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376A -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376A
KR20090069376A KR1020070137018A KR20070137018A KR20090069376A KR 20090069376 A KR20090069376 A KR 20090069376A KR 1020070137018 A KR1020070137018 A KR 1020070137018A KR 20070137018 A KR20070137018 A KR 20070137018A KR 20090069376 A KR20090069376 A KR 2009006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weight
weight
heavy equipment
unit weights
l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2777B1 (ko
Inventor
심치형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7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되,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구비한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 복수의 단위웨이트(5,8)에 결합되어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하나의 액추에이터; 및 카운터 웨이터를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3)를 중장비(1)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3)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중장비,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백호 로더, 탈착, 착탈, 탈부착

Description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Apparatus for removing and mounting a counter weight of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 및 토목 현장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계 장비나 건설기계(이하, 이들을 중장비라 함)가 사용된다.
중장비 중의 하나인 굴삭기는 굴삭기 버킷(bucket)을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깎을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소위, 포크레인 혹은 백호(backhoe)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로더(loader)는 굴삭된 토사, 골재, 파쇄암 등이나 혹은 모래, 눈 등을 별도 의 운반 기계에 싣는데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러한 굴삭기나 로더, 혹은 지게차와 같은 중장비는, 장비의 자중 또는 기계에 작용하는 외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하여 작용되는 균형추 즉, 하중으로 인한 모멘트에 대항시키기 위해 균형 하중체인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중장비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중장비에는 중장비 본체부(101)에 설치된 운전실(102)의 맞은편 쪽 엔진부 뒤에 카운터 웨이트(103)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의 중장비는 예컨대, 굴삭기가 될 수 있는데, 카운터 웨이트(103)는 도시되지 않은 굴삭 작업용 굴삭기 버킷 및 굴삭기 붐과 대향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무게중심을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굴삭기 버킷에 의한 굴삭 작업 시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굴삭 작업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원활한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카운터 웨이트(103)는 통상적으로 주조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형이거나 혹은 철판 구조물의 절단 및 용접 등에 의해 제작되는 구조물형이 대부분이며, 중장비의 해당 위치에 볼트 결합된다. 참고로, 카운터 웨이트(103) 중 구조물형은 그 내부에 충진물을 충진하기 위한 케이스가 필요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들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103)에 있어서는, 보통 다른 장비의 도움에 의해서 중장비의 해당 위치에 카운터 웨이트(103)를 탈부착시켜야 하므로 카운터 웨이트(103)의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부의 중장비에서는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103)를 중장비에 스스로 탈부착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제안된 기술들은 다소 복잡한 링크(link) 구조와 실린더(cylinder) 구조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카운터 웨이트(103)를 중장비의 해당 위치에 탈부착시키고 있으므로 카운터 웨이트(103)의 탈부착과 관련한 구조가 복잡해질 수밖에 없어 카운터 웨이트(103)의 탈부착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따라서 고장 발생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103)는 그 위치 및 구조 상 중장비의 후방에서 포물선을 그리면서 동작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실린더가 장비의 하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장비 가동 시 실린더 파손 가능성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되,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구비한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하나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카운터 웨이터를 상기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는 두 개로 분할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8a)가 형상맞춤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8a)는 상기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부(5a)는 상기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8a)와 상기 홈부(5a)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상호 연통 가능한 복수의 연통공(10a,1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판면에는 복수의 볼트공(11a,11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액추에이터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20)일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는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가 수용되는 복수의 실린더수용부(12a,12b)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는, 실린더본체(20a); 및 상기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축소 가능한 실린더로드(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본체(20a) 및 상기 실린더로드(20b)의 단부 영역에는 고리부(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서 상기 고리부(21)를 통해 상 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핀(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고정핀(14) 각각은, 상기 실린더수용부(12a,12b)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핀헤드부(15a); 및 상기 핀헤드부(15a)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리부(21)를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 형성된 핀공(13)에 삽입 결합되는 핀축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30)는 유압 제어회로(30)일 수 있다.
