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948B1 -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 Google Patents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948B1
KR101976948B1 KR1020170126089A KR20170126089A KR101976948B1 KR 101976948 B1 KR101976948 B1 KR 101976948B1 KR 1020170126089 A KR1020170126089 A KR 1020170126089A KR 20170126089 A KR20170126089 A KR 20170126089A KR 101976948 B1 KR101976948 B1 KR 10197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excavator
extension arm
extension
quick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089A (ko
Inventor
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철 filed Critical 김원철
Priority to KR1020170126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9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1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more than two arms (boom included), e.g. two-part boom with additional dipper-a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굴착기에서 사용하던 암을 연장 암으로 사용하여 다른 굴착기의 암과 붐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버려지던 산업 폐기물을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성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암과 연장 암이 "V"자 형태가 되게 결합하고 턴버클, 와이어, 볼트, 그리고 체인 블록 등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장 암과 암을 합한 작업 길이를 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 끝에 장착한 건설 기계의 하중에도 암이나 연장 암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을 지지하는 본체에 카운트 웨이트를 추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장 암의 추가로 늘어난 하중과 길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EXCAVATOR WITH DETACHABLE EXTENSION ARM}
본 발명은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굴착기에서 사용하던 암을 연장 암으로 활용하므로, 굴착기 운전자 혼자서도 쉽고 편리하게 암을 연장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려지는 암을 재활용할 수 있어 산업폐기물을 없애면서도 자원을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라고도 하는 굴착기는 토목과 건축 현장에서 땅을 파는 굴착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리 작업 등 여러 작업을 할 수 있는 건설기계를 말한다.
특히, 굴착기는 토사의 종류나 작업 종류 그리고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장치를 장착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일반적인 굴착과 토사 운반에는 버킷을 사용하고, 암석과 단단한 지면 등을 파쇄할 때는 브레이커를 사용하며, 건물 해체와 파쇄 등에는 크라샤를 사용한다. 또한 굴착기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진 버킷을 장착하여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3111호
굴삭기용 버킷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버킷; 상기 버킷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굴삭용 투스; 및 상기 버킷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이 상기 굴삭용 투스와 대향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슬라이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굴삭용 투스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를 가리거나 노출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77509호
굴삭기용 가변 용량 버킷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암 선단에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러그가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에 제1결합 홀이 형성된 제1몸체 및 제1몸체에 형성된 제1결합 홀에 볼트체결되는 복수의 제2결합 홀이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업용 투스(tooth)가 구비된 제2몸체를 포함하며, 제2결합 홀은 수평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되어 형성된 굴삭기용 가변 용량 버킷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작업물이 담기는 버킷의 용량을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이 각기 서로 다른 다수의 버킷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 및 작업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6972호
버킷을 교체하지 않고, 버킷의 폭보다 좁은 고랑을 파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포크레인용 버킷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포크레인용 버킷은 버킷본체에, 버킷본체에 비해 폭이 좁은 굴삭패널이 구비되어, 상기 굴삭패널이 상기 지지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후퇴시킨 사태에서, 상기 버킷본체를 이용하여 넓은 도랑을 파거나 흙을 퍼내는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굴삭패널이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굴삭패널을 이용하여 폭이 좁은 도랑을 파낼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도랑을 파거나 흙을 퍼내는 작업과, 좁은 도랑을 파는 작업을 번갈아 가면서 하기 위해 버킷을 교체할 필요가 없음으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작업을 하는 굴착기는, [도 1]과 같이, 양옆으로 회전하는 본체(F)에 붐(B)이 상하로 움직이게 장착하고, 이 붐(B)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암(A)을 장착한다. 특히, 이 암(A) 끝에는 브레이커나 버킷 등을 연결하여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퀵 커플링(Q)을 갖춘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굴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기존 굴착기는 최대 굴착할 수 있는 길이에 한계가 있다. 즉, [도 1]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붐(B)의 길이를 "ℓ'"이라고 하고, 암(A)의 길이를 "ℓ""라고 하면, 기존 굴착기로 작업할 수 있는 최대 길이(ℓ'+ℓ") 이상 높이의 작업을 할 수 없다.
(2) 이는, 기존 굴착기로 고층 건물을 분쇄할 때처럼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붐과 암의 길이가 짧아 원활하게 작업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기존 굴착기를 제조하는 회사에서 붐과 암 사이에 장착하여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암을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장 암은 작업 높이(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4) 기존 연장 암은 별도로 제작한 것을 사야 하므로, 구매 비용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 연장 암은 구매 비용이 비싸다.
