고정축과 유동축;
    상기 판스프링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의 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고정 후크 일측의 회전핀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및 고정 후크를 록킹토록 상기 고정 후크 상측으로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토록 설치되는 유동축의 단부는 상기 이동 후크를 밀어 고정토록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의 후방 단부는 상기 호형 록킹편과 회전핀을 개재하여 연설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록킹편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 후크에 결합되는 작업 장치의 전면핀을 감싸서 록킹토록 호형 연결구가 연설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 록킹편의 단부에 연설되는 호형 연결구는, 상기 호형 록킹편과 일체로 회전하여 상기 작업 장치의 전면핀 외면을 감싸서 록킹 및 고정 후크를 개방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후크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동 후크의 개방시 상기 유동축이 걸려 고정토록 걸림턱이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은 제2 핀을 개재하여 좌우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의 단부는 고정 후크 상측에 설치되는 호형 록킹편의 제3 핀과 접촉하여 상기 호형 록킹편을 판스프링의 탄력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일측에 탄설되는 고정축의 상측인 하부몸체에는 상기 고정축의 지나친 상부 이동을 방지토록 제1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타측에 탄설되어 좌우 회전하는 유동축의 상부 및 하부인 하부 몸체에는 상기 유동축의 지나친 좌우 회전을 방지토록 제2 스토퍼 및 제3 스토퍼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20140104503A 2014-08-12 2014-08-12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446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03A KR101446714B1 (ko) 2014-08-12 2014-08-12 중장비용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503A KR101446714B1 (ko) 2014-08-12 2014-08-12 중장비용 퀵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714B1 true KR101446714B1 (ko) 2014-10-07

Family

ID=5199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503A KR101446714B1 (ko) 2014-08-12 2014-08-12 중장비용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45B1 (ko) * 2018-08-01 2020-02-04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243A (ja) 1999-02-10 2000-08-22 Marujun Juko Kk クイックカプラ
KR20110005057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에버다임 어태치먼트의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20110016775A (ko)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422264B1 (ko) 2013-02-28 2014-07-2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의 고정훅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0243A (ja) 1999-02-10 2000-08-22 Marujun Juko Kk クイックカプラ
KR20110005057A (ko) * 2009-07-09 2011-01-17 주식회사 에버다임 어태치먼트의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20110016775A (ko) * 2009-08-12 2011-02-18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422264B1 (ko) 2013-02-28 2014-07-28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의 고정훅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345B1 (ko) * 2018-08-01 2020-02-04 주식회사 에버다임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3218B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AU2017330165B2 (en) Quick hitch coupler
EP2491185B1 (en) A coupler for coupling an attachment to a work machine
JPH1131555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迅速接続装置
JP2011084876A (ja) 建設機械のフロントガード取付装置
KR20200075679A (ko) 굴착기용 회전형 퀵 커플러
JP2022510990A (ja) カプラー
KR101383847B1 (ko) 굴삭기용 집게 장치
EP2892838A1 (en) Traffic barrier lifter
US11236482B2 (en) Attachment coupling device for heavy industrial equipment
KR101446714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976948B1 (ko)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AU2006324379A1 (en) Safety device for hydraulic hitch assembly
KR101478498B1 (ko) 굴착기의 퀵 커플러 안전장치
KR100819469B1 (ko) 중장비용 퀵커플러
KR20130039043A (ko) 이중안전장치를 갖춘 어태치먼트용 클램프
US20160244943A1 (en) Safety lifting system for a mechanical excavator
KR101566493B1 (ko) 굴착기용 집게장치
KR101410167B1 (ko) 공압 배압형 굴착기 퀵 커플러 안전장치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KR200189513Y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KR20160067458A (ko) 굴삭기 작업공구용 2중 안전장치 부착형 퀵커플러
KR102382424B1 (ko) 굴삭기용 회전링크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