상기 유압 제어회로(30)는, 작동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31); 상기 탱크(31) 내의 작동유체를 펌핑하여 유압을 형성시키는 펌프(32);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상기 유압라인을 단속하는 유압 퀵 커플러(33, quick coupler); 및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이 향하도록 제어하는 스풀 밸브 레버(34, Spool valve lev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제어회로(30)는,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업/다운 조절 레버(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제어회로(30)는, 상기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마련되는 더블 체크 밸브(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단이 상기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3)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중장비(1)에 대해 상기 카운터 웨이트(3)를 지지하는 체인(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단 위웨이트(5,8)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하나의 가이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3)는 상기 중장비(1)에 마련된 평평한 면의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를 중장비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들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들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6 및 도 7은 각각 카운터 웨이트의 정면 사시도 및 분리 상태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사시도 및 분리 상태 사시도, 도 10은 카운터 웨이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1은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구성도, 도 12는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을 위한 유압 제어회로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는,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중장비(1)가 굴삭기일 경우에는 굴삭기 버킷 및 굴삭기 붐이 위치된 반대편에 카운터 웨이트(3)가 장착된다. 보통, 이 영역은 운전실의 맞은편 쪽 엔진부 뒤쪽 영역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영역을 웨이트 장착부(2)라 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 장착부(2)는 평편한 면을 형성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되어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는 카운터 웨이트(3)는,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로 이루어진다. 단위웨이트(5,8)는 세 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로 분할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로 적용하고 있다.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은 주조 방식에 의해 제작되는 주물형일 수도 있고 혹은 철판 구조물의 절단 및 용접 등에 의해 제작되는 구조물형일 수도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의 부피 및 무게는 상호 동일해도, 상이해도 무방하다. 다만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의 부피가 다르게 제작된다 하더라도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결합영역이 일직선의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제작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 장착부(2) 완전히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3)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결합영역이 일직선의 형태가 된다. 이를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상맞춤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5a)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돌기부(8a)는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에, 그리고 홈부(5a)는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돌기부(8a)를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에, 그리고 홈부(5a)를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에 형성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돌기부(8a)와 홈부(5a)를 형성하지 않고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 및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을 평평하게 가공해도 무방하다. 다만, 상부 단위웨이트(5)의 하단 및 하부 단위웨이트(8)의 상단을 평평하게 가공할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가 상호 접면된 상태에서 이들을 일체로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브래킷(미도시)을 더 사용해야 할 것이다.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8a)와 홈부(5a)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미도시)가 일체로 체결되는 통로로서 상호 연통 가능한 복수의 연통공(10a,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4에서 도 5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가 상호 접면하면 연통공(10a,10b)들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연통공(10a,10b)들은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반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각각을 웨이트 장착부(2)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판면에는 복수의 볼트공(11a,11b)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시된 것과는 달리 연통공(10a,10b)들과 볼트공(11a,11b)들의 위치와 개수는 적절하게 선택 변경되어도 좋다.
한편, 별도의 다른 장비 도움 없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두 개의 액추에이터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도 12의 유압 제어회로(30)에 의해 유압으로 동작되는 유압 실린더(20)로 적용된다.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 각각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실린더본체(20a)와,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길이 연장 및 축소 가능한 실린더로드(20b)를 갖는다. 실린더본체(20a) 및 실린더로드(20b)의 단부 영역에는 고리부(21)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20)들을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는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가 수용되는 역시 두 개의 실린더수용부(12a,12b)가 함몰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수용부(12a,12b)의 부피는 유압 실린더(20)를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수용시킬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20)가 실린더수용부(12a,12b)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는 은닉되기 때문에 장비의 사용 중에 유압 실린더(20)가 파손되는 등의 폐단을 극복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유압 실린더(20)를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핀(14)이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를 두 개의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총 4개의 고정핀(14)이 사용된다.
4개의 고정핀(14) 각각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수용부(12a,12b)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핀헤드부(15a)와, 핀헤드부(15a)로부터 연장되고 유압 실린더(20)의 단부 영역에 결합된 고리부(21)를 통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배면에 형성된 핀공(13)에 삽입 결합되는 핀축부(14b)를 포함한다. 이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유압 실린더(20)를 하나씩 수용시킨 상태에서 4개의 고정핀(14)을 4개의 고리부(21) 영역에 체결함으로써 유압 실린더(20)를 실린더수용부(12a,12b)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에는, 카운터 웨이터를 웨이트 장착부(2)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두 개의 유압 실린더(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0)가 더 구비된다.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가 유압 실린더(20)로 적용되고 있으므로, 제어회로(30)는 도 12에 도시된 유압 제어회로(30)로 적용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제어회로(30)는, 작동유체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31)와, 탱크(31) 내의 작동유체를 펌핑하여 유압을 형성시키는 펌프(32)와,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유압라인을 단속하는 유압 퀵 커플러(33, quick coupler)와,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이 향하도록 제어하는 스풀 밸브 레버(34, Spool valve lever)와, 유압의 세기를 조절하는 업/다운 조절 레버(35)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의 유압 제어회로(30)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20)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마련되는 더블 체크 밸브(36)를 더 포함한다.