(5) 특히, 기존 연장 암은 한쪽을 붐 끝에 연결해야 하는 데, 이때 암과 붐을 맞댄 다음 두 개의 핀을 박아서 연결해야 한다. 이에, 붐을 기존 연장 암에 맞추는 작업자와 핀을 연결하는 작업자가 함께 작업해야 한다.
(6) 이에, 기존 굴착기 운전자 혼자서 작업할 때는 기존 연장 암을 연결하고 다시 분해하는 데 긴 시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숙달되지 않으면 혼자서는 작업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53111호 (공개일 : 2016.05.13)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77509호 (공개일 :2016.07.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6972호 (공개일 :2017.05.24)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굴착기에서 사용하던 암을 연장 암으로 사용하여 다른 굴착기의 암과 붐 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버려지던 산업 폐기물을 재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 암을 쉽게 구성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암에 장착한 연장 암을 연장한 가상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암이 상하로 움직이는 위쪽으로 회전한 상태로 결합하고 턴버클, 와이어, 볼트, 그리고 체인 블록 등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장 암과 암을 합한 작업 길이를 늘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 끝에 장착한 건설 기계의 하중에도 암이나 연장 암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붐을 지지하는 본체에 카운트 웨이트를 추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연장 암의 추가로 늘어난 하중과 길이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한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는, 양옆으로 회전하는 본체(F)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 붐(B) 끝에 암(A)을 연결하고, 상기 암(A) 끝에 굴착, 적재, 파쇄하는 장비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굴착기에서, 상기 암(A)에는 장비를 연결하는 한쪽에 탈부착용 연장 암(1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연장 암(10)은 굴착기에서 사용했던 중고 암으로, 상기 암(A)과 마주하는 한쪽에는 상기 암(A) 끝에 장착한 퀵 커플링(Q)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장비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퀵 커플링(11)을 갖추며;, 상기 퀵 커플링(Q)을 동작하게 하는 유압 라인에는 상기 연장 암(10)이 암(A)에서 길게 연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유압을 공급과 차단할 수 있게 밸브(H')를 갖추고;, 상기 퀵 커플링(11)에는 상기 퀵 커플링(Q)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라인에서 분기하여 장비를 작동할 수 있도록 유압 라인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연장 암(10)은, 암(A)의 중심선을 연장한 가상선에서 지상을 향해 일정 각도(θ)만큼 위로 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F)에는, 고무판(21)을 올려놓고 그 위에 카운트 웨이트(20)를 추가로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는, 상기 연장 암(10)과 암(A)에는 이들 암이 움직이는 양측 면에 각각 고정 브래킷(12)을 돌출 성형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12) 사이에는 턴버클, 와이어, 볼트(13) 체결, 또는 체인 블록으로 연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폐기하던 굴착기에 장착한 암을 연장 암으로 활용하므로, 산업 폐기물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굴착기에서 암을 브레이커나 버킷 등을 연결할 때 사용하는 퀵 커플링을 이용하여 연장 암을 고정하므로, 굴착기 운전자 혼자서 연장 암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3) 이에, 연장 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4) 기존 붐과 암의 길이보다 연장 암의 길이만큼 더 연장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더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작업도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5) 한편, 연장 암은 기존 암을 연장한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방향을 향해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하므로, 연장 암이 아래로 처지거나 연장 암 끝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전하게 하중을 견디면서 작업할 수 있다.
(6) 또한, 붐을 회전 지지하는 본체에는 카운트 웨이트를 추가하여 구성하므로, 연장 암을 추가함에 따라 늘어나는 하중과 그 길이만큼 늘어남에 따라 받는 하중을 고려하여 추 역활을 하는 카운트 웨이트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힘의 균형을 맞춰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7) 그리고, 연장 암과 암 사이에 고정 브래킷을 돌출 성형하고, 이들 고정 브래킷 사이에 턴버클, 와이어, 볼트 체결, 또는 체인 블록으로 고정하므로, 연장 암과 암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이들 연결 부분이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굴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그린 굴착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굴착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그린 굴착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연장 암을 암에 연결한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연장 암을 연결한 암이 붐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연장 암과 암 사이를 보강하는 수단의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측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연장 암과 암 사이를 보강하는 수단의 다른 한 가지 예를 보여주는 측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본체에 카운트 웨이트를 추가한 상태를 보여주는 굴착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양옆으로 회전하는 본체(F), 상기 본체(F)에 상하로 움직이는 붐(B), 상기 붐(B)에 상하로 움직이는 암(A), 그리고 암(A)에 장착하여 건설 장비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연장 암(1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연장 암(10)은 굴착기에 사용했던 중고 암을 이용하여 기존 굴착기의 암(A)에 장착한 퀵 커플링(Q)을 이용하여 굴착기 운전자가 혼자서 바로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게 구성하고, 또한 이 연장 암(10)에 갖춘 퀵 커플링(11)을 이용하여 버킷이나 브레이커 등과 같은 건설 장비를 쉽게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굴착기의 작업 길이를 쉽고 편리하게 연장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체(F)와 붐(B) 그리고 암(A)은 굴착기를 구성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으로, 여기서는 그 구성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하고 탈부착용 연장 암에 관해 설명한다.
본체(F)는, [도 2]와 같이, 무한궤도(C)나 바퀴 등을 이용하여 자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고, 굴착기 운전자가 탑승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특히, 본체(F)에는 이처럼 굴착기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캡을 구성하며, 한쪽에 카운터 웨이트를 구성하여 후술할 암과 붐 등을 중략을 고려하여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이 이루어지게 구성한다.
붐(B)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본체(F)에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붐(B)은 실린더와 같은 유압 장치(H)를 장착하고, 이 유압 장치(H)를 이용하여 붐(B) 끝에 장착한 암(A)을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제어한다.
암(A)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유압 실린더와 같은 유압 장치(H)를 갖추며, 상술한 붐(B) 끝에 상하로 접히도록 장착한다. 이때, 암(A)은 한쪽에 폭 방향으로 2열 핀을 장착하고, 이 2열 핀 중에서 어느 하나를 붐(B)에 회전할 수 있게 연결하고 다른 하나를 유압 장치(H)에 연결한다.
또한, 상기 암(A)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다른 한쪽에도 두 개의 핀을 구성하고, 이 핀을 이용하여 퀵 커플링(Q)을 장착한다. 이때, 퀵 커플링(Q)은 어느 하나의 핀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하나의 핀에는 암(A)에 장착한 유압 장치(H)를 연결하여 버킷이나 브레이커 그리고 크라샤와 같은 건설 장비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커플링을 말한다.
연장 암(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암(A)의 한쪽, 바람직하게는 버킷이나 브레이커 그리고 크라샤와 같은 건설 장비를 연결하게 하는 쪽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암(10)은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기존 굴착기에 장착하여 사용했던 중고 암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 암(10)은 굴착기에 장착하려고 제작하여 공급하는 암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폐기 처분하거나 수명을 다한 굴착기에서 사용했던 중고 암을 그대로 연장 암(10)으로 활용하게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폐기하는 굴착기에서 사용했던 중고 암을 연장 암(10)으로 이용함으로써, 산업 폐기물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 재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암(10)은,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붐과 연결하던 부분을 암(A)의 퀵 커플링(Q)에 장착하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연장 암(10)은 퀵 커플링(Q) 연결을 위한 핀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 핀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여 퀵 커플링(Q)으로 쉽게 잡아서 연결과 분리할 수 있게 브래킷을 추가하여 구성하거나 장착 위치를 조절하여 구성함으로써, 연장 암(10)을 암(A)에 쉽게 장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 암(1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다른 한쪽에 버킷이나 브레이커, 크랴사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퀵 커플링(11)을 갖춘다. 