이들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부연하면, 우선 스풀 밸브 레버(34)와 업/다운 조절 레버(35), 그리고 더블 체크 밸브(36) 등은 전자식이나 기계식, 혹은 유압식 등 어떤 것이 적용되어도 좋다. 만약에 전자식 밸브가 적용될 경우라면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적용될 수 있다. 유압 퀵 커플러(33)는, 두 개의 호스를 쉽게 끼우고 뺄 수 있으며, 끼우면 라인이 연결되고 빼면 각 끝단이 차단되어 기름이 새지 않도록 하는 금구의 일종이다. 더블 체크 밸브(36)는 카운터 웨이트(3)의 자중에 의한 카운터 웨이트(3)의 침하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각 유압 실린더(20)마다 하나씩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중장비(1)에 카운터 웨이트(3)를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1)의 뒤편, 웨이트 장착부(2) 영역으로 카운터 웨이트(3)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유압 퀵 커플러(33)를 연결한다. 그리고는 스풀 밸브 레버(34)를 동작시켜 유압 실린더(20)로 작동유체의 압이 전달되도록 한다.
유압 실린더(20)들에 유압이 전해지면,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실린더로 드(20b)가 길이 연장되면서 유압 실린더(20)들의 자체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단위웨이트(5)가 상승하면서 웨이트 장착부(2)의 상부 영역으로 상승된다. 도 4와 같이, 상부 단위웨이트(5)가 완전히 상승되면, 그 위치에서 볼트공(11a)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단위웨이트(5)를 웨이트 장착부(2)의 상부 영역에 고정시킨다.
다음, 상부 단위웨이트(5)의 고정이 완료되면, 다시 스풀 밸브 레버(34)를 조작하여 이번에는 실린더본체(20a)에 대해 실린더로드(20b)의 길이가 축소되도록 한다. 즉, 유압 실린더(20)들의 자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다. 그러면, 하부 단위웨이트(8)가 상부 단위웨이트(5) 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하부 단위웨이트(8)가 완전히 상승하여 도 5와 같이, 하부 단위웨이트(8)의 돌기부(8a)가 상부 단위웨이트(5)의 홈부(5a)에 끼워지면, 연통공(10a,10b)들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를 상호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에, 볼트공(11b)을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하부 단위웨이트(8)를 웨이트 장착부(2)의 하부 영역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의 장착 과정이 완료되면 유압 제어회로(30)를 통해 유압 실린더(20)로 향하는 유압을 차단한다.
반대로, 만약 웨이트 장착부(2)에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3)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전술한 역순, 즉 도 5에서 도 2의 방법으로 하부 단위웨이트(8)를 먼저 분리하고, 이어 상부 단위웨이트(5)를 분리하면 된다. 물론, 이 때에도 역시 유압 제어회로(30)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카운터 웨이트(3)를 중장비(1)에 탈부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기에 카운터 웨이트(3)의 탈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률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필요에 따라 추가의 카운터 웨이트(3)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링크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유압 실린더(20)만을 이용하여 카운터 웨이트(3)를 탈부착시키고 있으므로 간단하고 단순하게 제작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작이 간단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그만큼 종래기술에 비해 고장 우려가 감소된다. 특히, 카운터 웨이트(3)를 장착한 후에는 유압 실린더(20)들이 카운터 웨이트(3) 내부에 위치하여 은닉되므로 비교적 고가인 유압 실린더(20)의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3)는 종래의 도 1과는 달리 비교적 평평한 웨이트 장착부(2)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중장비(1)의 동작 시 원호를 움직이지 않는다. 때문에 후방 공간을 적게 필요로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3)는 많은 중량이 나가는 거대한 구조물이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3)가 전복되거나 낙하될 경우에는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 이처럼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40)을 마련하여 체인(40)의 양단이 웨이트 장착부(2)와 카운터 웨이트(3)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체인(40) 외에 체인(40)과 유사한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선이나 로프 등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50)를 마련하는 경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간의 상대적인 이동 위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중장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들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카운터 웨이트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리 상태 사시도이다.