퀵 커플링(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암에는 이러한 건설 장비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커플링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암(10)은, [도 2]와 같이, 붐(B)에 이 붐(B)과 나란하게 회전할 장착한 상술한 암(A)과 소정의 각도(θ)만큼 위를 향하게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장 암(10)은 암(A)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선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각도(θ)만큼 위로 향하게 구성함으로써, 이 암(A)을 향하도록 회전했을 때 암(A)과 연장 암(10)의 전체 길이(L'+L")가 더욱 길어지게 하여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가능하고, 또한 연장 암(10) 끝에 하중이 가해졌을 때 연장 암(10)이 쳐지거나 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연장 암(1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퀵 커플링(11)에 장착한 건설 장비를 작동하게 할 수 있도록 유압 실린더(H)와 같은 유압 장치(14)를 장착한다. 이때, 유압 장치(14)는, [도 3]과 같이, 암(A)에 장착한 유압 장치(H)에 유압을 공급하는 라인에서 일부를 분기하여 필요한 유압을 얻을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이들 본체(B)에서 공급받은 작동 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유압 장치(14, H)로 분기하는 유압 라인에는 각각 밸브(14', H')를 장착한다. 이때, 암(A)에 장착한 밸브(H')는 암(A) 끝에 연장 암(10)을 연결한 상태에서는 이 밸브(H')를 닫아서 더는 유체 이동이 없게 하고, 연장 암(10)에 장착한 밸브(14')로만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여 퀵 커플링(11)을 통해 연장 암(10) 끝에 장착한 건설 장비를 동작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연장 암(10) 끝에 장착한 밸브(14')는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암(A)에서 연장 암(10)을 분리했을 때 더는 유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면서 유체 라인을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 암을 연장 암으로 활용하여 산업 폐기물을 줄이면서도 자원 재활용을 할 수 있고, 특히 퀵 커플링 방식으로 굴착기 운전자 혼자서도 쉽고 편리하게 연장 암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는, [도 5]와 같이, 암(A)에 장착한 연장 암(10)이 처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을 추가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연장 암(10)과 암(A) 사이의 연결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는, [도 5]와 같이, 연장 암(10)과 암(A)의 양쪽 면에 각각 고정 브래킷(12)을 돌출 성형한다. 이때, 고정 브래킷(12)은 연장 암(10)과 암(A)이 회전하는 방향의 양쪽에 각각 돌출한다.
그리고, 이들 연장 암(10)과 암(A) 사이에 돌출 성형한 두 개의 고정 브래킷(12) 사이에는 턴버클, 와이어, 볼트(13) 체결, 그리고 체인 블록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연장 암(10)과 암(A) 사이의 결합력을 높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턴버클, 와이어, 볼트(13), 그리고 체인 블록은 퀵 커플링(Q)을 연결하려고 연장 암(10)에 형성한 두 개의 핀 사이에 놓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 2]는, [도 6]과 견인 고리(15, 15')를 이용하여 연결을 보강할 수도 있다. 이때, 암(A)에 장착한 퀵 커플링(Q)에는 이미 견인 고리(15)가 있으므로, 연장 암(10)에만 견인 고리(15')를 추가로 장착하고, 이들 견인 고리(15, 15')를 와이어(16)나 턴 버클 그리고 체인 블록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퀵 커플링을 통해 암과 연장 암을 고정하여 길이를 연장한 상태에서 턴버클, 와이어, 볼트나 체인 블록 등으로 이들 암을 연결함으로써, 암과 연장 암의 장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는, [도 7]과 같이,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은 구성이나, 본체(F)에 카운트 웨이트(20)를 추가한 것이다. 카운트 웨이트(20)는 무게 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일종의 추로, 본 발명에서 연장 암 등의 중량 증가로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릴 수 있고, 특히 작업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연장 암에 장착한 건설 장비로 작업할 때 무게 중심이 건설 장비 쪽으로 쏠릴 수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카운트 웨이트(20)는 통상적으로 굴착기에 장착한 카운터 웨이트의 중량을 늘려서 장착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도 7]과 같이 본체(F) 위에 본체(F) 보호를 위해 고무판(21)을 깔고 그 위에 카운트 웨이트(20)를 장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카운터 웨이트를 더 추가하여 구성함으로써, 굴착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10 : 연장 암
11 : 퀵 커플링
12 : 고정 브래킷
13 : 볼트
14 : 유압 장치
20 : 카운트 웨이트

Claims (4)

  1. 양옆으로 회전하는 본체(F)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 붐(B) 끝에 암(A)을 연결하고, 상기 암(A) 끝에 굴착, 적재, 파쇄하는 장비를 연결하여 작업하는 굴착기에서,
    상기 암(A)에는 장비를 연결하는 한쪽에 탈부착용 연장 암(10)을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연장 암(10)은 굴착기에서 사용했던 중고 암으로, 상기 암(A)과 마주하는 한쪽에는 상기 암(A) 끝에 장착한 퀵 커플링(Q)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장비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퀵 커플링(11)을 갖추며,
    상기 퀵 커플링(Q)을 동작하게 하는 유압 라인에는 상기 연장 암(10)이 암(A)에서 길게 연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유압을 공급과 차단할 수 있게 밸브(H')를 갖추고,
    상기 퀵 커플링(11)에는 상기 퀵 커플링(Q)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 라인에서 분기하여 장비를 작동할 수 있도록 유압 라인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2. 제1 항에서,
    상기 연장 암(10)은,
    암(A)의 중심선을 연장한 가상선에서 지상을 향해 일정 각도(θ)만큼 위로 향하도록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3. 제1 항에서,
    상기 본체(F)에는,
    고무판(21)을 올려놓고 그 위에 카운트 웨이트(20)를 추가로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장 암(10)과 암(A)에는 이들 암이 움직이는 양측 면에 각각 고정 브래킷(12)을 돌출 성형하고,
    상기 고정 브래킷(12) 사이에는 턴버클, 와이어, 볼트(13) 체결, 또는 체인 블록으로 연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KR1020170126089A 2017-09-28 2017-09-28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KR10197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89A KR101976948B1 (ko) 2017-09-28 2017-09-28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089A KR101976948B1 (ko) 2017-09-28 2017-09-28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89A KR20170121089A (ko) 2017-11-01
KR101976948B1 true KR101976948B1 (ko) 2019-05-09

Family

ID=60382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089A KR101976948B1 (ko) 2017-09-28 2017-09-28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5094B1 (en) 2020-01-10 2021-06-15 Ferguson Trailer Transport, Inc. Device and method for extending material mover rea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4958B (zh) * 2017-11-24 2023-10-20 成都凯隆机械维修有限公司 低噪音的挖钩岩石臂小臂
CN109183895B (zh) * 2018-08-30 2021-07-02 柳州柳工挖掘机有限公司 挖掘机作业循环智能计数方法和计数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279A (ja) * 1999-11-12 2001-05-22 Masatoshi Uchihashi 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それを備えた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及び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の制御方法
KR200299999Y1 (ko) * 2002-09-24 2003-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게 조절이 가능한 굴삭기 카운터웨이트
KR101544196B1 (ko) * 2015-03-25 2015-08-12 심상국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4318A (ko) * 2011-02-16 2012-08-24 (주)하이드로 메틱스 광산용 소형 다기능 장비
KR20160053111A (ko) 2014-10-30 2016-05-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용 버켓
KR20160077509A (ko) 2014-12-23 2016-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굴삭기용 가변 용량 버킷
KR20170056972A (ko) 2015-11-16 2017-05-24 황재성 포크레인용 버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279A (ja) * 1999-11-12 2001-05-22 Masatoshi Uchihashi 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それを備えた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及び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の制御方法
KR200299999Y1 (ko) * 2002-09-24 2003-0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무게 조절이 가능한 굴삭기 카운터웨이트
KR101544196B1 (ko) * 2015-03-25 2015-08-12 심상국 하천 수중 오니 준설작업용 굴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5094B1 (en) 2020-01-10 2021-06-15 Ferguson Trailer Transport, Inc. Device and method for extending material mover rea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89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948B1 (ko)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CN109763818B (zh) 履带式装锚一体巷修机
US3851776A (en) Vehicle with counter weight turrent lock
CN204851264U (zh) 竖井施工出渣用抓挖一体机
KR20130070744A (ko) 자유회전되는 아암을 가지는 소형 굴삭기
CN209892269U (zh) 一种改进式巷道矸石回填机
CN207792472U (zh) 一种挖掘机支重轮安装辅助工装
CN208899551U (zh) 一种新型巷道修复掘进挖掘机
CN102493525A (zh) 挖掘机工作装置的集中润滑机构
JP5445403B2 (ja) 作業機械のカウンタウェイト脱着装置
CN201411335Y (zh) 多功能吊管机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KR20090069376A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KR20140039761A (ko) 백호 로더
CN2761697Y (zh) 一种装载机的机罩
AU2016102361B4 (en) Machine door handler
CN216475253U (zh) 一种新型山地快速成孔机
KR101446714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JP2009195795A (ja) 作業機械
CN216974833U (zh) 多功能巷道修复机
KR20140061019A (ko) 백호 로더의 제어 방법
FI130509B (fi) Itseliikkuva työkone
CN202440862U (zh) 一种有清危装置的挖掘机铲斗结构
KR102286267B1 (ko) 암반 수거용 장치
JP2012077566A (ja) ニューマチックケーソン排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262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622

Effective date: 2019040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