도 10은 카운터 웨이트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카운터 웨이트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을 위한 유압 제어회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중장비에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장비 2 : 웨이트 장착부
3 : 카운터 웨이트 5,8 :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
10a,10b : 연통공 11a,11b : 볼트공
12a,12b : 실린더수용부 14 : 고정핀
20 : 유압 실린더 21 : 고리부
30 : 유압 제어회로 40 : 체인 50 : 가이드

Claims (3)

  1.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중장비(1)의 무게 균형을 형성하되, 상호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구비한 카운터 웨이트(3, counter weight);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를 상호 접근 및 이격시키는 하나의 액추에이터; 및
    상기 카운터 웨이터를 상기 중장비(1)의 어느 한쪽 영역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회로(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웨이트(5,8)는 두 개로 분할된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단위웨이트(5,8)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부(8a)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8a)가 형상맞춤 가능하게 결합되는 홈부(5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KR1020070137018A 2007-12-26 2007-12-2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KR10153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018A KR101532777B1 (ko) 2007-12-26 2007-12-2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018A KR101532777B1 (ko) 2007-12-26 2007-12-2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376A true KR20090069376A (ko) 2009-07-01
KR101532777B1 KR101532777B1 (ko) 2015-06-30

Family

ID=4132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018A KR101532777B1 (ko) 2007-12-26 2007-12-26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4077A1 (en) * 2010-02-09 2011-08-10 Kobelco Cranes Co., Ltd. Mobile crane having counterweight
KR20180027039A (ko) * 2016-09-05 2018-03-14 고장희 덤프장치용 유압제어장치
US11795657B2 (en) 2020-03-02 2023-10-24 Hd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Co., Ltd. Counterweight mount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435A (ja) * 1998-08-03 2000-02-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JP2002194774A (ja) * 2000-12-25 2002-07-1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脱着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147806A (ja) * 2001-11-09 2003-05-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06188817A (ja) * 2004-12-28 2006-07-2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ホイール式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54077A1 (en) * 2010-02-09 2011-08-10 Kobelco Cranes Co., Ltd. Mobile crane having counterweight
US8528755B2 (en) 2010-02-09 2013-09-10 Kobelco Cranes Co., Ltd. Mobile crane having counterweight
KR20180027039A (ko) * 2016-09-05 2018-03-14 고장희 덤프장치용 유압제어장치
US11795657B2 (en) 2020-03-02 2023-10-24 Hd Hyundai Construction Equipment Co., Ltd. Counterweight mount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777B1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5328B2 (ja) クイックカプラ
JP5449264B2 (ja) カウンタウエイト脱着装置用油圧回路
US8007197B2 (en) Coupler device to connect bucket or tool to boom arm
JP6164645B2 (ja) 作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US20150053450A1 (en) Stator for a hydraulic work tool assembly
JP2012172362A (ja) 深掘掘削機
CN103958786A (zh) 用于动臂回转式挖掘机的液压管路固定装置
EP2581500B1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members
KR20090069376A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KR101976948B1 (ko) 탈부착용 연장 암을 갖춘 굴착기
KR20110070940A (ko) 중장비의 카운터 웨이트 구조
KR19990088296A (ko) 건설기계의간이어태치먼트착탈장치부착아암
JP5614972B2 (ja) 作業機械
WO2007105326A1 (ja) 掘削作業機
AU2005245747A1 (en) Construction equipment with excavation and loading function
US20140212210A1 (en) Tool coupler having a modular frame construction
JP2008201328A (ja) トラクタの後作業機装着フレーム構造。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JP2009133084A (ja) オフセットブーム式フロント装置
KR101542545B1 (ko) 암대 설치형 집게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유압장치
KR200189513Y1 (ko) 건설기계의 어태치먼트용 착탈장치
JP2015166513A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JP4727390B2 (ja) アーム回動用液圧シリンダの配管装置
JP5885787B2 (ja) 油圧制御装置
JP2013167107A (ja) 伸縮ロッドおよび深掘掘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